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 경험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양상 재고(再考)

        장은영(JANG EUN 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3

        본 논문은 전쟁 경험에 대한 종군작가단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양상을 재고하기 위하여 『전선문학』에 발표된 평론들과 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전선문학』은 종군작가단의 기관지였던 만큼 문학을 무기로 삼아 전시체제가 요구한 반공이데올로기와 조국애, 전우애, 적개심 등을 형상화하여 전쟁에 일조하고자 했다. 그러나 당시 종군 작가들이 보여준 전쟁에 대한 문학적 수용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었으며, 문학적 형상화 양상 역시 전면적으로 전시체제의 요구에 순응하는 것이라 단정할 수는 없다. 문학을 도구적으로 보는 견해에 따르면 전쟁을 형상화한 작품은 전장에서 싸우는 군인들의 고통을 공감하고 위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문학 자체의 의의는 사라지고 문학은 오직 전쟁이라는 목적에 복무해야 한다. 여기서 한 단계 나아가 문학이 전쟁의 도구가 아니라 국가라는 관념의 도구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전쟁의 경험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쟁의 이상과 목표와 같은 관념이 더 우위에 있으며, 문학은 이러한 관념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 입장은 승리 이후 도래할 국가가 그 자체로 절대적 정신이자 신성한 영혼이라고 봄으로써 국가를 초월적 대상으로 상정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그 정신의 심급은 반공 이데올로기에 있다. 이와 달리 전쟁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입장도 있었다. 이 경우 체험한 것을 문학적 경험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형상화를 위한 시간과 거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문학의 내적 완성도에 비중을 두고자 하였다. 전쟁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때 훌륭한 전쟁문학이 탄생할 수 있다는 관점은 전시체제의 요구로부터 문학의 독립성을 유지하려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담론들을 전제로 전쟁 경험에 대한 시적 형상화 양상을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은유를 통해 전장의 비극적 상황을 신성한 임무로 형상화하고 전의를 고취하는 작품들이다. 적을 살상하기 위한 무기를 애국적 인격체로 환원하는데 동원된 문학적 은유는 철저히 도구화된 문학의 전형을 보여준다. 두 번째는 전쟁의 목표나 궁극적 도달점인 국가라는 관념을 상징화한 수사적 형상화이다. 전쟁 이후 남한 사회가 건설하게 될 국가는 경험되지 않은 세계였기 때문에 구체적 이미지로 제시될 수 없었다. 따라서 전쟁 이후에 도래할 세계는 순수한 이상향으로 그려졌고 여기에 적합한 것이 바로 상징적 이미지이다. 이와 달리 전쟁을 자기서사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은 전쟁 경험에 대한 의미 부여를 중지하고 사건의 형상화에 집중했다. ‘나’라는 시적 주체가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겪은 일을 서술하면서 이해할 수 없는 비극적 상황을 드러냄으로써 전쟁의 의미를 회의하게 하는 작품들은 자신의 전쟁 경험이 하나의 의미로 수렴되지 않는 파편화된 경험이라는 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형상화 방법은 전쟁이 초래한 비극적 삶의 단면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환기하고 있으며, 전쟁문학의 의의가 무엇인가를 되묻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the discourse of War Literature and Poetic figuration of war experience focusing on Korean army magazine Geonseon Munhak. Geonseon Munhak is an official magazine of the militery service during the Korean War. So the magazine controled by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Defense aimed at making emotional figuration like as love of one"s country, love of brothers in arms, animosity. At that time some writers published critics about how figure war experience as literatury works. First opinion is that consider war experience as a tool. According to this opinion, literature is useful tool for empathizing and comforting the soldiers who fight on the battlefield. Second opinion is that emphasize literary figuration of the war experience. In this instance war is considered literary material. To make war experience as a literary work, it takes time for literary figuration. Third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spirit and soul are superior to the actual war experience. For example the ideals and objectives of the war are predominant, so literature should pursue such ideas. On the basis of three discourse, I Interpreted poems in Geonseon Munhak focusing on poetic figuration of war experience. Configuration method dividied into three ways, first way is metaphor, second way is symbol, third way is self-narration. Metaphor and symbol as literary rhetoric is used for making figuration of ideal of the nation. Self-narration as literary rhetoric is expression method for that war is just fragmented experience. Today war literature that express fragmented experience raise awareness of the war against us. We should reconsider value of literary work in war time.

      • Trauma Seen through Korean Women’s Recounts of War Experience and Prospects of Overcoming the Trauma

        Kang, Mi-Jeong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5 통일인문학 Vol.1 No.2

        Korean women’s recounts of war experience manifest realities of a war that permeated through their everyday lives. They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reveal trauma from the war. What kind of traumas can be found in those recounts of war experience and what can be done to alleviate those traumas?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discusses the case of a woman called Gim Seong-Yeon, who was forced to live in difficult conditions as a refugee during the war. In her war experience tale, there is a repetition of how she was separated from her family, how she was mistreated and how she had no one to depend on for protection. The war left Seong-Yeon with a trauma in the form of fear and distrust. But Seong-Yeon also narrated folktales aside from her recounts of her war experience. Unlike her war experience testimonies, her folktales are mainly about reassurance and trust. Therefore, this article seeks to compare Seong-Yeon’s recount of her war experience and her folktales, to reveal the fact that when a person suffers from trauma in the form of fear and distrust as an aftermath of the Korean war, as in the case of Seong-Yeon, stories about reassurance and trust, even if they are far from reality, can help in overcoming that trauma.

      • KCI등재

        박완서 전쟁 체험 소설의 반복과 차이

        우현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5 No.-

        Park Wan-seo's novel, which is loved as a steady seller, is misunderstood by the same content and boredom due to the fact that the Korean War has been repea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writer 's story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Park Wan-seo's novel, which is based on the Korean war experience, has differences in repetition. Park Wan-seo's novel explores the meaning of the Korean War in depth by seeking interaction with readers and communication with the times when it is created. In the 1970s, Park Wan-seo's novels emphasized the logic of postwar recovery and modernization of the batters, and the logic of polt to strengthen the ranks of the batters by reproducing Others. In the 80s and 90s, th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the war-experience generation, the childhood-experience generation, and the war-free generation. The generation of childhood war experience, who is the narrator, criticizes the generation of war-experience that considers postwar issues as their absolute experiences, or the generation of war-free experiences that bind with resignation and forgiveness. By the 2000s, the author declares that he will no longer testimony of the war against the public who are indifferent to the nation's armistice. By choosing to give up speach act, the author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by the reader. Park Wan-seo shares the memory of the war with the public, repeats reproduction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war, and builds a narrative of difference to embrace the generational change of the reader. 전 세대에 걸쳐 넓은 독자층을 확보한 박완서 소설은 꾸준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한국 전쟁의 반복되는 소재 속에서 계몽성과 동어반복적인 내용 구성으로 오해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지점에 착목하여 한국전쟁 체험을 소재로 하는 박완서 소설에 내재된 반복과 차이의 의미를 재구하고 작가의 서술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박완서 문학의 특징은 소설의 동시대적인 현실과 병행되는 기억의 재현과 그 미묘한 변주에 내포된 한국전쟁의 의미를 재고하는 데에 있다. 전쟁 체험 소설에서 작가는 단순한 소재적 반복이 아닌 해당 텍스트가 창작되던 시대와의 상호작용 및 동시대 독자와의 소통을 추구하면서 전쟁의 일상을 재조명하는 반복과 차이의 의미 분화를 기획한다. 1970년대 박완서 소설은 전후 복구와 근대 산업주의 논리에 은폐되었던 전쟁 체험을 통해 전쟁의 결과로 탄생한 사회적 약자를 재생산하고 계급의 위계를 공고히 하는 공모의 논리를 고발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부끄러움과 수치심이라는 전쟁 체험 세대의 수렴과 발산의 감각에 주목한다. 80-90년대 소설에서는 유년기 전쟁 체험 세대가 등장하여, 전후의 문제를 당사자적으로 극단화 하거나 혹은 체념과 용서로 봉합하는 전쟁 세대와 타자의 기억을 소비하고 억압하면서 외부자로 안도하는 미체험 세대를 모두 비판한다. 이 시기 소설에서 작가는 현실 논리에 압도된 전후의 기억을 복원할 필요성과 더불어 전쟁을 실감하는 세대 갈등을 예각화하며 공감의 난망을 드러낸다. 이후 휴전이 고착된 2000년대는 전쟁 체험 세대의 노년화와 전쟁 체험의 세대적 공백기의 특성을 보인다. 이 시기 박완서 소설의 전쟁 체험은 말년성의 갈등과 부조화를 감내하며 이를 저항의 동력으로 삼는다. 휴전 중인 당대 현실에 무관심한 대중을 향해 작가는 직설화법으로 증언하지 않을 권리를 선언한다. 발화의 포기 자체를 선택하는 작가의 능동성은 증언을 원하는 것과 원하지 않는 것, 발화 행위와 비행위, 부정과 긍정 사이의 모호함을 가시화하면서 전후 현실에 대한 독자의 책임 의식을 환기시킨다. 이로써 전쟁체험의 기억을 대중과 공유하고 전쟁의 재발을 막고자 하는 작가의 반전 의식이 소설적인 재현의 반복을 추동한다면, 정전의 물리적 거리를 실감하고 독자의 세대적 변화를 포용하는 작가의식은 차이의 서사를 구축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트럭에 실려가다’ 표현의 관용어구화 과정으로 본 6·25 전쟁 경험담의 전설화 양상 연구 -대전시 낭월동 ‘골령골 학살사건’ 관련 경험담을 중심으로-

        백민정 ( Baek¸ Min-je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2

        이 논문은 대전 지역의 6·25 전쟁 경험담을 대상으로, 담화 중 언급되는 ‘(특정 사람들이) 트럭에 실려가다’는 표현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이는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6월~7월까지 대전시 동구 낭월동에서 있었던 대전형무소 수감자 학살사건 당시, 3차례에 걸쳐서 수천의 사람들이 수십 대의 트럭에 실려서 가는 장면을 지역민들이 목격한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 표현이다. 낭월동 주민들은 그들이 목격했던 트럭에 실린 사람들이 마을의 한 골짜기로 가서 처형을 당하고, 희생자들의 핏물이 냇물로 흘러나오는 당시의 목격 경험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큰 충격을 받게 된다. 이 충격은 낭월동 사람들로 하여금 ‘트럭에 실려가’는 사람들이 골짜기에서 처형을 당하는 사건을 6·25 전쟁의 대명사처럼 인식하게 한다. 이 목격 경험을 토대로 한 직접 목격담은 대전의 전 지역에 소문이 나면서 ‘트럭에 실려가다’는 언급과 함께 간접 목격담의 형태로서 전승되었다. ‘트럭에 실려가’는 장면의 목격 경험에서 비롯된 이 표현은 목격 경험의 직접성 및 사건 발발 지역(낭월동)과의 지리적 거리에서 멀어질수록, 역사적 사건의 진위 여부보다는 구연 상황에서 교감된 감성적인 쇼크가 구연력에 더 크게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가해자나 피해자의 혼돈에서 오는 와전적 담화의 등장, 과장적 서사화를 통해 이 경험담은 점차 전설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병행하여 ‘트럭에 실려가다’는 어구는 점차 대전 지역의 전쟁 경험담 구연판에서 관용어구처럼 인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정 역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사건에 대한 사료와 경험자, 사건을 이야기로 전하는 전승자가 다 함께 존재하고 있는 본 6·25 전쟁 경험담을 통해 역사가 경험담을 거쳐 전설화되는 양상과 이 과정에 관여되는 변인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의 전설화의 과정의 초기 양상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변화를 이루는 주요 동인이 ‘역사적 사실’보다는 역사적 경험에 대한 화자-청자 간의 교감 정서와 화자의 주제의식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was repetitive appearance of the expression '(specific people) being carried on truck' from narrative in experience story on Korean War in the Daejeon region. This expression was form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local people who witnessed the scene of several thousands of people being carried by several dozens of trucks on three occasions when the prisoners in Daejeon Prison located in Nangwol-dong, Dong-gu, Daejeon, were massacred in June-July 1950, just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residents of Nangwol-dong were greatly shocked psychologically by the sightings of the blood flowing into the stream indicating that people in the trucks they witnessed were executed in a valley near the village. This shock made Nangwol-dong residents to think the scene where 'people carried on trucks' were executed in a valley as a representative event of the Korean War. The direct testimony based on this experience of witnessing spread throughout Daejeon through the word of mouth with the expression of 'being carried on truck', and these indirect sightings were handed down as a discourse containing representative tragedies of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is region. The oral presentation of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the scene of “being carried on truck” and was influenced more strongly by the emotional shock that was communicated at the moment of interaction rather than the historical authenticity of the event, and this was more as the distance from the direct witnessing became longer.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being carried on truck' has been gradually quoted as an idiom in the narrative of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region. Since all the historical material about Korean War, the people who experience it, and the story tellers who passes it down exist together, history and experience of the events set in the Korean War, and the successors who tell the story of the events all exist together. This study revealed the early aspect of the process of legendization of histor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drivers of this process was the fact that the narratives were influenced stronger by the communicative sentiment between the teller and the listener about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the teller's general awareness, rather than the authenticity of ‘historical facts’.

      • KCI등재

        小杉未醒「朝鮮日記」論

        金仙奇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5

        「Joseon Diary」 is an appendix of 『Jinchushihen』 written by Kosugi Misei who was a war correspondent and recorded his experience during the Japanese-Russian War. This work is a rare record of firsthand experience of the Japanese-Russian War of Kosugi Misei, a Japanese artist, and is an essential data needed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Kosugi Misei’s artistic activities and works in the Japanese-Russian War period. However, a systematic academic review and discussion on Misei’s 「Joseon Diary」 has been rarely per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review three themes that could imply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the Diary. These themes include: first, illustrations and poems of 「Joseon Diary」; second, image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Russian War period and Misei’s perception of the Joseon in 「Joseon Diary」; and third, Misei’s war experience and view of war presented in 「Joseon Diar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many illustrations included in 「Joseon Diary」 added the realism of a foreign country and created an impression of a pictorial record popular at the time. Furthermore, many poems in 「Joseon Diary」 diversify the modes of representation of Misei’s experience in the Joseon by creating a poetic mood in a prose-style diary. Images of the Joseon region full of Japanese military troops moving north immediately after the Japanese-Russian War broke out are well reflected in 「Joseon Diary」. Misei’s view mostly stayed at soldiers and the field of war, and he had no opportunity to profoundly comprehend Joseon’s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His early perception of the Joseon in 「Joseon Diary」 has not yet been reached in penetrating hidden intention of Japan through the Japanese-Russian War. After the march up to Pyongyang, as Misei became more well aware of Joseon’s situations, he criticized the intention of Japan's colonization of Joseon through the Japanese-Russian War with a clear tone in 「Sing affection of remembrance in the former King's castle on behalf of Han’s old subject」 of 『Jinchushihen』. Finally, Misei’s aspects of war experience and internalization process of sense of anti-war are well expressed in 「Joseon Diary」. His war experience is presented by empathizing with hardship of the march, pain of sick or wounded soldiers, fear of death on the battlefield, homesickness and others. Afterwards, he fully recognized that the glory of war was achieved by blood and death of numerous soldiers. He internalized that war was a cold-hearted and brutal act that even did not allow basic human rights and emotions. The feelings of longing for a home and desire for returning home, repeatedly expressed in 「Joseon Diary」 are described with poetic language in 「Kaere ototo」 of 『Jinchushihen』.

      • KCI등재

        대전 지역 6ㆍ25 전쟁 체험담의 유형별 특성과 존재 양상

        백민정(Baek Min jeong)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논문에서는 현재(2012~2016년) 대전 지역에서 채록된 6ㆍ25 전쟁 체험담을 대상으로 유형별 특징과 존재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존하는 대전 지역의 6ㆍ25 전쟁 체험담의 유형은 경험의 주체가 군인이었는가, 민간인이었는가에 따라 전투체험담과 민간인 전쟁 체험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투 체험담은 경험의 주체는 군인이고, 주체와 갈등하는 객체는 적군으로 설정되어 6ㆍ25 전투에 참전하여 겪은 일들에 대한 담화이다. 민간인 전쟁 체험담은 피란민으로서 전쟁을 겪었느냐, 주거 지역에 잔존한 민간인으로서 전쟁을 겪었느냐에 따라 피란 체험담과 민간인 전쟁 체험담으로 나뉜다. 피란 체험담은 전쟁으로 인해 생존의 터전을 잃고 떠돌아다니며 고생한 경험을 이야기한 담화로서, 경험의 주체인 피란민과 갈등하는 객체는 전쟁 자체라 볼 수 있다. 민간인 전쟁 체험담은 전쟁이 나서 자신이 주거하고 있는 지역을 점령한 이가 이북 진영의 인민군인가, 이남 진영인 남한의 군인과 경찰인가에 따라 적군에 의한 피해담과 아군에 의한 피해담으로 나뉜다. 적군에 의한 피해담은 인민군이나 인민군에 협력한 이남 진영의 ‘지역 빨갱이’ 및 빨치산이 갈등의 객체로 설정되어 경험의 주체인 민간인을 죽이거나 고초를 가한 담화의 서사이다. 아군에 의한 피해담은 우리 군인 및 경찰이 특정 지역민을 빨갱이로 지목하여 이들을 죽이거나 고초를 가한 담화의 서사이다. 대전 지역 6ㆍ25 전쟁체험담의 존재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화롭던 어느 날 ‘갑작스럽게 전쟁이 발발했다’는 담화이다. 둘째 전쟁의 참상을 그리는 담화로서 주로 총칼이나 폭격으로 서로를 죽이고 죽는 전투의 참상, 굶주림의 참상으로 표현된다. 셋째 군인과 경찰에게서 받은 고초 담화로서 전쟁 직후 인민군과 지역 빨갱이 및 빨치산 등 이북 진영에게 받은 고초담, 수복 후 이남의 군인과 경찰에게 받은 고초담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쟁 중에 빛을 발하는 인간애로, 죽을 위기에 처한 이웃을 도운 미담들이 여기에 속한다. 대전 지역의 6ㆍ25 전쟁체험담은 강력한 담화 욕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구비문학적 연구 가치를 지닌다. 또한 대전 지역에서 있었던 집단 학살 담화가 전승 집단 내에서 실제 지명과 함께 단편적으로라도 반드시 언급이 된다는 점과 이것이 일부 와전되어 담지되는 현상을 통해 경험담의 전설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구비문학적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fter collecting and record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area for a period from 2012 to 2016,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existence aspects of the stories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types of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currently available in the Daejeon area can be divided into stories about combat experiences and stories about civilians’ war experiences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are soldiers or civilians. The stories about combat experiences are discourses on the experiences of battles in the Korean War, with soldiers being set as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and enemy forces as the objects that came in conflict with the subjects. The stories about civilians’ war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refugees and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civilians according to whether they experienced the war as refugees or civilians who remained in their residential regions. The stories about experiences as refugees are discourses on hardships during the war as wanderers leaving their homes due to the war, and it may be said that the object in conflict with refugee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is the very war itself. The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civilians are divided into stories about damage by the enemy and stories about damage by our troops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iers of one’s own residential region wer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 South Korean army or police. The stories about damage by the enemy are narratives in whic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 ‘local commies’ and partizans in South Korea taking the side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who are set as the objects of conflict, killed or imposed hardships on civilians, who are the subjects of experiences. The stories about damage by our troops are narratives in which our army and police killed or imposed hardships on residents of specific regions, pointing out them as commies. The existence aspects of stories about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reg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discourses saying that one day ‘the war broke out suddenly.’ The second is discourses depicting the horrors of the war, such as hunger and mutual killing in battles with guns & swords or bombing. The third is discourses on hardships caused by army or police. They include stories about hardships inflicted by the North Korean camp such as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local reds & partizans directly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and stories about hardships inflicted by South Korean army and police after recapture. The last one is humanity having shone in the war. Beautiful stories about helping neighbors in peril of death fall under this. The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region primarily have research value as oral literature in that they are based on strong desire for discourse. In addition, it may be said that they have value as oral literature because discourses on slaughter committed on a mass scale in the Daejeon region are surely mentioned within the transmission group, albeit partially, with actual place names, and the phenomenon of stories about the experiences being legendized is found from the phenomenon that some of the discourses are misrepresented and supported.

      • KCI등재

        전후 일본과 애도의 정치: 전쟁체험의 의의와 그 한계

        이영진 ( Yung Jin Lee ) 현대일본학회 2013 日本硏究論叢 Vol.37 No.-

        1990년대 이후 일본 사회에서는 지난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기억과 재현을 둘러싸고 치열한 투쟁이 전개되고 있다. ``기억의 전쟁``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그 논란의 핵심은 지난 전쟁에서 발생한 무수한 죽음들에 대한 정당한 애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본고는 전사자 위령, 즉 국가를 위해 싸우다 죽은 전사자들의 죽음을 어떻게 기억하고 할 것인가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했던 전쟁체험론자들의 문제의식에 주목하며 그의의와 한계를 고찰하고자 했다. 그들에게 애도란 그들의 죽음을 이해 가능한 스토리(국가를 위한 희생)로 만들어내면서 과거를 종료시키는 익숙한 기념식전적인 관행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으 ``애도의 거부``에 가까운 극단적인 입장에서, 지난 전쟁을 기념비화하는 국가주의적 애도 방식을 비판해왔고, 이러한 입장은 산 자와 죽은 자의 만남(교감)이라는 본질적인 의미에서 애도에 더 가까운 것이었다. 그들의 전쟁체험론은 전후 사회에서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고 결국 유산되고 만다. 그이유는 군부에 대한 분노가 증오나 원한과 뒤섞인 채 감정의 과잉상태를 넘어서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피해자로서의 전쟁체험에 집착하는 센티털리즘이 갖는 한계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죽음을 성급히 산 자들의 논리로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죽은 자들도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애도하고자 했던 그들의 애도론은 전쟁체험의 풍화와 함께 점차 우경화하는 일본 사회에서 여전히 음미할 가치가 있다. 국가적 차원의 ``애도 공동체``에 포섭될수 없는 이질적인 존재들을 대면하고 그들의 원한을 공유하는 것, 그리고 그 원한의 감정을 우리 사회의 정치 문화적 토대와의 관련 하에서 리얼하게 파악하고 전화시키는 것이야말로 애도의 정치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has been dotted with the strife regarding collective memory about the World War II(the Asia-pacific War). One of the important contentions about this war in the Japanese society is that “fair” mourning has not been done for innumerable fallen soldiers who were killed during the war.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war deads are remembered by the “war-veterans group”, who experienced the war in the battlefield. The veterans group raised the most serious objection against the commemoration of fallen Japanese soldiers in the post-war era. From the group`s perspective, state-initiated mourning of war deads might be abused by nationalistic demagogues in such a way of erasing the inconvenient past by glamorizing their death as a sacrifice for the sacred cause of the nation.The war-veterans group`s voice had not been influential in the post-war Japanese society,and failed to influence the way war deads are commemorated in Japan, This was partly because their view was often perceived to be very emotional and resentful about over having to sacrifice their youth for the meaningless war (i.e., “victim sentiment”). However, it is still worth revisiting their way of mourning war deads, which can be contrasted with the state-initiated commemoration, in the current context of the Japanese society leaning further to the right. The starting point of “authentic” mourning for the victims is to recognize war deads as the beings that do not wish to be taken into the “national commemoration community” without the proper sense of justice, and to appreciate how they would have felt about having to face meaningless death in the battlefield.

      • KCI등재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김경섭(Kim, Kyung Seop)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War change most of human beings, destroying existence of human beings, devastating dignity of human beings. Ironically, war is the result of the conflict among political ideologies that these sets of things lead human beings to the better world. Considering that war is politics which lasts by other means, The Korean War represents Cold War, and people in south and north korea experienced the most extreme and violent scene. While “memory of war” only belongs to the people who experienced war, “war of memory” can be shared by the generations who had not experienced war. “War of memory” is a structured discourse which descended or related to war. Both “memory of war” and “war of memory” affect each other, forming a set of discourse. While “memory of war” is based on the storytelling of war veterans, the storytelling forms “war of memory”, which, as time goes by, makes itself more ardent war discourse than “memory of war”. Furthermore, even people who experienced war seems to structurize his experience as “War of memory” in his brain. In other words, his experience of war slides into the common discourse, “War of memory”. Because memory is not an identification device, which, regardless of social context, interprets or cognizes facts of the past by itself. It is always problematic that how positive and reasonable this common ownership of war is. Thereby problem is that “War of memory” is a consensus decision ; common memory which are socially stalled memory. So experience of an individual is memorized not by himself but by the tendency. The storytelling of war experiencing, not “War of memory” but “memory of war”, is on the core of a problem posing.

      • KCI등재

        평화교육과 전쟁사-모순의 완화를 위한 전쟁사 교육의 방향-

        김한종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8

        The war is an important theme in history education. The meaning of war has been evaluated not on the peace but on the result of war, victory or defeat. As the result of such history education, peace education and war history learning has been the inconsistent relation till now. This study suggested some strategies for solving the problem of war history learning in Korea history education. War has been learned as the conflict between two or more nations. But people experience various aspects of the war, which is too different to regard them together under the name of ‘nation’. Peace is defined as the state without all types of violent. The war influence a sudden and extensive change of the society, and resort to violence against ordinary people. We should not regard the war as victory or defeat of nation, but take notice of different war experiences of individual people or social groups and their active choices. Students should learn varied results as well as direct influences of the war. The character of the war, the violent of the war, people’s active choice, the causation of the process of war and the memory of the war are main problems for learning the war in the view of peace.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 directions of aspects of the war with examples of historical facts in the Korean history. These suggestions are expected to concrete wars in the history for building students’ consciousness of peace. 전쟁은 역사교육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역사교육에서 전쟁은 평화라는 교육의 기본적 가치보다는 승패를 기준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 때문에 평화교육과 전쟁사 학습은 서로 모순관계를 보여 왔다. 이런 모순관계를 완화하기 위한 전쟁사 학습 방향을 고찰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역사교육에서 전쟁은 국가 대 국가의 문제였다. 그러나 ‘국가’라는 이름으로 하나로 묶어서 평가하기에는, 전쟁의 경험은 구성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평화는 모든 형태의 폭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쟁은 역사 변화에 급격하고 광범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구성원에게 다양한 폭력을 행사한다. 전쟁을 국가 차원의 승리와 패배로 이원화할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개개인이나 다양한 집단들의 전쟁 경험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민중이 전쟁에 대처하는 능동적 선택을 다루어야 한다. 전쟁의 전개과정과 직접적 영향뿐 아니라, 전쟁의 여러 측면들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전쟁의 성격, 전쟁의 폭력성, 민중의 주체적 선택, 전쟁 과정의 인과관계, 전쟁의 기억을 가르쳐야 한다. 이 글에서는 전쟁의 이런 측면들에 접근하는 방향을 예시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제시한 전쟁사 학습의 방향을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하려는 실천적 노력을 통해, 역사교육에서 전쟁사를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박경리 초기소설에 나타난 전쟁체험과 문학적 전환 -≪애가≫와 ≪표류도≫를 중심으로-

        유임하 ( Im Ha Yo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박경리의 초기소설에는 전쟁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초기 단편의 세계에는 여성 가장이 가진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 가난과 궁핍, 가족 부양의 무거운 책무가 반복해서 등장한다. 이들 모티프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에서 활용되면서 서술자와 등장인물과의 심미적 거리가 가까운 서술문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전쟁의 여파에 대한 체험의 직접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초기단편에서는 우세한 자전적인 요소와 회상, 사유하는 내면성은 전쟁에 대한 시적 체험 상태를 담고 있으나 전쟁 체험의 성급한 객관화보다 사회악의 고발이라는 경로를 거친다. 그러나 전쟁의 자취가 사라지는 50년대 후반에 이르러 작가는 현실의 복합성을 담아내기 위해 장편 양식을 모색하게 된다. 하지만 작가는 먼저 단편양식 이 가진 장점을 활용하기보다 먼저 애정관계에 바탕을 두고 전쟁피해자의 현재를 서사화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 ≪애가≫이다. ≪애가≫는 전쟁 의 상처를 가진 여성인물을 포착하는 데는 성공하지만 시적 상태에서 벗어나 산문적 현실을 구축하는 데는 실패한다. 여기에는 여성인물들이 사회적으로 생동하는 활동영역을 구비하지 못한 데 원인이 있다. 하지만 ≪표류도≫는 초기 단편이 가진 자전적 요소와 회상, 사유하는 내면성에 도 불구하고 전후 직업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전후사회의 안팎을 조감하고 통찰하는 새로운 면모를 제시한다. 특히 다방과 감옥이라는 공간을 통해 드러내는 작중현실은 사회악의 고발과 함께 전쟁피해자로서 직 업여성의 몽상과 현실, 밑바닥으로 전락한 여성들의 불행을 다채롭고 복 합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박경리의 초기소설이 ≪표류도≫에서 거둔 성취는 ``1인의 고통을 만인의 고통을 담는 글쓰기``로 전환시킨 데 있다. 이 전환적 인식은 전후사회의 조망과 통찰을 통해 도달한 지평으로, 훗날 60 년대의 수많은 중단편들과 장편들, 그리고 ≪시장과 전장≫을 거쳐 ≪토지≫에 이르는 문학적 동력으로 작용했다. Shadows of war were lengthening on the early novels of Park Kyoung-Ri. In the world of early shorts, fear and anxiety, poverty and destitution, responsibilities of family support with woman head of household repeatedly appeared. These motifs which are used as first-person protagonist and observer`s view point have descriptive grammar that Character and narrator`s close aesthetic distance. This is one of aspects showing immediate experience aftermath of the war. The Path of complaint against social evils goes through than hasty objectification of war experience though early shorts freighted predominant autobiographical elements, recollection and interiority. However, reached in the late 1950s when the remnants of war getting disappear, Park tried to seek the full-length form to tell the complexity of real world. First, writer chose the way narrates the current of war victims based on affection relationship than taking advantage from a short form, that is Aega. Aega succeeded to seize the women with the wounds of war but failed to make establish the prosaic realities beyond the poetic situation. The main cause is that area where women can acts vibrantly in social wasn`t equipped. But Pyoryudo presented a new aspect which insight into and out of society after war, brought a professional women despite autobiographical elements, recollection and interiority early shorts have. Especially the real world in novel exposed through the Coffee and the Prison presents unhappiness of women fallen to the bottom and also daydream and the reality of professional women as the victim of war. That she switch the One person`s pain to writing that holds the pain of all is the achievement of the early novel of Park Kyung-Ri in Pyoryudo. This transitional recognition is the horizon reached through the view and insights of post-war society, later it offered literary power leading to Toji(토지) through many of the 1960s`s mid, short stories and Shijanggwajeonjang(시장 과 전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