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의자 및 공범 진술의 증거능력 부여에 관한 합리적 개선 방안

        홍찬영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4 성균관법학 Vol.36 No.1

        지난 2022년 1월 1일 시행된 개정 형사소송법으로 인해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인정 요건은 경찰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인정 요건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대법원 역시 위와 같은 변화에 발맞추어 기존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4항이 적용된다고 판단하였던 검사 작성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인정 요건에 대해 제312조 제1항이 적용된다고 그 입장을 변경하였고, 형사소송법 제316조 제1항이 규정한 조사자 증언 제도를 제312조 제1항과 제3항의 중대한 예외로 보아 증거능력 요건 중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를 보다 엄격히 해석하여 사실상 수사단계에서 확보한 피고인, 공범의 진술은 당해 피고인이 내용을 부인하면 증거 현출 자체가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변화는 피고인의 방어권을 보장하고 공판중심주의를 강화한다는 이점이 있으나, 수사단계에서 자백한 피고인, 공범의 진술 번복 가능성을 높여 소송경제를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피고인, 공범의 진술이 핵심 증거가 되는 중요 사건들의 공소사실 입증을 무력화하여 실체적 진실발견에 커다란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개정 형사소송법으로 인한 형사실무상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범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규정 마련, 조사자 증언의 증거능력 요건 변경, 영상녹화 제도 활성화 등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Due to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at took effect on January 1, 2022, the requirement to acknowledge the admissibility of a suspect interrogation transcript prepared by a prosecutor has been changed to the same as the requirement to acknowledge the admissibility of a suspect interrogation transcript prepared by the police. Reflecting such changes, the Supreme Court also changed its position that Article 312(1) rather than Article 312(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ppl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for recognizing the admissibility of a prosecutor's protocol on the interrogation of a suspect as an accomplice.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took a stricter interpret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statement is particularly credible" a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recogniz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by deeming the examiner's testimony system under Article 316(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s a grave exception under Articles 312(1) and 312(3). As a result, the testimony of the defendant himself/herself or his/her accomplice, which was obtained during the investigation stage, became inadmissible if the defendant denied its contents. Such changes have the advantage of guaranteeing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d himself/herself and strengthening the trial-oriented principle, but they may undermine the judicial economy 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defendant or his/her accomplice who confessed at the investigation stage will later reverse his/her statement. In addition, such changes are likely to make it difficult to prove the facts charged in the cases where the statements of the defendant or his accomplice serve as key evidence, and thus hinder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This study analyzed the practical chang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amendment to the Criminal Procedure Act as described above and, in particular, sought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regulations on interrogatory transcripts of suspects prepared by accomplices, changing the admissibility requirements of testimony by investigators, and facilitating the video recording system.

      • KCI등재

        영상 시퀀스의 언표 가능성

        김태진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4

        존재는 시선의 잉여를 부여잡거나 포기하려는 이중적 태도를 견지하는 가운데 개방성을 갖는 자율적 존 재로 거듭날 수 있다. 관계항의 바깥으로부터의 사유를 검토하는 이 논의는 변화의 불가피성과 필연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시퀀스의 흐릿함에 대한 다음의 논의에서 그 진동하는 장으로서의 속성을 우회적으로 해명한다. 영화 속에서 사용되는 흐릿함의 기술은 시퀀스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 즉 대상에 부 여된 안정된 지위를 거부하고 서사의 구조를 이완시키며 정서가 개입하도록 함으로써 장면이 유동적인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일반 언어학과 영화 기호학의 논의를 이 연구에 접목한 것은 장으로서의 시퀀 스가 갖는 총체적 성격을 이해하도록 해 주었다. 이미지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언어와의 관계 안에서 검 토하는 가운데 도출한 개념은 언표 상황, 그리고 언표 가능성이다. 언표 가능성은 그러나 어떠한 해석 가능한 시퀀스의 언어적 속성을 수립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 언어 자체는 가능성이나 잠재성을 갖지 않으며 발화된 그 자체로 이미 실재성의 조건이 된다. 반면, 이미지로서의 시퀀스는 언어와 같이 이중분절에 의한 의미 창출이 불가능한 영역이고, 그러므로 시퀀스의 조건으로서의 언표 가능성을 논하 는 것은 비언어적 순수 질료로서의 영상 시퀀스가 갖는 잠재성을 다루기 위한 것이 된다. The self becomes able to remain as the self only when it resists being sympathized by the other because the self has a surplus of vision whenever it looks at the other. As far as the self struggles between accepting this surplus of vision or forsaking it to be sympathized by the other, the self can break the border of itself and depart from the circle of being. Discussions of the idea that occurs from outside of relatum stresses upon the inevitability of change can also indirectly explain how sequences function as fields of resonance. Blurriness as a film technique lowers tension, enforcing an object to be definitive in sequences. Denying the stable status of objects, the technique of blurriness promotes the sequences to be flexible by creating the affection involved in a relaxed structure of a narrative. The potency of the statement refers to ideas from general linguistics, and the semiotics of film, enabling us to understand the totality of sequences. While investigating image-based sequences and the relationships with languages, the notions of a ‘situation of statement’ and the ‘potency of statement’ are deduced. Potency of statement does not have such a purpose as establishing certain explicable, linguistic characteristics. Language becomes a condition of reality itself when it is uttered, and it certainly has no potency or possibilities. On the other hand, because image-based sequences are territories which do not signify through double articulation, reflecting on the potency of statement as a condition of sequences is therefore all about understanding the potency of moving image sequences as non-linguistic pure materials.

      • KCI등재

        근대시형성기 시에서의 화법 변이 연구

        이강하(Lee Gangha)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현대문학에서 화자에 대한 상대 개념은 청자로 상정되기도 하고 독자로 상정되기도 한다. 시각 매체를 활용하는 문자문화의 소통체계에서 ‘청자’의 개념은 문제적이다. 이 연구는 현장에서의 직접화법에 의해 향유되던 구술문화의 시가 어떻게 문자문화의 메타적인 간접성 안에서 직접화법을 구현하는지를 논증할 것이다. 이것은 동시대의 광범위한 시의 정체성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시의 기원으로부터 연역되는 문제 이다. 따라서 이러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 연구가 택하는 연구 대상은 근대형성기의 시문학 텍스트들이다. 현대시에서 시의 직접화법에 대한 결정적인 영향력은 장르에 대한 독자들의 스키 마(schema)와 장르의 기대지평이다. 오랜 시간 동안 문자문화를 접하면서 직접화법에 대한 표지를 장르의 스키마가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장르적 스키마가 구성되기 전인 개화기시에서부터 근대 자유시 출현 전까지는 청중과 독자가 길항하 는 어떤 과도기적 현상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근대시형성기의 시텍스트의 조사를 통하여 문자문화 내부에서 청자의 위상을 논증 하는 것이고, 둘째 이러한 직접화법적 요소가 현대시의 화법을 형성한 역사적 계기라 는 것을 우회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개화기시가, 신체시 및 산문시, 1920년대 초반의 근대시의 텍스트에 나타난 파라 텍스트, 문체, 지시어의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은 이 논문의 방법론을 대신한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상황의존적 구술에서 비상황의존적 구술로의 화법적 이동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In modern literature, the concept of the partner of the speaker is assumed to be the audience or read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written culture utilizing visual media, the concept of the ‘audience’ is problematic. This study would demonstrate how the poetry in oral culture enjoyed by a direct speech at a scene realizes direct speech in the indirectness of the written culture. This is the identity of a wide range of the contemporary poetry and at the same time, a problem deduced from the origin of poetry. Therefore, the subjects of research selected by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se aspects are the texts of poetry during the modern formative period. In modern poetry, the decisive influence on the direct speech of poetry is the readers’ horizon of expectation about schema and genre. While it has long encountered written culture, the schema of the genre replaces the label of direct speech. However, it can be inferred that a certain transitional phenomenon had existed from the poetry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which was before the schema of the genre was formed through the emergence of the modern free verses, the audience and the reader compete with each oth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demonstrate the status of the audience from the inside of written culture through an investigation of poetry texts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modern poetry, and second, to prove that these elements of direct speech are the historical trigger that formed the speech in modern poetry, circuitously.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changes in para-texts, styles and directives of poetry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new style poetry and prose poetry and texts of modern poetry in the early 1920s substitute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these changes can be summarized as the movement of speech from situation-dependent oral statement to situation-independent oral statement.

      • KCI등재

        백석시에 쓰인 ‘~이다’와 ‘~것이다’ 구문의 시적 효과

        고형진(Ko Hyung-Jin) 한국시학회 2005 한국시학연구 Vol.- No.14

        This thesis is written to analyze the poetic effect of ‘~ida’ and ‘~geotida’ construction in Baek-Seok’s poem. Firstly Baek-Seok suppressed speaker’s feeling and will and also took advantage of making a statement of the situation through the ‘~ida’ construction. He expressed this statement in repetition and listing, and reappeared the experience vivid. And with this ‘~ida’ construction, Secondly Baek-Seok apply the meaning of ‘~ida’ construction and make the poetic meaning like a determined and solemn announcement of a truth. ‘~geotida’ construction makes a special effect when the first person’s experience is expressed. There are two cases in the first person’s poem. In first case he express the experience of old days very vivid as young speaker’s eyes and finish it with the ‘~geotida’ construction at the end. So he makes a new speaker as making objectification of the statement. Therefore the speaker remembers the experience of old days continually and it makes the experience even more touching. Secondly it finishes with ‘~geotida’ construction as “I” a speaker’s self-reflection. So there is a new “I” that talks about his self-reflection. And thus we can feel the speaker’s anguish who deepens his thought thinking carefully for a long time. Baek-Seok wrote poems using our language constructively. He used ‘~ida’ and ‘~geotida’ construction actively and made poetic meanings deeper by using these constructions as a combination with the other constructions. He made a lot of examples of literary styles of our language by creating lots of constructions that could reflect poetic meanings effectively and that is now being important models to later ages in poetic sentences.

      • KCI등재

        아동과 지적 장애인 범죄피해 진술의 신빙성 평가기준 - 국내법원판례를 중심으로 -

        공정식(Gong, Jung Sik),류경희(Ryu, Kyung Hee)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아동과 지적 장애인이 범죄 피해 이후 수사 또는 재판과정에서 진술한 내용의 신빙성에 대한 법관들의 평가기준을 성폭력 사건의 판례를 중심으로 확인한 연구이다. 그 결과 아동이나 지적 장애인 진술의 신빙성 평가기준으로는 진술의 일관성, 진술의 구체성과 합리성, 객관적 정황, 진술의 오염가능성, 폭로시점과 경위 등이 제시되었다. 요약하면, 첫째 피해자가 직접 경험하지 않고서는 진술하거나 표현하기 어려운 피해 당시의 상황 및 경위, 피해 사실의 핵심적인 내용, 횟수와 각 범행 사이의 간격, 당시 피고인이 하였던 말이나 행위, 범행 전후의 정황, 당시의 주관적인 느낌이나 감정 등을 비교적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일관되게 진술하였는지 여부, 둘째 보호자 등 제3자의 부정적 영향으로 오염, 왜곡, 편향되었는지 여부, 셋째 개방형 질문을 먼저 하여 피해자로부터 구체적인 내용의 진술을 이끌어내고 그 진술을 토대로 다시 질문을 하여 종전보다 구체적인 진술을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 자발적인 자유회상에 의한 진술인지 여부이다. 추후과제로 아동이나 지적 장애인 범죄피해 진술의 신빙성에 대하여 판단할 시에는 판례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judgment criteria of the judge about the credibility of the content of the child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fter the crime damage in the course of investigation and judgment through domestic precedents.As a result, consistency of sentences, concreteness and rationality of sentences, objective situation,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statements, exposure viewpoint and circumstances were evaluation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sentences. To summarize, firs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ther the victim stated in relatively concrete and logically consistent manner of following factors: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damage that is difficult to represent or express without direct experience, important contents of the damage fact, the number of times and interval between each crime committed, words and actions victim showed during the damage, the circumstances before and after the crime, and the subjective senses and emotions at the time of damage. Second,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distortion, deflection by others including guardian, and third, whether the statement is brought by voluntary free recollection proceeded by open question first and re-question based on the answer to bring a sentence of more concrete content from the victim need to be considered. As a future task, when judging the credibility of a crime victim statement of a child or a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omparative studies are necessary to find out what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exist from the points of the precedents and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 행동진술성 원리의 변천에 따른 목표 진술 방법 -한국어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명광(Kim, Myoung-kwang)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42 No.-

        행동진술성이란 목표를 진술할 때는 학습으로 도달해야 할 학습자의 행동, 즉 학습의 결과로 획득할 수 있는 최종 도달점을 진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 행동진술성이 한국어 교육과정을 구축할 때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논의한 견해는 Tyler(1950), Mager(1962), Gronlund(1973), Gagné, Robert, M. & Briggs, Leslie J.(1979), 김영심(2016) 등의 견해로 이 견해들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견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과정의 목표 진술을 할 때, 다음과 같이 표현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첫째, 가. 내용은 주로 명사(구)로 진술되고 행동은 동사(구)로 진술해야 한다. 둘째, 나. 목표는 교사의 활동이 아니라 학습자의 행동으로 진술해야 한다. 셋째, 행위 동사는 가능하면 구체적 ‘행동 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의 기대되는 행동과, 그 행동에 관련되는 학습 내용을 포함하되, 기대 행동은 반드시 구체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가 목표에 도달한 증거로 받아들일 수 있는 ‘종착 행동’을 구체적인 행위 동사로 표현해야 한다. 여섯째, ‘종착 행동이 나타나는 상황이나 조건’을 제시한다. 일곱째, 종착 행동이 성공적인 것인지 아닌지를 평가할 수 있는 수락 기준 또는 준거가 명시되어야 한다. 여덟째, 행동 목표의 적합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준거에는 ‘상황, 제약조건, 행위 동사, 대상, 학습될 능력’이며, 이를 기준으로 행동 진술성 목표가 기술되어야 한다. Behavioral statement is a principle of structuring goal that must state as the behavior mode of the learner to reach the learning, that is, the final point of attainment as a result of the learning.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how this statement of behavior should be implemented when building a Korean language course. The views discussed in this paper are in the opinion of Tyler(1950), Mager(1962), Gronlund(1973), Gagné, Robert, M. & Briggs, Leslie J.(1979). Also, based on this view, we argue that when expressing the goal state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should be express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hould be stated mainly in nouns (phrases) and behaviors in verbs (phrases). Second, Goals should be stated in the behaviors of the learners, not the activities of the teachers. Third, an action verb should be stated as a specific ‘action term’ whenever possible. Fourth, the expected behaviors of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the behaviors should be specified, but the expected behaviors must be specified. Fifth, the ‘arrival behavior’ that the learners can be accepted as the evidence of reaching the goal should be expressed as concrete action verbs Sixth, situation or conditions in which arrival behavior occurs is suggested. An acceptable criterion or standard must be specified that can be used to assess whether the end-point behavior is successful or not. 기준 Eighth, the criterion for judging conformity of action goal is ‘situation, constraint, action verb, object, ability to be learned’, and action statement goal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se.

      • 영어와 한국어 어법의 유사점과 차이점

        김상혁 한국교통대학교 2019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4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usag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ough in Korean they use the same word, in English when they refer to an event in terms of the time separating it from the present moment, they use the expression, ‘time phrase + AGO’, if it occurred in the past. The reference point may actually be before the present moment, and they commonly use the expressions, ‘time phrase + BEFORE + reference point. Many Korean speakers of English misuse the adverb, ‘almost’, most frequently and seriously. Many of these mistakes result from confusing the meanings of ‘most’ and ‘almost’. In English, if they are talking about a majority, they use the word, ‘MOST’. In English ‘EVEN THOUGH’ is used for conditions that really exist (FACTS), and ‘EVEN IF’ is used for conditions that do not really exist at the moment (HYPOTHETICAL, imagined, or future situations). In English a ‘STAFF’ is a GROUP OF PERSONS working under the same manager or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nd an INDIVIDUAL WORKER can be described as being, “on a staff”, ‘a member of a staff’, or ‘a staff member’.

      • KCI등재후보

        진술증거의 전문증거성과 진정성 문제의 구별

        이완규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12 刑事判例硏究 Vol.20 No.-

        Introducing hearsay rule in 1961, the words of provisions that provide the authentication and attendance of the declarant as exceptions of principle of the court's self-experience, were used as exceptions of the hearsay rule. It results in confusion of the elements of the hearsay rule with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in the jurisprudence. Many literatures insist and place emphasis on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as the elements of exceptions of the hearsay rule. With this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it becam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earsay rule and many improper interpretations result from this confusion. In the future, the discussion which distinguish the elements of the hearsay rule from the elements of the authentication should be made actively and lead the academy and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