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수"문학 개념의 전개와 변용 - 근대문학 형성기 문학 장에서의 "순수" 관련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

        정은기 ( Eun Ki 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2

        이 논문은 근대문학 형성기 문학 장에서 ‘순수’ 관련어 활용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문학사에서 ‘순수’의 개념은 해방기 김동리의 순수문학 논쟁을 통해 탈정치화된 맥락으로 고정되어 버린 감을 지울 수 없다. 이에 본고는 기존의 논의가 이분법적 구도 속에서 대타항에 대한 부정적 정의를 통해 ‘순수’의 좌표를 설정했던 것과 달리, ‘순수’를 역사적 구성물로 인지하고 다양한 맥락 속에서 차이에 주목하는 방식으로 순수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1900년대부터 1920년대 초의 동인지 문단까지의 시기를 연구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순문예, 순문학등 ‘순수’ 관련어로 분류되는 접두사 ‘純-’의 출현 양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계몽기에서 ‘純-’은 이전 시대의 문학으로부터 근대적 성격의 문학이 분기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다. 이때 ‘純-’은 근대적 질서로의 재편과정 속에서 선취되어야 할 미래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것은 민족국가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여 동일성을 위해 요청되는 당위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둘째, 이광수의 ‘순문학적 목적’과 김동인의 ‘순예술화한 사회’라는 수사가 지니고있는 의미구조를 통해서 ‘순문학’, ‘순예술’에서 ‘純-’의 의미가 단일한 개념으로 구성된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개인의 주관성을 의미하면서도 이를 통해 새로운 사회개량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셋째, 『창조』의 예술론을 통해 미의 절대적 가치가 도덕과 융화할 수 없음을 밝히고 있지만, 이시기의 문제는 공동체 구성에 기반하지 못하는 예술이 1920년대 문단에서 성립가능한가에 맞추어져 있었다. 때문에 『창조』 동인들의 순문학에 대한 논리는 모순을 내재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이 시기의 ‘순문학’이 보편예술로서의 가치와 민족문학으로서의 이념을 내재하고 있는데서 비롯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about use aspects of "purity"-related terms in the field of literature of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 literature of Korea. In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Korea, we cannot help but feel that the concept of "pure" has been only fixed in the context of depoliticization through debates on pure literature of Tong-ni Kim in the liberation period. Hereupon, on the contrary to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existing debates in which the coordinate of "purity"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negative definition on antagonistic category, this study has inquired about "purity" by acknowledging it as a historic construct and paying attention to differences from various contex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eriod from 1900s through 1920s of literary arena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has been selected as a subject of study to develop debates. From this perspective, the emergence of prefix "pure-" which is classified as "purity"-related terms such as pure letters and pure literature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in the enlightenment period, "pure-" first emerged in the process of which literature with modern characteristics was diverging from existing literature. At this point, "pure-" referred to the future that should be preengag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toward modern orders. In addition, it played a role as an oughtness which is required for identity by dividing the inner and outer part of a nation state. Second,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rhetorical expressions observed in "purpose of pure literature" of Gwang-su Yi and "pure artistic society" of Dong-in Kim, I have inquired into the fact that the meanings of "pure-" were not composed as a single unit when referring to "pure literature" and "pure arts". This meant not only individual subjectivity but also new social reformation through this. Third, through the art discourse of "Changjo", it was revealed that the absolute value of beauty is not able to be integrated with morals, however, the problems of that period were focused on whether the art which is not based on community composition can be established in the literary world of the 1920s. For this reason, the logic of pure literature debated by members of literary coterie of "Changjo" was obliged to contain contradiction. This originated in the fact that "pure literature" inheres in the values of universal art and the ideology of national literature.

      • KCI등재

        잡지 『문예』의 성격과 위상 - 등단제도를 중심으로

        이봉범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7 No.-

        This paper is focused on considering how the magazine,『Munye』rose to power organ strategically in a situ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settled pure literature systematically in recommendation system after independence government establislunent. 『Munye』was a base medium that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systematization of pure literature in a newly -formed culture environment in a chance to independence government establislunent. 『Munye』was born in a process of planning new reform of literature as right-wing literature, which has acquired self-identity since the 1945 liberation through symmetry quality with left-wing literature, lost the condition for existence It corresponds to the process that the central young literary men in 'Young Literary Man Association', where DongLee Kim and Yeon-Hyun Jo were the main axis, took the initiative of literary circle. Literaturism principle was the main reason why『Munye』was able to obtain both literary and public authorities in short time. Literaturism with emphasis on works itself excluded non-pure literature including realism literature and modernism literature, the core basis against pure literature. As a result, literature field was rapidly reformed and『Munye』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of producing pure literature. This was progressed more fully and effectively during Korean war. Besides its justice became stabilized and more strengthened by the platform system called "recommendation system". Recommendation system functioned as motive power for systematizing pure-literary practices, keeping new literature except pure literature from appearing and having an effect on restricting writers' imaginative power, although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couting for a young writer but That is, it is the most certain reproduction system of pure literature. The core members of『Munye』was granted the position and authority as a leader of pure literature through it. In a word, it is institutional origin of pure literature that has reigned a main strea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이 논문은 단정수립 후 문학상황 속에서『문예』가 어떤 전략을 통해 권력기관으로 부상하는지 그리고 추천제라는 등단제도를 통해 순수문학을 어떻게 제도적으로 정착시키는가를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문예』는 단정수립을 계기로 새롭게 조성된 문화 환경에서 순수문학의 제도화를 확립하는 매체적 거점이었다.『문예』는 해방 후 좌익문학과의 대타성을 통해 자기동일성을 획득해왔던 우익문학이 그 존재조건을 상실한 가운데 문학장의 새로운 재편을 기획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탄생했다. 그것은 이른바 김동리, 조연현을 주축으로 한 '청년문학가협회' 소속의 젊은 문인들의 문단을 주도권을 장악하는 과정과 상응한다. 『문예』가 빠른 기간 안에 문학적, 대중적 권위를 확보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보다 문학주의 원칙이었다. 작품본위의 문학주의는 순수문학을 배타적으로 구축하는 핵심 기제였는데, 그것은 순수문학의 정당성을 옹호하여 규범적 문학으로 정립하는 과정이자 동시에 정치문학, 리얼리즘문학, 모더니즘문학 등 비순수문학을 배제하는 과정이었다. 이를 통해 문학장의 재편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아울러『문예』는 명실상부한 순수문학의 생산기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게 된다. 그것은 한국전쟁이 겪으면서 더욱 전폭적으로,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더불어 추천제라는 등단제도를 구축함으로써 그 정당성은 제도적으로 정착되고 더욱 공고화된다.『문예』의 추천제는 신인의 발굴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순수문학 이외의 새로운 문학의 출현을 억제하고 작가들의 상상력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효과를 거두면서 순수문학적 규범을 제도화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즉 추천제는 가장 확실한 순수문학의 재생산구조였다. 이를 통해 『문예』 주체들은 순수문학의 지도자로서의 위상과 권위를 부여받게 되는 것이다. 요컨대『문예』는 한국 현대문학의 주류로 군림해온 순수문학의 제도적 기원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순수문학의 논리와 작가적 대응 - 김동리, 오영수, 황순원의 전시 작품 다시 읽기

        김주현 한국문학회 2024 韓國文學論叢 Vol.96 No.-

        이 글은 한국전쟁기 피란지에서 친밀하게 교류한 세 순수문학 작가(김동리, 오영수, 황순원)의 작품으로부터 전쟁기 순수문학의 변화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카프(KAPF)류 참여문학에 맞서 비정치적 문학을 내세운 순수문학은 흔히 전통, 인(온)정, 휴머니즘 등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전시의 순수문학론과 세 작가의 순수문학 작품들은 기존 순수문학론과 충돌하며 상이한 양태를 보인다. 오영수는 등단작의 안온한 세계를 버리고 자연주의 수준에서 참혹한 현실(전쟁)을 자신의 문학에 기입했다. 황순원은 전통과 서구적 소설 미학이 병존하던 첫 창작집(『늪』)의 세계에서 나와 피란민의 감각으로 픽션과 논픽션 사이에서 전쟁문학을 시작한다. 반면 순수문학 이론가 김동리는 안팎의 공세에 마지못해 ‘선전문학’을 인정하면서도 순수문학을 옹호했으나 창작 차원에서는 실패했다. 김동리의 주장은 전후에 발표된 「밀다원시대」를 통해 비로소 성공한다. 이러한 전시 순수문학의 딜레마는 50년대 휴머니즘론과 결합해 문학적 돌파구를 찾는다. 『카인의 후예』 이후 분단을 응시하며 민족적 휴머니즘을 주장한 황순원과 한국전쟁이 폭로한 파괴적 근대성에 천착한 오영수의 문학 세계는 50년대 중반 등단한 후배 작가들에게 계승된다. 사실주의와 현실성의 관점에서 전후 순수문학을 재독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aspects of pure 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with the works of three pure literature writers(Kim Dongri, Oh Yeong-su, and Hwang Sun-won) who had close exchanges at a place of refuge during the war. Putting non-political literature in the front against the KAPF-type engagement literature, pure literature is commonly summarized by tradition, empathy(compassion), and humanism. The pure literary works of the three writers during the war in addition to the pure literature theories show different patterns in a clash with the old pure literature theories. Oh Yeong-su introduced a horrendous reality(war) into his literature at the naturalist level after discarding the peaceful world that he depicted in his work that marked his literary career. Hwang Sun-won walked out of the world that he built in his first collection of creative works(The Swamp)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Western novel aesthetics and started his war literature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with his sense as a refugee. Unlike them, the pure literature theorist Kim Dongri reluctantly acknowledged “propaganda literature” at the attacks in and outside while advocating pure literature, but he had a failure in the creative dimension. His arguments finally had a success through his The Era of Mildawon published after the war. This dilemma of wartime pure literature found a literary breakthrough by combining it with the humanism theory of the 1950s. The worlds of Hwang, who insisted on nationalist humanism by staring at the division of Korea after Descendents of Cain, and Oh, who did research on destructive modernity disclosed during the Korean War, were inherited by their junior writers who entered the literary circles in the mid-1950s. It is necessary to reread pure literature after the war from the perspectives of realism and reality.

      • KCI등재

        해방기 순수문학의 지향 및 제도화 연구: 잡지 『문예』를 중심으로

        신정은 ( Jungeun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고는 잡지 『문예』에 게재된 문예평론의 특징이 무엇인지와 평론들이 지니는 의미를 논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방법으로 『문예』에 발표된 문예평론의 텍스트를 실증적인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잡지 『문예』는 이데올로기 담론을 제외한 문학적 순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과 해외 문학의 소개를 통해 문학의 시대적 흐름을 국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 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맺을 수 밖에 없는 해방기지만 『문예』는 불확실한 공간을 타파하고 순수문학을 이끌어가기 위해 잡지 매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그러한 평론들이 대게 게재되어 있다. 순수문학을 기반으로 하여 전통문예지의 위상을 보여주고 세계문학의 소개를 통해 문학적 특징과 사상들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잡지 『문예』의 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 문단의 ‘순수문학’의 기반을 인지하는 학문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criticism published in the magazine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the critics. In this way, the text of literary criticism published in Literature was analyzed in an empirical wa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gazine Literature has literary purity excluding ideological discourse, and that it plays a role in conveying the flow of literature to Korea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literature. Although it is a liberation period that has no choice but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politics, Literature uses magazine media strategically to break through the uncertain space and lead pure literature, and such criticisms are usually published. Based on pure literature, it showed the status of traditional literary journals, and it was understood that it played a role in conveying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ideas to the public through the introduction of world literature. Through the study of the magazine Litera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mak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recognizing the foundation of ‘pure literature’ of current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순문학의 정치, 김동인의 이광수 표상

        최주한 민족문학사연구소 2023 민족문학사연구 Vol.82 No.-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im Dong-in is evaluated as a writer who raised the leve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artistic’ into the category of literature and pioneering the realm of pure literature. This evaluation is based on the self-representation that Kim Dong-in himself has built and reproduced throughout his life through various forms of literary retrospective since he set foot in literature with the founding of Creation. In fact, from the late 20s to the liberation period, Kim Dong-in did not give up on his self-representation as a pioneer of pure literature/art, even though he walked a long way from pure literature. Rather, as the distance from pure literature increased, he devoted himself more and more to the construction and reproduction of this self-representation. What is interesting is that Lee Kwang-su was always at the center of Kim Dong-in’s self-representation work.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critical piece “Chunwon Research”(1934〜1939) and the post-liberation short story “The Traitor”(1946), which directly summons Lee Kwang-su. Focusing on these two texts,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aspect in which Kim Dong-in summoned and represented Lee Kwang-su as a means for constructing and reproducing such self-representation and for literary productivity. And while arguing that it is related to the self-representation work that mobilized Kim Dong-in’s unique literary symbolic capital as a pioneer of pure literature/art, it is revealed that this self-representation work is a product of literary politics to acquire official power within the literary circle, and points out the reality that this politics of pure literature is still being repeat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Dong-in Literary Award to today.

      • KCI등재후보

        ‘순수⋅참여문학’ 논쟁 재탐사-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변광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科學 Vol.0 No.5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it once again to the famous debate ‘pure literature-committed literature’ which took place in the years ’60-’70 in South Korea. One of the reasons why we decided to go back lies precisely in the fact that Qu’est-ce que la littérature?, Sartre’s central work that serves the basis of this debate, could not be understood on both sides that participated in this debate. In fact, this theoretical work contains in itself a very enigmatic statement : “There is only art for and by the others.” It could be rewritten in the context of literary theory : “There is only literature for and by the readers.”It seems that the first aspect of this statement corresponds to Sartre’s literary salvation, that is to say that of a pure literature or the literary religiosity and the second, that of literary engagement which emphasizes the emancipatory function of the act of writing. Nevertheless, these two aspects of Qu’est-ce que la littérature? could not be adequately captur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 ‘pure literature-committed literature’. Those who supported the pure literature have neglected the aspect of literary engagement of this book, namely that of ‘literature for the readers’, while those who claimed literary engagement have not done justice to the look of ‘pure literature’. From this stems indeed are derived two needs : the one is to visit once again to this debate which can be considered as one of our country’s morbid symptoms of ’60-’70 years and the other is to review the real history of this debate and reassess all studies about this debate. 이 글의 주된 목적은 1960-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벌어졌던 이른바 ‘순수참여문학 논쟁’에 대한 재탐사이다. 이 문학논쟁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없을 성싶다. 하지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 글에서 이 문학논쟁을 다시 한 번 검토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 문학논쟁의 기저에는 20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참여작가이자 참여지식인이었던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가 놓여 있는데, 이 저서에는 전문 연구자들도 어렵다고 느낄 정도로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 담겨 있어, 과연 이 문학논쟁에 참가한 들이 이 저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논쟁에 임했을까 하는 의문이 그것이다. 특히 이 저서에 포함된 “타자를 위한,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만이 있을 뿐이다”라는 문장이 이 저서의 이해를 가늠하는 열쇠에 해당하는데, 과연 이 문장이 그들에 의해 충분히 이해되었을까 하는 의문이 그것이다. 이 문장에서 볼 수 있는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은 분명 사르트르가 문학에 부여한 종교성, 즉 문학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타자를 위한 예술(문학)’은 참여문학, 곧 문학이 갖는 해방적 기능과 이의제기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측면은 순수참여문학 논쟁에서 제대로 고려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순수문학 옹호자들은 ‘타자를 위한 예술(문학)’의 측면을 경시했고, 참여문학 옹호자들은 반대로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의 측면을 직시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문학논쟁을 <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한 재검토의 필요성과 이 문학논쟁에 대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에 대한 종합적 재평가의 필요성이 그것이다.

      • KCI등재

        해방 후 순수 문단과 세계문학의 개념 : 김동리와 조연현을 중심으로

        김한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이 논문에서 우리는 해방 이후 '순수문학론'의 전개 과정에서 '세계문학' 개념이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그것이 순수문학 개념 정립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피려 하였다. '세계문학'이 '순수문학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문제 삼기보다는 '순수문학론'이 자신의 논리를 세우기 위해 '세계문학'을 어떻게 동원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순수문학 주창자들에게 세계문학은 세계적 동시성을 가진 문학으로 사고되기 보다는 뛰어난 예술 작품, 시공을 초월한 문학적 가치를 가진 작품으로 정의되어 왔다. 이러한 세계문학 개념은 동양적 전통이나 현실과 거리를 둔 예술적 형식으로서의 문학을 정의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동원되었다. 과거의 작품으로서 현재에도 그 의미를 잃지 않는 '고전'이 문학의 전범이 되면서 우리 문학의 방향 역시 그것을 닮아야 한다는 주장이 자연스럽게 성립된 것이다. 순수문학론에서 세계문학, 즉 고전이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인간성 본질에 대한 탐구였기에 우리의 현재 문학도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본질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되었던 것이다. 세계문학을 다루는 김동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계적 동시성을 부정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다분히 좌익측 문학에 대한 대타 의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우리 문학에서 세계적 동시성을 긴밀히 확보하고 있었던 것은 사회주의와 연관된 문학이었다. 정치적 현실에 민감하다보니 세계 정세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당연히 문학 경향도 거기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순수문학론에서 내세우는 세계문학은 세계적 동시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오히려 '세계적 고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말하자면 현재의 문학정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문학 정신을 말하는 셈이다. 조연현은 도스토에프스키를 만나 개인적으로 문학을 보는 시각을 확립해 나갔으며 순수문학론의 핵심인 '인생의 구극'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찾았다. 우리 문학 작품을 통해서가 아니라 외국문학을 통해 우리 문학론의 내용을 채우는 과정은 이후에게 자주 반복된다. 이후에 조연현은 김동리의 작품을 구극 혹은 궁극적 의미의 인간형을 창조한 작품으로 평가한다. 단순히 궁극을 차원을 넘어 그는 김동리 문학의 특징을 '허무에의 의지'라 정의한 바 있다. '도스토예프스키' 등의 외국 작가들에게도 이런 관점은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bserve how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has been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and what kind of role it has been hav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pure literature. I'd rather focus on how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took advantage of 'World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its own logic than argue what kind of effects of 'World Literature' on 'Pure Literature.' The advocates of pure literature have been made definition of world literature as not the literature which owns world simultaneity but the works which own literary valu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is kind of concept of world literature has been usefully taken advantage of as defining either oriental tradition or the literature which is far from reality. The 'canon' which is past work as well as currently meaningful has become literary models and it affects on the direction of our literature.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Kim, Donglee's theory of world literature is that it negates world simultaneity. This attitude can be said as the result of countering consciousness against left literature. As a matter of fact, the literature which has owned world simultaneity in our literary history was socialistic literature. The world literature of national literature is far from world simultaneity. It has the meaning of "world canon." It tells not contemporary literary spirit but fixed literary spirit. Cho, Yeonhyun has established his own literary perspective encountering Dostoyevsky and found concrete examples of 'the end of life. 'The attitude of filling out our literary contents with not our literary works but foreign literary works has been recuperated as well. Cho, Yeonhyun appreciated Kim, Donglee's works as the works that created ontological human types. Furtheremore, he defined Kim's works as 'the will toward emptiness. 'These kinds of perspectives have been applied to foreign writers like Dostoyevsky without discrimination.

      • KCI등재

        전후 문학의 세계성과 현대적 전통의 고안: 『문예』지 평론을 중심으로

        이민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문화 Vol.- No.93

        . The Munye(literature) was a literary magazine that is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Editors of the magazine advocate the pure literature in Korean society, where political ideology affected the literary discourse after liberation. Various texts of the Magazine depict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literary goal and the political reality. Editors of the Munye appear the attitude emphasizes the literatur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politics, but their critic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power struggle. The problem is not only of the Munye because those contradictions are based on the reality of Korean literature. They have agonized with the identity of national literature since the colonial period. And the intricacy of national literature troubled until now when the nation stays as a divided one. The Munye had dealt with the complicated problems directly through the concept of pure literature. Since the purpose of pure literature is not about the nation but the universality, there are inevitable controversies in their arguments. Despite the editors are representative writers after liberation, their critics were considered as the vacant argument or nonsenses. It is because their literary theory is contradictory to their political attitude. Fac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pure literature theory in the 1950s, this article focused on the origin of their power in the literary discourse. And I explored the relationship after the Korean war between the cold war ideology and nationalism. Analyzing the texts of the Munye is important because they have revealed how the discourse of pure literature attains the legitimacy of national literature despite the numerous contradictions. We could understand the tensions between the anti-communism of the world and the nationalism of Korea with the texts on worldness and tradition. The Munye depicts the process of the goal of the nationalistic literary collude and conflict with the cold war ideology. Besides, these texts indicate the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50s established the validity of their theory with the attitude of criticism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concept of tradition in the present.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the attention to global literature such as Lost generation writers in America, the existentialism of post-war, and the tradition theory of T. S. Eliot. Those western literary theories offered the solid foundation to overcome the modern civilization, and writers of the Munye suggest the new role of Korea for the next era in which the world could develop spiritual progress. They appropriate the prospect of the next era into the cold war system and confine the meaning of national progress as humanism, considering communists lost their humanities thus could not achieve their goal.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ness reveals the reality of the Cold War conflict. And, at the same time, it presents an important cognition that embodies the specificity of Korean society, which exists as an exception to the cold war system.

      • KCI등재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

        이봉범(Lee Bong-beom)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This thesis aims to go to the bottom of the history and the theology of liberation decade - conservatism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institutional history. The year, 1996 is the inflection point about understanding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which is the point of view has been changed or intersected from empirical liberation to historical liberation. That’s why the liberation decade has been set as the unit. History and argument about 8.15liberation on journalism generally have a character to introspect liberation decade history as deformed and failure liberation and try to find out the second liberation. Regarding the point of literature, the Korean Writer Association Orthodox which led literary circles after liberation with this was agitated to monopolize the history of the liberation decade literature, which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rapture on submitted literary history as this production. This rapture was collected as the crisis of pure literature. Liberation decade conservatism literature has been bisected with converted place as its starting point. The literary history as conversion has four meanings. First, it was the innovative point to complete literary subjugation, forcing acculturation of literary subjects institutionally. Second, it caused literary dynamic structural changes. Third, it detonated the hegemony combat of the conservative powers which have cultural leadership complicatedly. Fourth, decisively, literary core subjects which were placed after liberation were distorted and collapsed. While conservatism literature, especially Korea Writer Association Orthodox was holding the power for all the literature, this process aimed to confirm the justice and power of its literature line, pure literature. After that, the history of conservative literature was the endless continuity of building boundary and expanding the territories. Literature / non- literature, that is the way to preserve the justice of pure literature, dividing into pure literature (right literature) and non-pure literature (wrong literature). Therefore, it had created non-pure literature endlessly, which was the way to adhere to pure literature through excluding the objection. 이 논문은 제도사의 관점에서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해방10년을 단위로 설정한 것은 1955년이 해방 및 해방 후 역사에 대한 인식의 한 변곡점, 즉 경험으로서의 해방에서 역사로서의 해방으로 그 관점이 교차 내지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저널리즘의 8·15해방에 대한 역사화와 논조는 대체로 해방10년사를 불구의 해방, 실패한 해방으로 성찰하고 제2의 해방을 모색하는 특징을 보인다. 문학의 차원에서는 이와 더불어 해방 후 문단을 주도해온 문단주체세력(문협정통파)이 해방10년 문학사를 전유하고자 한 욕망이 비등했는데, 그 산물로 제출된 해방10년 문단사에는 많이 차이와 균열이 나타난다. 그 균열은 순수문학론의 위기로 수렴된다.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는 전향공간을 기점으로 양분된다. 전향의 문학사적 의미는 첫째, 문학주체의 변용을 제도적으로 강제함으로써 문학적 사상 평정이 완성되는 결정적 계기였고 둘째, 문학적 역학의 구조변동을 야기했으며 셋째, 문화 주도권을 둘러싼 보수주의세력의 헤게모니투쟁을 복잡다단하게 촉발시켰으며 넷째, 해방 후 제기되었던 문학의 핵심 의제들이 결정적으로 왜곡, 와해된다. 그 과정은 보수주의문학, 특히 문협정통파가 문학 장 전반을 장악하는 가운데 그들의 문학노선인 순수문학론의 문학적 정당성과 권위를 확증하는 것이었다. 이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는 끊임없는 ‘경계 짓고 영토화하기’의 연속이었다. 문학/비문학, 즉 순수문학(옳은 문학)/비순수문학(틀린 문학)으로 분할해 순수문학의 정당성을 보존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그것은 비순수문학이란 타자를 끊임없이 창출해내고 이의 배제를 통해 순수문학의 원칙을 고수하는 과정일 수밖에 없었다. 순수문학/통속문학(1950년대), 순수문학/참여문학(1960년대), 순수문학/민족(민중)문학 및 상업주의문학(1970년대) 등 적어도 1970년대까지 보수주의문학은 이전략으로 일관한다. 그것은 다양한 문학적 가능성을 억제하고 스스로를 순수문학의 성채에 가둔 왜곡의 역사였다. 중요한 것은 그 역사의 마디마디에 첨예한 쟁점을 담고 있었던 순수문학과 결부된 논쟁들의 합리적 핵심을 파악해 의미화 하는 작업일 것이다.

      • KCI등재

        ‘선봉(先鋒)’ㆍ‘순문학’의 허구성과 문학 ‘재정치화’ 담론

        朴敏鎬(Min-Ho Park) 중국어문논역학회 2016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9

        1980년대 중후반 중국 문단에서 제시된 ‘선봉(先鋒)’ 개념은 서구 아방가르드(avant-guard)의 번역어로, 농후한 형식주의와 실험성을 지향하는 문예 경향을 일컬어왔다. 그러나 중국의 ‘선봉’이 과연 서구 ‘아방가르드’와 동일했는지에 관해서는 적지 않은 논쟁이 있었다. 양자가 서로 다르다는 입장들은, 중국의 ‘선봉’이 서구 아방가르드와 달리 정치성을 배제했다는 근거를 내세웠다. 이러한 주장은 일정 부분 타당성을 지니며, 1980년대 선봉 개념이 지녔던 한계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그러한 주장은 서구 아방가르드 내부에 존재하는 복잡성과 모순성을 도외시했으며, 발전주의적 역사관에 입각하여 ‘선봉’이라는 개념을 절대화하는 오류를 범했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순문학’ 개념에 대한 검토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순문학’ 개념 또한 선봉과 마찬가지로 1980년대의 산물로서, 문학으로부터 정치나 이념 등 일체의 ‘불순한’ 것들을 배제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그와 같은 개념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재조정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순문학’ 개념이 문학을 사회와 대중들로부터 고립시킴으로써, 점차 사회적 영향력과 시대적 가치를 잃어버렸다는 것이 그들의 문제의식이었던 것이다. 이들의 문제의식은 분명 타당성이 있으며, 문학의 정치성과 예술성 사이의 변증법적 긴장 관계를 재구축하려는 시도로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문학을 여전히 ‘공리주의적’ 틀 안에 가두려고 하거나, 미래 문학의 가치를 ‘순문학’ 이념 안에 국한시키는 시도는 동의하기 어렵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 문학에 남겨진 과제는 비단 문학과 정치의 관계 차원에서 국한되지 않는다. 문학과 정치의 관계는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과 더불어 이전보다 훨씬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문학이 처한 위기 상황을 올바로 파악하고, 적절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문학-정치-미디어, 이 삼자가 갖는 복잡한 관계를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새로운 미디어의 성장이 문학이 미치고 있는 영향에 대해 분별없는 비관론이나 낙관론으로 일관해서는, 문학이 당면한 문제들을 올바르게 해결할 수 없다. Referring to a literary trend advocating rigid formalism and experimentalism, the concept of ‘Xian Feng (先鋒, vanguard)’ proposed in Chinese literary circles in the mid to late 1980s is translated as avant-guard used in the west. Yet, whether the Chinese ‘Xian Feng’ is identical to the Western ‘avant-guard’ has been quite controversial. Some have claimed they differ in the sense that the Chinese ‘Xian Feng’ is de-politicized unlike the Western avant-guard, which is partially pertinent but also reveals the limitation inherent in the concept of ‘Xian Feng.’ That is, the foregoing perspective ignores the intrinsic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of the Western avant-guard, erroneously absolutizing the concept of ‘Xian Feng’ based on the developmental view of history. In the similar vein, the concept of ‘pure literature’ needs revisiting. Like ‘Xian Feng’ the pure literature is a product of the 1980s, characterized by the efforts to exclude any impure aspects including politics and ideologies from literature. Yet, since 2000, such a concept has become criticized to the extent that an attempt to re-adjus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as become visible. Such an attempt has been underpinned by the perception that the concept of pure literature isolates literature from the society and public, gradually losing its social impact and value of the times. The perception seems valid and significant a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dialectic tension between the political and artistic aspects of literature. Still, it is hard to agree on any attempt to restrict literature to a ‘utilitarian frame’ or the value of future literature to the idea of ‘pure literature.’ Today the challenges Chinese literature is supposed to address involve more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which has become much more complicated than ever owing to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us, to better understand the crisis that literature is faced with, and to make proper breakthroughs, a cool-headed and objective approach should be taken to the complicated triad relation among literature, politics and media. Any unsubstantiated pessimism or optimism concerning the effects of growing new media on literature is far from properly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ed by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