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1 No.-

        이 글은 2010년 이후 발간된 청소년 시집을 대상으로 청소년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청소년 시는 과거의 청소년 시와 달리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창작된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 글은 이 같은 청소년 시의 특징을 시적 화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시의 시적 화자는 매우 다양하게 설정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청소년 집단의 다양한 경험을 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 시는 한 편의 시에 표면적인 청소년 화자 이외에 시인과 겹쳐지는 숨은 화자가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시인이 의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는데, 그 원인은 시인이 가진 계몽적 의도 때문으로 볼 수 있었다. 즉, 표면적으로 설정된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를 갈라지게 만드는 숨은 화자의 목소리는 시인의 계몽적 의도나 의지의 산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청소년 시는 표면적으로 청소년 화자에 의해 발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시인의 시선 아래 통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런 청소년 시의 특성 때문에 청소년 시에 실제 청소년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방식은 매우 제한적이었는데, 그것은 시인의 통제를 뚫고 틈입하는 방식으로 청소년의 목소리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금지와 금기에 둘러싸인 청소년의 실제 목소리는 청소년 시에서 소음이나 욕설 혹은 그와 유사한 차원에서 수용되거나 발현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언어가 되지 못하는 그런 소리들은 청소년의 존재가 발현되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최근 청소년 시는 청소년을 집단적 훈육의 대상에서 개별성을 지닌 독자적 존재로 바라보고자 하는 청소년 담론의 전환에서 촉발된 것이다. 그러나 기성시인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최근의 청소년 시는 창작의 의도와는 별개로 실제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배제하거나 억압할 가능성을 일정부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시가 그 가능성을 확장해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시적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re traits of Korean adolescent poetry since 2010. Adolescent poetry, as the name suggests, speaks for a group of adolescents. This paper closely studies the problem of the poetic speaker. A poetic speaker in adolescent poetry is placed in various types of settings. For it is necessary to express what adolescents experience in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adolescent poetry frequently depicts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a surface speaker and a hidden speaker in a poem. This phenomenon is the unwitting result of poet`s intention to enlighten. Thus, even though an adolescent speaker articulates a adolescent poetry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controlled by the poet`s intentions. Given these traits, it is very difficult for adolescent poetry to reflect their voices. Therefore, the only method to include their vivid voices in poetry through noise, abuse, and other experiences. However, such non-language sounds began to emerge the moment adolescents appeared on the stage.

      • KCI등재

        ‘이나’와 ‘이라도’에 대하여-선택 환경과 전제를 중심으로

        허경행 이중언어학회 2009 이중언어학 Vol.39 No.-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things of Korean is the variety of endings and particles. Korean could express their diverse feelings freely and deeply with these particles. However foreigners who study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r foreign language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various particles. There are ‘이나’ and ‘이라도’ which are difficult to learn the differences for foreigners who study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r foreign language. It is hard to tell out the difference between ‘이나’ and ‘이라도’ for KSL student because ‘이나’ and ‘이라도’ seem to be occurred in similar situation. Even Korean who has no difficulty in speaking ‘이나’ and ‘이라도’ could not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이나’ and ‘이라도’. To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이나’ and ‘이라도’, we should know the "hidden story" about ‘이나’ and ‘이라도’. The meanings of ‘이나’ and ‘이라도’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ich is related with selection and to the attitude of speaker. Usually ‘이나’ and ‘이라도’ are used in the situation related with selection. But ‘이라도’ is not acceptable if it is introduced as a examples in the text or context beforehand. ‘이나’ suggests a certain thing or certain action instead of other thing of other action. ‘이라도’ suggests a certain thing or a certain action even if it is not the best option. Because that is better than nothing. Usually ‘이나’ suggests ‘to stop something and to do other’, and ‘이라도’ suggests to do something instead of doing nothing. ‘이나’ doesn’t give any choice to listeners but ‘이라도’ gives choices to listeners. And a certain thing or a certain action with ‘이라도’ is regarded more valuable than a certain thing or a certain action with ‘이나’. We could say that all of these are the hidden story of ‘이나’ and ‘이라도’. To speak these particles properly and exactly, the KSL students should know where these differences comes from, that is to say "hidden story".

      • KCI등재

        Reliability-weighted HMM Considering Inexact Observation For Enhancing Recognition Performance

        Md. Tariquzzaman,Jin Young Kim,Seungyou Na,Hyoung-Gook Kim,Min Gyu S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9 No.2

        HMM (Hidden Markov Model) is widely used in pattern recognition areas such as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handwritten recognition, gesture recognition, and so 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liability-weighted HMM (RW-HMM) approach considering inexact observations. We introduce a weighting factor - confidence measures of observations - in HMM target function and drive a training algorithm based on the traditional EM (Expectation Maximization) algorithm for optimizing a modified HMM target function. To verify the usefulness of our proposed method, we performed SI (speaker identification) experiments using ETRI speaker recognition database. With the proposed RW-HM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SI is highly enhanced particularly in noisy environments. Finally, RW-HMM could be applied in any applications with well-defined reliability.

      • KCI등재후보

        PDA 환경에서 자동화자 확인의 계산량 개선을 위한 연구

        서창우,임영환,전성채,장남영,Seo, Chang-Woo,Lim, Young-Hwan,Jeon, Sung-Chae,Jang, Nam-Young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9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0 No.3

        본 논문은 PDA 디바이스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자동화자확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M-커머스와 같은 모바일 환경을 위한 PDA의 용량이 확장되고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은 계산량 때문에 PDA 디바이스에서 자동화자확인의 실질적인 응용은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음성발성 동안 스펙트럼 차감법과 음성 검출과 같은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계산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빠른 처리 결과를 얻기 위한 은닉마코프모델의 최적 상태 정합과 시퀀스 확률비 테스트를 적용하였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PDA디바이스의 제한된 메모리와 낮은 CPU 속도에 적합하도록 간결하게 구현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real time automatic speaker verification (ASV) system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device. Recently, the capacity of PDA has extended and been popular, especially for mobile environment such as mobile commerce (M-commerce). However, there still exist lots of difficultie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ASV utility to PDA device because it requires too much computational complexity. To solve this problem, we apply the method to relieve the computational burden by performing the preprocessing such as spectral subtraction and speech detection during the speech utterance. Also by applying the hidden Markov model (HMM) optimal state alignment and the 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 (SPRT), we can get much faster processing results. The whole system implementation is simple and compact enough to fit well with PDA device's limited memory and low CPU speed.

      • 논문 : HMM 기반 음성인식을 위한 화자적응 기술 동향

        김동국 ( Dong Kook Kim ) 전남대학교 전자통신기술연구소 2005 전자통신기술논문지 Vol.8 No.1

        현재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과 기계사이의 편리한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음성인식 기술의 발달로 인식 성능의 향상은 많이 이루어졌지만 잡음이나 화자 변이성과 같은 학습과 인식 조건에서 오는 다양한 차이로 인해 인식 성능에 많은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차이를 줄이기 위해 적은 양의 적응 데이터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인식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HMM 기반 음성인식을 위한 화자적응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화자적응 기법을 maximum a posteriori (MAP), 변환기반, 화자공간기반, 순차적응으로 나누고 각 기법의 장단점을 비교한다. Recently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systems are widely used for the convenient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in many areas. Though great improvement has been achieved i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he performance of ASR system often degrades drastically when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training and test coniditions due to noise or speaker variability.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overview of speaker adaptation approaches for hidden Markov model (HMM) based speech recognition to overcome such mismatch and improve the performance incrementally using a small amount of adaptation data. After addressing the issues regarding four different adaptation families such as maximum a posteriori (MAP) family, transformation-based family, speaker space-based family, online adaptation family, we compar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adaptation family.

      • KCI등재

        대화체 가사 <고공가>와 <고공답주인가>의 담화적 양상

        권현주,이철우 한국문학언어학회 2024 어문론총 Vol.99 No.-

        본고는 허전의 <고공가>와 이원익의 <고공답주인가>의 대화체 가사를 서지적 분석 작업과 함께 담화 차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 연구 결과물이다. <고공가>와 <고공답주인가>의 담화에 집중하는 것은 두 작품이 대화체 가사임에도 불구하고 대화 구조를 대조·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작품의 대화 구조와 대화의 양상을 분석한 후 미하일 바흐친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담화론적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고공가>와 <고공답주인가>의 대화는 화답, 항변, 무응답, 대립, 동일, 보완 등의 대응 양상을 보였다. 이는 <고공가>에 대한 <고공답주인가>의 대응 양상으로 작품의 앞부분은 항변, 뒷부분은 대립과 보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품별 대화의 양상은 <고공가>의 경우는 호격조사에 의해 크게 세 단락으로 대화가 나누어졌으며, 대화 상대가 불특정 인물에서 특정인으로 그 대상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공답주인가>는 대화 상대가 변하지 않으며, ‘내말 듣소’ 등의 환기에 의해 두 단락으로 대화를 나누어 고찰할 수 있었다. <고공가>와 <고공답주인가>가 대화체 가사로 나타난다는 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텍스트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론이 있을 수 있으나 담화 분석 방법론도 적용해 볼 수 있다. 대화체 가사는 그 내용 자체가 담화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은 언어 그 자체를 문맥에 따른 대화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들에 대해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주의 분석 이론을 접목해보는 것은 대화체 가사의 내용 분석을 좀더 풍부하게 해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바흐친에게 언어의 본질은 대화이며 모든 언어는 맥락 안에서만 해석 가능하기 때문에 그 당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해 볼 수 있는 여지도 있다. <고공가>와 <고공답주인가>는 각각 허전과 이원익이 지었다고 하지만, 그 당시 권력층의 전쟁 상황이나 경제적 곤궁함에 대한 책임론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허전과 이원익은 각각 바흐친 이론의 이른바 ‘숨겨진 논쟁’의 중심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선조를 두고 담화론적 양상으로 화답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허전의 <고공가>와 이원익의 <고공답주인가>는 자신들의 주장을 화자와 청자, 제3자, 이 모든 인물 대상 간의 관계 속에 임금과 권력층, 백성들을 등장시켜 그 당시 사회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alogue style Gasa of Heo Jeon's ‘Gogongga’and Lee Won-ik's ‘Gogongdapjuinga’ in the focus of discourse along with bibliographic analysis. The reason why we focus on the discourse of ‘Gogongga’ and ‘Gogongdapjuinga’ is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two works are dialogue style Gasa, no paper has been conducted to contrast and analyze the dialogue structure. Therefore, after analyzing the conversational structure and conversational aspects of the two works, we would like to proceed with a discursive analysis based on Mikhail Bakhtin's theory. First, the dialogue between ‘Gogongga’and ‘Gogongdapjuinga’ showed response patterns such as response, protest, non-response, confrontation, sameness, and complementation. These were the response components of <Gogongdapjuinga> to <Gogongga>,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work was confirmed to be a protest, while the second portion depicts confrontation and complementation. As for the aspect of conversation for each work, in the case of ‘Gogongga’, the conversation was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by vocative postposi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sation partner changed from an unspecified person to a specific person. In ‘Gogongdapjuinga’, the conversation partner does not change, and the conversation could be considered by dividing it into two paragraphs through evocations such as ‘Nae mal dutso(listen to me)’. The fact that ‘Gogongga’ and ‘Gogongdapjuinga’ appear as dialogue style Gasa means that they can be established as a single text. There may be several methodologies to analyze a single text, but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can also be applied. The content of dialogue style Gasa itself represents the aspect of discourse. Mikhail Bakhtin's conversationalist theory views language itself as a conversation according to context. Therefore, applying Mikhail Bakhtin's conversational analysis theory to these works has the potential to enrich the content analysis of dialogue style Gasa. For Bakhtin, the essence of language is conversation, and since all language can only be interpreted within context, so there is room to consider the social situation at that time. ‘Gogongga’ and ‘Gogongdapjuinga’ are said to have been written by Heo Jeon and Lee Won-ik, respectively, but they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for the war situation and economic hardship of the powerful class at that time. It can be said that Heo Jeon and Lee Won-ik each responded in a discursive manner to Seonjo, who can be said to be the central figure of the so-called ‘hidden controversy’ of Bakhtin’s theory. In other words, Heo Jeon's ‘Gogongga’ and Lee Won-ik's ‘Gogongdapjuinga’ show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by introducing the king, the powerful subjects, and the peop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the listener, the third party, and all characters.

      • KCI등재

        두 개의 모닥불 -백석 시『모닥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

        오성호 ( Seong-ho Oh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8 No.-

        백석의 시 모닥불은 흔히 화합과 합일의 공동체에 대한 꿈을 표현한 작품 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런 통상적인 해석이 이 시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이 시에 대한 해석은 1연과 3연에 등장하는 모닥불의 차이와 관계, 그리고 양자를 연결하는 할아버지의 삶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1, 2연의 모닥불이 3연에 제시된 모닥불의 연장선상에 놓인 것이며, 따라서 두 모닥불은 할아버지의 삶의 양 극단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 3연의 모닥불은 역사(청일전쟁과 그것을 종결짓는 평양성 전투와 이후 양군의 군사 활동)에 의해 상처 입은 할아버지의 유년시절과 관련된 것이다. 그에 비해 1, 2연의 모닥불은 그역사의 상처를 극복하고 어엿한 일가를 이룬 할아버지의 삶과 관련된 것,다시 말하자면 할아버지 생애의 한 정점이라고 할 수 있을 손녀의 혼사와 관련된 것이다. 이렇게 보면 1연에서 열거된 다양한 사물을 모닥불 속에 던져 넣어 태우는 것은 혼례식 마당을 정화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할아버지의 고통스러운 삶과 기억을 정화하는 제의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1연에서 열거되는 다양한 사물 - 쓰레기들은 할아버지의 삶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경험과 기억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2연에는 모든 사람에게 고르게 온기를 나누어주는 모닥불처럼 이 집안이 번창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이 시는 할아버지가 이룩한 인간 승리에 대한 외경의 감정, 그리고 할아버지가 일구어낸 집안이 더욱 번창하기를 바라는 손자의 마음을 모닥불과 그 주위에 모여 불을 쬐는 하객들의 모습을 빌어 표현한 시라고 할 수 있다. Baek-suk’s poem “Bonfire” is commonly read as an expression of the poet’s aspiration for a harmonious community. However, I would argue that this interpretation is derived from a superficial reading of the poem. In this article I suggest an alternative reading of the poem, with a particular focus on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meaning of a bonfire as presented in the first and third stanzas. I will also focus on how the figure of the grandfather bridges these two stanzas. The bonfire describ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tanza is an extension of the bonfire image in the third stanza, and these two images of a bonfire represent the two polarities in the grandfather’s life. The bonfire in the third stanza is closely related to historical events (i.e., the First Sino - Japanese War, the Battle of Pyongyang that concluded the war, and both the Chinese and Japanese military activities) and the grandfather’s childhood that was indelibly marked by this historical chaos. Conversely, the bonfire in the first two stanzas of the poem relates to the latter years of the grandfather’slife - the war - torn years when he persevered and built a family of his own - and culminates with the celebration of his granddaughter’s marriage. Therefore, the litter of objects identified in the first stanza attains a metaphorical layer of meaning - they embody the grandfather’s painful memories and experiences. In this sense, the act of sweeping these into the fire is not only a practical act of cleaning the yard for the upcoming marriage but experiences.In addition, the second stanza illustrates the narrator’s (the grandson’s) wish for the family to flourish in a way that a bonfire would evenly distribute warmth for everyone around it. In sum, the poem builds toward a feeling of awe with respect to the grandfather’s achievements as a survivor of history and expresses the grandson’s wish for the product of his grandfather’s life - the extended family - to thrive and prosper through the images of a bonfire and people warming themselves around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