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목표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홍성희 ( Sung Hee H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목표이론 관점에서 무용, 음악, 연극/영화 등 공연예술전공 대학생들의 목표성향과 학교생활 관련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대학생 465명(남자: 87, 여자: 354)이 2×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검사 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의 목표성향은 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 회피목표, 숙달회피목표 순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문제해결 방식, 조력추구, 소망적 사고, 문제회피, 정서적 완화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달접근목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문제해결과 강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특히 목표성향 중에서 숙달접근목표와 숙달회피목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의 문제해결 대처방식을 강하게 예측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관점에서 공연 예술 전공 대학생들의 목표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stress coping skill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performing arts such as dance, music, and drama/film. 465 college students (87 males, 354 females) responded to 2×2 goal orientations questionnaire and coping skills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goal orientations were reported in order of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mastery-avoidance, whereas coping skills were used in order of problem-solving, seeking help, positive thinking, avoiding problem, and emotional relaxation. Mastery-approach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blem solving styles of coping skills. It was found that mastery-approach and mastery avoidance goals were powerful predictors of problem-solving skill among coping skill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ontext of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 for performing arts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ping skills.

      • 주부 우울증 환자의 정신병리, 생활 사건, 스츠레스 특성과 대처방식

        김시경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5 忠北醫大學術誌 Vol.15 No.1

        연구목적: 현대 사회에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기혼 주부들의 정신병리, 생활 사건 스트레스,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방식을 조사함으로써 이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 변화에 따르 과거의 연구 결과들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이들에게 증상 조절과 스트레스 관리, 대처방식의 개선을 통해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5월까지 충북대학교 병원 신경정신과 외래에 내원한 우울 증상이 관찰되는 주부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신과적 면담 이후 대상군은 1주 간격으로 2회에 걸쳐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 생활경험 질문지, 스트레스 지각 검사, 대처방식척도 Ⅰ을 작성하였으며 이들을 41명의 건강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군은 이전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아졌으며, 전환이나 신체화 증상보다 불안, 우울과 같은 주요 정서 증상을 호소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유발 사건은 가정 내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문제나 사교 활동과 같은 다양한 문제로 확산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수동적인 대처방식을 더 사용하였으며, 능동적인 대처방식과 수동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빈도는 유사하였지만 개인에 국한된 대처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병리적일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환자군에서 대처방식과 각종 정신병리간에 독특한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결론: 사회희 발달에 따라 청주 및 충북 지역에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주부들의 정신병리 스트레스 요인도 변화하고 서구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방식에 있어서는 개인의 문제로 국한하는 기존 사회 문화 특징을 따라고 있다. 이러한 괴리가 극복되어야 할 것 이며 정신병리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는 인지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haracteristics of psychopathology, life events,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kills in housewives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provide actual guideline by means of symptom control, stress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coping strateg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eight housewive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recruited in the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to may, 2005. Psychiatric interview, Korean version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life experience survey and stress perception questionnaire, and ways of coping checklist I were applied. They were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 group (n = 41) matched by demographic variables. Result: Compared with past data we had reported, the educational level of depression group was increased, and they complained major emotional sympto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rather than conversion or somatization. Major stressors were extended from familial problem to economic and social problem. They used passive coping skills more frequently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 But, depression group used active and passive coping skills at the similar frequency. However, their coping was likely to be more pathologic because of individualized manner. Unique interaction of coping skill and psychopathology was observed. Conclusion: Psychopathology and stress factors of housewives with depression have been changing and modernizing as social development in Cheongju and Chungbuk. However,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kills were not yet. This dissociation must be overcome and they need a cognitive intervention to resolve interaction of psychopathology and coping skills.

      • KCI등재

        남자 대학 골프 선수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와의 관계

        김성훈(Sung Hoon Kim),권승민(Seung Min Kwon) 한국사회체육학회 200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7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stress coping skills of male college student golfers by close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experienced by male college student golfers and stress cop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onvenience samples of 185 male golfers majoring in golf at K, Y and H university which are members of Korean College Golf Association 2008. Mean age was 20.91 with SD of 1.53, mean golf career was 7,91 with SD of 3.23. Questionnaire(Lee Gae Yoon, 1990) and Stress Coping questionnaire(Yoo Jin, Park Sung Joon 1998) was used to as a measure.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tress coping,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reached using SPSS 15.0 program and AMOS 7.0 with .05 significance level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mechanism were used to cope with body figure stress, active coping and detachment coping mechanism were us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For career stress, problem-focused, detachment, avoidant mechanism were used, problem-focused and avoidant mechanism were used in discrimination stress. Active coping mechanism was used in performance and injury stress, avoidant mechanism was used to cope with poor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in the Synthetic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이은진 한국정신간호학회 2020 정신간호학회지 Vol.2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in the Synthetic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S-HTP drawings were scored using the Buck’s quantitative scoring manual. Participants completed the revised Multidimensional Coping skills questionnaire and the Nicotine Dependence Syndrome Scale. Results: Non-smokers sketched additional decorations of a house (p=.009), 2D body parts (p<.001), and proportioned body parts (p=.001) as compared to the smokers (n=186). Smokers sketched a more disproportionate stem and branch (p=.010) and did not sketch the nose, lips, or eyes, and generally sketched 1D body parts as compared to the non-smokers (p=.001).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S-HTP drawings,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The lack of additional decorations of a person, disproportionate house parts, and a lack of proportionate body parts explained 26% of the nicotine addiction (adjusted R2=.26,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HTP sketches differ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 KCI등재후보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구직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사회심리적 건강의 관계

        정영해(Chung, Younghae),최정숙(Choe, Jeongsuk)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 No.17

        이 연구는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하는 5개 대학교 간호학과 졸업예정자 190명을 대상으로 구직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1월 6일부터 22일까지 집단면접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구직스트레스는 중간쯤 되었고, 사회심리적 건강점수는 평균적으로 잠재적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정서적지원추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대상자의 취업여부에 따라 구직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직시도 횟수가 많아질수록 구직스트레스도 높아지고 구직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사회심리적 건강도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자기조절/문제해결, 정서적 표출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비판/자책 점수가 낮을수록 구직스트레스는 낮고 사회심리적 건강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점수에 따라 4가지 대처유형군으로 나누어 본 결과, 사회심리적 건강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수동적대처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학과 졸업예정 여학생들은 대부분이 사회심리적 건강이 잠재적 위험군이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사회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중재가 시급히 필요하다. 특히 스트레스에 수동적으로 대처하는 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간호학과 졸업예정자가 학업 및 구직스트레스와 취업후에 겪게 될 다양한 스트레스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건강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health and job-seeking stress and cop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194 4th year nursing students of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group survey method from Nov. 6 through 22, 2008. Subjects' job-seeking stress level appeared to be moderate and their psychosocial health was, on average, at potential risk. Emotional suppor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oping ski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seeking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score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jobs. Job-seeking stress increased and psychosocial health worsened as the job seeking efforts increased, and job-seeking stress decreased and psychosocial health improved as 'self control/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express' score decreased and 'self critique/accusation' score increased. Of the 4 coping type groups, passive coping group showed lowest psychosocial health level even after controlling for job placement and job-seeking stress. Since most of the nursing students' psychosocial health was at potential risk or at high risk,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ir psychosocial health through intervention. Special care needs to be given to those who use passive coping skills for they demonstrated the lowest psychosocial health score. Nursing students have the national examination, job-seekingstress, and on-the-job stress ahead of them. We suggest development and employment of effective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nursing students, especially for those with passive coping tendencies.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in the Synthetic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 Lee¸ Eun Ji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20 정신간호학회지 Vol.2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in the Synthetic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S-HTP drawings were scored using the Buck’s quantitative scoring manual. Participants completed the revised Multidimensional Coping skills questionnaire and the Nicotine Dependence Syndrome Scale. Results: Non-smokers sketched additional decorations of a house (p=.009), 2D body parts (p<.001), and proportioned body parts (p=.001) as compared to the smokers (n=186). Smokers sketched a more disproportionate stem and branch (p=.010) and did not sketch the nose, lips, or eyes, and generally sketched 1D body parts as compared to the non-smokers (p=.001).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S-HTP drawings,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The lack of additional decorations of a person, disproportionate house parts, and a lack of proportionate body parts explained 26% of the nicotine addiction (adjusted R2=.26,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HTP sketches differ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nicotine addiction and coping skills.

      • KCI등재

        자동화기술과 생산기능 직무의 지적숙련 요건

        노용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3 産業關係硏究 Vol.33 No.2

        This study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various aspects of automated technology such as the level of automation, the level of performing operating and setting tasks, the frequency of changes in products, and the frequency of breakdown affects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of manufacturing production jobs, utilizing a worker survey data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Workplace Panel Data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regression models are OLS whose dependent variables are basic cognitive skills and uncertainty-coping intellectual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semi-autom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and full automation has a weakly positive one. Mechanization of manual works and semi-automation of manual machine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while full automation does not. Second, the level of operating and setting tasks has a significantly effect with inverted U-shapes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As compared to none-automation works,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while supporting tasks does not. Third, the high frequency of change in produc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while the moderate one has a weakly effect. Fourth, the high and the moderate frequency of breakdow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 As compared to none-automation works, the low frequenc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 empirical results are outlined and their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 조사』 근로자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자동화기술의 수준, 자동화 과업의 특성, 공정의 특성 등 자동화기술이생산기능 직무의 지적숙련 요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모형은 OLS에 근거하고 있고, 종속변수인 지적숙련 요건은기초적 인지숙련 요건과 불확실성 대처능력 요건 등 두 가지로 구분해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반자동화는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완전 자동화는 약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계화와 반자동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양(+)의, 수동식기계의 완전 자동화는 약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자동화기술의 운전・세팅 과업들은 지적숙련 요건에 역 U자형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것을 비자동화 직무와 비교하면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보조과업들은 그렇지 않다. 생산제품의 변경 빈도는 높은 수준일 때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자동화 직무와 비교할 때 제품생산 변경빈도가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중간 수준은 약하게만 그렇다. 고장 빈도는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일 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것을 비자동화 직무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과 중간 수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우연 대처기술이 진로정체감, 부정적 취업태도 및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남근,정미예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우연학습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우연 대처기술이 진로정체감, 부정적 취업태도 및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진로정체감이 우연 대처기술과 부정적 취업태도 및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 사이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충청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80명이며, 무선표집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연 대처기술이 부정적 취업태도와 진로탐색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한 바, 우연 대처 능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취업태도를 보이고 진로탐색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연 대처기술은 진로정체감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은 우연 대처기술과 부정적 취업태도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없고, 부정적 취업태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진로상담에서 우연 대처기술의 적용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happenstance coping skill, career identity, negative employment attitud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In particular, the study first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appenstance coping skill and negative employment attitude, and happenstance coping skill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ppenstance coping skill and negative employment attitude, and happenstance coping skill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Data was collected from 480 college students who matriculated in colleges located in Chungcheong-do province,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happenstance coping skil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egative employment attitud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ut happenstance coping skil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identity. In addition, career identit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s of negative employment attitud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ith happenstance coping skill.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iscussed about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happenstance in the career counseling filed. Also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신념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의 매개효과

        백성호(Baek, SeongHo),김현숙(Kim, Hyun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between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203 students. For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nd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happenstance coping skil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happenstance coping skills mediated partly the relations between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it could be a effective strategy to develop education and program for enhancing happenstance coping skills to promote occupational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considering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신념과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우연대처기 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총 203명(남 93명, 여 11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고,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적 진로신념, 우연대처기술, 진로관여행동은 각각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역기능적 진로신념은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관여행동에 부적상관을, 우연 대처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우연대처기술은 역기능적 진로신념과 진로관여행동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 관여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역기능적 진로신념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우연대처기 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심예지,유순화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으로 이루어진 측정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경쟁모형을 살펴본 결과 경쟁모형이 더 적합하고 간명한 모형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우연대처기술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우연대처기술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에 대한 탐색뿐만 아니라 우연대처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 social support, happenstance coping skills,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28 students from four colleges located in Busan.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overall level of the four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mean, standard error,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career barrier, social support,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fit the data well. Second, the results of hypothetical model analysis are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and the prediction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valid. Third,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has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Fourth, career barrier of college students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of programs which can develop social support and happenstance coping skiils and reduce career barriers to increas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