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톨릭 자원봉사조직의 관리자 특성과 관리활동 수준이 자원봉사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동수(Shin Dong su),박경숙(Park Kyung s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4 생명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서울, 수원, 광주지역의 천주교 자원봉사단체인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 자원봉사조직 104개 조직을 분석하여 조직의 관리자 특성과 자원봉사관리활동 수준이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자원봉사관리자 특성으로는 자원봉사 전문교육을 받은 관리자유무, 자원봉사관리자의 리더십과 의사소통유형을 선정하고 자원봉사 관리활동 수준은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전문성 수준, 모집의 적극성 수준, 면접과 배치의 적절성 수준, 교육의 적절성 수준, 지도감독의 적절성 수준, 인정과 보상의 적절성 수준을 선정하였다. 자원봉사조직의 효과성은 본당 신자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 조직의 자원봉사활동 다양성, 조직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으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조직의 관리자 특성 중에서는 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이 자원봉사조직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쳤다. 관리자가 평가하는 자원봉사 관리활동 수준은 자원봉사활동의 다양성과 지속성에 주로 영향을 미친 반면에 자원봉사자가 평가하는 자원봉사 관리활동 수준은 자원봉사조직 효과성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토대로 가톨릭 자원봉사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인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how manager's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 management level a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atholic volunteer organizations. It analyzed the 104 volunteer organizations of the Society of St. Vincent de Paul in Seoul, Suwon and Gwangju Area.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managers consist of existence of the professionally educated volunteer managers,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tyle of the volunteer managers. The volunteer management level means the level of adequacy of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professional level of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eagerness of recruitment, adequacy of orientation and arragement, education, supervision, acknowledgment and compensation. Effectiveness of the volunteer organizations was measured by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members of the Catholic churches, variety of volunteer arrangement and continuity of volunteering of the member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leadership affected differently on effectiveness of the volunteer organiz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adequacy of management activity evaluated by the managers affected variety and continuity of volunteering while adequacy evaluated by the volunteers affected all three dimensions of effectiveness differently. The various future tasks for managerial improvemen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관리자의 역량모델 개발

        이재은 ( Jaeeun Lee ),조영아 ( Youngah Ch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관리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역량을 추출하고, 우수성과자 대상 행동사건면접을 통해 자원봉사 관리자의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안하였다. 이후 전문가 검토와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관리자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행동사건면접은 자원봉사 관리 업무 경력 5년 이상의 우수성과자를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서울시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 관리자가 응답한 122부의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관리자 역량 모델은 공통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으로 구분되었으며, 공통역량은 신뢰형성, 책임감 등5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리더십 역량은 다시 직급에 따라 관리자 역량은 갈등관리 등 6개, 실무자 역량은 자기관리 등 6개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역량은 기획홍보, 활동지원, 자원관리로 구분되며 기획홍보 직무역량은 자원봉사센터 운영전략수립 등 4개, 활동지원 직무역량은 자원봉사 사업기획 등 4개, 자원관리 직무역량으로는 자원봉사 DB 및 실적관리등 2개로 구성되었다. 모든 역량에는 역량정의와 행동지표가 함께 개발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 평균 긍정률은 90.1%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역량모델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원봉사 관리자의 역량기반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자원봉사 관리자의 체계적인 역량 수준 진단과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petency model for volunteer managers of the Seoul Volunteer Center. To achieve this goal, BEI was conducted for ten high-performers with experience in volunteer management minimum five years. Survey was conducted for volunteer managers working at Seoul Volunteer Center, 122 data was analyzed for validation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olunteer managers competency was separated by foundational competencies, leadership competencies, job competencies. Second, Five foundational competencies were developed other than ‘trust building’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ird, Leadership competencies was separated again depending on rank as manager leadership and staff leadership. Twelve leadership competencies were developed other than "conflict management" and "self management". Finally, job competencies were consist of planning & PR, activity support, resource management. Ten job competencies were developed other than "establishing volunteer centers operating strategy", "planning volunteer project", and "managing DB & result". All competencies were developed including with its definition and behavioral indicators. Survey results showed 90.1% average positive rate that means the competency model was valid.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competency-based HR of volunteer managers and will be utilized in systematic diagno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volunteer managers.

      • KCI등재

        The Volunteer Management Experience of Employees in Charge of Volunteer Work at Volunteer Demand Organizations

        Kyoung-Ok Kim,Hye-Su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1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volunteer management experience of employees in charge of volunteer work at volunteer demand organizations. For gathering data,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about two hours at October 31, 2019 with 5 employees in charge of volunteering at volunteer demand organizations in Pyeongchang-gu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hematic analysis used by Braun and Clarke.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themes and 11 sub-themes were derived. The two themes are “Attempting various ways to recruit necessary volunteers” and “Inconvenience of sensitively managing volunteers with doubts about volunteer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improve and enact ordinances, clarify the main body of volunteer management and strengthen its authority, establish a professional volunteer database, and prepare and implement systematic and consistent volunteer education, etc.

      • 도시공원 관리를 위한 자원봉사 참여자와 관리자의 만족도 연구 -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중심으로 -

        ( Kim Daehyeok ),( Choi Jaehyuck ),( Lee Shi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5 No.-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시공원 관리를 위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인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대하여 참여자와 관리자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공원의 관리방안 및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고,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활동의 가치와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대전광역시와 5개 구청에서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하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첫째, 현재 내 동네 내 공원에 참여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의 주된 참여 동기는 자원봉사 활동 시간이 필요해서, 함께 봉사활동을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때문에, 그리고 공원을 좋아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참여자들은 필요한 만큼의 자원봉사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그리고 공원을 직접 가꾸는 기분이 들어서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만족하고 있다. 셋째, 현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는 공원 청소를 주로 행하고 있으며 향후 공원 시설물 관리, 공원 프로그램 운영, 공원 내 치안 및 안전관리 및 수목 관리 등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향후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활성화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자들의 태도 및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참여자에 대한 보상 등이라고 나타났다. 다음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분석에서 관리자는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증가하는 공원 관리업무에 비해 필요한 인력과 예산이 충분히 뒷받침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다.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단순 공원 청소뿐만 아니라 수목 관리와 같은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업무 부담으로 인하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업무 부담을 낮추는 것과 참여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satisfaction of park managers and volunteers by conducting surveys on their awareness on the volunteering program called ‘Managing My Mark in My Neighborhood’ being carried out by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e methods taken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volunteers’ satisfaction and measures to effectively manage urban parks; then, the value and roles of volunteering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arks were studied. Afterwards, volunteer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bov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and park managers from the five district governments and the city government of Daejeon were interviewed in an attempt to seek for solutions to boosting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among the volunteers found that they joined the program to obtain volunteer hours, to mainta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ther volunteers, and just simply because they like parks. Second, the volunteers a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because they can secure volunteer hours they need and feel they take the lead in managing the parks. Third, what the volunteers mostly do in the program is cleaning the parks. They address some challenges in facility management, implementation of park activities programs, and management of trees in the parks. Fourth, the volunteers feel that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to boost the program would be to improve volunteers’ attitude,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volunteering, and reward volunteers. As for the result of the interview with park managers, most of them agreed on the necessity of continuing to promote volunteering for managing urban parks because they feel that they work more than their budget and human resources allow. Regarding the volunteering program, the interviewees shared a view that they need more diverse programs including managing trees other than just cleaning. Overall, the managers interviewed shared a less favorable view on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due to their increased burden from work and responded that their workload needs to be lightened and that volunteers’ awareness should be raised further.

      • KCI등재

        A Study on Increasing Volunteers’ and Managers’ Satisfaction with Urban Park Management - Focus on the ‘Managing My Park in My Neighborhood’ program -

        김대혁,최재혁,이시영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5 No.-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satisfaction of park managers and volunteers by conducting surveys on their awareness on the volunteering program called ‘Managing My Mark in My Neighborhood’ being carried out by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e methods taken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volunteers’ satisfaction and measures to effectively manage urban parks; then, the value and roles of volunteering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arks were studied. Afterwards, volunteer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bov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and park managers from the five district governments and the city government of Daejeon were interviewed in an attempt to seek for solutions to boosting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among the volunteers found that they joined the program to obtain volunteer hours, to mainta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ther volunteers, and just simply because they like parks. Second, the volunteers a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because they can secure volunteer hours they need and feel they take the lead in managing the parks. Third, what the volunteers mostly do in the program is cleaning the parks. They address some challenges in facility management, implementation of park activities programs, and management of trees in the parks. Fourth, the volunteers feel that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to boost the program would be to improve volunteers’ attitude,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volunteering, and reward volunteers. As for the result of the interview with park managers, most of them agreed on the necessity of continuing to promote volunteering for managing urban parks because they feel that they work more than their budget and human resources allow. Regarding the volunteering program, the interviewees shared a view that they need more diverse programs including managing trees other than just cleaning. Overall, the managers interviewed shared a less favorable view on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due to their increased burden from work and responded that their workload needs to be lightened and that volunteers’ awareness should be raised further.

      • 자원봉사활동 관리체계가 자원봉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영숙(Young Suk Won)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3 한반도미래연구 Vol.9 No.-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특성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요인과 자원봉사 관리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자원봉사활동 관리체계를 파악하고 센터의 특성에 따라 자원봉사 활성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센터별 특성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요인과 실제자원봉사 관리성과를 반영하여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첫째,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모든 시민들의 자원봉사 참여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원봉사자의 수를 확대 하여야 한다. 넷째, 법적・제도적 정비와 지원책의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단계별・영역별 교육 기회의 확대, 각 분야 전문가의 참여 등으로 자원봉사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자원봉사의 지역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원봉사자를 위한 교육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to revitalize volunteering by analyzing organiza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system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Busan,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ctivate voluntee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As a result of the study, a plan for revitalizing volunteering by reflecting the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ing volunteering activities and actual volunteer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enter requires first, a shift in perception of volunteer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volunteer participation of all citizens. Third, the number of volunteers should be expanded. Fourth,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support measures need to be supplemented. Fifth,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in volunteer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s,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each stage and area, and participation of experts in each field. Sixth, localization of volunteers is necessary. Fin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education for volunteers.

      • 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

        최권호(Choi, Kwonho),권현수(Gweon, Hyunsoo),김준표(Kim, Junpyo),구지윤(Ku, Jiyoon),이종화(Lee, Jonghwa) 한국자원봉사학회 2021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문가 워크숍, 심층인터뷰 등을 통해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를 A. 자원봉사 활동 기획’, ‘B. 자원봉사 활동 연계’, ‘C.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D. 자원봉사 활동 지원’, ‘E. 지역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F. 자원봉사 홍보’, ‘G. 행정관리’ 등 7개의 책무와 31개의 작업을 구성하였고, 각 작업 수행에 필요한 63개 단위의 역량(28개 단위 지식, 35개 단위 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63개의 역량을 클러스터링하여 각 역량을 교육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원봉사’,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자원봉사의 가치와 윤리’,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자원봉사 관리’, ‘자원봉사 행정’, ‘자원봉사 리더십’, ‘자원봉사 마케팅’, ‘사회조사 및 자료분석방법’, ‘자원봉사의 동향과 전망’ 등 10개의 교과목을 개발하고 각 교과목 별 개요와 목표, 내용 및 교수방법을 포함한 교과목 지침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rriculum guidelines for nurturing volunteer managers. First, we composed the seven responsibilities and thirty-one tasks based on the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s. Each responsibility is as follows: A. Volunteer activity planning; B. Volunteer activity linkage; C. Volunteer education and training; D. Volunteer activity support; 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cooperation system; F. Volunteer Public Relations; G. Administrative Management. Next, we derived 63 competencies (28 units of knowledge, 35 units of skills) required for performing each task and clustered them into the ten subjects, which are as follows: Human and Volunteer Service; Civil Society and Volunteer Service; Volunteer Value and Ethics; Volunteer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Volunteer Management; Volunteer Administration; Volunteer Leadership; Volunteer Marketing; Social Research Methods; Volunteer Trend and Prospect. Finally, we proposed curriculum guidelines for each subject, including outline, goals, main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 한국 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 분석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창래 한국사회적질학회 2018 사회적질연구 Vol.2 No.1

        이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센터의 지원체계와 운영체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자원봉사 센터의 전문성 확보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자원봉사관리에 대한 운영 실태를 분석했을 때 현재 한국의 자원봉사센터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원봉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결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자원봉사단체간 의 협력적인 네트워크가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관리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성이 부족하고, 자원봉사관리자에 대한 교육과정이 미비하며 자원봉사단체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매우 열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 관련 조례제정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각 부처별 자원봉사센터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자원봉사 관리자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자원봉사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프로그램 개발 기능 및 수요처 개발을 강화하고 센터와 지역사회의 관계 증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예산확충과 자원봉사 전담인력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자원봉사센터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부문에서는 과감한 재정 및 제도적 뒷받침을 마련해 주어야 하며, 민간 부문에서는 자발적인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volunteer center 's support system and operating system, When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volunteer managemen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volunteer center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of volunteer service, and the cooperative network between volunteer organizations is not formed properly,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In addition, lack of expertise of volunteer managers, lack of curriculum for volunteer managers, and lack of government support for volunteer organizatio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irst, voluntary ordinances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required. Second, efficient operation of volunteer centers by each ministry. Third, volunteer manager 's expertise is strengthened. Fourth is efficiency of volunteer management. Fifthly, Build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community Seventh,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cure a stable budget and secure volunteer workforce.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volunteer center, the public sector should provide bold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the private sector should ensure autonomy and creativity to be voluntary activities.

      • KCI등재

        Volunteer Management of the Hi Seoul Festival

        Kwak, Sea-Youn,Kim, Yoon-Ta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5 No.3

        For the success of a festival, effective volunteer management is axiomatic. Given the dramatically increased size and quality of festivals and events in Korea over the past fifteen year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volunteer management has been overlooked among festival organizations in comparison to similar festivals in western countries. This paper provides a description and an assessment of the Hi Seoul Festival 2009 volunteer program based on an seven-step ideal process of an effective festival volunteer program with suggestion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by reviewing organizational documents, and an interview with a staff member of the Hi Seoul Festival organization, and a survey pertinent to festival volunteers' motivation. This study shows college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volunteering at festivals in Korea with the primary motivation of developing relationships and gaining work experience. It also suggests that the Hi Seoul Festival organization should fully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an effective volunteer program and the position and work of a volunteer coordinator.

      • KCI등재

        자원봉사 관리자의 소명과 삶의 만족의 관계: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영아,이재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9 No.2

        This study carried out for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for Korean volunteer manager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for volunteer manager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ignificant sampling, a total of 122 data was analyzed utiliz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The results were shown below. First, the calling of volunteer managers were found to gi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career commitment of volunteer manager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ird, career commitment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fication and person-environment-fit (IP) to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cendent guiding force (TGF) to life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sub-dimensions of calling. And career commitment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and meaning & value-driven-behavior (SMVB) which is the last dimension of calling.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having a sense of purpose and fulfilling from one’s job and career affect indirectly through dedicating and having willing to advance their career not only directly affect to the life satisfaction. Further, it has found that people who recognized their work 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for the others and society will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ife only when committed in their career.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verify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to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ommitment on these relationship empiric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significance, suggestions and the applications to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and calling of volunteer managers were discussed. Finally it was proposed a subsequent study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 관리자의 삶의 만족과 소명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원봉사 관리자를 유의표집하여 122개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 관리자의 소명은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 관리자의 경력몰입은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의 정적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 관리자 소명의 세 가지 하위차원과 삶의 만족 간 관계에서 동일시 및 개인-환경 적합과 초월적 인도력의 경우 경력몰입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의 의미와 가치추구적 행동은 경력몰입을 완전 매개하여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일에 대해 개인적 충만감을 느끼고 의미 있는 일에 헌신을 하도록 만드는 목적의식을 갖고 있는 것은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만족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신의 경력을 지속적이고 열정적으로 유지하려고 하는 경력몰입을 높여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직업이 타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자신의 경력에 몰입하는 것을 통해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원봉사 관리자의 소명과 삶의 만족의 정적 관계를 밝히고 이를 매개하는 경력몰입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현장에서의 시사점, 적용방안 및 후속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