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 경로분석

        박현숙 ( Hyun Sook Park ),정선영 ( Sun Young Jung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1 정신간호학회지 Vol.20 No.1

        Purpose: In this study the fitness of a path model on sexual risk behavior in adolescents was examined including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sensation seeki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xposure to pornography, friends` attitudes to sex, attitudes to sexual behavior, sexual permissivenes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exual behavioral inten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54 adolesc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xposure to pornography, friends` attitudes to sex, and sexual behavioral intention showed a direct effect on sexual risk behavior in adolescents, while sensation seeking, exposure to pornography, friends` attitudes to sex, attitudes to sexual behavior, sexual permissivenes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sexual risk behavior in adolescents. The modified path model of adolescent`s sexual risk behavior had a good fit with the data. Conclus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intervention programs that emphasize increasi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exual behavioral intention and reducing exposure to pornography, friends` attitudes to sex, attitudes to sexual behavior,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order to decrease adolescent`s sexual risk behavior.

      • KCI등재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유효인(hyoin You),고선(Sun Ko),신유정(Yoo-Jung S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3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의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인식, 경험,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성 행동(문제)의 관리⋅대응지침의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 모색 및 실제적인 성 행동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고자 한다. 방법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아 경력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에 참여한 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 2일부터 총 10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결과는 SPSS 25를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중복 문항의 경우 응답 빈도에 따른 순위를 산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 성 행동(문제)와 대응 및 지도 관련 교사 인식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성 행동(문제)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해 교사는 보통 수준이라고 가장 많이 답변(45%)하였으며, 유아의 성 행동을 자연스러운 행동으로 생각한다는(54%) 답변이 가장 많았다. 또한 유아 성 행동(문제) 대응 및 지도가 필요하다(100%)고 설문에 참여한 모든 교사가 답변하였다. 유아 성 행동(문제)와 대응 및 지도 관련 교사의 경험에 대한 주요 결과로는 유아 성 행동(문제)에 대한 경험이 있다는 답변(79.%)과 가정과의 상담을 통해 (20.8%) 대응 및 지도 하였다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유아 성 행동(문제) 대응 및 지도에 대한 교사의 지원 요구 및 인식의 주요 결과로는 협력을 위한 주체가 가정(45%)이라고 가장 많이 답변하였으며, 교사교육이 매우 도움이 된다(52%)고 가장 많이 답하였다. 또한 유아 성 행동(문제) 대응 및 지도를 위한 대책으로는 유치원 환경 및 상황의 개선(31%)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 교사 대상 유아 성 행동(문제)과 관련한 연수가 꾸준히 이루어져 교사의 대응 및 지도 전문성을 강화해야 하며, 성교육 및 성행동(문제) 주제의 부모교육 필요성, 다양한 성 행동(문제) 사례집 발간 및 보급의 필요성, 예비교사단계에서 유아 성 행동(문제)관련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In this research,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needs of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regarding sexual behavior in children, we understand the application status of guidelines for managing and responding to sexual behavior (problems), find ways to operate them more effectively, and provide practical sexual behavior teacher education.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Methods In order to find out the awareness, experience, and needs of experienced teachers regarding children's sexual behavior, 153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e 1 Teacher Training’ in Gyeonggi-do for a total of 10 days starting January 2, 2024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survey with a total of 25 questions.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using SPSS 25, and in case of duplicate questions, rankings were calculated based on response frequency. Results Regarding whether they were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 and the sexual behavior (problem)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recognizing dolls related to play and guidance, the majority of teachers (45%) answered that they were at an average level, and that they considered children's sexual behavior as behavior. Thinking (54%) is the most common. Additionally, all teachers responded that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guidance are needed (100%). The main results regarding the instructor's experience related to infant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response and guidance include responses indicating that they have experience with infant sexual behavior (problems) (79.%) and response and guidance through consultation with families (20.8%). I think it got the most answer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families celebrate parties (45%) as the main form of recognition and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for play and guidance of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education was very helpful (52%). . Additionally, the most common need was for improvements in small environments and situations (31%) that represent response and guidance to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Conclusions Training related to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for teachers to strengthen teachers' response and guidance expertise,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on the topic of sex education and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various sexual behavior (problem) casebook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related to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is needed at the pre-service teacher stage.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행동에 미치는 자기개념과 규범지각의 영향

        안권순,이태연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whether sub-scales of self-concept exerted differential influences on sexual behaviors according to sex and grade of subjects and how much sexual behaviors were affected by others' evaluation and actor's confirmity. On the whole,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concept and seemed to behave more sexually than female ones. Female students who are confident of their physical attraction are devoted to behave sexually. In case of female students, moral and family self-concep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xual behaviors and attitudes and these results implied that female students who had higher moral standard and had harmonious household were apt to avoid doing sexual behaviors. 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on sexual behaviors than female ones but the tendency of confirmity to other's evaluation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xual behaviors and norm perception suggested that others' evaluation had influenced sexual behaviors also.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meone who has positive attitude on sexual behaviors, strong tendency to confirm others' evaluation and good physical attraction tended to behave more sexually. In conclusion, the fact that self-concept and norm perception had differential influences on sexual attitude or sexual behaviors according to subject groups suggests that sexual behaviors are affected by sex role stereotype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culture. 본 연구는 자기개념의 여러 하위영역들이 성 태도와 성 행동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주의 문화권에 속한 우리문화에서 성 행동에 대한 규범인식과 행위자의 동조성이 성 행동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개념과 성 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더 높은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자기개념을 가진 학생일수록 성 행동에 더 적극적인 경향이 있는데 비해 여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은 학생일수록 성 행동에 대해 더 적극적이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도덕적 자기개념과 가정적 자기개념이 성 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자신의 행동에 대한 도덕적 기준이 높고 가정이 화목할수록 성 행동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 규범지각과 동조성에 대한 분석에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성 행동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데 비해 성 행동에 대한 주변사람들의 평가에 동조하려는 경향은 여학생이 더 높았다. 또한 성 행동이 규범지각과 상관을 보이고 있어 성 행동에 대한 주변사람들의 평가가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회귀분석에서도 성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평가에 동조하는 경향이 강하고, 스스로 신체적 매력이 있다고 느끼며, 도덕적 기준이 낮을수록 성 행동에 더 적극적인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집단에 따라서 자기개념이나 규범지각이 성 행동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대학문화가 갖는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 KCI등재

        「10세 미만 아동 성행동의 이해와 대처를 돕는 1:1 부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현주,최지영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1:1 parent counseling program that helps understand and cope with sexual behavior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The researcher developed a program according to a 4-step procedure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16 parent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exhibiting sexual behavior. The 1:1 parent counsel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three sessions, identified the caus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hild sexual behavio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hild sexual behavior and guided coping with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parenting skills to promote healthy sexual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manner over about five months, from June 20 to November 31, 2022. As a result of the study, children’s sexual behavior,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parents’ sexual behavior coping skil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atisfactory evaluation, the participating parents reported that through this program, their understanding of child sexual behavior increased along with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and they learned how to deal with it appropriat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1:1 parent counseling program can help parents of children who exhibit sexual behaviors understand and cope with their child’s sexual behavior appropriately, prevent the child's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overall adjustment. 본 연구는 10세 미만 아동 성행동의 이해와 대처를 돕는 1:1 부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4단계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성행동을 보이는 10세 미만 자녀를 둔 부모 1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았다. 총 3회기로 구성된 1:1 부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 성행동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 성행동의 원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성행동 문제 대처방법과 양육기술을 안내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내용으로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2022년 6월 20일부터 11월 31일까지 약 5개월에 걸쳐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아동의 성행동과 외현화, 및 내재화 행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부모의 성행동 대처유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만족도 평가 결과, 참여 부모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 성행동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이해도가 증가하고, 적절한 대처방법을 숙지하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성행동 이해와 대처를 돕는 1:1 부모상담 프로그램은 실제 성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부모들이 자녀의 성행동을 적절히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그 결과 아동의 성행동 문제를개선하고 전반적인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일부 육군사병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대한 연구

        김기인,김선옥,노수진,도진회,배지혜,윤지현,이민희,정미현,최선아,하소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0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4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exual intelligence, attitude and behavior of the army soldier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intelligence, attitude and behavior. This study focused on sex of the soldiers under the closed situation from the society where not only sex and culture are open, but the sexual values are distorted on the whole. METHODS: In this study, 500 army solder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currently in the service at the army unit in Daegu and Gwangju.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July to August 2009 with a questionnaire regarding sexual intelligence, attitude and behavior in terms of the sociology of population.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For analysis of the results, T-test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exual intelligence, attitud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exual intelligence, attitude and behavior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 sexual status of the subjects are calculated as percentage of the total: sexual intelligence is 39.43; sexual attitude 65.01; sexual behavior 55.21. In the level of sexual intelligence, the educational background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level of sexual intelligence that the subjects think. In the level of sexual attitude, ther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ank of subjects and subjective level of sexual attitude realized by own. On the level of sexual behavior, the results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s having sexual education and the level of the subjective sexual attitude and sexual intelligence. The higher sexual intelligence is, the more desirable and positive sexual attitude was; the more desirable and positive sexual attitude was, The more sexual behavior was ope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exual intelligenc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xual attitude while the sexual attitud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xual behavior.

      • KCI등재후보

        중국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관한 연구

        유진이,풍산산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6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실태를 알아보고 그로 인한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중국 청소 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등이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의 수준을 분석하 고자 중국 산동성(山东省) 태안(泰安)지역의 고등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이 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의 빈도분 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차이를 검정하기 위 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적, 생활정도, 부모님 학력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차이 검정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간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성지식과 성행동, 성태도와 성행동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arched about Chinese adolescents in term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utual influence among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high school juniors in Chine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24 to 28 February 2016 with questionnaires that covered general characteristic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The data gathered were taken statistic b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2.0 for Windows program. I analyzed how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cademic record, economical level, parents’education background can effect to th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I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In the result, gender affected sexual knowledge, sexual behavior. academic record affected sexual knowledge and sexual behavior, economical level affected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parents’education background did not affect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therwise, sexual knowledge affected sexual behavior with each other, sexual attitude affected sexual behavior with each other.

      • KCI등재

        오디션 장에서 발생하는 여성 연예인 지망생이 경험하는 성희롱에 대한 대학생들의 용인수준과 관련요인 연구 - 성태도의 매개효과와 기독교 종교유무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이희진 기독교학문연구회 2014 신앙과 학문 Vol.19 No.2

        The predominant concerns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tolerance toward sexual harassment at an audition meeting; (2)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exist attitudes toward sexual behavior on the tolerance toward sexual harassment; (3)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on each causal relationship.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41 college students, including 248 male students and 298 female students, majoring in media, film and theatre from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hueonan, Cheongju, Daegu and Gyeongsangbuk-do. In order for responden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explored. A variety of tests were conducted (i.e. metric invariance test, critical ratio for difference test, multi-group analysis, bias-corrected boot-strapping).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ing Christian students showed direct influences from all three path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xtent to which they would tolerate sexual harassment; the effect of self-esteem on reducing the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and the effect of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on level of tolerance toward sexual harassment.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among atheistic and non-Christian students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their tolerance of sexual harassment; yet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the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and the sexist attitude also influences the tolerance to sexual harassment. Second, Christian students' self-esteem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tolerance to sexual harassment, resulting from the suppression of the sexist attitudes toward sexual behavior. Lastly, among atheistic and non-Christian students, although self-esteem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level of tolerance of sexual behavior, their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show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between self-esteem and level of tolerance towards sexual harassment, stemming from the suppression of sexist attitudes by self-esteem.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본 연구는 오디션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성희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수준과 관련요인(성태도, 자아존중감) 간의 직간접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data)는 서울, 충청남북도, 대구 및 경북지역에 위치한 5개 종합대학에서 연기, 방송연예, 미디어 등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얻었다. 자료분석에서 사용된 최종표본은 541명(남 248명, 여 298명)이다. 성희롱 용인(tolerance)에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직접효과와, 성차별적인 성태도의 직간접효과, 그리고 기독교 종교유무의 조절효과를 밝히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인 집단이 무종교 집단에 비해 성희롱을 덜 용인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기독교 종교를 가진 집단에서는 연구모형에 포함된 3개 경로, 즉, ‘자아존중감➝’성희롱 용인‘(.189*), ‘자아존중감 ➝성태도‘(-.218**), ‘성태도 ➝성희롱 인용인‘(.268**)가 모두 유의하였지만, 무종교 집단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성폭력 용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아존중감 ➝성태도‘(-.154*) 경로와 ‘성태도 ➝성희롱 용인‘(.322***)에서 직접효과는 각각 유의하였다. ‘자아존중감➝성태도➝성희롱 용인‘ 경로에서 ’성태도‘는 기독교 집단에서는 부분매개효과(-.058; lo. -.155, hi. -.007)가 있었다. 무교 집단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성희롱 용인‘에는 직접효과가 없었지만, ’자아존중감‘이 ’성태도를 억제하여 ‘성희롱 용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성태도’가 완전매개 역할(-.050; lo. -.111, hi. -.018)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성희롱 인식개선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대학생의 성 태도 및 성 행동에 관한 연구 -연변 1개 대학을 중심으로-

        박순복 ( Soon Bok Park ),조결자 ( Kyoul Ja Cho ),이명희 ( Myung Hee Lee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결과에서 연변소재 대학생의 성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53점으로 보수와 개방적 태도의 중간을 나타내고, 성경험은 수차례의 성관계를 경험한 경우를 7점으로 했을 때 본 연구결과는 평균 5.24점으로서 ‘성기를 중심으로 한 애무’(5점)나 ‘한 번의 성관계를 했던 정도’(6점) 사이의 성 행동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성 태도의 하부영역에서는 미래지향(2.76), 또래압력(2.66), 허용성(2.46), 부모가치 (2.02)의 순으로 나타나, 대상자들이 혼전 성관계에 대해 아직은 보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들의 성태도와 부모가치와는 차이가 있어 대학생들의 성 태도가 부모들의 성에 대한 가치보다 훨씬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성 태도의 하부영역 중에서 부모가치는 가장 낮아(2.02) 대상자의 생각에 자신의 부모는 자녀가 결혼 전까지는 혼전 순결을 지키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성 태도 중 미래지향 영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혼전 성관계가 자신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었다. 또래압력은 2순위를 나타내고 있어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성관계를 갖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본인의 허용성보다 친구들의 압력에 의한 성관계에 대한 허용성이 더 높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성경험의 점수가 평균 5.24점이라는 것은 성행동 척도에서 1점은 ‘손잡기’, 3점은 ‘키스‘, 5점은’성기를 중심으로 한 애무‘, 6점은’한 번의 성관계‘라는 것을 살펴볼 때 대상자는 보수적인 성 태도에 비해 성 행동은 훨씬 개방적인 흥미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성 행동 중 키스의 경험이 있는 학생은 50.9%, 단 한 번의 성관계 경험이 있는학생은 4.4%, 여러 번의 성관계 경험이 있는 학생은 8.1%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Chang(1995)의 연구에서 키스와 포옹을 79.7%로 보고 하였고, Kang과 Son(1998)의 연구에서는 이성교제 시 경험하는 이성과의 관계 정도는 키스 31.8%, 손잡기 27.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Hwang(2002)의 연구에서 성행동의 기준은 진한 애무부터가 성 행동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 61.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입맞춤이나 가벼운 포옹이 19.9%, 성관계가 15.8%, 손잡거나 팔짱 또는 어깨동무가 2.8%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중국 조선족 대학생과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성 경험은 12.8%로 최근의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자료를 찾기 어려워 비교할수 없었으나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계 미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60% 이상의 대상자들이 혼전 성경험을 한 것으로 볼 때(Huang & Uba, 2005) 문화적 가치에 따른 차이를 감안한다 할지라도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실제 성경험이 있어도 솔직하게 응답하지 않았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Lee(1994)의 연구에서는 31.2%가 성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Yeon 등(1997)은 대학생 2,3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27.9%가 성관계를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Ahn, Chung과 Lee(1997)는 대학생의 19%, Go(2001)는27.6%(남자 46.8%, 여자 14.5%), Hwang(2002)은50.3%(남자 61.2%, 여자 38.8%), Lee, Kim과 Lee(2003)는 대학생의 30%가 성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있다. 이와 같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들은 대학생들의 성 경험이 19%~50.3%의 다양한 보고를 하고 있는것과 비교할 때, 본 연구결과는 한국의 선행 연구결과들 보다는 성 경험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대상자들의 성 태도와 성 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성 태도의 하위영역 중허용성과 성 행동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가장 유의한 것은성 태도가 허용적일수록 성 행동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Son(2003)은 한국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허용적인 성 태도를 지닐수록 성 행동이나 성경험을 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대학생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관한 연구(Park, 2002)에서도 혼전 성 행동은 성 태도에 따라서 가장 많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학의 이론에 의하면 한 개인이 특정행동에 대해 갖게 되는 태도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하는데 행동은 곧 태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개방적인 성 태도를 가진다는 것은 성 행동도 개방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래압력과 성행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함께 어울리는 또래의 성 태도가 대상자의 성 행동과도 관계가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 또래집단의 성 활동이 적극적인 대상자들은 더 많은 성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으나(Page, Hammermeister, & Scanian, 2000), 남녀대학생들의 성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한 Yoon(1995)의 연구에서는 또래친구의 성 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반면에 여자고등학생들과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또래집단의 혼전 성경험이 응답자들의 혼전 성관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로 보고하면서 친한 친구의 성 태도와 성 행동이 청소년들의 성 행동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하는 것은 일관적이지는 않으나 나이가 들수록 친구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하였다(Herold & Goodwin, 1981). 본 연구에서 부모가치와 대상자의 성 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부모의 성 태도가 보수적일수록(허용성이 낮을수록) 대상자의 성 행동이 낮게 나타난 것은 자신의 허용적인 성 태도와 관계없이 부모의 성 태도가 자녀들의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도 부모의 감독은 청소년 자녀들의 성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mall & Luster, 1994). 대상자들의 성 태도가 허용적일수록 성 행동을 많이 하고, 성 허용성이 낮음에도 성행동이 개방적인 것은 전인교육 측면의 성교육이 필요함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본다. 성 태도 점수는 남학생(3.29)이 여학생 (2.2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로 높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훨씬 개방적인 성 태도를 가졌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남학생의 74.8%, 여학생의 46.5%가 혼전 성관계를 허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연구결과(Cho & Kim, 2001)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종교가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의 성 태도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어 종교가 없는 학생들의 성 태도 점수가 종교가 있는 학생들의 점수보다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종교가 이들의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 한국에서 발표된 ‘2006년 전국대학생 의식조사 비교분석 자료집’(Lee, 2006, godpeople.com)에 의하면 혼전 성관계에 대해 비기독대학생들은 15%만 부정적인 응답을 한데 비해, 기독대학생들은 59.6%가 ‘무조건 반대한다’고 응답해 성 태도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자가 중국의 사회주의 국가의 일원이나 기독교 학교의 재학생이며, 같은 기숙사에서 살고 있는 남녀 대학생들이므로 혼전 성태도와 성행동이 개방적인 결과를 보여준 것은 이들 대학생들 특히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성교육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한 번의 성 경험자(4.4%)보다 여러 번의 성 경험자(8.1%)가 많았던 것은 첫 경험이 어렵고 두렵지만 다음부터는 두려운 것이 덜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이다. Gruber와 Grube(2000)는 성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성지식을 습득하였을 때 성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고, 성에 관한 부정적인 정보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직접적인 성행동이 감소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교양과목에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성과 사랑, 결혼학 개론 등을 개설하고 시청각 교육이나 토론학습 등을 통해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근래의 중국 대학생의 성 태도, 성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결과와 직접적으로 비교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나 중국내 연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 태도와 성 행동을 처음으로 조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보며, 본 연구결과를 추후 연변 대학생들의 성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the related factors in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71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one university in Jilin, China. Correlation coefficiency and t-test were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s and to compar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Result: Although sexual attitude of participants was moderate, they were more likely to b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suggested that those who have a permissive sexual attitude were more likely to hav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ho responded that their parents have a less permissive attitude about sexual activity were less likely to b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behavior and other variables, such as dating,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smoking and grades. Conclusion: Students who have a higher score of sexual attitude and had an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were more likely to be at higher risk of being sexually.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Sexual Behavior of School Teenagers in Havana, Cuba

        마이빈 에레라 산체스,이가람,에디스 콘트레라스 디에고,루벤 데 아르마스 몰리나,남은우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20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1 No.1

        Background: Adolescence is a stage of human development that marks the beginning of several biological changes, and evolution of attitudes. Many Latin American, including Cuba, have reported risky sexual behaviors such as early initiation of sexual relations. This research aim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means of information, and behavioral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behavior of school teenagers in Cuba. Methods: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sexual and reproductive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October 2019.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means of information, behavioral factors, and sexual behavior. Results: A majority of the sample was female (64.2%), with a mean age of 16.9%. Out of 260, 45.3% identified as atheists, 39.2% of the students, felt religion is not important, 14% felt religion is very important, and 34% said it is important. Moreover, among the 260 respondents, 80.5% of the students reported having had sexual relations, and the average age of sexual debut was 14.65 years.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used contraceptive was 63.8%.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depic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exual intercourse, with males being 3.8 times more likely to have sexual relations. Religion had no association with sexual intercourse. However, age show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likelihood of having sex increased by 2.29 with each year. Regarding means of information, friends and school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 Conclusion: Age and gender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sexual behavior among school teenagers in Cuba.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ddressing sexuality among teenagers.

      • KCI등재

        폐경 전 유방암 수술 환자의 성행동과 영향요인 탐색 -트라이앵귤레이션 방법 적용

        김은자 ( Kim Eun Ja ),김명애 ( Kim Myung Ae ),김나현 ( Kim Na Hyun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4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0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xual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premenopausal women who have breast cancer and have undergone surgery. Methods: Seventy premenopausal women, ranging between 35~55 years of ag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xual behaviors were evaluated using the WSBQ-F (Wilmoth Sexual Behaviors Questionnaire-Female). The in-depth interview was analyzed utiliz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type of surgery, age, time of marri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chemotherapy, use of Tamoxifen, and radiotherapy in the sexual activities of premenopausal women with breast cancer. However, quality-related information utilizing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3 issues regarding sexual behaviors. Participants reported physical discomfort such as vaginal dryness, dyspareunia, emo-tional changes such as decrease in sexual confidence, and interaction-related changes such as mandatory sexual life, sexual intimacy with one`s partner, and being more active sexual behaviors. Conclusion: There were complex changes associated with sexual behavior after surgery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which included various events related to stress regarding sexual behavior. Communication between women with breast cancer, their partners, and medical caregivers has a ability to maximize the sense of sexual wellbeing while minimizing the sexual c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