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러의 인간학적 윤리학과 총체성 - 시간 속의 인간과 이념 속의 인간의 통일을 중심으로 -

        김민수 ( Kim Min-s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49

        이 글의 목적은 실러(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의 ‘인간학적 윤리학’을 해명하고, 그 목표가 인간학적 차원의 ‘총체성(die Totalitat)’에 있다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글의 중심 방향은 실러의 미학적ㆍ윤리학적 사상이 집약되어 있는 그의 대표 저작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일련의 편지)』(1795)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논하면서 이루어 진다. 본 논고를 통해 논자는 우선 실러의 윤리학적 인간학이 형성된 시대적 문제의식이 1789년 프랑스 혁명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있음을 분석한다. 여기서 분열된 인간의 극복이 실러 사상의 시대적 과제였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이 시대적 과제의 적극적 해결을 위해 실러가 ‘물리적 인간과 도덕적 인간의 대립과 통일’, ‘시간 속의 인간과 이념속의 인간의 대립과 통일’을 제시했음을 해명한다. 이 해명을 통해 논자는 실러 사상의 인간학적 윤리학을 해명하고 그 목표가 인간의 총체성 회복에 있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실러가 제시한 인간학적 총체성 개념이 헤겔에 의해서 역사철학의 차원으로 해석되면서 의미의 변형이 이루어진 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실러의 총체성 개념에 담긴 인간학적 의미를 부각시킨다. 그리하여, 결국 실러의 윤리학적 사상에는 우리 시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이상적이며 실천적인 의미가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nthropological ethics" of 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and to show that his goal is in the "totality (die Totalitat)" of the anthropological dimension.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article is to analyze his representative work, "Briefe uber die a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1795), which contains Schiller's aesthetic and ethical ideas. In this paper, the authors firstly that Schiller's ethical anthropology was formed in the times of the French Revolution in 1789. Here it is confirmed that the overcoming of the divided human being was a task of the time of the Schiller thought. Next, in order to solve this task positively, Schiller explains that he proposed 'confrontation and unification of physical and moral human' and 'confrontation and unification of Human in Time and Human in Ideology'. Through this clarification, the writer clarifies the anthropological ethics of Schiller thought and reveals that the goal is the restoration of the totality of man. Finally, the writer critically examines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anthropologic totality proposed by Schiller was interpreted creatively by Hegel and transformed the meanings, highlighting the anthropological meaning contained in Schiller's concept of totality. Thus, in the end, the writer suggests that Schiller's ethical thought has an ideal and practical meaning that can be applied to our time.

      • 유아교육에서 미적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 : Schiller의 『미학 편지』를 중심으로

        양혜련,임부연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2007 영유아보육연구 Vol.13 No.-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arts and aesthetic education as a critical alternative for reason-centered modem education. Schiller who had already forecasted the dark aspects of human reasoning in modern society, insisted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aesthetic education. In the book,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which includes his speculation about beauty and the naturc of man, Schiller emphasized perfect coexistence and unification of sensuous drive and formal drive human mind. In terms of Schiller, Play drive that is a combination of sensuous and formal aspect can foresee completion of man, and it is only possible through beauty and aesthetic education by the arts.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gives suggestion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abundant with the beauty, art, imagination, and play as those are also core part in Schiller's theory too. Especially, this article explored how beauty and arts are connected to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also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 of Schiller's aesthetic theory and direction of today'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asked more careful consideration about aesthetic appreciation and art education.

      • KCI등재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이념과 실천의 의미

        임부연(Lim, Boo-Yeun),양혜련(Yang, Hye-Ry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4

        본 연구는 교육의 본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하고 있는 Schiller와 Dewey의 미학이론을 비교학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의 이념과 실천에 대한 의미를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미학편지』로 대표되는 Schiller의 미학이론은 근대성을 비판하고 절대적 가치를 가진 미를 강조함으로써 유아의 영성과 놀이, 예술에 대한 근원적인 의미를 되새겨 미적인간의 완성이라는 유아교육의 이념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경험으로서의 예술』 등에서 나타나는 Dewey의 미학이론은 일상적 경험과 미적 경험의 통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 원리를 바탕으로 유아의 모든 경험이 미적경험이 되어야 한다는 유아교육의 실천적 측면에 시사하고 있다. 이들의 미학이론은 유아교육에서 상실되어가는 이념의 회복과, 유아교육 현장에서 직접적이고 실천되는 심미적 교육의 가능성을 전망할 수 있도록 한다. 관념론적이고 가상적인 Schiller의 미적인간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Dewey의 미적경험은 매우 대비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미를 통한 교육이라는 공통분모를 공유함으로써 교육의 본질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eanings of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through studying Schiller's and Dewey's aesthetic theories. According to Schiller's ideas mainly represented in Lett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he criticized modernism and emphasized beauty as an absolute value Schiller's ideas are reflected in the idea of the aesthetic ma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promoting children's spirituality and searching for the original meanings of play and arts. Dewey's aesthetic theories that are represented in Art as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have their roots on Pragmatism and they present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daily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Dewey's ideas imply the need of practical effo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make every experiences of the child aesthetic ones. With these two aesthetic theories, can we hope to recover the educational idea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expect that the aesthetic education can be realized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Even though these two theories have some opposing characteristics-Schiller's theory is idealistic and imaginary but Dewey's theory is specific and practical-they also have commonalities in the ideas of 'education through beauty' and hence they contribute to the esse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미적국가의 이념과 그 현대적 의미

        기정희(Ki, Jung-h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3 No.1

        이 연구는 Schiller가 제시한 미적국가의 이념과 그 현대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Schiller는 당시 정치적 혁명의 한계를 간파하여 인간의 미적교육에 의한 사회변혁을 주장한다. 이를 위하여 Schiller는 개인을 지양하는 기계적 국가로서의 근대국가를 비판하고, 고대 그리스 국가를 이상국가로 간주한다. 이 이상 국가는 인간내부의 분열이 지양되어 이성과 감성이 조화된 개인들로 구성되는 국가로서 인간의 총체성을 상실한 근대인과 근대국가가 지향ㆍ실현해야 할 국가이며 이것이 곧 미적국가이다. 미적국가는 형식적인 국가기구나 제도가 아니라 미적가상의 국가로서 취미의 보편성에 기초하는 소규모의 이상적 사회이며, 여기서의 아름다운 전달만이 사회를 통합한다. 미적국가의 이념은 미적교육에 의해 분열된 근대사회를 치유하기 위한 통합의 원리로서, 향후 독일의 뮤즈교육사상과 Beuys의 사회조각론의 원천이 된다. Schiller가 근대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시한 미적국가의 이념은 당대사회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출발하여 그 위기를 극복하려는 뮤즈교육과 사회조각의 근원이 된 것이다. 나아가 미적국가의 이념은 치유와 사회통합이 화두이자 키워드가 된 오늘날 우리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Die vorliegende Studie versucht Schillers Idee vom ästhetischen Staat und seine heutige Bedeutung zu untersuchen. Schiller behauptet die gesellschaftlichen Umwälzungen durch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nachdem er die Unmöglichkeit der politischen Revolutionen anerkannt hat. Schiller kritisiert, dass der moderne Staat die Individualität aufhebt, er versteht eine Staatsform der griechischen Polis als ideal. Nach Schiller ist das Bild eines idealen Staates die frei vom Individuum herbeigeführte Harmonie, in dem der innere Zwiespalt des Menschen überbrückt wurde und die sich durch ein harmonisches Zusammenspiel von Vernunft und Sinnlichkeit auszeichnet. Der Staat ist ein ästhetischer Staat, der seine Menschlichkeit verlorene Moderne und der moderne Staat, der nicht Individumm und Organisationentwicklung in einer engen Beziehung zu einander stehen, verwirklichen soll. Der ästhetische Staat als ein Staat des schönen Scheins ist eine ideale Gesellschaft, die auf der Allgemeinheit des Geschmacks basiert. Durch die schönen Mitteilungen ermöglicht eine gesellschaftliche Vereinigung. Die Idee vom ästhetischen Staat Schillers ist ein Prinzip der gesellschaftlichen Vereinigung, die Menschlichkeit durch die ästhetische Erziehung wiederherzustellen und die gesellschaftliche Spaltung zu heilen. Sie schafft die Grundlage für die musische Erziehung, sie ist auch Joseph Beuys' Prinzip der sozialen Plastik. Die Idee vom ästhetischen Staat, die Schiller entwickelt, um Krise der modernen Gesellschaft zu überwinden, bieten die beste Grundlage musischer Erziehung und der sozialen Plastik für die gegenwärtige Gesellschaft. Seine Ideen sind heute als Schlüsselwort für Heilung und Integration der Gesellschaft zu verstehen. Diese können auf unsere Gesellschaft genauso angewendet werden.

      • KCI등재

        프리드리히 실러의 비극 『오를레앙의 처녀』에 나타난 신앙과 이성의 문제

        이경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In this thesis, we examines the issues of faith and reason, focusing on the faith forming process of Johanna, the main character of Schiller’s drama Die Jungfrau von Orleans. In Schiller’s drama, Johanna’s fait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first, blind obedience to divine revelation, second, rational reflection on sin and faith, and third, realization of practical faith based on moral reason and divine grace. It is moral reason that is inevitably required in the development of Johanna’s faith. In this respect, the idea of the Christian faith that Schiller pursues is also consistent with Kant’s reason religion, since the core of Kant’s reason religion is to achieve the ideals of moral perfection based on human reason. In addition, criticizing the forms of blind faith and fanaticism that put the will of God first while excluding rational thinking is a point shared by Kant and Schiller. However, Schiller’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differ from that of Kant. Unlike Kant, Schiller acknowledges the traditional elements of Christianity that are outside the limits of human reason, such as revelation, grace, prayer and miracles. If Kant perceives Christianity through his own lens of reason religion philosophy, Schiller embraces reason religion based on revelation faith. In conclusion, Schiller reveals that the ideals of moral perfec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unity of human faith and reason. Thus, Schiller's drama, Die Jungfrau von Orleans, is considered a work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Kant’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and realizes the unity of revelation faith and moral reason through literature. 본 논문은 실러의 드라마 『오를레앙의 처녀』를 중심으로 주인공 요한나의 신앙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앙과 이성의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실러의 드라마에서 요한나의 신앙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신의 계시에 대한 맹목적 순종, 둘째, 죄와 신앙에 대한 이성적 성찰, 셋째 도덕적 이성과 신의 은총에 기반한 실천적 신앙의 실현이다. 요한나의 신앙 발전의 과정에서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은 도덕적 이성의 요청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러가 추구하는 기독교 신앙의 이념은 칸트의 이성종교 철학과도 부합된다. 칸트의 이성종교의 핵심은 인간의 이성에 기초한 도덕적 완전성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성적 사고를 배제한 채 신의 뜻을 앞세우는 맹신, 광신의 형태를 비판하는 것도 칸트와 실러의 공통점이다. 그러나 실러의기독교 이해는 칸트와 분명한 차이점을 드러낸다. 실러는 칸트와 달리 인간 이성의한계 밖에 있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요소들 -계시, 은총, 기도, 기적 등-을 인정하는 것이다. 칸트가 자신의 이성종교 철학의 렌즈로 기독교를 파악하고 있다면, 실러는 계시신앙 위에서 이성신앙을 수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실러는 도덕적 완전성의 이념을 인간의 신앙과 이성의 합일 속에서 실현 가능한 것으로 드러낸다. 그럼으로써 실러의 드라마 『오를레앙의 처녀』는 칸트의기독교 이해의 한계를 극복하고 계시 신앙과 도덕적 이성의 통일성을 문학적으로 구현한 작품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시문학에서의 경험적 시간 해석과 실러의 구성․논리적 시간에 대한 고찰

        김은하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0 No.2

        This paper analyzes the constitutive and logical problems of time that have been regarded as a dilemma in poetry and literature based on Schiller’s theory of time. In poetry and literature, time is mainly discussed in the subjective and semantic areas of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ime for Schiller is related to the principles of human thought that operate on the hidden side of the changing phenomena, breaking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experience. In particular, his concept of time is considered as a necessary element of ‘cognitive construction' in accepting and limiting the conditions of human internal and external change. However, Schiller's theory of time has not been handled independently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The main reason is that even Fichte who speaks the same language needs a precis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so much as to say “that you must translate everything to understand” Schiller’s poetically spoken text. In search of the constitutional and logical foundation of time wrapped in veils, first, this article considers the structural logic of the one - time and repetitiveness of the time in the works of Schimborgska, Goethe and Milan Kundera. And this paper reveals the principle of determination of invariant time that can not be incorporated into experience through Schiller’s theory of time. According to Schiller’s definition, “time is a condition of all things that are created and changed”. He sees time as a condition of succession by separating the problem of change of internal and external phenomenal states from time itself.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onstitutional state and principle of accidental and discontinuous recognition in Schiller's logic of time. It is assumed and implied that the different states are only self-evident in the successive conditions of time. So finally, this paper derives the logic of “accidental parallel state” inherent in Giyheongdo’s Christmas tree in terms of constructive time and redeterminats the change of discontinuous state by adding to Schiller’s theory of time. In essence, time is a condition of succession to discontinuous change and a fundamental condition of experience. ‣ 본 논문은 시문학에서 하나의 딜레마로 간주되어온 시간의 구성․논리적 문제를 실러의 시간론에 근거하여 분석한다. 시문학에서 시간은 주로 경험의 주관적․의미론적 영역에서 논구되어 왔다. 한편 실러에게 시간은 경험의 제약에서벗어나, 가변하는 현상들 이면에 작동하는 인간의 사고 원리들에 관계한다. 특히 그의 시간 개념은 변화하는 인간의 내․외적 상태들을 수용하고 규정(die Bestimmung)하는 데 있어 필연적인 ‘인식의 구성’ 요소로 거론된다. 그러나 그동안 실러의 시간관이 인식론적 관점에서 독립적으로 정초하게 다뤄진 적은 없다. 주된 이유는 같은 언어를 쓰는 피히테 조차도 시적으로 발언된 실러의 글을“이해하려면 몽땅 번역해야 한다”고 할 정도로 그의 텍스트는 정밀한 철학적해석을 요한다. 본고는 베일에 싸인 시간의 구성․논리적 근거(Grund)를 찾아, 먼저 쉼보르스카, 괴테, 밀란 쿤데라의 작품에 담지된 경험적 시간의 일회성과 반복성에 관한 구조 논리를 고찰한다. 그리고 경험에 편입될 수 없는 불변적 시간의 규정원리를 실러의 시간론을 통해 밝힌다. 실러의 정의에 따르면 “시간은 모든 생성하는 것들의 조건이다”. 그는 내․외적으로 현상하는 상태들의 생성․변화 문제를 시간 자체로부터 분리해, 시간을 연속의 관계 ‘조건’으로서 파악한다. 그런데 실러의 시간 논리에는 우연적이고도 불연속적인 인식의 구성 상태와 원리에대한 상세한 설명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다만, 시간의 순차적 조건 안에 상이한상태들이 당연한 것으로 전제되고 함축되어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본고는 그어떤 시보다도 “우연적 병렬 상태”에서의 구성적 시간의식을 명확히 보여주는기형도의 「성탄목」을 일례로 들어, 순차적 시간의식 너머에 가려진 시간의 병렬적 구성의 의미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실러의 시간론에서 미처 해명되지 못한 불연속적 상태 변화와 규정 가능성에 대한 구성 원리를 규명한다. 요컨대 시간은 불연속적 변화에 대한 연속의 조건이자 경험의 근원 조건이다.

      • KCI등재

        진정한 자유의 이상으로서 실러의 놀이충동의 미학 탐구

        김민수 ( Kim Min-su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7 No.-

        본 논고는 실러(J.C.F. von Schiller)의 미학에서 가장 독창적이자 핵심적인 개념의 하나인 ‘놀이충동(der Spieltrieb)’을 그의 텍스트 안에서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러 미학이 지니는 고유하고 풍부한 의미를 진정한 자유의 이상을 중심으로 밝혀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고는 ‘놀이충동’에 대한 실러의 다음과 같은 개념 정의를 분석하고 해명하면서 수행된다. 실러는 ‘놀이충동’을 ‘두 가지 충동, 즉 감각충동(der sinnliche Trieb)과 형식충동(der Formtrib)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제시한다. 상호작용의 의미를 해명하기 위해서 논자는 두 가지 충동의 대립적 성격을 나누어 분석하고, 또한 통합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논자는 두 충동의 제한과 화해에서 실러의 ‘놀이충동’이 진정한 자유의 이상을 지닌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을 서술한다. 본 논고를 통해서 우리는 실러의 미학에 대한 편견을 극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가 추구하는 미적인 인간의 자유로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실러의 미학이 오늘날 자유를 추구하는 현대의 우리들에게 유의미하고 진지한 성찰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will thoroughly analyze J. C. F. Schiller's conception of 'play drive'(der Spieltrieb) which is a central, and itself ingenious, concept in Schiller's aesthetics. Such analysis will lead us to expose the most original aspect of Schiller's aesthetic in terms of the ideal of true freedom. Schiller identifies 'play drive' as an 'interaction between two drives: the sense drive and the from drive'. We will analyze and explain Schiller's definition by showing the conflicting aspects of 'the sense drive' and 'the from drive' and show how such confliction could be taken consistently. We argue logically that only in the light of restriction and reconciliation of drives of sense and form, Schiller's concept of 'play drive' can be interpreted as the ideal of true freedom. Through this article, we can overcome much biased interpretations of Schiller's aesthetics. Moreover, we can gain abundant meaning of such a new interpretation. At last, Schiller's aesthetics may be viewed as providing abundant materials for meaningful and serious reflection on our contemporaries who are still seeking freedom.

      • KCI등재

        프뢰벨의 '놀이' 개념에 대한 쉴러 미학교육론의 영향

        김주환(Kim Ju Hwan),조상식(Cho Sang Sik)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3

        논문에서는 영향사적 이해 방식에 입각하여 프뢰벨 교육사상에서 핵심적인 놀이 개념과 쉴러의 미학교육론 사이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프뢰벨에 끼친 쉴러의 영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첫째, 놀이가 인간의 내적 충동과 욕구의 표현이라는 프뢰벨의 생각은 쉴러가 인간 존재의 본질을 해명하면서 제시한 '충동' 개념과 동일하다. 둘째, 프뢰벨이 규정한 은물의 세가지 형식 중 하나인 미적(美的) 형식은 쉴러의 미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이다. 셋째, 프뢰벨이 놀이와 창조적 사고의 관계에 대해 논하면서 제시한 '창조 충동'은 쉴러가 표상심리학의 관점에서 규정한 상상력 개념과 맞닿아 있다. 프뢰벨은 교육이 지닌 역할과 가능성에 더욱 관심을 보임으로써 규범적 이념성이 강한 쉴러 미학교육론의 형이상학적 한계를 극복하였다. 하지만 프뢰벨은 쉴러를 위시한 낭만주의 사상을 수용하면서 이를 범신론적으로 축소하여 이해한 약점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ects of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on Froebel's concept of 'play'. Especially, the emphasis in this study is on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in Froebel's educational thoughts. It is obvious that this work will allow a better understanding of Froebel's concept of 'play' and his educational thoughts. Froebel was influenced by romanticism, the spirit of the age. As a result, Froebel's educational thoughts were also affected by romanticism. For instance, concepts of 'Kindergarten' and 'gifts', made by Froebel, are associated with romanticism. Especially, it is obvious that Froebel was influenced by Schiller, one of the most famous German romanticist. There is three points that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influenced Froebel's thoughts. First of all, concept of 'play' is connected with 'impulse', the concept was made by Schiller. Secondly, form of beauty, one of forms of Froebel's gifts, is linked with Schiller's thoughts. Thirdly, Froebel's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creative thinking' is also influenced by Schiller's thoughts. However, there are some controversial issue. It is true that Froebel was directly linked to romanticism. However, his educational thoughts have some differences with previous German romanticists. This is because his educational thoughts were combined Schiller's thoughts with his pantheistic perspective. It caused in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romanticism. This is one of limitations of Froebel's thoughts.

      • KCI등재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낭만주의로의 전환

        정다영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科學 Vol.- No.9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fluence of Schiller on Schlegel's transition from neoclassicism to romanticism. Schlegel's Über das Studium der griechischen Poesie is an important work that confirms his Neoclassicism while also identifying the Romanticism inherent within him. Schiller's Über naive und Sentimentalische Dichtung, completed and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also provides important clues to Schiller's influence on Schlegel. This paper revolves around two questions. First, how did Schiller influence Schlegel's transition from neoclassicism to romanticism? Second, if Schlegel became a romantic under Schiller's influence, why did Schiller remain a neoclassicist? What were the differences in their views of modern literature? Lovejoy views Schiller's paper as a major influence on Schlegel's conversion to Romanticism, while Beiser argues that Schiller's paper rather led him to defend neoclassicism, and that Schlegel's ‘critique of Fichte's philosophy’ played a key role in his conversion. This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between Schlegel and Schiller’s two papers by comparing and identifying Schiller's influence on Schlegel, and by comparing the key concepts of ‘das Sentimentalische’ and ‘das Interessante’ that they both characterize as aspects of modern poets or modern poetry.

      • KCI등재

        `자기`의 끊임없는 생성, 유희 - 쉴러의 유희 개념을 중심으로 -

        전혜림 ( Jeon Hye-r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3

        본고는 랑시에르의 미학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쉴러의 `유희` 개념을 쉴러의 대표 저작인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를 중심으로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칸트와 쉴러로 대표되는 근대미학의 핵심 개념인 `유희`는 일종의 `거리두기`이며, 의지와 성향의 중지(거리두기)인 쉴러의 유희는 총체적 인간이 되기 위한 필연적인 조건이다. 랑시에르가 미적 실천을 통해 기존의 감각적인 질서와 단절함으로써 자기 해방의 가능성을 타진하듯이, 쉴러는 미적 실천으로서의 유희를 통해 새로운 집단적 삶의 방식을 구성하고자 했다. 새로운 공동체의 건설에 있어서 국가 제도에 의한 변화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주장하며 예술의 정치적 잠재력을 역설한 쉴러는 `미적 교육`에 의한 개인의 해방과 새로운 인간성의 형성을, 궁극적으로는 세계의 변화를 꿈꾸었다. 미적 교육론에 있어서 쉴러의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국가의 개혁은 제도에 의한 변혁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개인의 감성을 변화시키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미적 교육을 통한 감각의 총체적 혁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새로운 정치 질서 수립을 위한 혁명들을 완수하기 위해선 감각적 공동체가 조건으로 작동해야 한다는 랑시에르의 주장과도 공명한다. This thesis aims at scrutinizing Schiller`s concept of `Play`, which Ranciere regards importantly in his aesthetics theory, focusing on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Play, the core concept of modern aesthetics represented by Kant and Schiller, is a sort of self-alienation. Especially, Schiller`s play, the suspension of both will and inclination, i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otality of man`s being. As Ranciere pursues the possibility of emancipation by breaking up with the established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rough aesthetic practices, Schiller hoped to construct new way of collective life through play. Schiller argues that the change of institution has its limit in constructing new communities, so we needs to develop political potentialities of art. Therefore Schiller dreams emancipation of each individual and building new humanity, ultimately the change of the world, through aesthetics education of man. In sum, Schiller thinks the social reform by institution is not enough that we should change each person`s sensibility. That is to say, the revolution in sensibility has to take precedence over political revolution, and which resonate with Ranciere`s argument that sensuous community should come ahead in order to complete revolutions for new political order. However, Schiller emphasizes the aesthetic practices are mediated, and which is the difference from Ranci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