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프트웨어(SW) 창의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SW 관련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김인호,유미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인재상인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 해 도입된 SW 창의교육의 효과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SW 관련 진로지향도 에 대해 효과성 검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적용된 SW 창의교육 프로그램은 경기도 S시에 서 운영되고 있는 SW 교육 시범학교 운영 프로그램이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경기도 S시의 H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43명이며, 비교집단은 경기도 S시의 S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56명이 다. 수업은 학생들의 주도적인 실습을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SW 관련 진로지 향도에 대한 사전ㆍ사후 검사 후, 이원공변량분석(2-way 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효과와 처치-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W 창의교육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처치-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도 관찰되어 남학생의 경우 SW 창의교육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SW 창의교육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SW 관련 진로지향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처치-성별의 상호작용효과는 존재하였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셋째, SW 창의교 육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SW 관련 진로지향도의 향상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를 키우기 위한 교육으로서 SW 창의교육은 위와 같은 효과 가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으나, 다양한 검증 기준을 통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의무교육으로서 의 SW 교육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남학생에게만 특히 효과적인 교육이 아닌 남녀 모든 학생들에 게 효과적인 교육으로 설계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W creative education introduced to foster 'creativityㆍconvergence talent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he study on effectiven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W related career orientation has been carried out. The applied SW creative education program is a SW education model school operating program operated in S c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 students as experimental group in the 6th grade of H elementary school in S city, Gyeonggi province, and 56 students as comparative group in the 6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in S city, Gyeonggi province. The class focused on student-led practice. After the pre- and post-tes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SW-related career orientation, the two-way ANC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reatme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reatment-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W creative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 gender was observed. Second, SW creative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career orientation of SW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 gender existed but it did not reach to meaningful level. Third,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W related career orientation by SW education was more prominent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SW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human resources that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has been tested through this study.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through various verification standards. In order to become SW education as compulsory education, it should be designed for and applied to all students, not only for particular gender of students.

      • KCI등재

        SW교육에서 초등교원의 TPACK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임지영 ( Ji Young Lim ),진명화 ( Myunghwa Jin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TPACK을 중심으로 SW교육에 대한 교원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SW교육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SW교육 맥락에서 TPACK을 측정하는 도구를 제작하고 SW교육 실행 경험이 있는 현직 초등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SW교육에서 TPACK 역량의 보유도 및 중요도에 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TPACK 영역별, 세부 지식별로 보유도-중요도 차이, Borich 요구도 순위, Locus for Focus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후,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개선의 최우선순위와 차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TPACK의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와 보유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CK, TPK, TPACK에 대한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지식별 분석 결과 역시 모든 항목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가 유의했으며, 최우선순위에 포함된 세부 항목들은 공통적으로 CK나 PK를 포함하고 있었다. TPACK 영역 및 세부 지식에 대한 요구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SW교육 교원연수가 (1) SW교육에 대한 내용지식, (2) SW교육에서 학습자의 오개념 이해 및 방지, (3) 학습자의 이해도 평가 및 피드백 제공, (4) 교육내용, 교수방법, 테크놀로지의 총체적인 통합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으며, 교원 개인의 역량 향상 외에도 교육 환경 측면에서 (5) 개별화된 SW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지원이 필요하고, (6) SW교육과 관련하여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한 측면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eed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W education, focusing on TPACK, and deri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SW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TPACK was developed in terms of the context of SW education, and data was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from 13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implementing SW education.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TPACK area were analyzed. Then Borich ranking as well as Locus for Focus matrix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top and second priority for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garding all of the TPACK areas. Among these, CK, TPK, and TPACK were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for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W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eacher training for SW education focusing on: (1) content knowledge, (2)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misconceptions in SW education, (3) evaluating learners’ understanding and providing feedback, (4) integrating contents, pedagogy, and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teacher competencies, support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also suggested: (5) providing technical support for personalizing SW education, (6)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implement technologies i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 KCI등재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구축에 따른 SW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경규,이종연,손상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6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dels in software curriculum, the spatial construction is also very important. Recently, research on SW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is being conducted, but there is no standard model for future-oriented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Moreover, in actual school sites, there is a limit to the efficient operation of SW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xisting space.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by establishing a space for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strengthen SW-AI convergence education, and by proving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detailed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verifying the suitability for constructing a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e present a general guideline for the futur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construction model or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applicable to SW education or SW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after applying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o students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he reason is why teaching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orks effectively compared to the existing computer lab was investigated by the learner attitude survey, class satisfaction surve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measurement. Lastly, it is expected to provide more effect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pace construction model by constructing a space for strengthening SW-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교수·학습방법 및 모델과 함께 적합한 공간구축 역시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SW교육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SW교육 및 SW융합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미래지향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표준모델 또한 없다. 더욱이 실제 학교 현장에는 기존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SW융합교육 운영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을 구축하고 이에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효과성을 입증하여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그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여 SW교육 또는 SW융합교육에 적용 가능한 미래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모델 또는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둘째,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기존 컴퓨터실과 비교하여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수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이유를 학습자 태도조사와 수업 만족도 조사,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통해 알아본다. 끝으로 효율적인 SW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공간구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이론적실제적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공간구축 모델의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SW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SW교육 방안

        김자미,우호성,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enting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order to equip the pre-service teachers' SW education capability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expertise.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status and curriculum standards of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school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computer education department heads and profess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pinions were drawn for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compulsory completion of at least 3 SW-related courses, management of elective courses, and expansion of multiple majors, regardless of category. It also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infrastructure for SW liberal arts education and double major ope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irection for fostering the expertise of pre-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W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changes in teachers must be prioritiz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 competency. 본 연구는 예비교원의 SW교육 역량 함양 및 SW융합교육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 운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보ㆍ컴퓨터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현황 및 분석을 통해 개선 방향을 정립하였으며, 컴퓨터교육과 학과장을 포함한 교수진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중등 예비교원은 계열에 구분 없이 최소 3과목 이상의 SW 관련 과목 필수 이수, 선택과목 운영, 복수전공의 확대 등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또한 SW교양 교육 및 복수전공 운영을 위한 인프라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원의 변화가 우선되어야 함에 근거하여 예비 중등교원의 SW융합교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3수준 다층모형을 통한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및 SW교육태도 영향요인 분석

        박형용,안성훈,김종민,임현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nd SW education attitude using a 3-level multi-level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uter at home', 'SW competi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SW education satisfaction', and 'SW awarenes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omputational thinking while 'SW period of education' and 'SW education experience at after school' have a statistically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computational thinking. Second, 'SW awareness', 'SW education satisfaction' and 'gender'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s ​​of SW education attitude whereas 'SW period of education' has a slight negative influence on the change rate of SW education at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3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및 SW교육태도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 내 컴퓨터 유무’, ‘SW 대회 참가 경험’, ‘SW교육 만족도’, 그리고 ‘SW에 대한 인식’이 컴퓨팅 사고력 초기값에 정적 영향을, ‘SW교육 기간’과 ‘사전 방과후학교 SW교육 경험’이 컴퓨팅 사고력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SW에 대한 인식’, ‘SW교육 만족도’ 그리고 ‘성별’이 SW교육태도 초기값에 정적 영향을, ‘SW교육 기간’이 SW교육태도 변화율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즉 ‘SW교육 만족도’와 ‘SW에 대한 인식’은 사전 컴퓨팅 사고력 및 SW교육태도 모두에 정적 영향을, ‘가정 내 컴퓨터 유무’와 ‘SW대회 참가 경험’은 사전 컴퓨팅 사고력에만 정적 영향을, ‘SW에 대한 인식’과 ‘SW교육 만족도’는 사전 SW교육태도에만 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SW교육 기간’은 컴퓨팅 사고력의 변화율에 가장 큰 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SW교육태도의 변화율에는 미약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게임을 활용한 SW교육의 정의적 성과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강명희,박주연,윤성혜,강민정,장지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5

        소프트웨어가 산업의 구조를 변화시키면서 시장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이 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소프트웨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가진 인재양성 교육에 힘쓰고 있으며, 그 교육적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교육성과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인지적 관점에서 분석되고 있어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게임을 활용한 SW교육을 4차시 진행하고, 컴퓨팅 사고력 효능감, SW교육 태도, SW교육만족도로 구성된 정의적 성과에 대한 학습자의 SW중요성 인식과 학습몰입의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정의적 성과에 대해 SW 중요성 인식은 유의미한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몰입은 SW 중요성 인식과 정의적 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W교육을 설계하고 실행함에 있어 학습자의 SW 중요성 인식과 학습몰입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안한다는 데 의의가있다. As software transforms the structure of industry, it becomes a key measure in determining market competitiveness. Therefore, various educational efforts have been attempted in Korea to cultivate software professionals to secure software competitiveness. While previous studies had focused mainly on the cognitiv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the authors tried to focus on affective perspectives. The authors, therefore, aimed to analyz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recognition of software importance and learning flow on affective outcomes, such as efficacy of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attitude toward, and satisfaction with, software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3 sixth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oftware education. Results show that software importance and learning flow ha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affective outcomes; Learning flow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ware importance and affective outcome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affective outcomes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

        SW교육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관심 단계 및 개인적 특성과의 연관성 분석

        김해영,김수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SW) 교육이 초중등 교육 교과과정에 독립된 교과로서 도입되는 교육혁신의 실행을 앞 두고, 이에 대한 한국 교사들의 인식 수준 및 관심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George 외 (2006)의 관심단계 설문도구(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SW 교육 연수에 참가한 교사 92 명을 대상으로 연구 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재 교사들은 0-무관심과 1-정보적 단계에서 높은 관심 강도를, 그리 고 4-결과적 단계에서 가장 낮은 관심 강도를 보여, 비사용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교사들의 변인 에 따른 관심단계의 패턴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남교사들은 여교사들에 비해 4, 5, 6단계에 관심 강도가 높았다. 또한, SW연수를 받은 그룹, SW 소양능력이 높은 그룹, SW교육 경험이 많은 세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 해 4-결과적, 5-협동적, 그리고 6-재조명 단계에서 높은 관심 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현재 교사들 의 SW 교육에 대한 관심은 주로 SW 교육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는 정보적 단계에 있으나 2) 교사들의 관심 단계는 변인에 따라 달라지며 서로 다른 관심 단계 패턴을 보이고 3) SW 교육 경험이 많아질수록, 연수 경험이 있을수록, SW 소양 능력이 높을수록 교사들의 관심단계는 개인적 영역에서 SW 교육이 가져올 영향에 대한 영 역으로 점차 이동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SW교육의 정식도입에 앞서, 교사들의 관심단계를 확인 하고 각기 다른 단계에 있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교사 교육 및 교육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SW 교육 혁신의 원활한 도입 및 실행을 위해 중요한 과제임 을 시사하고 있다. In preparation for the adoption of software(SW) education in Korea by 2018, this study examined Korea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W educatio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we conducted a survey of 92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troductory level of SW teacher train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1) the teachers’ profile follows the typical nonuser pattern focusing on more self-concern, with the strongest intensity at Stage 0-Unconcerned and 1-Informational concern and the lowest at Stage 4-Consequence. However, teachers’ stages of concern differed from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Male teachers exhibited more concerns at Stage 4-Consequences, Stage 5-Collaboration, and Stage 6-Refocusing than female teachers. In addition, the teachers with higher SW proficiency, SW training experiences, and longer SW teaching experience showed higher intensity at Stage 4, 5, and 6 than their counterpar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mplementation of SW education would be effective and facilitated when teachers receive on-going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supports based on their individual concerns.

      • KCI등재

        대학의 전공 맞춤형 교육 콘텐츠에 따른 SW 기초교육의 교육 효과성 탐색

        서주영,신승훈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3

        Recently, SW education for non-majors has become a trend with major-friendly SW education being offered to differentiate useful educational content for each major. Through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where main contents were 'humanities - computational thinking, business/social science/medicine - data analysis, and natural science/engineering - programming', we analyzed the effect of SW education using 46 metrics in four areas consisting of ‘SW awareness, confidence, thinking-ability, and literacy.’ As a result, natural science/engineering clearly prevailed over other majors in the absence of educa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majors disappeared after education. Humanities/business/society science which had a low initial level, showed an even increase in all evaluation metrics, while natural science/engineering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is result is related to ‘programming’ education, which is the main educational content in natural science/engineering. It has also been shown that computational thinking and data analysis contents contribute to enhancing SW education effectiveness for humanities/business/social science majors.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elicit a discussion on directions of improvement in major-customized SW education.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SW 기초교육은 전공계열에 따라 유용할 교육 콘텐츠로 학습하는 전공 맞춤형 SW 교육이 대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문계열-컴퓨팅사고, 경상/사회과학/의학계열-데이터분석, 자연과학/공학계열-프로그래밍’을 주요 교육 콘텐츠로 하는 A 대학의 사례연구를 통해 전공 맞춤형 교육 콘텐츠에 따른 SW 기초교육의 효과성을 ‘인식, 자신감, 사고력, 문해력’의 4개 영역 46개 문항의 평가지표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 전의 초기 수준에선 이공계열(자연과학/공학)이 다른 계열에 비해 모든 지표에서 확연히 우세했으나, 교육 후 전공계열 간의 차이가 사라짐을 확인했다. 특히 초기 수준이 낮았던 문과계열(인문/경상/사회과학)은 교육 후 모든 평가지표가 고르게 상승한 반면 초기 수준이 높았던 이공계열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이공계열의 주 교육 콘텐츠인 프로그래밍 교육과 연관되며, 유의미한 상승을 보인 컴퓨팅사고와 데이터분석 교육은 주 수강대상인 문과계열의 교육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사례분석을 통해 전공 맞춤형으로 진행되는 비전공자 SW 교육의 개선 방향을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로봇SW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이정민(Jeongmin Lee),최형신(Hyungshin Cho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로봇소프트웨어교육(이하 로봇SW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초등로봇SW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3~6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65명을 대상으로 로봇SW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초통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의 학부모가 로봇을 보거나 들어본 경험이 있었다. 둘째, 학부모는 로봇활용교육이 학생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생들의 흥미, 창의력, 이해도, 문제해결력과 같은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반면 사용시간 통제, 교사의 업무과다 등의 문제 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는 SW교육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넷째, 학부모는 로봇SW교육이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초등학생의 경우 인성 교육 및 전인 교육이 중요한 시기이므로, 먼저 인성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초등로봇SW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parent awareness in Software(SW) education using robots as basic data for SW education using robots. We conducted surveys with 65 parents who had third to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A primary school in Gangwon-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robots. Second, parents recognized that SW education using robots would be useful for students, and they expected that it w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necessary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future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computer addiction and teacher overwork. Third, the parents seemed to be positive about the usefulness of SW education. Fourth, parents expected that SW education using robots would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However, for primary school students, personality education would be also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SW education using robots in primary schools were discussed.

      • KCI등재

        SW교육에서 중학생의 핵심 역량 분석

        허희옥,임경희,소원호,박홍준,서정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alyzing core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W education. Since 2015,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W education as a nation-wide educational policy. Middle schools have operated information classes as a core subject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8. Over 34 class hours for the information subject were organized in middle schools and 17 hours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W education is to foster creative individuals with computational thinking. The core competency enhanced in SW education include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information ethics. This study measured the competencies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received information classes in 2018. In total, 2,949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tool was related to the problems about a vending machine, and the type of test items was a multiple choice type with five options. Also, the interest and self-efficacy about the information subject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using 10 items with five-point Likert scale. The measurement took about 50 minutes in total. As a result, the SW education competenc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5.45 out of 13 points. In the additional analysis of learner characteristics, girls students outperformed boy students. Also, students who have more interest and self-efficacy on information subject outperformed students who have less interest and self-efficacy. However, such factors as class hours and learning content had littl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ents’ competency in SW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SW교육을 통하여 길러질 수 있는 중학생의 핵심 역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에 국가 교육 정책으로 시작된 SW교육은 2018년에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면서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SW교육은 초등학교에서는 실과 수업에서 17시간 이상, 중학교에서는 정보 수업에서 34시간 이상으로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SW교육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창의 인재 양성에 있으며, 핵심 역량은 컴퓨팅 사고력과 정보문화소양이다. 우리나라에서 SW교육이 전방위적으로 실행되면서, 교육 전문가들은 SW교육의 교육내용과 방법, 평가 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는 정보 교육의 실행 첫해에 중학생을 대상으로 SW교육 역량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2018년에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에 따라 정보 교육을 받은 중학교 1학년 2,949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가 도구의 내용은 자동판매기를 소재로 한 문제해결 과제이며, 총 13개의 5지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학생들의 정보 교과에 대한 흥미와 효능감 평가 도구는 5단계 라이커트 척도를 이용한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체 평가 시간은 약 50분 내외로 소요되었다. 그 결과, 중학교 학생들의 SW교육 역량은 평균 5.45점(13점 만점)으로 조사되었다. 학습자 특성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정보 교과에 대한 흥미와 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SW교육 역량이 더 높았다. 하지만, 교육 환경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