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청의 교육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 분석 :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업무정상화 사례를 중심으로

        윤정인(Yoon, Jung-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2015년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업무정상화 정책결정과정에서 행위자들이 어떠한 형태로 상호작용하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주요 연구 자료를 수집한 뒤,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광주교육청의 정책 담당자는 정책결정과정에 비공식적 행위자를 참여시켰으며, 행위자 간 조정, 설득, 협력, 갈등 형태, 협력과 갈등의 공존, 연합 형태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공식적 행위자와 비공식적 행위자와 비공식적 행위자간의 상호작용이 많이 발견되었다. 공식적 행위자는 비공식적 행위자의 정책 거부로 인해 갈등하는 한편,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비공식적 행위자와 의견을 조정하고, 협력하고 있었다. 즉, 지방정부의 공식적 행위자는 정책결정의 법적권한이 있음에도 민주적 소통을 기반으로 상호작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이처럼 정책결정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했던 이유는 학교업무정상화 정책이 직선제 교육감에 의해 추진된 정책이며, 정책 운영의 자율성과 행위자의 협력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ctors interaction types on local government s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 of teacher s workload reduction policy in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do thi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action types of policy actors. As a result, official actors of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llowed non-official actors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 making. The study examined modes of interaction such as conciliation, alliance.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s were mostly happened between official actors and non-official actors, and among non-official actors. Some official actors had been in conflict with non-official actors because of their objection to the policy. On the other hand, they had cooperated in the steps of choosing out the alternatives. The study found the possibilities of harmonious interaction as local government s official actors to play vital role as a partner in decision making process. The outcomes of the study is based on some circumstances. First, the policy is addressed by superintendent, who shall be elected by the local citizens including non-official actors. Second, the policy stresses actors autonomy and cooperation.

      • KCI등재

        정책네트워크를 통해 본 라오스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형성과정과 변화

        이주형 ( Joohyung Lee ),윤순진 ( Sun-Jin Yun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최빈국인 라오스를 대상으로 국내외 관련 정책행위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정책네트워크란 관점에서 라오스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형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 정책행위자들과 행위자들간 상호작용의 형태, 행위자들간 네트워크의 변화 양상과 변화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라오스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흐름은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시기는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정책의제로 설정되기 시작한 의제형성기로서 적응에 관한 관심이 적었다. 두 번째 시기인 정책형성기에는 수자원환경청이 주도하여 최초의 기후변화 적응정책보고서인 국가적응행동프로그램이 수립되었으며, 다양한 정책 행위자들이 등장하여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세 번째 시기인 정책채택기에는 천연자원환경부 하부조직으로 기후변화 담당 독립 부서가 설립되어 유관부처간 협력을 조율하였으며, 국가의 사회경제개발계획에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원탁회의 하위그룹으로 환경ㆍ기후변화 부문이 조직되었으며, 라오스 사회경제개발계획에 기후변화 정책이 통합되었다. 라오스 기후변화 적응 정책네트워크는 기후변화 정책을 전담하는 행정조직을 통한 역량강화와 국제사회 지원을 바탕으로 한 기후변화 적응정책 형성, 원탁회의 내 기후변화 관련 하위그룹 형성 등이 주요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여 변화해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라오스를 비롯해서 최빈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 형성과 적응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전담 인력을 양성하고 전담조직 구성을 지원하며 이들과 협력하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역량 형성을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formation of and changes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network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domestic and foreign policy actors in Lao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east 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licy networks and interactions among main policy actors. It turned out that the flow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in Lao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of policy agenda-setting in which the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Agency played as a focal point was the period of preparatory for the development of adaptation policy with a low level of interest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second period of policy-making in which the Water Resource and Environment Administration led climate adaptation policy making process brought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climate change adaptation report called the "National Adaptation Programmes of Action" and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with diverse policy actors. The third period of policy-adopting when th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 has led policy-making process brought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Disaster Management and Climate Change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n charge of climate change. This department mediated the cooperations among the policy actors. To conclude, this study shows that the capacity-building with establishing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in charge of climate change, the adaptation policy-mak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s with international actors, and the creation of the sub-sectoral working group for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of the Round Table Meeting worked as main influential factors and brought changes in climate adaptation policy networks. This study result implies that support for climate adaptation capacity building of developing countri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s essential, while supporting training manpower and establishing organizations dedicate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adaptation policy formation and strategy development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Laos.

      • KCI등재

        지역컨벤션산업정책에 있어 정책행위자의 역량, 거버넌스 형성, 정책성과 간의 관계구조 연구

        이연택,주현정,김경희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policy actors' capacity, governance formation, and policy outcome in local convention industry policy, especi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governance 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cal stakeholders' capacity and local government capacity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al and operational factors of governance, and that the structural and operational factors of governance influence on policy outcome. Local stakeholders' capacity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governance formation and its operation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ing relationship on policy outcome. The study also found that governance formation mediate the effect of the policy outcome. These results revealed that governance formation was important to deliver better policy outcomes, and that policy actors‘ capacity must be enhanced to form governance. The study suggested that policy actors' network be invigorated, local government's adjustment and support be strengthened, improving the operational factors of governance. 본 연구는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행위자의 역량과 거버넌스 형성, 정책성과 간의 관계구조를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지역컨벤션산업발전을 위한 정책행위자의 역량배양과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구성하였으며, 서울과 부산의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행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행위자의 역량을 구성하는 세부요인인 이해관계자 역량과 지방정부 역량은 거버넌스의 구조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을 형성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거버넌스의 구조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은 정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특히, 이해관계자역량과 운영 거버넌스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접효과 분석결과, 거버넌스 형성은 정책행위자의 역량과 정책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컨벤션산업정책의 정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거버넌스 형성이 중요하며,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정책행위자의 역량배양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정책이해관계자간 네트워크조직인 MICE Alliance의 활성화 및 지방정부의 조정과 지원역할 강화, 그리고 거버넌스의 운영적 요소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Just like Korea in the 1970s? Slow Policy Transfer and the Fiction of Familiarity

        Cuz Potter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4

        Purpose: Practitioners are often tempted to accelerate the policy transfer process by taking shortcuts on the basis of reductive comparison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This, however, often hinder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ransfer. To improve the policy transfer process and thereby the policies implemented, this paper introduces an actor-network theoret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policy transfer. By employing Korea’s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as a case, the paper also seek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ransfer from Korea to its development partners. Originality: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policy transfer by introducing and adapting the Translation model of scientific knowledge production to policy transfer. This model allows for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knowledge production in the policy transfer process and introduces the notion of “slow policy”. Methodology: The paper adopts a multimethodological approach. It first draws on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to compare Korea’s historical conditions with its development partners’ contemporary conditions. It then employs the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iterature to develop an improved model of policy transfer. Finally, existing literature is employed to apply this model to the KSP. Result: This article establishes first that Korea in its development decades wa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its priority development partners today. It then introduces “slow policy”, which entails deeper engagement with recipients in formulating problems, conducting analyses, and developing more robust policies.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 slow policy model suggests that time constraints inhibit the KSP’s capacity for producing co-learning outcomes and for developing truly custom-tailored policy recommendations. Slowing down implementation and extending personnel exchanges would produce deeper mutual learning, improve policy recommendations and implementation, and cultivate a new generation of experts.

      • KCI등재

        Just like Korea in the 1970s? Slow Policy Transfer and the Fiction of Familiarity

        James William Potter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4

        Purpose: Practitioners are often tempted to accelerate the policy transfer process by taking shortcuts on the basis of reductive comparison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This, however, often hinder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ransfer. To improve the policy transfer process and thereby the policies implemented, this paper introduces an actor-network theoret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policy transfer. By employing Korea’s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as a case, the paper also seek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ransfer from Korea to its development partners. Originality: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policy transfer by introducing and adapting the Translation model of scientific knowledge production to policy transfer. This model allows for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knowledge production in the policy transfer process and introduces the notion of “slow policy”. Methodology: The paper adopts a multimethodological approach. It first draws on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to compare Korea’s historical conditions with its development partners’ contemporary conditions. It then employs the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iterature to develop an improved model of policy transfer. Finally, existing literature is employed to apply this model to the KSP. Result: This article establishes first that Korea in its development decades wa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its priority development partners today. It then introduces “slow policy”, which entails deeper engagement with recipients in formulating problems, conducting analyses, and developing more robust policies.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 slow policy model suggests that time constraints inhibit the KSP’s capacity for producing co-learning outcomes and for developing truly custom-tailored policy recommendations. Slowing down implementation and extending personnel exchanges would produce deeper mutual learning, improve policy recommendations and implementation, and cultivate a new generation of experts.

      • KCI등재

        Policy Learning without a Policy Guide? A Pilot Program fo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in Korea 1981-1985

        LIM Sang hun(임상헌)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6

        의약분업은 한국의 전통적인 의료시스템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어딘가로부터 학습해온 정책일 것이다. 그런데 이 정책을 가르친 ‘교사’는 누구일까? 이 연구는 1980년대 초반 목포에서 시행된 의약분업 시범사업 과정에서 나타난 국내 행위자들, 특히 의사협회와 약사회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정책학습이라는 것이 실제로는 국내의 행위자들의 정책해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외국에 특별히 정책의 ‘원조’가 없다고 하더라도, 기존 정책을 변화시키는 데 이해관계를 가지는 행위자들이 개혁 요구를 정당화하는 방법으로 외국, 특히 ‘선진국’을 활용하고자 할 때 외국의 관행을 정책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정책학습을 ‘만들어낼 수’ 있다.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SPD) is by no means a traditional pharmaceutical system in Korea-it is something learned from outside. But who is the policy guide? By examining the roles of domestic policy actors, especially medical and pharmaceutical associations in the policy process of the pilot program for SPD conducted in Korea in the early 1980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policy learning can in fact be no more than a process of interpretation among domestic actors. Policy learning can be formulated even in the absence of a specific “original policy,” by a group of actors, who are interested in challenging the status quo, finding the ground of justification abroad,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and are ready to reconstruct their culture or convention as a “policy.”

      • KCI등재

        일본의 북극정책 형성과 정책화 과정

        유시현 ( Sihyun Yo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본의 공세적 해양정책에서 북극정책이 등장하게 된 요인과 배경에 관하여 고찰한다. 특히 정책형성의 주요행위자로서 민간 싱크탱크의 역할에 관하여 고찰한다. 연구방법: 이 논문은 일본정부 북극정책관련 자료, 해양기본계획과 사사카와평화재단 해양정책연구소가 완성한 정책제언을 중심으로 하는 문헌분석 방법이다. 연구내용: 해양정책연구소는 북극관련 분야별 전문가 회의, 정기적 논의를 통해 북극정책을 위한 제언을 완성했고, 정부에 정책제언을 통해 북극정책의 중요성을 전달하여 그것이 일본의 북극정책의 핵심요소가 되었다. 결론 및 제언: 일본의 북극정책성립은 ‘지식형성 주 행위자’로서 사사카와 평화재단의 적극적 지식형성, 지식확산의 역할이 존재한다. 향후 공표될 제4기 해양기본계획의 북극정책에 관하여도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nd backgrounds of the emergence of Arctic policy in Japan’s offensive maritime policy. In particular, I examine the role of private think tank as a major actor in policy formation.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data related to the Japanese government’s Arctic policy, the Basic Plan on Ocean Policy, and the policy proposals of the Sasakawa Peace Foundation’s Ocean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Ocean Policy Research Institute completed the proposal for Arctic policy through expert meetings and regular discussions in each Arctic-related field, and conveyed the importance of Arctic policy to the government through policy proposals, which became a key element of Japan’s Arctic policy. In the establishment of Japan’s Arctic policy, there are the Sasakawa Peace Foundation’s active knowledge formation and knowledge diffusion role as the “knowledge-framing key actor”. Active review on the Arctic policy of the 4th Basic Plan on Ocean Policy, which will be announced in the future,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한국군 구조개편정책의 결정요인 분석

        김동한(Donghan Kim)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본 논문에서는 한국군 구조개편정책의 정책결정요인을 규명하였다. 군구조 개편의 사례로는, 지휘구조 개편을 핵심으로 한 노태우 정부의 818계획과 병력구조 개편을 중핵으로 한 노무현 정부의 국방개혁2020이 대표적이다. 특히 두 사례는 행정부 차원의 정책입안과정과 의회 차원의 심의과정을 거친 대표적인 군구조 개편정책 사례로서, 주요 정책결정요인을 행정부와 의회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었다. 정책결정요인 규명 결과를 토대로 군구조 개편정책의 결정구조를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의 군사전략 변화와 대통령의 인식 및 의지에 의해 기존 군구조 정책의 개편문제가 대두되면, 행정부차원에서는 대통령의 정책선호와 육ㆍ해ㆍ공 3군의 권력격차 요인이 국방부의 정책입안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의회심의과정에서는 보수성향 정책연합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을 경우,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그들의 정책선호를 실현하게 된다. 하지만 보수성향 정책연합이 수적 우위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도 이들의 정책선호를 실현할 수 있는 기제로서 지배적 행위자가 존재한다. 지배적 행위자는 군구조 문제에 관한 지배적 정책패러다임을 진보성향 정책연합의 구성원들에게 설명ㆍ이해ㆍ설득시킴으로써, 지배적 정책패러다임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종적인 군구조 개편정책이 산출되도록 관리한다. 따라서 군구조 정책의 경우, 지배적 정책패러다임을 공유하는 보수성향 정책연합의 정책선호가 최종 정책으로 산출되는 구조가 한국사회에 공고화되어 있으며, 그러한 정책결정구조가 장기적 안정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analyzes the policy making determinants of the military reorganization policy. The 818 Plan under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which focusing on reorganizing the command structure and the Military Reform 2020 under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hich laying emphasis on reforming the military forces structure pursued great change in the military structure policy. In particular, these two cases underwent the policy establishing process by the adminstration and the policy deliberating process by the National Assembly. Thus they could be representative military reorganizing policy cases, so the main policy determinants could be illuminated at th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level.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policy making process and the determinants of the military reorganizing policy, the policy making structure is the following. As the issue restructuring the ex-military structure policy is on the rise by the change in US military strategy and the president’s recognition and volition, the president’s policy preference and the power gap among the three armed forces have influence o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t the Executive level. In case the conservative policy coalition hold a majority of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deliberation process, the policy preferences of the conservative coalition come to realize by the majority of seats. However, although they don’t hold a majority of the National Assembly, their policy preferenc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role of the dominant actor. The dominant actor gives both coalitions the explanation of the dominant policy paradigm, and manages not to damage the paradigm. In this policy making structure, even though the military restructuring policy which established at the executive level is against the dominant paradigm, it could be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through the deliberating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refore in case of the military restructuring policy, the policy making structure that the policy preference of the conservative policy coalition sharing the dominant policy paradigm is reflected on the final policy has been consolidated in Korean society, and such policy making structure will be stable for a long period.

      • KCI등재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탐색

        여관현 ( Kwan Hyun Yeo ),송영민 ( Young Min So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이론의 탐색적 고찰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정책네트워크 이론을 관광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의 틀과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은 정책네트워크의 개념과 연구동향, 그리고 관광정책네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관광 연구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관광 연구를 위한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구성요소는 관광정책에서의 대내적 환경, 주요 행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조와 같이 4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에서 정책네트워크를 둘러싸고 변화되는 관광정책의 대내적 환경은 중요한 분석 요소이다. 관광정책에서의 대내적 환경은 관광정책과 관련하여 분석의 시간적 범위에서 제도적·정치적 환경을 분석하고, 관광산업의 정책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밝혀내는 것이다. 둘째, 주요 행위자는 직접적인 행위자와 간접적인 행위자로 구분된다. 즉, 행위자의 선호, 목표, 참여 동기, 역할, 이해관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상호작용은 관광정책네트워크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관광정책에서 주요 행위자들은 그들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복잡한 관계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정보의 교환관계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은 그 교환의 내용이나 관계의 형성이 중요하다. 넷째, 네트워크 구조 또한 관광정책네트워크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네트워크 구조는 주요 행위자간의 개방성을 기반으로 하여, 그들 간의 네트워크 형태와 권력 또는 갈등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he theoretical aspects of analysis in tourism policy network.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apply theory of policy network analysis to tourism industr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ur components of the tourism policy network analysis. There are the tourism policy environment internally, the main actors, interactions, network structures. First, the policies surrounding tourism network environment is an important element of analysis. The internal environment as respect to the analysis of the tourism industry is for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nalysis. Second, the main actors in the tourism polic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network analysis. The main actors can be divided into the direct and indirect actors. Third, the inter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of tourism policy network. The exchange of information takes place in relation to the exchange of the content or form of the relationship. Fourth, the network structur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ourism policy network. Network structure can show that tourism policy network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in actors or structured forms of conflict and resolution, and also show activities between key actors influencing the others.

      • KCI등재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정책의 발전과 과제: 정책대상-제도-행위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영석 ( Youngseok Lee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3

        정책목표의 범위를 산업경쟁력 강화와 경제성장을 넘어 삶의 질 향상으로 확장하는 제3세혁신정책 패러다임이 확산됨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 등 사회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기술정책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2007년 이후 추진이 확대되어 온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정책의 발전과정과 과제를 정책대상, 정책 행위자, 제도의 3가지 정책구성요소와 각 요소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시스템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공중의제 또는 정부의제로 채택되는 사회문제의 증가와 다양한 행위자의 정책과정 참여확대가 상호작용하며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정책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도도 사회문제 및 행위자와의 상호작용 속에 구체화되며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사업의 체계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효과적인 정책추진을 위해서는 사회문제의 유형화를 통한 차별적 정책적용과 함께, 연구자 등 공급자로서의 정책 행위자, 그리고 이들이 정책수요자와 갖는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정책 행위자의 개방형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확충도 실천적 논의가 필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특정 정책의 발전과정을 정책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이라는 시스템적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며, 또한 실질적 측면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을 3세대 혁신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정책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Policy demands on utilizing science and technology for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after the advent of the third generation innovation policy paradigm that pursues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in parallel with economic development as goals of innovation poli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issues of Research and solution development policy of Korea based on three policy system elements - policy targets, policy actors and institutions - and interactions of these elements. The increase of social problems those adopted as policy agenda of government has an effect on the scope of policy actors such as NGO, people in general who are participated in policy processes and vise versa. It is also identified that institutions those guide and systemize these process are evolved in the interactions with other two elements. On the based of these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three policy issues that includes classification of various social problems, research concerns on supply-side policy actor such as researchers and additional introduction of official policy instruments to promote open participation of people in general in solution finding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