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F. Bollnow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

        강기수(Gang, Gi Su),최은주(Choi, Eun 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O. 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와 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본질을 탐색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육자 관계의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Bollnow는 모든 교육 현상을 유아와 교육자의 존재와 관계에 근거하여 유아와 교육자를 존재 그 자체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둘째, Bollnow의 교육적 관계론은 유아와 교육자에게 교육현장에서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극복하고 신뢰에 근거한 안정감과 희망을 갖게 한다. 셋째, Bollnow는 유아가 자발적으로 교육을 받고 싶어하는 교육적 의지를 지닌 존재임을 주장함으로써 새로운 유아관을 제시한다. 결국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론은 현재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관계부재, 교육 당사자 간 불신 등으로 야기되고 있는 교육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educators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O. F.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and its nature of educational relationships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is, reveal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nature of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s as following. First, Bollnow understands all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the existence and relationship of infants and educators, and understands infants and educators as beings themselves, and attempts a concrete and essential approach to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such understanding. Second, Bollnow’s educational relations theory allows children and educators to overcome the negative atmospher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gives them a sense of stability and hope based on trust. Third, Bollnow proposes a new preschool by asserting that the child has an educational willingness to voluntarily receive education. After all, the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relationship theory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s a clue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relation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distrust among the educational parties.

      • KCI등재

        O. F. Bollnow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적 의의

        강기수 ( Gi-su Kang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란 무엇이며, 이러한 교육적 분위기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Bollnow의 교육 적 분위기의 사상적 전통과 의미를 고찰하고, 교육적 분위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그 양면성을 아동의 측면과 교육자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다음, 이러한 분위기가 지니고 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Bollnow는 교육적 분위기에 대한 주장을 통해 교육을 아동과 교사의 존재와 삶에 관련되는 교육적 관계와 기분에 주목하여 고찰함으로써,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 본질적 접근을 시도 하였다. 또한 교육실제에서 교육자의 기분뿐만 아니라 아동의 기분과 태도를 중시하여 아동 을 교육의 주체로 인정하고, 아동의 내면에 교육적 의지가 존재하며, 아동이 교육받고 싶어 하는 존재임을 인정하여 아동을 새로운 교육적 지평에서 이해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교육적 분위기는 단순히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교육 의 성립과 성공적인 교육 실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육자와 아동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에서 기인하는 기분을 핵심 요소로 하는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는 갈등과 불신의 분위기가 만연해 있는 한국 교육 현실에 바람직한 교육적 분위기 조성 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is and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purpose, it first reviewed ideological tradition and meaning of the Bollnow``s pedagogic atmosphere; it divided the double-sidedness, which was the feature of the pedagogic atmosphere, into children``s aspect and educators`` aspect; and then, it attempted to determine to look into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According to result of the research, Bollnow paid attention to and understood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feelings related to existence and life of children and teachers through an assertion of the pedagogic atmosphere; he sought specific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on; and, he recognized childr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by focusing on not only feelings of educators but also feelings and attitude of children in education field. In addition, it made it possible to have new educational understanding about children by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educational will existed inside children and children wanted to be educated; it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educators and children and on feelings based on such relationships; and so, it made us know that the pedagogic atmosphere was essential element for establishment of education and successful education. Especially,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may provide a clue to create desirable pedagogic atmosphere in Korea education reality under which atmosphere of conflict and distrust is prevalent.

      • KCI등재

        Bollnow‘교육자의 미덕’의 관점에서 교직의 삶에 관한 연구:

        김성희(Kim, Sunghee),신현기(Shin, Hyunk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O. F. Bollnow의 교육자의 미덕(‘Pädagogische Tugend’)의 개념을 통해 한 특수교사의 교직에서의 삶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그의 사상은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으로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화들과 함께 ‘좋은 특수교사’양성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경향과의 연결점이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그동안 특수교사에게 존재해 왔던 감정적, 정서적 태도가 표준화, 도구화, 조작화, 정형화 등의 틀 속에 가두어져 있음으로 해서 특수교사가 가지고 있었던 미덕을 놓쳤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한 특수교사의 교직에서의 삶을 통해서 특수교육 현장에 존재해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특수교사의 미덕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특수교사의 미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의 열정에 관한 실존적 고민과 교사로서의 본래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적 상심이다. 둘째, 자신에게 갚을 가능성이 없는 존재를 이롭게 하는 이타성과, 학생의 장애를 그대로 수용하여 학습의 과정으로 이끌어가는 초월적 마음씀을 동반한 교육적 사랑이다. 셋째, 끊임없는 연구로 장애의 특성에 맞게 교수방법을 수정하는 교수 적합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적 도전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여 실행하는 교육적 판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 professional life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the concepts of‘Pädagogische Tugend’proposed by O. F. Bollnow. As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08, the increasing tendency of an interest in the necessity and method for training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as the changes for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gives significance to Bollnow’s perspective. Also, the fact that an emotional attitude existing inside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had been confined into the frames of the standardization, instrumentalization, operationalization, and normalization obscured the‘Pädagogische Tugend’of a teacher and it comprised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sense, this study is trying to define the ‘Pädagogische Tugend’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at was already existed in the field, but not identifi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three main‘Pädagogische Tugend’ conclud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y are devastated in an educational way while having existential concern on their passion in the school field and pursuing their Eigentlichkeit. Second, they have altruistic minds to give benefits to those who do not have any ability to return the benefits back to the teachers. Also, their love accompanies transcendental minds that lead their students to the curriculum by accepting their disability as the way it is. Third, they carry out educational judgement consistently to give students better educational challenges through incessant studie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to amend it according to their students’disability

      • KCI등재

        어린이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탐구의 의미

        정혜영(Chung, Hye-Young) 한독교육학회 201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7 No.1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는 무엇보다 어린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 즉 어린이를 온전한 인간존재 전체로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독자적인 의미를 지닌 인격체로서 이해하는 관점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해의 가능성을 ‘교육인간학(Pädagogische Anthropologie)’에서 찾고, 어린이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탐구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인간학적 탐구의 성격을 살펴보고자하였다. 특별히 철학적 관점에서의 교육인간학을 대표하는 학자로서 Bollnow와 Langeveld의 인간학적고찰방법이 중점적으로 고찰되었다. 다음으로 이들의 교육인간학적 연구 작업을 중심으로 어린이의 본질특징을 자발적 활동성, 공간성, 시간성, 신체성, 교육필요성과 교육가능성 등 몇 가지 중요한 인간 삶의 현상성의 개념 주제 아래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탐구가 지니는 의미를 어린이 이해, 교육 이해, 교육 실천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어린이에 대한 이해 지평의 확대 및 이해 방식의 전환, 교육적 관심 영역의 확대와 심화, 학교교육 인간화의 기본 관점 등으로 제시하였다. Für die echte Kindererziehung wird vor allem ein wesentliches und interativ-ganzes Kindverständnis gefordert, dafür ist es hilfreich, das Kind in Hinsicht auf die Pädagogische Anthropologie zu verstehen. In diesem Zusammenhang habe ich in dieser Arbeit die Bedeutungen der pädagogisch-anthropologischen Untersuchung über Kind zu betrachten versucht. Diese Arbeit besteht aus den drei Kapiteln. Zunächst wird der Charakter der pädagogisch-anthropologischen Untersuchung bei O. F. Bollnow und M. J. Langeveld betrachtet. Zweitens werden die Wesenszüge des Kindes betrachtet, die im Zusammenhang mit der pädagogisch-anthropologischen Betrachtungsweise bei Bollnow und Langeveld herausarbeitet werden. Zur Wesenszüge des Kindes gehören: Eigenaktivität des Kindes, die Räumlichkeit des Kindes, die Zeitlichkeit des Kindes, die Körperlichkeit des Kindes, Erziehungsbedürftigkeit und Erziehungsbarkeit des Kindes. Abschließend́ werden die folgenden Bedeutungen der pädagogisch-anthropologischen Untersuchung über Kind vorgestellt: die Erweiterung des Kindverständnis-Horizont und die Umsetzung der Kindverständnis-Weise, die Erweiterung und Vertiefung des pädagogischen Interessen-Bereich, die theoretische Grundlage für die Humanizierung der Erziehung.

      • KCI등재

        자폐적인 내적 공간에 유폐된 자아 -이승우의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를 중심으로

        송명희 ( Song Myung-he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3 No.-

        O.F.Bollnow insists that humans live on nerves which inner space and external space make different characters fundamentally and soundness of human life is based on balancing two areas. Lee Seungwoo’s short story, 「I will live very long」 is a work that has time setting for IMF’s financial crisis. Protagonist is a middle-aged man who was once a company’s CEO but is now totally broke because of restructuring company. He was unbearably humiliated by young union workers while being robbed of his company. He has insomnia due to anger and fury and completely gave up his relationships to external space with sinking into despair. And he became isolated from society and family in the end, by confining himself in inner space like a cave and a coffin. He shows topophilia about a cave, a wooden rice chest, and a coffin representing mother’s womb, and claims the life in extremely small space is not uncomfortable or miserable at all. However, the work represents paradoxically that IMF’s violent condition hurt a sound man and was enough to make him isolated and confined in autistic space. Especially the protagonist lives in a rectangular coffin, he made, all day long not to mention sleeping, the coffin is not for living person, but dead one. His confinement into a coffin stands for symbolical death. A male person should support his family by economic activities. But financial crisis robbed his role and made him run away to autistic space. That means death of male ego. Like O.F.Bollnow opinion, a person’s soundness can be founded in balance between inner space and external space, the work shows that a person who lost balance by failure in external space can’t discover true happiness even in home, an inner space.

      • KCI등재

        종교적 체험과 해석학적 묘사

        최신한(Choi, Shin-Han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5 No.-

        종교적 체험은 새로움의 체험이다. 이 논문은 새로움의 체험을 괴팅엔 학파의 해석학을 통해 규명하려고 하며, 이를 위해 현상학적-해석학적 묘사 개념을 분석한다. 현상학적-해석학적 묘사는 종교적 체험을 드러낼 수 있는 해석학적 방법이다. 첫째, 이 논문은 게오르크 미쉬의 불러내는 말을 분석한다. 불러내는 말은 사실세계 너머에 있는 존재를 불러냄으로써 초월적 세계를 드러낸다. 불러내는 말은 종교적 체험, 즉 측량할 수 없는 삶의 의미를 현시한다. 미쉬는 전통논리학을 해석학적 논리학으로 확장함으로써 무한자를 개념화하려고 한다. 둘째, 이 글은 요제프 쾨니히의 심미적 작용을 분석한다. 심미적 작용은 인간을 예술작품과 연결하며 예술작품을 하나의 사실로 현시한다. 심미적 작용의 술어는 규정적 술어가 아니라 변양하는 술어이다. 변양하는 술어를 통해 존재의 의미가 내면 가운데 발생한다. 심미적 작용은 내면 가운데 새로움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종교적 체험과 유사하다. 새로운 의미의 원천은 새로운 존재가 인간에게 미치는 작용이다. 셋째, 이 논문은 볼노의 분절적 묘사를 분석한다. 분절적 묘사는 정신적 삶을 적확하게 표현함으로써 종교적 체험을 드러낼 수 있다. 적확한 말은 감추어진 존재를 깨어나게 하며 이를 현실 가운데 등장시킨다. 괴팅엔 학파의 해석학은 삶의 불가사의성과 비소진성에 진입하는 길을 제공한다. Religious experience is the lived experience of the new. This paper aims to illumine the lived experience of the new through methods of hermeneutics in Goettingen school, and for this it intends to analyse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hermeneutic description. First, this paper analyses Georg Misch’ concept of evoking speech. Evoking speech reveals the transcendent world by means of awakening the being beyond the world. It unveils religious experience, e.i. the inestimable significance of life. Misch intends to extend traditional logic to hermeneutic logic, and as a result of that he can conceptualize the infinite. Second, this paper analyses Josef König’s concept of aesthetic effect, that connects human with artwork and reveals this as a fact. The predicate of aesthetic effect is not the determined predicate, but the modifying. It occurs a significance of being in inwardness with the help of the modifying predicate. The aesthetic effect is similar with religious experience in regard that it makes the new in inwardness. The origin of new significance is the effect that makes human as a new being. Third, this paper analyses Bollnow’s concept of articulating description. It can reveal the religious experience through hitting the spiritual life aptly. The hitting speech evokes concealed being. The hermeneutics of Goettingen school presents ways to the inscrutability and inexhaustibi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