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광역지방자치단체의 행정체제통합에 관한 법적과제 : 우리나라의 행정통합 배경과 목적, 전개 과정, 주요내용 및 시사점 등을 중심으로

        김남욱(Kim Nam-wook) 한국국가법학회 2021 국가법연구 Vol.17 No.2

        종래에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행정체제통합이 지방분권 및 지방자치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초지방자치단체간의 통합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 문재인정부의 연방제수준의 지방분권정책추진과 여당의 초광역연계협력정책이 제시됨에 따라 광역지방자치단체간의 행정체제 통합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하여 지방소멸론이 우려되고, 수도권중심으로 인구집중을 억제하기 위한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강화가 요구되며, 주민자치권 및 주민참여 확대, 정부의 시즌 2 공공기관 지방이전문제가 발표되면서 광역지방자치단체간의 행정체제 통합 또는 2개이상의 공동사무를 수행하기 위한 광역지방자치단체간 특별지방자치단체의 법인 설립 문제가 법적 쟁점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광역행정체재통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대구·경북, 광주·전남, 강원도와 기초지방자치단체간 등의 행정통합·경제통합의 배경과 목적, 전개과정과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행정통합의 시사점을 강구한다. 더 나아가 광역지방자치단체간의 행정체제의 통합 및 광역연합에 관한 자치입법권, 자치행정권, 자치재정권 등을 마련을 위한 특별법제정방안을 제시하며, 지방분권법과 지방자치법상의 지방행정체제 통합에 관한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광역행정통합 및 광역연합에 관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합리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ast,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s excep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mainly been achieved through integration between basic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strengthen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Recently, as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s federal-level decentralization policy promotion and the ruling party s ultra-wide linkage cooperation policy have been proposed, the issue of integrating administrative systems between metropolitan and regional governments is emerging.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there are concerns about local extincti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regional competitiveness are required to suppress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issue of the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s between metropolitan and regional governments or the establishment of a corporation by special local governments between metropolitan and regional governments to perform two or more joint affairs is becoming a legal issu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the regional administrative system of local governments. This course examines the background, purpos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contents of administrative integration and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Daegu/Gyeongbuk, Gwangju/Jeonnam, and Gangwon-do and basic local governments, and seeks implications for administrative integration. Furthermore, it proposes a special law enactment plan for the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s between metropolitan and regional governments and the provision of autonomous legislative powers, autonomous administrative powers, and autonomous financial powers related to regional unions. This study aims to rationally suggest way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regional administrative integration and regional federation.

      • KCI등재

        지방위기극복을 위한 행정구역개편과 지방재정의개선 방안

        신정규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연구 Vol.64 No.3

        The reality of Korea, where financial support and administrative integr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s being discussed, is not a problem limited to the provinces, which means areas other than the metropolitan area. Local or local extinction is bound to be a problem that occurs in all regions due to the overall population decline in Korea. If we consider it as a problem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metropolitan area, I think it is inevitable that the entire region of Korea will disappear.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ocal crisis, the issue of administrative integration and legal system improvement of local finance is the same as finding the function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development.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centered on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administrative integ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should develop into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legislativ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that arises from integration between metropolitan governments is only a matter of law, it does not fit the statu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that have grown in size due to integration. Innumerable discussions are need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u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the integration procedure and installation of metropolitan governments in the Local Autonomy Act and the Local Decentralization Act in relation to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erms of local financ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tax revenue transfer-type fiscal adjustment system to further raise the level of tax decentralization. In addition, since social welfare costs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local government finances and can serve as an institutional basis for strengthening the rigidity of local finances, the tax and welfare cost burden structure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ICT 진흥 및 융합활성화에 관한 법적 과제

        김남욱(Kim, Nam Wook) 한국국가법학회 2017 국가법연구 Vol.13 No.3

        ICT Integration Promotion and Activation Special Law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tegration Act) concerning the activation of ICT fusion technology and services, which is the core mean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between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s the principl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market economy, the principle of symbiosis development among information communication companies i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company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the two sides is that the principle of necess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the same servi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and the principle of the same regulation reveal the principle of exception prohibition on princip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However, the country has been granted the promotion system and substantial authority for ICT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and local governments will not only provide related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ICT promotion and integration policy and planning It stipulates the pos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ICT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it is essential for the national government to implement the unified overall affairs concerning the fusing of Pure L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the state and other matters to the local autonomous body , And the local government will take the initiative to provide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enterprises for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 for ICT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tegration with ICT promotion, the framework of importance of mutual cooperation is technologically and administratively not institutionalized between the national and regional local autonomous stage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islation so as to provide a cooperative system Particularly for ICT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ooperate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reg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situation, geographical posi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pecialized personnel etc. , We must make it possible to lead ICT promotion and fusion technology and services on a leading basi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trategy Committee has formulated important policies for ICT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It is not guaranteed to be long enough to attend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trategy Committee for the representatives of wide-area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al Council and Governor Council, and it is not guaranteed to effectively establish a fusion activation policy with local ICT Raleigh Since it can not be done, we must reorganize the promotion system so that representatives of governor councils can participate nationwide at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trategy meeting. Moreover, although the implementation plan of ICT integration activation is formulated by the ICT Integrated Revitalization Basic Plan established by the country, in order to practically activate ICT integration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for wide regional autonomy It is desirable not only to allow organizations to establish ICT fusion effective enforcement plans by ICT fusion activation plan, but also to grant regional autonomous group leaders the right to investigate actual situation on ICT promotion and fusion activ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rant authority for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th local governments, delegate authority, and strengthen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even in fu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Particularl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fusion law for ICT promotion and integration activatio 4차산업혁명시대의 핵심수단인 ICT 융합기술과 서비스의 활성화에 관하여 ICT 융합 진흥 및 활성화 특별법(이하 정보통신융합법이라고 한다)에서 규정하고 있다. 정보통신융합법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게 정보통신융합의 지속가능한 발전원칙, 정보통신융합의 시장경제 원칙, 정보통신기업체간의 상생발전의 원칙, 정보통신업체간의 평등원칙, 정보통신융합의 필요성원칙, 정보통신융합의 동일서비스 동일규제원칙, 정보통신융합의 원칙적 허용 예외적 금지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에게는 ICT 진흥 및 융합 활성화를 위해 추진체계와 실질적인 권한이 부여되어 있고, 지방자치단체에게는 ICT 진흥 및 융합활성화 정책과 계획수립을 위하여 관련 자료 및 정보제공에 그치는 법적지위를 규정하고 있다. ICT진흥 및 융합 활성화가 실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정토통신기술융합에 관한 전체적이고 통일적인 사무는 국가가 수행하되 그밖의 사항은 지방자치단체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선도적으로 ICT 진흥 및 활성화를 위하여 정보통신업체에게 행정적·재정적·기술적으로 지원하는 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ICT 진흥과 융합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와 광역지방자치단간에 기술적·행정적으로 상호 협력이 중요한데도 협력체계가 제도화 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협력체계를 갖추도록 입법적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ICT 진흥 및 융합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정보통신기술의 지역 경쟁우위와, 산업여건, 지리적 위치, 정보통신전문인력 등을 고려하여 ICT 진흥과 융합기술 및 서비스 제공을 선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보통신전략회의에서는 ICT 진흥 및 융합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정책을 수립하고있다. 정보통신전략회의에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나 전국시도지사협의회 대표가 참여할수 있는 길이 보장되어 있지 아니하여 지역의 ICT 진훙 및 융합활성화 정책수립을 실효적으로 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정보통신전략회의에 전국시도지사협의회 대표가 참여할수 있도록 추진체계를 개편하여야 한다. 또한 국가가 수립하는 ICT융합활성화 기본계획에 의하여 ICT 융합활성화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나 지역의 ICT 융합활성화를 실질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광역지방자치단체가 ICT융합활성화 기본계획에 의하여 ICT융합활성화 시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ICT진흥 및 융합활성화에 관한 실태 조사권도 광역지방자치단체장에게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게 정보통신기술융합활성화를 위한 권한을 부여하거나 권한을 위임을 하여 정보통신기술융합에서도 지방분권과 자치권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ICT진흥 및 융합활성화를 위하여 정보통신융합법상 신속처리제도와 임시허가제도를 두고 있는데도 신속처리 건수와 임시허가가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신속처리와 임시허가제도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신속처리요건과 임시허가요건을 충족하였는데도 국가가 이를 게을리 한 경우에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에게 승인요구권을 부여하여야 하고, 그 사유가 정당하면 즉시 신속처리나 임시허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끝으로 지방자치권과 지방분권이 강화관점에서 지역의 ICT 진흥 및 융합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광역지방자치단체에 권한을 부여하고 조례를 적극적으로 제정하여야 한다.

      • KCI등재

        EU법과 독일의 지방자치

        장경원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4

        Recently, in Europe, the UK has declared its withdrawal from the EU. Because of this, neighbor countries are questioning whether European integration will continue. But European integration has already become a reality. It is too late to reverse the European integration. In the late 2000s, the number of EU member states grew rapidly in Eastern Europe. This makes European integration even faster. As European integration progresses,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transfer much of their powers to the European Union. The problem is in the case of a country that takes the form of a federal state, such as Germany, a member of the European Union. Each state of federal states has the same character of a nation. For this reason, the integration of the countries in the form of the federal state into the EU is more difficult. The assurance of the autonomy of Germany's local government today is not fully realized in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but it was secured to some extent. The posi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was to ensur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t the EU level in order to represent their interests. Actually in the course of European integration, the local governments of member states have lost their own autonomy, but later they have secured their autonomy through active co-operation. For example, the establishment of state offices in the EU, the dispatch of observers representing the state, and cooperation with other regions play an important role. Today, local governments within the European Union have achieved some success in securing their autonomy. The main office in the EU exercises its influence throug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making policy decisions in the European Union. The states of Germany has a constitutional guarantee of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its decisions on matters at European level. As a result, the European Commission and the regional committee have also secured the right for the states to participate in the EU decision-making process. The loss of autonomy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s inevitable.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be the subject of decision-making for integration, the way of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is useful. It is meaningful that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Member States in EU actively take the position as a decision-making body in the EU in terms of compensation for loss of their autonomy. This will be a reference in securing the autonomy of our korean local autonomous entities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East Asian Community in the future. 최근 유럽에서는 EU에서 영국이 탈퇴를 선언하였다. 이 때문에 주변국들은 유럽통합이 지속될 지에 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유럽통합은 이미 기정사실화 된 것으로 전체를 되돌리기에는 돌아 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으로 보인다. 2000년 후반 동유럽으로 EU 회원국의 수가 급격하게 늘면서 유럽통합은 더욱 가속화되어 왔으며, 유럽통합이 진전되어 갈수록 유럽연합의 회원국들은 자신의 권한 중 상당 부분을 유럽연합으로 이양하고 있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유럽연합의 회원국인 독일과 같이 연방국가의 형태를 취하는 나라의 경우, 연방에 속한 각 주들은 지방정부로서의 성격을 넘어 하나의 국가와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방국가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나라들의 EU로의 통합은 더욱 어려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독일의 지방정부가 지키고자 했던 자치권의 보장은 유럽통합과정에서 완전히 실현된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보완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유럽연합 내 회원국에서의 지방정부의 입장은 유럽연합 차원의 의사결정절차에 자신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도록 참여권을 보장해 달라는 것이었다. 비록 유럽통합의 과정에서 회원국의 지방정부는 자신의 자치권의 상당부분을 상실하였다고 하더라도, 이후의 자구책을 통해 적극적인 협력의 방법으로 자신의 자치권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즉, EU 내 주(州)사무소의 설치, 주를 대표하는 참관인의 파견, 다른 지역과 협력관계 등을 통해 오늘날 유럽연합 내 지방정부는 자신의 자치권 확보를 위해 일정 부분 성과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EU 내 주사무소는 유럽연합의 정책결정을 함에 있어서 비정부 기관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독일의 주정부는 자국 내에서 유럽차원의 사안에 관한 결정에 대하여 실질적인 참여권을 헌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주정부도 유럽 집행위원회와 지역위원회에서 EU 내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할 권리를 확보하게 되었다. 유럽 유럽통합이 회원국내 지방자치에 미치는 영향은 장차 동아시아 공동체가 형성될 경우 우리에게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이다. 독일은 연방주의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상황과는 다르다. 그러나 그 구조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 구분되는 우리의 지방자치제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법 원리와 제도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본적으로 지방정부의 자치권보장과 관련하여 유럽통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연방정부와 지방정부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유럽연합의 주요 회원국이며 유럽연합 내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독일의 예를 들어 독일 연방정부와 지방정부인 주정부 간의 권한배분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유럽통합이 주정부의 자치권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통합의 과정에서 지방정부가 겪게 되는 자치권의 상실은 피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최소한 지방정부도 통합을 위한 의사결정의 주체로 나서기 위해 참여와 협력이라는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회원국의 지방정부가 자신의 자치권의 상실에 대한 보상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EU 내 하나의 의사 결정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려는 노력은 앞으로 동아시아 공동체가 형성되는 상황에 대비하여 통합의 과정에서 우리의 지방자 ...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의 기본가치와 주요쟁점

        표시열 ( Si Yeol Pyo ) 대한교육법학회 2010 敎育 法學 硏究 Vol.22 No.1

        그 동안 교육위원회가 형식상은 독립 형태를 유지하여왔는데, 2006년 개정된 `지방 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에서는 교육위원과 교육감을 주민직선으로 하되 시·도의회의 상임위원회(교육위원회)로 통합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2010년 개정 법률에서는 교육위원회의 설치 및 교육의원의 선거규정을 2014년 6월 30일 까지 효력을 갖는 것으로 규정하는 중대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로 이러한 중대한 변화시점에서 지방교육자치의 기본가치가 무엇인가를 행정, 지방자치, 교육자치라는 세 측면에서 분석하고, 헌법재판소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둘째, 핵심 쟁점인 교육위원회의 시·도의회의 통합조치가 교육자치의 기본가치 측면에서 문제가 없는지를 학계의 논쟁, 관련 헌법소원, 시범 운영을 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평가, 유사한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미국 워싱턴 디시의 평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그 동안 효율성이라는 가치만 강조하였지 인내와 포용이 필요한 민주성과 자주성 내지 자율성에 대하여서는 소홀하였기에, 교육 및 교육행정 분야에서 참여를 통한 자치경험이 강조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지방교육자치제의 핵심 쟁점인 교육위원회의 지방의회에의 통합 내지 폐지는 지방교육자치제의 본질적 침해로 볼 수 있어 헌법상의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중립성 원리에 반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교육위원회의 지방의회에로의 통합이 수용되더라도 교육의원만으로 구성하고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하여 지방자치와 교육자치가 조화를 이루어야함을 제의하였다. The local educational assembly has been operated independently from the local general assembly in Korea. However,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mendment Act of 2006 regulated the local educational assembly under the local general assembly as a committee composed together with the local assembly members. Moreover,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mendment Act of 2010 regulates the local educational assembly is operated until June 30,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sic values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and to analyze whether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mendment Act of 2006 and 2010 is constitutional in terms of basic and constitutional values. This study reviewed the basic values in three aspects;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 and educational autonomy.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 of integration of the local educational assembly under the local general assembly in terms of scholar`s debates, relevant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evaluation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Washington District of Columbia operating as a model of integration. As a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d the `autonomy` experienc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citizens in the educational policy-making process because the efficiency value has been strongly stressed in Korea rather than autonomy or democracy value which requires more patience and tolerance. The hot issue of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is the integration of the local educational assembly under the local general assembly as a committee and the abolishment of the local educational assembly in July 30, 2014. This study suggested the integration or abolishment of the local educational assembly could be unconstitutional because it would be a fundamental violation of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which is regul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31④.

      • 지방자치와 지방교육자치 통합의 주요 쟁점과 과제

        김승현(Kim Seung Hyon) 강원행정학회 2011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Vol.9 No.1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는 교육의 발전이라는 본질적 논의보다는 독립(교육계) 대 통합(행정계) 이라는 소모적 논쟁을 이어오고 있다. 2010년 법 개정이후 주요 이슈는 완전 통합과 분리 그리고 교육감 선거로 요약될 수 있다. 행정계에서는 지방교육자치를 지방자치의 일부로 간주하고 통합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주장하면서 교육감 직선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한편 교육계는 교육위원 일몰제에 대한 우려와 함께 교육자치의 의미를 ‘교육의 자치’로 자주성과 전문성이라는 가치에 의미부여를 크게 하고 있다. 교육감 직선제 이후 교육감과 교육과학기술부나 광역자치단체간의 갈등양상은 지역의 교육발전과 화합보다는 지역의 행정계와 교육계 분열 우려를 낳고 있어 통합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소모적 논쟁을 종식시킬 과제로 첫째 지방자치와 지방교육자치는 공통적으로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공동체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교육감과 시도지사는 경쟁과 견제의 대상이 아닌 협력, 동반자로서의 관계 인식을 전제로 지역 교육에 대한 교육감과 시도지사의 관계와 역할을 명확히 하여 지역 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감선출방식은 런닝메이트제나, 임명제, 시도조례로 선출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정의 자립도는 자치의 핵심이다. 따라서 중앙 수준에서 관리되고 배분되는 방식을 수정하여 지방으로의 이전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교육에 대한 지역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current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continues to have an unnecessary dispute of independence(education part) versus integration(administration part) rather than an essential discussion for educational development. The main issues can be summarized as full integration and separation, and election of school district superintendent since the Revision of Law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2010. Regarding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s a factor of local autonomy, the administration part insists the efficiency and validity of integration and the abolition of direct election of school district superintendent. Meanwhile, with worry about the sunset system of educational committee member, the education part regards educational autonomy as autonomy for education and places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value of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nflict among school district superintendent, department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metropolitan autonomy government give some worry about the breakup of the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part at the local level. It raises the necessity of discussion about integration. The following tasks are to put an end to unnecessary disputes. First, it needs to recognize that local autonomy and local educational autonomy are one community based on locality. With the recognition that school district superintendents and local governors have some relationship of cooperation and counterpart, they should have definite relations and roles on local education and some responsibilities for local education. Second, the way of election for school district superintendent needs to be considered the running mate or appointment system and regulations. Third, the independence degree of finance is the core of local autonomy. National tax has to be converted to local tax in order to turn up the independence degree of finance. Forth, an effort for leading the concern of local residents about the regional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s needed.

      • KCI등재

        한국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사회통합의 과제와 방향

        이선영(Sunyoung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7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외국인주민의 사회통합 현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사회통합정책 구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정책 시행계획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통합의 대상, 통합의 영역, 통합의 차원, 조직간 연계성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통합의 대상은 결혼이민자 및 그 가족에 집중되어 있어 추후 보편주의적 접근과 맞춤형 접근에 따라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통합의 내용은 양육과 가족 간 관계 및 소통 증진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공통과제와 자체과제의 중복된 내용도 많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통합의 차원은 구조적 차원에 집중되어 있어 지방자치단체별 사회통합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차원적인 통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프로그램 수행 시 타 기관과 협력관계보다 중앙부처사업의 수행이나 중관관리 역할에 머물러 있어 지방자치단체 주도적 프로그램 개발 및 추진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외국인의 성공적인 정착과 사회통합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역할 수립과 자율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해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policy direction for immigrants in local communities. First of all, immigrant integration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2016 are analysed. The analytic frame comprises four components: target groups, integration areas, integration dimensions of the integration policies, mutual relationships of immigrant related organiz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at a local and regional level is not in sufficient condition to bring about the inclusion of the different immigrant groups. In this respect, local governments must develop local policies that enable management of diversity and integration of newcomers and long‐term residents into dynamic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the understanding of immigrant integration and provide lessons for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 leadership on immigrant integration.

      • KCI등재

        `우주의 중심 이동` 서사와 로컬리티(Locality)의 균열

        김영희(Kim, Young-Hee)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5

        이 글은 한국 서사에 재현된 ‘우주의 중심 이동’이라는 신화적 사건에 주목한다. 특히 마을 중심산이 어디선가 떠내려와 ‘지금 여기’에 있게 되었다거나 마고할미 등의 존재가 마을 중심산을 ‘이곳’에 옮겨 두었다는 내용의 구술 서사가 이 글의 주요 분석 대상이다. 이 글에서는 이들 이야기의 서사적 구성과 연행 및 전승 조건을 분석하여 신화적 사건인 ‘우주의 중심 이동’이 해당 지역 공동체에서 어떤 사회적 효과를 만들어내는지 ‘로컬리티(locality)’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들 이야기가 재현하는 로컬리티의 서사는 연행 및 전승 주체가 속한 공동체의 우주가 중심에 대한 주변으로 설정되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된다.〈떠내려온 산〉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특히 이 이야기에서는 주변부 정체성의 열등감과 피해의식이 현재적 한계의 모든 과오를 여성에게 돌리는 젠더 전략을 통해 회피되거나 방어된다. 이들 이야기의 연행 및 전승 동력은 마을 공동체 및 마을 우주에 대한 자부심인데 이것은 중심에 대한 종속과 대내적 결속-내부의 차이를 배제하고 균질화하는-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중심-주변, 지배-종속의 이분법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 구도에 균열을 만드는 역동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밀양 동북부 지역에서 전승되는〈경주산〉이야기에서는 이와 같은 자부심이 중심에 대한 도전과 승리의 서사로 표출된다. 이 승리는 어린 아이에 의해 주도됨으로써 더욱 극적으로 형상화되며, 산세(山稅)나 지세(地稅) 등 실제 현실에서 직면하는 계층적인 이슈와 맞물리면서 신화적 사건이 사회정치적 사건으로 재담론화되는 국면을 보여준다. 주변부 로컬리티 내부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균열은 중심-주변의 논리를 완전히 해체하는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지는 못하지만 이른바 ‘지형 전설’류 이야기에 개입된 로컬 구도의 안정성을 뒤흔든다는 점에서 충분히 문제적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narrative and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s having a mythological motif of “the moving of the center of the universe(axis mundi)”. This analysis is focused on two stories. In one story, a woman-she is to be a sacred being-witnessed a mythological accident of a mountain floating down. The mountain stopped on the spot where it stands today. This was very long ago and the mountain has been there since then. The name of this story is “the mountain floating down”. Another story is is called “the Mountain Gyeongju”. This story is about a sacred grandmother named “Gyeongju-Halmi(경주할미)”, a goddess who created the universe. She laid the Gyeongju Mountain by carrying it with her to the spot where it stands today. The mountain has been there since then, which was very long ago. Both of the stories are about the mythological origins of the mountains which were the centers of the world of the local communities. The mountains represent the history and the tradition of the communities as sacred symbols. They are very much involved in locality: composing identity, presenting collective memory, integrating society, and combining individuals into groups. The performance of these oral-narratives produces the local subjects. The identity of the locals which are presented in two stories is based on the sense that local subjects consider themselves as the surrounding while they consider locals as center in another. In the former narrative “the mountain floating down”, the locality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center and circumference tend to be settled and expanded. But in the latter narrative “the mountain Gyeongju”, the symptom of the fissure breaking the locality of center and circumference can be seen. We can ascertain that the sense against the structure of center and circumference is beginning to spring up by analysis of the latter story.

      • KCI등재

        재정분권을 위한 지방재정법제의 개선방향에 대한 제안적 연구

        이진수(Rhee, Jean-Soo)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8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8 No.2

        지방분권을 지향하는 개헌 논의와 함께 지방재정의 영역에서도 지방자치와 분권의 논의, 즉 재정분권의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방자치의 논의가 지방재정 분야로 확대되어, 지방재정 자치와 재정분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대단히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지방재정의 분권 논의에는 기존의 국가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확보라는 측면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것보다는 지방재정의 역할과 기능 등을 고려하여 지방재정 분야의 특수성을 감안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세입 측면과 세출 측면에 대하여 각각 재정분권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세입 측면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간 경제력 격차가 매우 크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재정분권 논의에서 주로 제시되는 처방인 ‘국세의 지방세 전환’ 방안은 지역 간의 세입 격차를 확대시킬 우려가 있어 그 채택에 신중함을 기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그러한 면에서 이른바 ‘세입집권화론’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재정분권의 시대에도 여전히 지방재정조정제도가 중요하고, 우리나라의 현행 지방교부세 제도와 국고보조금 제도는 그 제도적 약점에도 불구하고 수정ㆍ보완ㆍ발전되어 나가야 할 대상이지 단기간이 폐지하거나 급격하게 축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세출 측면에서는 재정분권이 강화되더라도 지방재정의 건전성과 책임성이 여전히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세출의 자율성이 보다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세출을 통하여 보다 높은 재정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의 여부가 지출의 항목이나 금액보다 중요한 평가의 지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재정분권의 논의에서는 엄격한 관할권의 분할보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집권과 분권의 조화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조화를 이루면서 지방자치의 진정한 목적인 주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로의 발전을 위하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iscal decentralization’ is the main theme of the discussion on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in the cours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iming for decentralization.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discussion of local autonomy has been expanded to the local finance field and that the importance of local autonomy and fiscal decentralization is emphasized. However, the discussion on the fiscal decentralization should not be concerned only with the aspect of securing jurisdiction of local government, taking into account the role and function of local finance in the national financial system. In the discuss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taking speci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is necessary.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orientat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concerning revenue and expenditure aspects of local governments. First, on the revenue sid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interregional economic power gap is very huge. The ‘converting national tax into local tax’, which is mainly prescribed in discuss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is likely to increase regional tax revenue gap and it is considered to be careful in adopting it. The so-called “theory of revenue integration” seems to be largely suggested to us. The local finance mediation system such as national grant and local revenue sharing, is still important also in the era of fiscal decentralization and the system should be revised, complemented and developed. It should not be abo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or be reduced suddenly. Regarding expenditure, even though fiscal decentralization is strengthened, the soundness and accountability of local finance should still be emphasized. However,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expenditure should be secured more. Whether it brings higher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expenditure should be an index of evaluation more important than items and expenditures of expenditure. Discussion on fiscal decentralization is not a division of strict jurisdiction but harmonization of power and decentraliz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e real objective of local autonomy is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the residents. To fulfill that aim, with harmonizing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more research is considered necessary.

      • KCI등재후보

        정책통합 관점에서 본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정책 변화 연구

        고재경 (재) 인천연구원 2018 도시연구 Vol.- No.14

        Due to the multi-level structure of climate change policies, policy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climateoriented policies by the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interplay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policy integr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policies pertaining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have different integration levels. In the case of mitigation, some leading examples emerge through the bottom-up approach, but observations vary depending on the will and cap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Horizontal policy integration, in general, remains insufficient due to the fragmented governance of the national government. In contrast to mitigation, adaptation has been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from the outset, and vertical policy integration areas such as planning, goals, reporting, and evaluation are well-organized compared to mitigation. Nevertheless, policy integration at the implementation stage is weak. Local climate change policy is based on a bottom-up approach for mitigation and a top-down approach for adaptation, which is in contrast to the nature of the issue. Characteristics of mitigation and adaptation concern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policy integration measures, as the hierarchical integration of the national target and the local goal proves effective for mitigation, while adaptation can be promoted through the national-local horizontal partnership. Moreover,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mitigation and adaptation is an important issue to be addressed. 기후변화정책의 다층적 구조 하에서 지방자치단체 정책이 성공을 거두려면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상호협력과 조정, 정책통합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정책통합의 관점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지자체 기후변화정책 변화와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완화와 적응의 정책통합은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완화는 상향식 접근을 통해 일부 선도 사례가 구축되고 있으나 지자체 의지와 역량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며 주류화를 위한 수평적 정책통합 수단은 미흡하다. 적응은 완화와 달리 초기부터 중앙정부 주도로 추진되어 완화에 비해 계획, 목표, 보고 및 평가 등 수직적 정책통합 수단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져 있으나 실행 단계에서의 정책통합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기후변화정책에서 완화는 상향식 접근, 적응은 하향식 접근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이슈의 특성과도 반대된다. 완화는 국가 목표 지자체 목표의 위계적인 통합이 중요한 반면 적응은 국가-지자체 수평적 파트너십을 통한 목표 통합이 효과적이므로 정책통합의 관점에서 완화, 적응 이슈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단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완화와 적응의 통합적 접근도 중요한 이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