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영훈 목사의 절대긍정의 영성과 리더십

        홍영기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3 영산신학저널 Vol.- No.66

        Pastor Lee Young-hoon, as the second senior pastor of Yoido Full Gospel Church, is widely regarded as the successor who inherited and advanced the concept of “the Spirituality of Absolute Positivity” based on the pastoral philosophy of Pastor Cho Yong-gi, including the Fivefold Gospel, the Triple Blessing, and the Spirituality of the Fourth Dimension. This paper analyzes Pastor Lee Young-hoon’s spirituality and leadership using the key word “Absolute Positivity.” Lee learned the concept of “the Spirituality of Absolute Positivity” from his devout family, his mother, and Pastor Cho Yong-gi. Lee also underwent life-long training in this spiritual perspective through his life and ministry. Lee also committed himself to his ministry, making Jesus Christ the model of “Absolute Positivity” and bearing abundant fruits. The foundation of Lee’s leadership of Absolute Positivity is rooted in his example of positivity and the ministry motto and vision of “Absolute Positivity, and Absolute Gratitude.” The form of Lee’s Absolute Positivity reflects the character of Jesus Christ. The primary function of Lee’s leadership based on Absolute Positivity is to promote spiritual revival in individuals and within the church. Lastly, the focus of Lee’s Absolute Positivity is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in society through practice of love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While Pastor Cho Yong-gi had emphasized the spirituality of hope of the fourth dimension, making much of the gifts and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Pastor Lee Young-hoon, inheriting Cho’s spiritual legacy well, has also emphasized the spirituality of Absolute Positivity, making much of personal sanctification (the character of Jesus) and social sanctification of the Holy Spirit. If Pastor Cho Yong-gi can be described as a “Pastor of Hope,” Pastor Lee Young-hoon can be evaluated as a “Pastor of Absolute Positivity.”

      • 미수 許穆과 嶺南學脈

        안병걸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수 許穆이 嶺南學派에서 전수 받은 것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記言』에는 곳곳에 분산하여둔 전기 자료가 많이 보인다. 거기에는 영남 출신 학자들에 대한 기록도 풍부하게 남아 있어 그가 영남의 학자들과 다양한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앞에 정리한 영남학파 제현들과 관련된 글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南冥 曺植과 그 문인들. 둘째, 退溪 李滉의 문인들. 셋째, 寒岡 鄭逑와 그의 종유 문인들. 첫 번째 부류에 속하는 인물로는 南明 曺植을 위시한 崔永慶, 李濟臣, 趙宗道, 郭再祐, 裵紳 등과 이황의 문하에도 출입한 김우옹, 鄭逑 등이 있다. 또 조식에게 직접 배우지는 않았으나, 河沆과 河受一을 통하여 조식의 학문을 접한 河弘圖에 대한 글이 있다. 그밖에 최영경의 문인인 金昌一을 이 범주에 넣어도 무방할 것이다. 대체로 남명 문인들에 대한 허목의 인식은 자신들의 삶을 바꾸지 않는 탁월하고 높은 기상과 우뚝한 지조에 있었다. 두 번째 부류에 속하는 인물로는 退溪 李滉을 정점으로 하여 柳成龍, 李禎, 趙穆, 趙호익, 南致利, 鄭逑, 김우옹 등의 문인과 이황의 손자 李詠道와 손서 金涌 등의 일가의 인물이 있다. 허목의 퇴계 이황의 문인들에 관한 기록은 조식의 문인들에 비하여 비교적 평이한 편이다. 이황의 제자들은 각기 삶의 모습은 달랐다. 그러나 평생 학문 탐구에 몰두하여 강학을 하고 후생을 길렀으며, 저술을 남기는 등의 학문 탐구와 후진 양성을 통해 그들의 정신을 살려 나갔다. 이러한 이유로 허목은 이황을 대현이라고 존경하였다. 세 번째 부류로는 정구를 중심으로 하여, 張顯光, 鄭蘊, 裵相龍 등이 있다. 정구를 허목이 중시하는 이유는 그를 통하여 영남 유학을 배웠으며, 정구의 문하에서 수많은 문도들이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청백한 절조와 끝없는 탐구정신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정구는 이황의 정맥을 이어 받아서 더욱 넓고 깊은 학문으로 재생산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鄕風을 진작시켜 일대의 종사가 되었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전기 자료는 영남 출신 학자들, 그 중에도 이황과 조식의 영향을 받은 선비와 학자들로 국한을 한 것이다. 그 이유는 허목이 살았던 시대와 역사적 공간을 함께 하기 때문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learning what is handed down to Mi-Su Heo-Mok(미수 許穆) from Young-Nam doctrinal faction(嶺南學派). And we are willing to consider it. In Gi-Eon(記言), it has much material that was distributed everywhere and also has many records of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Thus,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was many interchange between Mu_Su Heo-Mok(미수 許穆) and scholars of Young-Nam province. Documents that connected with Young-Nam doctrinal faction can classified in three parts. The first is that related to Nam-Myung Jo-Sik(南冥 曺植) and his literary men. The second is that related to literary men of Toe-Gae Lee-Hwang(退溪 李滉). The third is that related to Han-Gang Jeong-Goo(寒岡 鄭逑) and his literary men. The scholars belong to first classification are Choi-Young-Gyung(崔永慶), Lee-Je-Sin(李濟臣), Jo-Jong-Do(趙宗道), Gwak-Jae-Woo(郭再祐), Bae-sin(裵紳) (started with Nam-Myung Jo Sik(南冥 曺植) and Kim-Woo-Ong(김우옹), Jeong-Goo(鄭逑),(student under Lee-Hwang), etc. Also it has materials related to Ha-Heung-Do(河弘圖) who get learning of Jo-Sik(曺植) from Ha-Hang(河沆) and Ha-Soo-Il(河受一). And Kim-Chang-Il(金昌一) who was literary men of Choi-Young-Gyung can also classified into this. Generally, Heo-Mok's recognition to Nam-Myung literary men is superior and high disposition that cannot change there living and high integrity. In second classification, there are literary men contain that You-Seong-Ryong(柳成龍), Lee-Jeong(李禎), Jo-Mok(趙穆), Jo-Ho-Ik(曹好益), Nam-Chi-Li(南致利), Jeong-Goo(鄭逑), Kim-Woo-Ong(김우옹), persons of family that Kim-Tong(金涌), and Lee-Young-Do(李詠道). In comparison to literary men of Jo-Sik, The record of literary men of Lee-Hwang from Heo-Mok(許穆) is relatively simple. Each disciples of Lee-Hwang has different living. But, literary men of Lee-Hwang keep their spirit into their whole life through the activities which giving lectures, bringing up disciples, literary work, etc. From following reasons, Heo-Mok respected Lee-Hwang as the calling him the Dae-Hyun. In third classification, there are literary men that Jang-Hyun-Gwang(張顯光), Jeong-On(鄭蘊), Bae-Sang-Ryong(裵相龍), etc. from Jeong-Goo. The reason that Heo-Mok is taking a series view of Jeong-Goo has two reasons. One is that Heo-Mok studied Young-Nam confucianism from Jeong-Goo and the other is that there was produced a large numbers of disciple. They had integrity and spirit of endless studying. From Lee Hwang's stream of learning, Especially, Jeong-Goo reproduce it more widely and deeply. Thus, He was be the master of the age. The biological materials as studying object from this study are limited to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and influenced by Lee-Hwang and Jo-Sik among them. The reason is that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was together with the age of Heo-Mok's living and Historical space.

      • KCI등재

        한주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이형성(李炯性)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조선은 세도정치로 인한 삼정三政이 문란하여 내부적으로는 정치적 혼란이 야기되고, 외부적으로는 서구의 개항 요구와 일본의 침략을 당하며 내우외환內憂外患을 겪는다. 지식인들은 자신들이 처한 시대를 인지하고 사회현상을 냉철하게 주시하며 자신의 사상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과 그 학문을 계승한 한주학파寒洲學派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이진상은 16세기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8세기의 예론禮論ㆍ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등의 철학적 논쟁을 치밀하게 분석하면서 주희朱熹의 만년정론晩年定論에 입각하여 리理와 심心을 주재성主宰性의 차원에서 일치시켜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심의 주재적 측면의 주체성을 강조하여 국가의 위기상황을 타개하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그가 주장한 심즉리설은 중국의 양명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언표한 ‘심즉리설’과 동일하여 언뜻 보기에는 사상적 차이를 감지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영남의 퇴계학파는 심합리기적心合理氣的 사고 체계에서, 그리고 호남의 간재학파艮齋學派는 이이李珥의 심시기적心是氣的 사고 체계에서 심즉리설을 비판하였다. 이진상 사후, 그의 학문을 계승한 한주학파는 심즉리설을 옹호하고 변론하는데 치력한다. 그 중심에 있는 인물은 이승희李承熙ㆍ곽종석郭鍾錫ㆍ허유許愈ㆍ이정모李正模ㆍ이두훈李斗勳ㆍq윤주하尹?夏ㆍ김진호金鎭祜ㆍ장석영張錫英 등이다. 세간에서는 이들을 주문팔현洲門八賢이라 일컫는다. 주문팔현은 향촌사회에서 스승 이진상의 심즉리설을 변론하면서 학문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곽종석은 스승의 학설이 문제가 있다면 도산陶山에서 문제를 삼을 것이 아니라 천하의 모든 사람들에게 보여 객관적인 평가를 받고자 하였다. 호남의 전우田愚가 ‘성사심제性師心弟’라는 명제를 들어 심즉리설을 비판하자, 장석영과 이두훈 등은 심의 주재성을 거론하여 심이 리이고 기氣가 아님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이진상을 비롯한 한주학파가 중시하는 심의 주재성은 원칙(=리)에 의한 공도公道를 주체적으로 드러내 인간의 사사로운 욕구나 생각을 주재ㆍ극복ㆍ배제하여 참된 주체성 확립과 도덕사회의 완성을 추구하였다. 이진상의 재전제자들은 유교의 연원을 정리 및 체계화하거나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여 유교와의 절충을 통해 근대적 학문발전을 모색하였다. This thesis said how Hanju(寒洲) Lee Jin-sang(李震相) and Hanju-school who succeeded to him developed regionally and were characterized ideologically. Lee jin sang analyzed thoroughly Sadanchiljunglon(四端七情論) in 16C, Yelon(禮論) and Inmulsungdongilon(人物性同異論) in 18C which were philosophical controversy. Based on Ju Hui(朱熹)’ Mannyunjunglon(晩年定論) according with the superintendent dimension of Li(理)and Sim(心), he asserted Simjeuklisul(心卽理說). By emphasizing the subjectivity of 심 superintendence did he try to overcome national crisi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Simjeuklisul mentioned by him from ‘Simjeuklisul’ mentioned by 왕수인, the scholar of Wang Yangming school. Therefore, Simjeuklisul was criticized by Toegye-school in Young-nam in the aspect of Simhabligi(心合理氣) system and also criticized by Jeon Uh(田愚) in Ho-nam in the aspect of Simsigi(心是氣) system. Hanju-school succeeding to Lee jin sang tried to advocate Simjeuklisul after his death. The important characters were Lee Seung-hee(李承熙), Kwak Jong-seok(郭鍾錫), Heu Yu(許愈), Lee Jung-mo(李正模), Lee Do-hun(李斗勳), Yun Ju-ha(尹?夏), Kim Jin-ho (金鎭祜), Jang Seok-young(張錫英). They were called Jumunpalhyun(洲門八賢) among the contemporary people. Jumunpalhyun advocated Lee jin sang' Simjeuklisul, developing his theory. Especially, Kwak jong seok said if Lee' theory had had the problem, it should have not been examined so much by Dosanseowon(陶山書院) as objectively by all the scholars concerned. While Jeon uh(田愚) in Ho-nam criticized Simjeuklisul by referring to ‘Sungsasimjei(性師心弟)’, Jang seok young and Lee do hun suggested that ‘Sim’ should not be so much ‘Gi’ as ‘Li’ strongly, referring to superintendence of ‘Sim’ Superintendence of ‘Sim’ thought much of by Han-ju school including Lee jin sang revealed 공도(公道) independently, excluding human private desire or interest, pursuing the accomplishment of moral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true subjectivity. Lee jin sang' disciples systematized the origin of Confucianism, accepting the new ideology, seeking to develop modern theory through compromise with Confucianism.

      • KCI등재

        文山 李載毅의 삶과 交遊

        李鍾虎(Lee Jong-Ho) 한국인물사연구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3 No.-

        Moonsan is Lee Jae-ui(1772~1839)'s pen name. He is born the eldest grandson of the Jeonju Lee's Dukchun family line. Jeonju Lee's family is a prince of the blood in Chosun dynasty.. His noble birth make him a proud person. His birthplace was Seoul, but he have lived in Yongin, Kyunggi province. Especially he is a great-grandson of chief general, Lee Ju-guk who loved by king Jungjoe. Lee Jae-ui should carry out a duty of descendant offering sacrifice to his ancestors. That is a devout and unavoidable fate for him. Because he has a strong consciousness of offering sacrifice to his ancestors. He didn't go into government service at all. Instead of it, he made an effort to cultivate his morals and manage the family. Lee Jae-ui was taught chinese literature by Nam, you-do and the confucian scriptures by Ryu, Jung-mo in early years. During adult ages, he was a disciple of Park, yoon-won and Song, hwan-ki who are prominent scholars of confucianism. And then he promoted a friendship with lung, Jaw-meun Ann, ho Kim, young Sim, Ryu Song, Myung-hee lung, Yak-yong etc., they are his senior scholars. Whang, Gi-chun and Hong, Jik-pil, Lee, Man-jung and Sim, Du-young are Lee Jae-ui's best friends, First of all, he was known by lung, Yak-yong's argument parter of human nature. We hope that Lee Jae-ui's literature and thought is studied deeply sooner or later.

      • KCI등재

        이기영의 철학소설 연구-「인간수업」과 「고물철학」에 나타난 ‘철학’ 모티프를 중심으로-

        황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a philosophical motif in 『Ingan-Sueop(Human Class)』 and 「Gomul-chulhak(Junk Philosophy)」 novels by Lee Gi- Young and clarifying a frame in which his idea is converted. Even after the conversion, ‘dialectic' and ‘materialism' existed unchanged in his thinking. In addition, in his novels after conversion, especially in works having a motif of the philosophy(philosopher), subjects who carry out ‘development' and ‘movement' appear. In『Ingan-Sueop(Human Class)』 , he understands the world using ‘labor' as a central concept. Also in 「Gomul-chulhak(Junk Philosophy)」, he makes a roundabout assertion that even ‘Joseons' can be ‘Loyal Citizens of the Japanese Empire' through a ‘forge of the life'. On the other hand, a changing mode of main characters who access to an issue of the philosophy in the novels may be overlapped with a frame where an idea of the writer Lee Gi-Young changes owing to the depth and weight of the semantic capability inherent in a word of the ‘philosophy' required to show a world view of a human as a whole. In other words, in『Ingan-Sueop(Human Class)』 and 「Gomul-chulhak(Junk Philosophy)」, a philosophically changing mode of main characters is in the same orbit as the mode through which thought of Lee Gi-Young changes, providing a clue for explaining his conversion and pro-Japanese activities. 본고의 목적은 이기영의 소설 중 「인간수업」과 「고물철학」에 등장하는 철학 모티프를 분석하여, 이기영의 사상이 전환되는 구도를 해명하는 것이다. 이기영이 전향을 단행한 후에도 그의 사유 속에서 ‘변증법’과 ‘유물론’은 변하지 않고 존재하였다. 그리고 전향 후 소설 중 철학(자) 모티프가 등장하는 작품들에는 이를 기반으로 ‘발전’과 ‘운동’을 실행하는 주체들이 나타난다. 이기영은 「인간수업」에서 ‘노동’을 중심 개념으로 사용하여 세계를 이해하고, 「고물철학」에서는 ‘생활의 풀뭇간’을 거쳐 ‘조선인’도 ‘황국신민’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우회적으로 펴고 있다. 소설 속에서 철학의 문제와 접속하는 주인공들이 변화하는 방식은, ‘철학’이라는 단어가 지닌 의미 역량의 깊이와 무게로 인해 작가 이기영의 사상이 변화하는 구도와 중첩될 수 있다. 「인간수업」과 「고물철학」에서 주인공들의 철학이 변화하는 방식은 이기영의 사상이 변화하는 방식과 동궤를 이루면서 그의 전향과 친일을 설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 KCI등재

        文山 李載毅의 삶과 交遊

        이종호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3 No.-

        Moonsan is Lee Jae-ui(1772~1839)'s pen name. He is born the eldest grandson of the Jeonju Lee's Dukchun family line. Jeonju Lee's family is a prince of the blood in Chosun dynasty.. His noble birth make him a proud person. His birthplace was Seoul, but he have lived in Yongin, Kyunggi province. Especially he is a great-grandson of chief general, Lee Ju-guk who loved by king Jungjoe. Lee Jae-ui should carry out a duty of descendant offering sacrifice to his ancestors. That is a devout and unavoidable fate for him. Because he has a strong consciousness of offering sacrifice to his ancestors. He didn't go into government service at all. Instead of it, he made an effort to cultivate his morals and manage the family. Lee Jae-ui was taught chinese literature by Nam, you-do and the confucian scriptures by Ryu, Jung-mo in early years. During adult ages, he was a disciple of Park, yoon-won and Song, hwan-ki who are prominent scholars of confucianism. And then he promoted a friendship with Jung, Jaw-meun; Ann, ho; Kim, young; Sim, Ryu; Song, Myung-hee; Jung, Yak-yong etc., they are his senior scholars. Whang, Gi-chun and Hong, Jik-pil, Lee, Man-jung and Sim, Du-young are Lee Jae-ui's best friends, First of all, he was known by Jung, Yak-yong's argument parter of human nature. We hope that Lee Jae-ui's literature and thought is studied deeply sooner or later.

      • KCI등재

        만주 이주민 소설의 주권 지향성 연구 -안수길과 이기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차성연 ( Cha Seong-ye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7 No.-

        만주 이주민 소설은 이주민의 민족적 저항을 보여주는 민족주의적 서사로 읽히거나 유사제국주의적 시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아왔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이 작품의 주체가 되는 이주민의 정체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보고, 이민족과 타협하며 어떻게든 정착해 살아야 했던 이주민의 주권지향성을 중심으로 만주 이주민 소설의 문학사적 의미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안수길의 「벼」와 『북향보』에 나타난 수전개간의 공로는 농경 기술의 선진성을 기반으로 타지에 정착할 수 있는 명분이 되어주었다. 이를 통해 조선인은 이민족의 승인을 얻을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만주 정세의 변화에 따라 살던 곳을 떠나야 하는 유동적인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그들이 만주에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주권`이었다. 안수길의 『북향보』와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만주 이주 조선인의 주권지향성을 이주민 공동체나 조선인 국가의 구상을 통해 재현하고 있다. 안수길 문학이 만주의 이주민에 대해 좀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북향보』를 통해 이민족과 화합하는 협화적 주체의 이주민 공동체를 구상할 수 있었던 반면,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집단적 노동과 그로 인한 생산의 기쁨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민족을 배제한 조선인만의 국가를 구상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수길의 『북향보』와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일본 이외의 다른 어떠한 국가도 상상할 수 없었던 시기에 조선인의 공동체 혹은 국가를 구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novel by Manchu immigrants has been read as a nationalist narrative describing the nationalist resistance of immigrants or evaluated as a piece of work showing the sight of pseudo-imperialism. The thesis is to re-assess the meaning of Manchu immigrant novel in literature history based on sovereignty-oriented nature of immigrants who were required to compromise with other ethnic groups for settle-down given the assumption that previous studies didn`t understand the identity of immigrants which was the subject of novels. The merits of cultivating a rice paddy described in 「Rice」and 「Bukhyangbo」by Ahn, Su-Gil served as justification for settling down in an alien land with advanced agricultural skills. Chosun people in Manchu area could get approval from other ethnic group thanks to these skills, but they were still forced to leave where they lived based on Manchu situations. This explains why `sovereignty` was the thing they needed most in order to settle down in Manchu. 『Bukhyangbo』 by Ahn, Su-Gil and 『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re-create the sovereignty-oriented nature of Manchu immigrants by conceiving the idea of immigrant community and country of Chosun people. The immigrant community, a subject in harmony with other ethnic groups, could be conceived in『Bukhyangbo』since the literature by Ahn, Su-Gil understood Manchu immigrants more cleary while『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focused on collective labor and subsequent pleasure from production and visualized the country only for Chosun people excluding other ethnic groups. Despite this difference, I can see their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cause these two novels, 『Bukhyangbo』by Ahn, Su-Gil and『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conceived the idea of community or country of Chosun people when no other country than Japan could be imagined.

      • KCI등재

        『鑛業朝鮮』 소재 이기영 소설 연구

        안남일(An Nam I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한국문학사에서 1930년대 중후반에는 정기간행물의 발행이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였는데, 특히 순수 학문적인 내용보다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정기간행물이 발행되었다. 그 중에서 광업 관련 정기간행물은 朝鮮鑛業會의『朝鮮鑛業會誌』(1918년 창간)를 시작으로 朝鮮鑛業時報社의『朝鮮鑛業時報』(1934년 창간), 朝鮮産業旬報社의『朝鮮産業旬報』(1934년 창간), 朝鮮産金組合의『鑛業朝鮮』(1936년 창간), 朝鮮鑛業新報社의『朝鮮鑛業』(1938년 창간) 등 십여종이 발행되었다. 우리 문학사에서 1930년대 중후반 빈번하게 발견되는 ‘황금’이나 ‘금광’ 관련 소재 문학텍스트는 이 시기의 황금 열기를 반영한 시대적 산물이며 세태풍속에 대한 반영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1930년대 시대적 상황에 주목하면서 이 시기 발행 잡지 중『광업조선』의 잡지사적 의미를 살펴보고,『광업조선』소재 이기영의 소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광업조선』을 당시 광산업과 문학 현상을 매개하는 연결점으로 인식하여 한국 근대문학사 근간에 중요한 물질적 토대가 되었다는 전재 아래, 특정 시기의 특정 작가의 존재방식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광업조선』의 서지사항 검토는 문학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작업인 만큼 서지사항 검토에서 드러난 여러 가지 오류들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광업조선』에 수록된 이기영 소설 3편을 통해서는 일제강점기 시기의 빈궁한 삶의 현실 속의 형상화 된 인물들을 볼 수 있었다. 곧 ‘윤호’, ‘창일’, ‘박풍서’, ‘영준’을 통해서 드러나는 현실에 대한 소극적인 대응, 전향을 통한 현실 순응의 태도, 현실생활의 위기극복 의지의 부재, 현실에 대한 인식의 개인적 축소 등등 현실적 삶을 거스르는 지식인의 전형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이기영의 작품세계에서 현실에 대한 묘사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보여주고자 했던 초기 소설의 인물들과는 사뭇 달랐다. 바로 1930년대 후반을 지나오면서 퇴조되어가는 작가의식의 변화를 짐작하게 하는 인물이었던 것이다. In the middle of 1930"s was the time when the publication of periodical peak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more various and segmentalized periodical published in the part of multifarious industry relevant to practical life than in the content of pure study. In this research, we try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Mining-Chosun" which was one of the magazines in that time, paying attention to circumstances in 1930"s. Also we try to focus on Lee Gi-young"s novel related to "Mining-Chosun". Because, we expect we can find the existing way of certain writer of certain time. Recognizing "Mining-Chosun" as a connection between mining industry and the state of literature. As examinating a bibliography of "Mining-Chosun" is fundamental of literary research, assorted errors found in the bibliography examination have to be fixed. In sequence we found the characters figured real life of the er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Lee Gi-young"s three novels in "Mining-Chosun". In other words, like the passive action against reality, the adaptive attitude by convertion, the lack of surmounting will, the personal reduction of perspection of reality, we found intellectual models reversing reality by "Yun-ho", "Chang-il", "Park Pung-seo", "Young-jun" in those novels. This was quiet different from characters in the earlier Lee Gi-young"s novels that showed dipiction of reality and prospection of future. We do guess the change of erosing writer"s awarness, passing the end of 1930"s by Lee Gi-young.

      • KCI등재

        이기영의 ≪고향≫과 충남 방언

        이홍구 한국방언학회 2023 방언학 Vol.- No.37

        In terms of phonology, grammar, and lexicology, the usage of the Chungnam dialect revealed in the novel ≪Go-hyang≫ by Lee Gi- young, a writer from Chungcheongnam-do, was described.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of dialect consciousness and dialect use. Phonological phenomena include the Negative-vowelization, the High- vowelization, the Front-vowelization and umlaut in both text and conversations. In terms of grammar, “Hau type” and “Haeyu type” used in the Chungnam dialect are found, s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sages can be summarized. These final endings were what Lee Ki-young saw as the language of “si-gool.” They are also found in characters living in Seoul and so we can examine the possibility of being related to social variables. In the case of lexicology, those used in Chungcheongnam-do were found in both text and conversation parts. Regarding the personific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one person does not use only one tone, but uses different ton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lso there are characters who are from Kyeongsang-do but live in Chungcheong-do, and it can be seen that his speech is a mix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yeongsang-dialect and the Chungnam dialec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that Lee Gi-young recognized language differences and reflected them in his work, and that they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haracters. 충청남도 출신의 작가 이기영의 소설 ≪고향≫에 드러난 충남 방언의 사용 양상을 음운, 문법, 어휘의 측면에서 기술하고, 방언 의식과 방언 사용의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음운 현상으로는 음성모음화, 고모음화,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등이 지문과 대화에서 모두 발견되거나 대화에서만 발견되더라도 계층이나 출신을 가리지 않고 동일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문법 측면에서 충남 방언에서 사용된 ‘하우형’과 ‘해유형’이 발견되어 형태적특징과 사용 환경에 대해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종결어미들은 이기영이“시굴”의 말로 보았던 것들이다. 이들은 서울에 사는 인물들에게서도 발견되어 사회적 변인과 관계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어휘의 경우충남 지역에서 사용되는 것들이 지문과 대화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인물 형상화와 관련해서는 하나의 인물이 하나의 어투만을 사용하지 않고, 상황에따라 다른 어투를 사용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경상도 출신이지만 충청남도에 이주해 살아가는 인물도 등장하는데, 그의 발화에는 동남 방언과 충남 방언의 성격이 혼재되어 나타남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가 언어 차를 인식하여 작품에 반영하였으며 그것이 개별 인물들의 입체적 형상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이기영 소설의 개제(改題) 양상과 그 의미

        김영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on the matter of retitling Lee Gi-young's novel, especially The Newly reclaimed land(Singaeji) and The Ethics of life,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period. Lee Gi-young was a key member of the KAPF. Publishers republished his work by changing the title, the author's name and deleting parts of the contents in order to get commercial interests. Because publishers owned the copyrights to his work, these retitling and modifying the original works were not bascally illegal. But they can't avoid moral blame. The Newly reclaimed land(Singaeji) was changed to The Pure heart in Sechang booksellers and The Ethics of life to The Record of passion. These phenomenon reflect chaos of publishing market at that time. It also exemplifies the behavior of commercial publishers. This phenomenon will be an important case to study on the concept of Korean modern copyright. 이 논문은 식민지 말기와 해방기 출판 관행 및 이기영의 월북과, 그의 작품이 개제된 사실 사이에 주목할 만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 이기영 소설의 개제는 작가의 의지가 아니라, 출판업자의 전략적 판단에 따른 행위로 귀납된다. 곧 출판업자가 프로문학의 대표 작가였던 이기영의 소설을 통해 상업적인 이익을 취하려는 수단으로 이데올로기성과 계몽성이 강한 원제목을 좀 더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제목으로 수정한 것이다. 본고는 해방 전후로 두 편의 개제작이 확인되는 이기영을 중심으로 이러한 현상의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식민지시기에 발표한 이기영의 장편소설이 단행본으로 재출간되는 과정에서 신개지는 순정으로, 생활의 윤리는 정열기로 바뀌고, 작품의 일부가 누락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개제작들이 확인되는 다른 작가들과 비교할 때 이기영 소설의 재출간 과정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측면은 좀 더 신중한 논의와 고찰을 요한다. 해방을 전후로 등장한 개제작들은 분명 출판업자들의 상업주의 전략에 의해 탄생한 국적 불명의 작품이다. 그러나 이는 작가와 출판계, 문단의 공생을 위해 기획된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하다. 물론 이들의 출현이 문단과 독자들에게 큰 혼란을 불러일으킨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혼란을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작가와 출판계, 문단이 ‘개제’라는 무리수를 통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밖에 없었던 당대 상황에 대한 고려와 이해 역시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작가와 개제 행위 간 명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개제라는 행위를 둘러싼 작가와 출판 상황, 그리고 사회적 맥락의 총체를 읽어낼 수 있다면, 이는 개제를 통한 작가의식의 변모 혹은 출판계의 상업주의적 행태가 초래한 혼란상 등을 명료하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신개지』와 『생활의 윤리』의 개제 양상은 당시 출판 시장의 혼탁함과 상업주의적 행태를 단적으로 증명하는 동시에, 저작권이나 판권에 대한 인숙 수준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아울러 이 작품들은 창작물에 대한 저작자의 권리를 중시하기 시작한 시기에 나타난 현상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근대 저작권 개념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