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와 사회를 보는 두 가지 시선

        권나무(Kwon, Na-mu),김현량(토론)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이원수(1911-1981)와 강소천(1915-1964)은 척박한 조건에서 움트고 자란 한국 아동문학의 역사에 소중하고 거대한 자취를 남긴 대표적 작가들이다. 또한 두 사람은 어린이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상반된 두 입장을 상징하고 있기도 하다. 그들이 소년소설 장르에서 어떤 관점으로 현실을 재현했는지를 따져보는 일은 아동문학의 본질적 질문 한 가지에 답을 찾는 상당히 가치 있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이원수와 강소천의 같은 시기에 쓴 소년소설(강소천, 「해바라기 피는 마을」(1956), 「봄이 너를 부른다」(1960); 이원수, 「민들레의 노래」(1961), 「메아리 소년」(1965))을 함께 검토하면서 전쟁과 전후 사회에서 어린이들이 치른 고난 을 오늘날의 어린이들이 부딪치는 이 시대의 문제와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비교해 보게 된다면, 그것은 아동문학의 사회 인식이라는 명제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로부터 먼 변방에서 아동문학의 꿈을 품고 창작에 힘쓰며 청년기를 지내다가 해방과 전쟁의 혼란 속에 장년이 되어 서울로 활동지를 옮긴 일이며, 활발한 문단 활동으로 아동문학의 발전에 힘쓰고 시와 산문을 함께 쓰면서 1960년대 장편 소년소설 분야를 넓힌 공로 등 두 사람의 이력에는 닮은 부분이 많다. 그런데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상당히 다른 입장의 차이가 발견된다. 그것은 그대로 두 사람의 소년소설이 반영한 현실상의 본질적 차이로 이어진다. 어린이를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는 것은 아동문학의 매우 가치 있는 힘이다. 강소천과 이원수의 소년소설에서 자기의 현실을 다시 만난 아이들은 많은 위안과 새 힘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그 고통을 대상화하여 바라보고 지금의 아이들이 사는 삶의 버거움과 나란히 놓았을 때, 강소천의 경우처럼 그 시련의 서사로부터 구조적 맥락을 소거시키는 것은 진실된 이야기 들려주기로 보기 어렵다. 인간의 선의는 분명 근본적 가치라 하겠지만 그것이 개인의 자질과 덕망의 소산일 뿐이라 한다면 그런 작품이 반영하는 것은 우승열패의 세계관일 뿐이다. 반면 현실의 구조적 형상화가 인물 성격을 주제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낳는다면 그것 또한 비판받아야 할 유산임에 분명하다. 이원수의 어린이 주인공이 생기가 부족한 채 출구 찾기에 힘겨워하는 모습에서 우리는 그것을 확인하게 된다. 사회의 구조와 그 변동의 방향에 있어, 강소천의 소년소설에서는 행복한 결말이란 개인의 성공과 같고, 성공의 작동 기제를 묻는 불편한 시선은 교육성의 이름으로 생략하는 것이 이롭다는 입장이 재확인된다. 반면 이원수의 경우는 작품 연재 시점에서 진행형인 ‘4월 혁명’의 의의를 바로 주제화하는 기민함과 함께 전후 냉전 논리의 어두운 그늘을 끈질기게 작품화하는 또 다른 교육적 책임감을 동시에 보여 준다. 두 작가의 입장 차이는 결국 어린이와 사회를 연결하여 보는 시선의 차이인 바, 사회를 살아가는 어린이와 어린이를 품어 안은 사회를 동시에 관찰하고 그리는 일에서 아동문학이 고민하고 선택해야 할 본질적 입장 차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아동문학의 장르 중 소년소설이 사실성의 논리를 엄격히 지키는 가운데 사회의 일원인 어린이의 세계관 형성을 도와야 하는 양식이라면, 역사와 사회 현실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시각과 그것을 주제화하는 교육성의 적극적인 해석이 있어야 할 것이다. 강소천의 경우 어린이 개인에 대한 위로에 주력한 것이 사회적 모순을 외면 내지는 옹호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원수는 사회적 맥락 속의 어린이를 형상화하는 데 힘썼는데, 그것이 인물의 어린이다운 활력을 제한하고 마는 부작용을 드러냈다. 한국 아동문학의 역사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김과 동시에 어린이와 사회에 대한 시선에서 흥미로운 대립을 보인 두 작가의 작품을 지금 읽는 것이 그 대립 내용의 발견이 된다면, 그것은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어린이에게 아동문학은 무엇이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Korean juvenile literature grew in poor backgrounds. Lee Wonsoo and Kang Socheon, two representative writers of Korean juvenile literature, left strong and precious marks on the history. Also, two writers symbolize opposite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society. We can answer one origin question about juvenile literature by searching how they reproduced reality in this genre. They wrote some juvenile novels at the same period of time. Lee Wonsoo wrote 「A song of dandelions」(1961), 「A boy of echoes」(1965) and Kang Socheon wrote 「A village of sunflowers」(1956), 「Spring calls you」(1960). These novels show sufferings of children in postwar Korea. It can be connected with problems with children in these days, too. Comparing two periods gives us a chance to reconsider roles of juvenile literature on society cognition. There are some similar aspects of two writers. They spent their youth with dreaming of writing juvenile literature and moved to Seoul in their manhood. They bot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juvenile literature and full-length juvenile novel in 1960's. However, looking into the contents in detail, there are some different perspectives, either. It relates to the fundamental difference of reality exposed in their novels. A valuable role of juvenile literature is that it has power to liberate children from painful world. Children encountered reality and found so much comfort and energy in juvenile novels of Lee Wonsoo and Kang Socheon. There are some coincidences in their novels to smoothly settle problems. But readers might not have trouble with feeling sympathy and internalization. Kang Socheon excluded structural context from the time of hardship. His narration style is hard to regarded as an sincere one. It is definite that the goodness of human is a basic value. But if it is a result of personal talent and personality, his works only justify the perspective of weak-to-the-wall. But if figurating reality structurally makes characters be influenced by theme, it should be criticized, either. We can find this phenomenon in Lee Wonsoo's novels : children feel difficult to find a key in their life. In Kang Socheon's novels, individuals seek personal success as a happy ending. But what makes the success possible? This question was not answered in his novels. He just attributed the success to the role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Lee Wonsoo topicalized the meaning of April revolution, which was in progress at that time. He also write about Cold war era insistently. It was from a sense of responsibility of edu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wo writers is eventually a difference of perspectives about the relevance of children and society. Juvenile literature should be concerned about it and suggest what to choose. This is because writing juvenile novels is a process of observing and describing children and society. In the genre of juvenile literature, novels must be realistic and help children formate a view of the world. Writers should understand history and society structurally. Also, they should interpret and topicalize history and society educationally. Kang Socheon concentrated on personal comfort. As a result, he disregarded and defended a contradiction in society. Lee Wonsoo tried to embody children in society, but this attempt restricted characters' vitality. Kang Socheon and Lee Wonsoo left their footprints on the history of juvenile literature. They also represented two viewpoints on children and society. Studying their novels lets us find the difference in detail. And this relates to asking the meaning of juvenile literature to children in this era.

      • KCI등재

        박경리 아동·청소년 소설에서 ‘분리불안’의 해소 방식 연구

        최배은 ( Choi Bae-e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8 No.-

        박경리는 1958년부터 1961년 사이에 『새벗』과 『학원』에 아동 · 청소년 소설을 발표했다. 본고에서는 박경리의 아동·청소년 소설을 소녀 · 소년 주인공들의 ‘애착대상’에 대한 ‘분리불안’과 그 해소 과정 이야기로 보고 그 해소 방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것은 박경리 아동·청소년 소설의 심리 치료적 가치를 발견하는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대상관계이론’과 ‘애착이론’을 참고하였다. 박경리의 아동 · 청소년 소설은 불안을 극대화하는 플롯을 사용하여 주인공 소녀 · 소년을 불안한 상황에 노출시키고 그에 대해 작동되는 방어 반응에 따른 불안의 해소 방식을 보이고 있다. 아동 대상의 <돌아온 고양이>와 <은하수>는 전쟁이라는 외상성 사건으로 집과 아버지를 잃은 소녀가 애착대상인 동생과 어머니마저 잃을 위기를 겪고 극도의 슬픔에 놓여 있을 때, 애착대상이 돌아오거나 그를 구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여 불안이 해소된다. 이때 ‘고양이’와 ‘노래’는 애착대상과 동일시되거나 그와의 유대를 강화시키는 중간대상으로서 억압된 욕망과 감정을 표출하고 그 욕망을 실현시키도록 한다. 청소년 대상의 <솔바람>과 <추억>은 근친상간과 동성애라는 제재로 사춘기 소년, 소녀의 분리불안과 그에 대한 반응을 보인다. <솔바람>은 아버지를 상실한 소년이 삼촌의 사기 행각으로 애착대상과 분리되어 그들의 안위와 상실에 대한 불안을 느끼다 그것을 현실로 맞닥뜨리자, 패륜을 범한 어머니를 버리고 동생의 보호자가 되면서 불안이 해소된다. 여기서 또래 소년 ‘진기’는 삼촌의 전치 대상으로 삼촌에 대한 분노감을 표출하고 그에 대한 사회적 처벌을 암시하여 소년의 법과 질서에 대한 믿음을 회복시키는 데 기여한다. <추억>은 일제 말기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소녀가 열패감을 심화시키다 사랑하는 소녀를 상실하는 결말을 맺는다. 여기서 무턱이 선생은 열패감의 투사 대상으로 사용되어 소녀는 그에게 반항하다 파국적 상황을 맞이한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박경리의 아동 · 청소년 소설은 연령별 애착대상 및 심리 구조를 핍진하게 그려내고 있다. 따라서 당대 독자뿐 아니라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심리 치료적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etween 1958 and 1961, Park, Kyung-ni published some juvenile novels in juvenile magazines like < Saebut > and < Hakwon >. On observing the main characters’ anxiety about the separation from the “Attachment objects” in the stories of these juvenile novels and the process of these characters overcoming it, I considered the solution of “Separation Anx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as identified the psychotherapeutic effects of Park, Kyung-ni’s juvenile novels. For this study, I referred to “object relation theory” and “attachment theory.” In her juvenile novels, Park, Kyung-ni created a plot that maximizes anxiety and exposes the main characters or boys and girls to adverse situations. and showed a way of anxiety relief following defense reaction against it. In the children novels “Dora-on Goyang-i” and “Eunhasu,” a girl, who had lost her father and house due to a traumatic event during the Korean War, as well as her mother and brother, was in extreme grief, but the return of “attachment object,” helped her gain the ability to save herself and relieve her of anxiety. In this case, a cat and songs are “transitional objects,” which are identified as “attachment objects,” with which she strengthens her ties. Further, this helps her to express her repressed desires and realize them. On the other hand, the juvenile novels “Solbaram” and “Chu-eok” have incest and homosexuality as subject matters and depict “separation anxiety” of teenagers and their response to it. In “Solbaram,” a boy, who had lost his father and had been separated from his “attachment object,” experienced a deep sense of loss and grief because of his uncle’s fraud. However, when he was confronted with a problem, he was determined to desert his mother, who had committed an immoral act, to be his sister’s guardian. After that, he gained relief from his anxiety. Here, Jin-gi, a boy of his age, is a “displacement object” who displaces his uncle and helps him restore his faith in law and order through expressing his anger toward his uncle and alluding to social punishment for him. In “Chu-eok,” a girl, who lived in a dormitory dur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suffered from a sense of inferiority and defeat and ended up losing her beloved a friend. The girl projected her sense of inferiority and defeat onto her teacher “Moo-tuki” and fought against her. In the end, she drove herself into a catastrophe. As can be seen above, Park, Kyung-ni vividly describes attachment objects and the psychology of different age groups in her juvenile novels. Accordingly, it seems that her juvenile novels can have a psychotherapeutic effect on the readers of all times.

      • KCI등재

        라이트노벨과 미성년 욕망의 매커니즘

        이선경(李宣慶)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6

        This article examines the juvenile desiring mechanism of Light Novel centered on the analysis of Isin Nisio’s works. Given the prolific Light Novel creating almost 20 years, Nisio’s works are emblematic of Light Novel and its mechanism. Light Novel,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res of Otaku subculture, is operated by two desire in regard to juveniles: one is the desire to stay the position of juvenile as a subject and the other is to posses the other juveniles as objects. What’s important here is that the gender identity of juvenile subject of Otaku subculture is male, in other words, they desire to be boys to obtain girls. Even if they are no longer juveniles in actual ages, they would like to stay the position of boys as ever. Within the mechanism in regard to juveniles, Otaku subculture has secured their contents users almost 40 years. From the psychoanalytical point of view, especially in terms of the Melanie Klein’s theory, Light Novel may be viewed that they stay the early stage of Oedipus, to be concrete, between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and the depressive position. The juvenile subjects repeat the progress and the regression between those two positions. In Nisio’s Light Novel, the progress to the depressive position is presented by misogyny: the cliché sexualising of girls, which is a sort of literacy of Otaku subculture, reproduces at Nisio’s works. Meanwhile, the regression towards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is expressed as desire for degrowth and they show solidarity in their Otaku communit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express anxiety about being adults and being influenced by their older generation, especially the influence by their senior writers. That anxious identity revels the position of Light Novel as a new form of Literature.

      • 이태준의 아동 서사물 연구

        안미영 개신어문학회 2009 개신어문연구 Vol.0 No.29

        This study examined Lee Tae‐joon’s narratives for children in the aspects of genre, form and theme. Works that Lee Tae‐joon published in Magazine ‘Children’ are subdivided into various genres including ‘juvenile novel’, ‘creation’, ‘novel’, ‘success novel’, ‘kindergarten novel’ and ‘childhood novel’. Lee Tae‐joon wrote novels that are not fairy tales just for children but novels readable to anybody. Therefore, his juvenile novels deal with conflicts in human relations that may happen among young children as well. Lee Tae‐joon perceives fairy tales as a fantasy genre distinguished from novel. In his view, a fairy tale is a story in which natural objects appear as persons with character equivalent to huma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ir form, Lee Tae‐joon’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ose of the early period and those of the late period. Outstanding features in the early works are ‘the narrator’s summary’ and ‘observation by the first‐person main character’, and those in the late works are ‘experiment on drama forms’ and ‘description in conversational style.’ Compared to those in the early period, works in the late period succeeds in keeping a distance from the characters and objectifying themes and episodes. In the late period, the author shows not only the evolution of form but also the growth of consciousness, deepening and expanding the spirit of creation as an earnest novelist. In the aspect of theme as well, the writer’s consciousness is expanded from motherhood to nature in the late period. While his early works pay attention to deficiency in motherhood, his late works are awakened to the motherhood of nature.

      • KCI등재

        <심청전>의 어린이문학 변용 양상- 2000년대 이후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

        진은진 ( Jin Eun-ji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고전소설이 과거의 유품이 아니라 현재적 고전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설화와 마찬가지로 고전소설과 어린이문학의 만남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심청전>의 경우는 다른 고전소설들 달리 주목할 만한 창작동화가 다수 나오고 있어 관심을 가질 만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고전소설 <심청전>이 어린이문학에서 어떻게 변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심청전>을 변용한 창작동화는 이형진의 그림책 『비단치마』, 공진하의 저학년 장편 동화 『청아 청아 눈을 떠라』, 이경혜의 저학년 단편동화 「심청이 무슨 효녀야?」, 강숙인의 청소년 소설 『청아 청아 예쁜 청아』, 진은진의 단편 동화 「청아 청아」, 배유안의 청소년 장편소설 『뺑덕』, 정해왕의 청소년 장편 소설 『뺑덕의 눈물』 총 7종이었다. 이들을 검토해 본 결과 그림책, 동화, 청소년 소설 등 다양한 장르와 연령을 대상으로 하면서 다양한 시각으로 다채로운 주제를 드러냄으로써 고전의 기대지평을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 <심청전>을 변용한 동화가 어린이와 청소년의 삶에 근접한 문학이라는 점도 고전이 가진 고리타분함과 독자와의 거리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심청전>이 어린이들의 삶과 밀착하여 다채롭게 재해석되면서 고전은 현재의 것으로서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또한 『뺑덕의 눈물』의 경우, 서사를 <심청가>의 기원과 연결시키거나 판소리를 삽입하기도 하여 판소리계 소설로서의 <심청전>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고전의 가치를 살리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판소리계 소설의 가장 큰 특징중의 하나인 골계미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인데 <심청전>을 변용한 동화들이 앞으로 고민하고 지향해야 할 방향 중 하나라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Korean classic novel "Shimcheong-jeon" has transformed in juvenile literature since the 2000s. Classical novels are far from modern and temporal, differ from modern cultures. Classic novels are also different from the lives and thoughts of modern children. It is therefore difficult for modern child readers to easily understand or agree with classical novels. In order for classical novels to have the meaning in the prese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ncounter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children's literature. In the case of “Shimcheong-jeon”, unlike other classical novels, there are many creative fairy tales. There are seven kinds of fairy tales that transformed “Shimcheong-jeon”. They are diverse in genres such as picture books, fairy tales, and juvenile fiction, and are intended for a variety of ages. These works are described i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Shimcheong who is full of desire, Shim Hakgyu who is disabled, Ppaengdeog’s mother who has maternity and subjectivity, The dragon of the dragon king and Byeogdeog who loves Shimcheong, and Shin Cheong who has a dream. The themes of the works vary. So, These works extend our expectations for classical literature. Fairy tales that transformed “Shimcheong-jeon” reflect the lives of children and youths,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reduce the distance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children and youth readers. Classical novels are modernized and give new meaning to modern children and youths. And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of Pansori's “Shimcheong-jeon”, preserving the value of classics. Tears of Paengdeok is a story that explains the origin of Pansori “Shimcheong-ga”, and inserts some lyrics of Pansori, in the case of Cheong, Cheong, Pansori style is used. Although humor is the greatest feature of pansori, there are few of Fairy tales that transformed “Shimcheong-jeon”. It is a direction to worry and to orient when transforming “Shimcheong-jeon” into a fairy tale.

      • KCI등재

        1970년대 소년범죄소설 속 소년의 ‘악의(惡意)’ ― 「공백의 흉상(空白の凶相)」과 「마소년(魔少年)」을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8 No.-

        2000년 이후 소년범죄소설에서는 소년들의 내면의 붕괴를 언급하며 그 문제가 현대에 이르러 나타난 문제라고 직시한다. 그러나 1970년대의 소년범죄소설에서 소년의 내면의 악의에 대하여 다루는 작품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소년범죄소설의 소년의 내면이라는 새로운 흐름이 등장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70년대에 등장한 모리무라 세이치의 작품 「공백의 흉상」과 「마소년」에 나타나는 소년들의 내면의 악의와 이를 표현하는 심리적 트릭에 대하여 분석하면서 소년 내면의 ‘악의’와 이를 표현하는 소설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1970년대의 소설에서는 소년들의 내면의 악의에 대하여 주목하면서도 동시에 악의를 키우게 된 원인에 대하여 가정의 붕괴, 사회시스템의 붕괴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지적한다. 이렇듯 1970년대의 소설에서 소년의 내면의 악의를 사회적 문제로 귀의시키는 데에 비하여 2000년대 이후 소설은 개인의 문제로 귀결시키려는 차이점이 있다. 1970년대 소년범죄소설에서 나타난 소년들의 악의의 탄생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사회의 소년범죄소설 속에서 소년의 뒤틀린 내면을 다루는 소설의 시작과 그 특징을 알 수 있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Since 2000, juvenile crime novels have mentioned the collapse of the inner self of youths. These novels squarely faced the problem, suggesting that it was caused by modern society. However, in the 1970s, some juvenile crime novels already dealt with the inner evil will of youths and this trend indicated a new emerging flow of the juvenile inner side. In recognition thereof,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Kuhakuno Kyoso] and [Mashonen] by Morimura Seichi in the 1970s to analyze the evil intentions of the youth and the psychological tricks expressing such intent to harm.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youths’ inner conviction to harm and the pattern followed by these novels to express this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1970s novels note juveniles’ inner intent to harm, they also point out social problems therein such as family breakdown or social system collapse. As this indicates, the 70s novels attribute juvenile bad will to the ills of society, whereas novels from the 2000s and onwards tend to blame individuals. Therefore, investigating juvenile intent to harm in the 70s juvenile crime novels is significant in terms of discovering the beginning of novels dealing with the distorted inner side of youth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 KCI등재

        리메이크 영화 『방황하는 칼날』에서 나타난 소년법 인식의 비교 고찰

        남상현 ( Nam Sang-hy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소년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소년법에 관한 담론은 함께 진행된다. 그리고 소년범죄사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논의의 차이는 소년범죄와 소년법에 대한 문제의식의 차이를 형성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차이에 입각하여 한국과 일본의 영화에서 대중이 소년법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의 차이를 가지는지 그리고 어느 부분에 더욱 주목하고자 하였는지를 비교 고찰하고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2004년 출판된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의 『방황하는 칼날(さまよう刃)』를 원작으로 살펴본 후, 리메이크된 한국(2014)과 일본(2009)의 영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일본의 영화에서는 소년법이 소년범을 처벌하지 못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피해자 가족의 박탈감과 울분에 주목하였다. 등장인물들은 소년법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이면서도 심층적인 고민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중에게 소년법에 대하여 재고찰의 기회를 주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달성하였다. 한편, 한국의 영화는 소년법의 내용은 축소되고 인물의 심리를 극대화 한다. 한국의 영화속 아버지는 소년법에 무지한 인물로 변형되며, 사랑하는 딸을 지키지 못한 울분을 표출하기 위하여 복수를 다짐하는 인물이다. 아버지를 대표하는 대중, 일반인에게서는 소년법에 대한 인식을 찾을 수 없었다. 다만, 경찰만이 소년법에 문제의식을 가질 뿐이었다. 두 영화 속 등장하는 소년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일본의 영화는 대중이 소년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전개되며 동시에 소년법에 관한 불신을 나타내는 경향이 짙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은 소년법보다는 소년범죄와 그에 따른 피해자의 감정에 주목하였다. 그럼에도 사법기관에 대한 믿음과 변화에 대한 의지가 존재한다는 모습을 보이며 향후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게 하였다. 이상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영화를 비교 분석하여 소년법의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영화와 소설이 가지는 사회성까지 고찰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As the juvenile crime occurs, the discourse on the Juvenile Law goes hand in hand. The different discourse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juvenile crime case forms the different awareness between juvenile crime and juvenile law. Based on these differences, In this paper, I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film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public perception on the juvenile law and the points which they wanted to focus more on.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juvenile crime and juvenile law in Korea and Japan. Hence, I analyzed the remake films of Korea (2014) and Japan (2009), after analyzing Higashino Keigo's novel Samayou Yaiba published in 2004. First, in the Japanese movie, it focused on the deprivation of the victim 's family and the anger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juvenile law, which fails to punish the juvenile offenders. The characters were more objective and deeply concerned about the juvenile law. Through this, the movie has achieved the role of giving the public an opportunity to think and review about the juvenile law.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 movie, it reduce the content about the juvenile law and maximiz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A father in a Korean movie is transformed into an ignorant person in the juvenile law. Furthermore, he pledges revenge because of the anger which belongs from that he was not able to protect the beloved daughter. From the father representing the public, there could not find the awareness of the juvenile law. However, only the police had a awareness of problem in the juvenile la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the juvenile law appearing in the two films, it is found that the Japanese film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ublic knows the juvenile law in detail, and at the same time, it tends to show the distrust of juvenile law. On the other hand, Korea focused on the victim 's feelings rather than juvenile laws. Nevertheless, it showed faith in the judiciary and the will to change and expected positive change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the juvenile law was grasped in depth by comparing and analyzing movies of both countries. This implies that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sociality of movies and novels.

      • KCI등재

        현덕의 『광명을 찾아서』와 리얼리즘 소년소설의 계보

        원종찬 ( Won Jong-ch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본고는 현덕의 장편 소년소설 『광명을 찾아서』에 관한 필자의 이전 논문의 후속편이다. 이전 논문에서는 현덕의 모든 작품들을 대상으로 ‘부권부재’ 양상의 상호텍스성을 살펴 작가의 월북동기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번 논문에서는 『광명을 찾아서』의 아동문학적 가치를 ‘리얼리즘 소년소설의 계보’라는 관점에서 살피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여기에서 확인되는바, 정부 수립 직후에 나온 『광명을 찾아서』는 식민지시대 리얼리즘 소년소설 계보와 분단시대 리얼리즘 소년소설 계보를 잇는 핵심고리였다. 카프(KAPF) 작가를 방계로 친다면, 직계는 ‘방정환-이태준-현덕-이원수-권정생’으로 이어지는 그림이 그려진다. 이 계보는 한국 소년소설의 전개에서 등뼈에 해당한다. 이 계보의 소년소설이 보이는 공통점은 ‘불우한 소년주인공’과 ‘폭력적인 시대 환경’으로 요약되는데, 현덕은 ‘소년의 성장’이라는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소년소설의 리얼리즘’을 본궤도로 올려놓은 중간 전환점이었다. 엄밀한 의미에서 그에게 ‘소년소설의 개척자’라는 칭호를 부여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is study is one just followed previous thesis about 『In Search of Light』 written by Hyun Duk. The previous study focused on figuring out his motive of going to North Korea, investigating intertextuality of ‘absence of paternal authority’ situation in all the works of Hyun Deok.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value of children’s literature from viewpoint of ‘genealogy of realism juvenile novel’. As identified here, 『In Search of Light』 published just after the foundation of Korean government was a link to connect genealogy of realism juvenile novel in colonial era with genealogy of realism juvenile novel in the era of divided country. The KAPF writers could be classified to collateral line while this would be a direct line-‘from Bang Jeong-hwan, Lee Tae-joon, Hyun Duk, Lee Won-soo, to Gwon Jeong-saeng’. The genealogy would be a backbon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juvenile novel. The common points shown in the juvenile novel in the genealogy are summarized as ‘unfortunate boy hero’ and ‘violent environment of the era’. Hyun Duk developed ‘realism of juvenile novel’ into further elaborate form by adding the element of ‘boys’ growth’ to above two points. This is the reason why the title of ‘a pioneer of juvenile novel’ can be given to him in the strict meaning.

      • KCI등재

        방정환의 동화와 소년소설에서의 성장과 근대성의 문제

        강수환(Kang, Soohwa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본 논문은 방정환의 동화와 소년소설을 분석 텍스트 삼아 방정환의 동화와 소년소설에서 발견되는 성장과 근대성의 의미를 분석한다. 비교문학적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교양소설 연구와 크리스토퍼 파크스(Christopher Parkes)의 영국 아동문학 연구를 참조했다. 방정환에게 ‘어린이’와 ‘소년’은 근대의 기획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공유하며 창발한 존재였다. 그러나 방정환에게 어린이는 ‘반근대의 충동’(낭만)처럼 재현되는 데에 반해 소년은 ‘근대의 표상’(현실)으로 다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존재 사이의 간극을 이해하는 데에 착목함으로써 이들을 둘러싼 성장과 근대성의 의미에 접근하고자 한다. 외관상 어린이와 소년은 상반된 존재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경향은 아동을 주인공으로 삼는 영국 낭만주의 문학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파크스는 당시의 어린이 인물을 “살아있는 자본주의 정신의 구현”으로 독해했는데, 본 논문은 이를 ‘살아있는 근대주의 정신의 구현’으로 변용하여 적용했다. 방정환의 어린이와 소년은 동전의 양면처럼 이어진 존재다. 그의 동화 속 어린이의 형상은 근대주의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어린이와 근대주의 사이의 거리는 둘의 관계가 반대적임을 시사하지 않는다. 그들 사이의 거리는 잠정적이기 때문이다. 어린이는 ‘근대의 표상’에 더욱 부합하는 인물로 성장하기 위해 현실로 직행하기에 앞서 잠정적으로 분리된다.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방정환의 동화 속 어린이의 유희는 모더니티의 감각을 체화하는 한에서 발생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때의 어린이는 ‘반근대의 충동’보다는, 근대주의적 정신의 이면이자 일종의 예비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근대성을 내면화한 어린이는, 소년으로 성장하여 본격적으로 근대적 기획의 과업을 짊어지고 현실 속으로 개입해야 한다. 하지만 식민지라는 현실조건은 어린이에서 소년으로 성장한 이들에게 동일한 내러티브를 쥐여주지 않았다. 그 결과 방정환의 소년소설에서 소년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성숙에 이른다기보다는 이미 성숙한 존재로 나타난다. 그의 소년소설은 이미 성숙한 소년의 본질이 주변 어른 인물 인물에 의해 발견․공인되는 형식의 서사를 반복한다. 이는 ‘내면의 법’(자아)과 ‘외부의 법’(사회화) 간의 조화를 도모했던 서구의 교양소설 모델과 상응하지 않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식민지라는 현실조건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당대의 현실과 방정환의 소년소설에서 드러난 특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growth and modernity in Bang Jeonghwan’s fairy tales and juvenile novels. For comparative literary analysis, this paper referred to Franco Moretti’s study of Bildungsroman and Christopher Parkes’ study of British children’s literature. For Bang Jeonghwan, “children” and “juvenile” were emergent beings sharing the same goal: The modern project. However, to Bang Jeonghwan, children were treated as “anti-modern impulses” (romance), whereas juveniles were treated as “modern representations”(reality). The two seem to be the opposite.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meaning of growth and modernity by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Bang Jeonghwan’s ‘children’ and ‘juvenile.’ In appearance, ‘children’ and ‘juvenile’ seem to be contradictory. This was similarly found in British romantic literature, with children as the protagonists. Parkes read the character of children at the time as “the living embodiment of the spirit of capitalism.” This paper transforms and applies it as ‘the living embodiment of the spirit of modernism.’ Bang Jeonghwan’s ‘children’ and ‘juvenile’ are connected like both sides of a coin. The figures of children in his fairy tales seem far from modernism, but the distance between children and modernism does not suggest that their relationship is the opposite.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temporary. Children are temporarily separated from reality in order to grow into beings more consistent with the “modern represent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 the children’s enjoyment in Bang Jeonghwan’s fairy tales occurred as long as they have embodied the sense of modernity. Therefore, children here can be considered the backside of ‘the spirit of modernism’ and kind of preliminary stage rather than ‘anti-modern impulses.’ Children who have internalized modernity must grow into juveniles and take on the task of the modern project in earnest and intervene in reality. However, due to the colonial condition, those who grew up from children to juveniles could not get the same narrative. As a result, in Bang Jeonghwan’s juvenile novel, the juvenile appears as an already mature being, rather than reaching maturity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His juvenile novels repeat the narrative in which the already mature juvenile"s nature is discovered and recognized by the adult character around him. It did not correspond to the model of Western Bildungsroman, which promoted harmony between the “inner law”(self) and the “external law”(socialization). This paper regards i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conditions of the colonization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of the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Bang Jeonghwan’s juvenile novels.

      • KCI등재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소년탐정소설과 아동문학으로서의 위상

        오현숙(Hyun Sook Oh)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3

        This manuscript tried to establish newly the status of colonial ‘Children`s literature’ focused on boy detective novels created in 1930s. Until now, it is very rare to pay attention to the boy detective novels in 1930s. The geography of the boy detective novels created in 1930s would be possible to evaluate more evenly when Bang Jeong-whan`s decedents, Park Tae-won and Kim Young-soo`s newly reorganized trends are included together while not only a trend like Kim Nae-sung as colonial literature pointed by previous studies until now, but also the tradition of the children`s literature in 1920s targeted in this manuscript is inherited. To signify the boy detective novels as Children`s literature, it is to read them, not with western or Japanese detective novels` irregularity, but with intrinsic aesthetic qualification. Thus, this manuscript tried to light up the boy detective novels based on divided aesthetic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literature. Specifically, the reason why adventurous factors are stood out in the boy detective novels was demonstrated to be an intrinsic phenomenon according to occurrence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nd an historical evolution. And, aesthetic features of the boy detective novels were checked to be inherent featuresreflecting cognitive and psychological standard of implied readers called children, not to be artistic faults. Also, an inherent historical evolution of the boy detective novels has important meaning. The children`s literature in 1930s was developed after previous generation`s independent children`s literature and cultural traditions had been established. In this context, though the boy detective novels were flourished under the acceleration of a colonial system of empire, gaps of intrinsic literary tradition and ‘colony’ showed complex transformational aspects, not being domesticated easily into the regime. Park Tae-won embodied critical themes on ‘colonial mobilization of bodies’ for colonized Joseon boys. Kim Nae-sung exposed unstable imperial status under the acceleration of a war basis as compulsive and grotesque masculinity, and Kim Young-soo expressed backing of the crowd ‘outside’ of system under colonial domination order as being romantic within grammatical changes of the boy detective novels. These authors’ boy detective novels will be the concrete examples. These discussions of the manuscript evaluate inherent aesthetic features about the boy detective novels left vacant in history of the children`s literature until now. Also, these will provide some clues to settle down the formation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nd evolutional courses. Moreover, rebellious features of the boy detective novels of Park Tae-won, Kim Young-soo, and so on inherited from Bang Jung-whan are expected to make general detective novels mainly which have been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popularization discussed abund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