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척’과 ‘갱생’, ‘신민-되기’ 사이의 미묘한 거리-장혁주의 「어느 독농가의 술회」, 「순례」 『개간』을 중심으로-

        김지영 만주학회 2013 만주연구 Vol.- No.15

        A representative of colonial Korea Jang Hyuk Ju Japan Japanese writer active in paragraphs, but the tags can be removed from the colony was shipbuilding. One that does not get rid of the Empire of Japan and broke, he confines himself in his attempt to escape, however it was not able to escape from colonial Korea in the fact that the Japanese writer and shadows and seemed to be a lifetime. Jang Hyuk Ju to share so than anyone else ‘pioneer’ and ‘rehabilitation’ a new ‘national-is’ the important. In colonial Korea, the empire could not get out in Japan until his native virtual puppet of the Empire, and Koreans in Manchuria came as new possibilities. Pioneer Village, created out of nothing accomplished by listening to the stories of two weeks Koreans Jang Hyuk Ju nor a colonial empire from non-empire truly be recognized as a member of the openly confirms that. In addition, the migration of Manchuria exploitation Village Koreans and the arduous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last one pioneered want empire ‘national’ to ‘rehabilitate’ entitled to, in other words the body is healthy and Merry who qualify. In this article, published in 1943, Jang Hyuk Ju shares three novels and explores the process was targeted. 식민지 조선의 대표적인 일본어작가 장혁주는 일본문단에서 활동하였지만, 식민지 조선 출신이라는 꼬리표를 뗄 수 없었다. 제국 일본이 떼어주지 않는 한, 그는 스스로 그 굴레에서 아무리 벗어나려고 해도 벗어날 수 없었기에 식민지 조선 출신 일본어작가라는 사실은 그와 평생을 함께 해야 하는 그림자와 같았다. 그래서 장혁주에게 누구보다 ‘개척’과 ‘갱생’, 새로운 ‘신민-되기’가 중요했다. 식민지 조선에서도, 제국 일본에서도 벗어날 수 없었던 그의 출신은 비로소 가상의 제국이자 괴뢰국인 만주에서 새로운 가능성으로 다가왔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여 개척촌을 이룬 이주조선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장혁주는 식민지도 아니고 제국도 아닌 곳에서 진정으로 제국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게다가 만주 개척촌의 이주조선인들은 험난하고 지난한 개척 과정을 거치면서 제국이 원하는 ‘신민’으로 ‘갱생’할 자격, 즉 신체 건강하고 명랑한 자격을 갖추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장혁주가 1943에 발표한 세 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 KCI우수등재

        보다 완전한 판본을 위하여-텍스트의 검열과 복원 고찰

        김주현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A lot of text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ad been spoiled due to censorship. The writers could not deliver their intention properly through texts and the reader had difficulty reading it due to censor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art restoring the censored text. The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meaning of text restoration through some of the works which had been destroyed. We can see the more original essence of Lee Buk-myung’s “Nitrogen Fertilizer Factory”(1932) through “Chojin(初陳)” published in Japanese. Meanwhile, the translation of the “Choji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Nitrogen Fertilizer Factory”(1932). In addition, “Nitrogen Fertilizer Factory” remodeled in 1950s can also be referenced to the restoration work. Next, Jang Hyuk-ju’s “People Who Had Been Kicked Out” written in Japanese had been so damaged by censorship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author's original intention. Fortunately, however, Oshima Yoshio restored the censored parts, while he translated into Esperanto. So this work can be restored by Oshima’s translated work(1933) and Jang Hyuk-ju’s restoring text(1976). Lastly, although several parts of Jang Hyuk-ju’s “A Guy Named Kwon” were erased due to censorship, it is possible to restore much of this work through Hwang Won’s translating text(1934) and Jang Hyuk-ju’s restoring text(1948). I hope that such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extensively in the future and that the stud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ill take a step further. 일제 강점기 발표된 많은 작품들이 검열로 인해 누더기가 되었다. 작가는 작품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었고, 독자는 복자 처리된 부분으로 인해 독해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래서 검열된 텍스트의 복원 작업에 나설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일부 텍스트의 검열과 복원의 의미를 살폈다. 이북명의 「질소비료공장」(1932)은 일본어작 「초진」(1935)을 통해 보다 완성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초진」의 복원에 호풍의 번역 「初陳」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1950년대 개작된 「질소비료공장」 역시 복원 작업에 참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혁주의 「쫓겨가는 사람들」은 일본어 텍스트가 검열로 인해 많이 훼손되어 작가의 원의를 파악하기 어렵다. 다행히도 오시마 요시오가 에스페란토로 번역하면서 지워진 부분들을 복원하였다. 이 작품의 경우 오사마의 에스페란토 번역본(1933)과 장혁주의 복원본(1976)을 통해 대부분 복원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장혁주의 「권이라는 사나이」 역시 일본어 본은 검열로 인해 여러 부분이 지워졌지만, 황원의 번역본(1934)과 장혁주의 복원본(1948)을 통해서 상당 부분 복원이 가능하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한국 근대문학 연구가 한 단계 진척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장혁주 소설의 한국전쟁 형상화 논리 연구 - 「眼」을 중심으로

        이희원 ( Lee Hee-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3

        2차대전 종식과 1952년까지의 미군정기를 지나면서 일본 정부는 일본에 거주 중이던 과거 식민지민들의 일본 국적을 말소하고 이들의 사회적 지위를 난민으로 격하시킨다. 이에 일본에서 활동하던 문인 장혁주는 일본 사회에서의 국민 지위를 잃고, 친일 이력에 의해 재일조선인 사회는 물론 한반도로부터도 배척받는 상황에서 일본에 귀화한다. 본고에서는 장혁주가 귀화 직후 한국전쟁 취재를 위해 남한에 들른 후 남긴 르포 기사 <朝鮮の慟哭>(《婦人俱樂部》 昭和二十八年(1953) 新年号)과 단편소설 「眼」(《文藝》 1953. 10)을 통해 장혁주가 한국전쟁을 형상화하는 논리를 분석했다. <朝鮮の慟哭>을 통해서는 귀화 직후 장혁주가 택한 남한 입국 행위가 가진 장혁주 개인의 의미 및 사회적 입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취재처인 일본 여성 수용소 소림사, 피란민 수용소, 고아원, 거제도 포로수용소 등을 서술하는 작가의 관점에서 일본과 미국의 의식이 반영된 관전(觀戰)하는 시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자전적 1인칭 소설 「眼」에서는 객관화·일반화할 수 없는 전장의 경험과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정동의 포착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는 이데올로기로 명료하게 정리되지 않는 실제 전장의 모순과 폭력성을 통해 구체화 되었다. 작품에서 포착한 전쟁터의 사람들은 자신을 죽음으로 몰아넣는 자가 아군인지 적군인지 확인하지도 못한 채 고통당하고, 죽지 않기 위해 이데올로기의 이름으로 누군가를 희생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는 전쟁이 주권자-호모 사케르의 억압적 통치 논리의 결과물이며, 이 논리를 내면화한 자들이 주권자의 감시하는 ‘눈’에 대한 공포에 사로잡힘으로써 빚어진 비극임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성찰이 결국 안전영토를 찾는 주인공의 모습으로 귀결됨으로써 자기 동일적 오류에 머물고 마는 한계를 보이기도 한다. 한국 내부에서는 그려지기 힘든 한국전쟁 자체에 대한 비판의식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큰 의의를 갖는다. 장혁주의 이러한 한국전쟁 형상화 방식에는 장혁주 작가 세계의 의미과 한계가 동시에 담겨있다. 이 관점에 도움받아 신냉전 시대를 사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현명한 지향점을 추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the Japanese government under the US military rule in 1952 canceled the Japanese nationality of the former colony people. As a result the Joseon people’s social status became exiles. Jang Hyuk-ju, the writer who build social career in Japan, lost his national status as Japanese and was rejected by the Korean Peninsula due to his pro-Japanese activities. So he chose to naturalize as a Japanese. In this paper, through the report article Joseon’s wailing and the novel Eyes, the way Jang Hyuk-ju analyze the Korean War. Joseon’s wailing shows the personal and social meanings of the artist Jang Hyuk-ju’s entry into South Korea right after naturalization.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Jang Hyuk-ju’s description about the Japanese women’s camp, Seo-lim Temple, the refugee camp, the Monsky orphanage, and the Geoje prison camp reflects that he is just a bystander of the war. This status reveals he is biased towards the political position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other hand, autobiographical novel Eyes expressed the experience of the battlefield that cannot be objectified or generalized as simple words clearly organized by ideology. These emphasize the affect it evokes. and reveal the contradiction and violence of the actual battlefield. So by showing people who have internalized the way of governing of the sovereign-homo sacer, we are exploring the fundamental consciousness of those who cannot escape from the fear of the sovereign’s monitoring ‘eyes’. As a result of this reflec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erson who was looking for a territory to safely belong to, inspite of temporarily, stayed in the error of self-sufficiency. This revels the limitations of writer’s perspective. Inspite of it his works significant in revealing the critical mind about the Korean War itself, which is dangerous to portray within Korean society. With the help of this point of view, it is hopefully expected to extract the wise direction of today’s Korean society living in the new Cold War era.

      • 범천(範泉)의 조선문학 비평 연구

        신선옥 ( Shen Xianyu )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9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14 No.-

        Fan Quan (1916-2000) has got much attention from academia as an outstanding editor, publisher, writer and translator, and his literary periodicals and monographs are the major research subjects. Fan’s contribution in editing and publishing has been widely recognized, and he is also noted for translating the works of Jang Hyuk-ju, a Korean writer. However, Fan’s criticism and cognition of Korean literature have been ignored. This paper studies Fan’s criticism and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by examining On Korean Writers, Korean Drama Campaign, and Sights in Korea so as to cast light on his views on Korean literature. Two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 Fan Quan put more emphasis on Jang Hyuk-ju’s attitude towards world literature while translating Jang Hyuk-ju’s criticism on Korean literature. Unlike his contemporary translators who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Fan informed the readers of the place and significan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development of world literature. Second, Chinese scholars still harbored ethnocentrism when appraising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Republic of China, but from Fan’s perspective, it was the formalism of Chinese culture that resulted in the stagnation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 view involves not only Fan’s objective description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his objective comment on Chinese culture, and therefore his academic attitude is of great significant for the current literary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친일문학과 민족문학의 경계 허물기 - 재일작가 장혁주, 김달수・김석범의 문학과 이분법적 사고의 해체 -

        김학동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학 Vol.55 No.-

        In this study, I compared and examined the literature of Jang Hyuk ju, known as pro Japanese writer, and Kim Dal soo and Kim Seok beom, known as national writers, based on the macroscopic perspective that is not bound by the existing literary evaluation standards for pro Japanes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people were tracked by considering the works and reviews of their later years, an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ationalism of Jang Hyuk ju's literature is bound by pedigree connections, emphasizing the homogeneity of both Korea and Japan, and Kim Dal soo also embodied the changing national characteristics over time as contemplative literature, but Kim Seok beom's nationalism is a future oriented concept that differs in its conclusion in that it pursues a nation as a group that enjoys individual freedom beyond lineage. In other words, it is confirmed that Kim Seok beom, who has stronger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elements than Jang Hyuk joo and Kim Dal soo, who have more national characteristics as objective and realistic elements by being born and raised in his country, is more determined to fight to protect them. 본고에서는 친일문학과 민족문학에 대한 기존의 문학평가 기준에 얽매이지 않는 거시적인 안목으로 친일작가로 알려진 장혁주와 민족작가로 알려진 김달수・김석범의 문학을 비교 고찰하였다. 특히 비교적 말년의 작품과 평론을 고찰하여 이들의 민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추적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장혁주 문학의 민족주의는 혈통적 연계성에 얽매여 한일 양 민족의 동질성을 강조하고 있고, 김달수 역시 세월과 함께 변전하는 민족적 특성을 관조적인 문학으로 형상화하였지만, 김석범의 민족주의는 혈통을 넘어 개인의 자유가 향유되는 집단으로서의 민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결을 달리하는 미래지향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조국에서 태어나고 자라남으로써 객관적・사실적인 요소로서의 민족적 특성을 보다 많이 지닌 장혁주와 김달수보다도 주관적・심리적인 요소가 보다 강한 김석범 쪽이 민족에 대한 소속과 이를 지켜내기 위한 투쟁 의지가 보다 확고하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다름 아닌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민족을 증명하는 실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민족이라는 개념 자체가 지고불변의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이익집단’으로서의 복합적 유동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상황은 민족이라는 개념이 지고불변의 절대적인 가치인 양 국민을 선동하는 정치가들과 반일 감정의 주입에만 열을 올리는 단편적인 교육에 의해 수구적인 민족주의가 횡행하면서 사회적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혈통을 강조하는 수구적인 민족주의의 부정적인 측면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자유가 보장되는 미래지향적인 집단으로서의 민족이라는 개념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장혁주 소설 「아귀도」에 대한 심층적 읽기

        김주현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0

        While working as a substitute teacher at Yecheon Jibo Public School, Jang Hyuk-Ju witnessed the miserable life that farmers suffered during the drought disaster and wrote “Agwido”. It was published in the Japanese magazine “Gaejo”. Japanese government erased most parts of farmer’s resistance against Japan and Japanese government torturing farmers. Director ×× colluded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to oppress and exploit colonial farmers. Here, the labor management conflict is connected to the ethnic conflict, a conflict between the ××(Japanese) director and the Korean workers. The last part shows the appearance of Joseon farmers resisting Japanese power and people standing up to injustice. Here, it shows a fellow traveler who sympathizes with the socialist class struggle. 「아귀도」는 장혁주의 등단작이자 대표작 가운데 하나이다. 「아귀도」는 경상북도예천 지보면의 저수지 공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장혁주는 예천 지보공립보통학교 대용 교원으로 근무하면서 당시 한해(旱害)로 인해 농민들이 비참한 고통을 겪는 것을 직접 보았다. 「아귀도」는 일본 잡지 『개조(改造)』에 발표되었지만, 당시검열로 인해 복자 처리된 글자가 무수히 많다. 검열 이전 텍스트에는 소작쟁의에 일제 권력기관이 개입하여 농민들을 탄압한사실이 들어 있었다. 그렇지만 일제는 농민들이 저항하는 모습, 농민들에 대한 일제의 고문 등을 대부분 지워버린다. 장혁주가 ‘××감독’이라고 한 것은 감독이 일본인이라는 것을 분명히 해준다. 여기에서 노사갈등은 ××(일본인) 감독과 한국인 노동자의 갈등이라는 민족갈등으로 연결된다. 마지막 부분은 일제 권력에 항거하는 조선 농민들의 모습, 불의에 맞서는 민중들의 모습이 드러난다. 여기에서 사회주의적 계급 투쟁을 동정하는 동반자 작가의모습을 보여준다. 장혁주는 일제의 검열 체제에 순응 내지 종속되어 가면서 조선의비참한 현실 재현과 거리가 멀어진다. 그러나 초창기 조선 민족의 비참한 현실을그려낸 리얼리즘 문학의 성취점은 결코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인 일본어작가가 ‘소비’되는 방식들

        김지영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5

        What is the meaning of the “Korean thing” that penetrates the works of the representative colonial Korean writer Hyeok-ju Jang—the bilingual writer—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How does the “Korean thing” appear in the writer’s works? What kind of changes, and relationship among the works does it reveal? If “Korean” before the liberation was a tool of success that met the desire of the dual-language writer of the colonial Korean by introducing exotic readings, it is worth tracking whether it continues to carry the same meaning after the liberation or implies other meanings as the situation has changed. The situation of Korea is captured by Jang Hyuk-ju who became a Japanese writer from Joseon in Ah, Joseon. The story he wanted to tell Japanese people and the role of “Korean things” in the stories are confirmed, because there is a lesson that we can learn from the rise and fall of the representative colonial Korean writer who was most faithful to desire, in colonial Joseon. Tracking how the writer’s work is consumed, as Imperial Japan changes, as the moment the vertical and violent 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and imperial era disappears, will clearly illustrate how human desires are driven, exploited, and abandoned among individuals, society, and even countries. 대표적인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의 해방 전후 작품들을 관통하는 이 ‘조선적인 것’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과연 실제로 작품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작품들 사이에서 어떤 관련을 보이며 어떤 변화를 드러내고 있는가. 해방전까지 ‘조선적인 것’의 의미가 이국적 읽을거리를 소개하며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성공의 도구였다면, 해방 후에는 실제로 같은 의미를 이어가는지 아니면 상황이 변한 것처럼 다른 의미를 내포하는지 분명 추적할만한 가치가 있다. 「아, 조선」에서 조선 출신 일본인 작가가 된 장혁주가 포착한 한국의 상황과 그가 일본인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 그리고 그 속에서‘조선적인 것’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은 식민지 조선에서 욕망에 가장 충실했던대표적인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의 흥망성쇠 과정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교훈이 있기 때문이다.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가 제국 일본으로부터 소비되는 방식이 과연 ‘식민지’와 ‘제국’이라는 수직적이고 폭력적인 관계가 사라진 순간부터 어떻게 변하는지를 추적하는 작업은 개인과 사회, 나아가 나라 사이에서인간의 욕망이 어떤 식으로 추동되고 이용당하며, 버려지는지 분명하게 알 수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백신애 모델소설 고찰-한·일 남성작가의 식민지 여성에 대한 표상-

        한승우(Han, Seung-Wo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이 연구는 일본의 작가 이시카와 다쓰조의 소설 「사격하는 여자(射撃する女)」, 「봉청화(鳳青華)」와 조선의 작가 장혁주의 「월희와 나(月姬と僕)」, 「어느 고백담(ある打明話)」, 「이국의 남편(異俗の夫)」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 소설들은 모두 근대 여성 소설가 백신애를 모델로 하고 있으며, 일본어로 창작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모든 소설 속에서 백신애는 제국의 남성과 식민지의 남성 모두에게서 ‘마녀’로 표상되면서 남성들의 욕망의 대상으로 재단되고 있다. 이시카와 다쓰조의 소설 속 조선 여성들은 마녀성을 지닌 불온한 존재들로 등장한다. 제국 남성인 ‘나’는 그런 그녀들에게 쉽게 매혹 당하지만, 조선의 여성들은 결코 제국 남성인 ‘나’에게 종속되지 않으며 굴복하지도 않는다. 뜻대로 되지 않는 그녀들에게서 ‘나’는 불길함과 두려움에 휩싸이게 되고, 오히려 장악당할 수 있다는 공포에 휩싸이면서 매혹적인 그녀들을 포기하기에 이른다. 순종하지 않는 조선 여성은 영원히 종속시킬 수 없는 ‘식민지 조선’을 상징하고, 그로부터 오는 두려움은 ‘제국주의의 공포’를 은유한다. 장혁주 작품 속의 남성 주인공 ‘나’는 곧 작가 자신이다. 마성으로 남성 주인공을 파멸로 이끄는 그녀는 ‘월희–백숙희–여류 작가–신애’로 바뀌며 네 편의 소설 속에서 반복적으로 재등장 한다. 장혁주의 모델소설에서 백신애가 거듭 거론되는 것은 작가에 의해 그녀가 ‘조선 문단’으로 표상되었기 때문이다. 끝없이 편입되기를 욕망했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조선 문단처럼, 남성 주인공 역시 그녀를 욕망하지만 가차 없이 버려진다. 조국의 문단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었던 욕망의 좌절은 마녀와 같은 그녀에 의한 배신으로 은유되면서 마음껏 원망할 수 있는 명분을 얻게 된다. 제국으로의 편입이 어려워질 때마다 다시 조선 문단에 대한 원망은 되살아나고, 그것은 백신애라는 한 인물로 반복되어 표상된다. 장혁주는 백신애 모델소설을 통해 조선 문단이 자신에게 행했던 불합리한 행태를 간접적으로 지적하고, 자신의 도일을 변명하려는 수단으로 삼았다. The six novels analyzed in this study are modeled on the modern female novelist Beak Shin-Ae, and they are written in Japanese. In the novels, Baek Shin-Ae is represented as the “witch” by males of the empire and colonies, thereby making them the object of men"s desires. In the novels of Ishikawa Tatsuzo, Joseon’s women appear as ominous beings resembling witches. From the women who do not belong to “me”, “I” is engulfed by anxiety and fear, and rather qualified by the fear of suffering. The disobedient Joseon’s women symbolize “colonial Joseon” which cannot be subordinated forever, and the fear that comes from it can be seen as a metaphor for “the fear of imperialism.” The male protagonist in the works of Jang Hyuk-Ju is the novelist himself. The reason Baek Shin-Ae is used repeatedly in Jang Hyuk-Ju"s model novels is because of her representation as a "Korean literature organization." The frustration of desire, which implies his desire to be recognized by literary organization in Joseon, is metaphorized by the betrayal of a woman resembling a witch.

      • KCI등재

        시인 李陸史와 중국 현대문학

        홍석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0 中國現代文學 Vol.0 No.55

        The poet Lee Yook-Sa(李陸史, 1904-1944) is called a representative national resistance poet, with representative works including “Green Grapes(靑葡萄)”, “Peak(Jeoljong, 絶頂)”, and “Wilderness(Gwangya曠野)” considered paragons of resistance poetry filled with national consciousness. Yook-Sa studied at Peking University in China from the fall of 1926 to the spring of the next year and received a six-month education at the Chosun Revolutionary Military & Political Leaders' School at the suburbs of Nanjing from October 1932 to April 1933. While studying in China he became interested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striving to introduce and translate it. In June 1933 he became the first Korean literary figure to meet Luxun(魯迅). The meeting with Luxun awakened a stronger sense of ‘literary engagement’ for Yook-Sa. Through literary criticisms on Luxun’s work, he was able to develop a perspective on the artistic independence of literature while establishing the idea of unifying art and politics. He also sought artistic completion by introducing and translating Xuzhimo(徐志摩)’s poetry, and succeeded in unifying the art and ideology of poetry. He was unlike his contemporary Jang Hyuk-ju(張赫宙), whose travels and residence in Japan gradually led to a literary life that catered to Japanese colonial policies. Yook-Sa, who studied and traveled China, continued fighting for national liberty and threw his being into writing resistance poetry. Furthermore, Yook-Sa was rooted in ‘Joseon tradition’ or ‘that which is Asian’ as a means of finding ‘consciousness of self.’ As a fighter for national liberty, his travels to China were essential in gaining a stage for revolutionary activity. Another perspective is that his studies and travels in China were not unrelated to the idea of ‘China’ as a spatial expression of Asian cultural tradition.

      • KCI등재후보

        張赫宙의 『비원의 꽃(秘苑の花)』론―英親王의 半生에 투영된 작가의 정서적 자화상

        김학동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학연구 Vol.35 No.1

        本稿では英親王の半生を扱った張赫宙の 『秘苑の花』に内在された作家の情緒的自画像についての考察を試みた。 1950年に出版された『秘苑の花』は英親王の回顧を基に執筆されたもので、英親王が幼い頃、伊藤博文に引かれて渡日した背景から日本の皇族の方子女王との結婚、そして日本帝国陸軍の中将として第一航空軍司令官を歴任した後、敗戦を迎えるまでのことを描いている。 『秘苑の花』の執筆動機は、英親王と作家自身との間に身分と立場の大きな隔たりがあったにもかかわらず、過去の行跡から二人とも自由でなかったことから求められる.そして、日本人と結婚して子供を得たことから生じた民族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混乱も同じく抱えていた問題であった。ところで、英親王は彼の過去の行跡にかかわる論難の中でも簡単にはその責任を追及され得ない特殊な身分であったので、作家はこれを盾にして自分の見解の披露を試みたものと思われる。 ところが、朝鮮王室の象徴的存在としての避けられない宿命を生きた英親王と、自分の栄達を図ろうと日帝に協力した張赫宙の行跡は同じレベルで論じられる事柄ではなく、解放以後迎えた境遇においても、英親王の場合は宿命的なものであったが、作家の場合は自業自得によるもので、その責任の所在がはっきりしていることからもくっきりと区別される。 したがって、英親王の行跡については王族としての亡国の問題と関係付けた深い議論を必要とするが、亡国に至らせた責任は王室だけではなく韓民族全体に帰属するものである。『秘苑の花』はこのような英親王の立場を利用して自分の親日行為を亡国の恨みに紛らそうとした作家の魂胆が潜んでいる作品と言え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