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의 경학사상 연구-「大學記疑」의 註釋 體制를 중심으로-

        길태은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6 No.1

        This study analys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appears in Ganjae Jeonwoo’s Daehakgieui. By dividing sentences and clauses at this author’s discretion for annotation analysis,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interpretations of scriptures by dividing them into external and descriptive characteristics. External characteristics were further divided into exegetical and expressive methods. When annotating scriptures, Ganjae understood the logical structure and context of the overall text by fleshing out the concepts behind essential meanings or phrases. Thus, we can see that, before setting forth Myeongdeokseol, Ganjae interpreted the “heart” using the exegetical method. Next, this author studi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the text, such as wooan(愚按), jaju(自注), julbulgahyo(絶不可曉), sadanggangsang (似當更商), saseolbulhang(似說不行), and sadangjilmun(俟當質問).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to see in what perspective Ganjae, an inheritor of the Gihonakron, interpreted the scriptures. First, Ganjae seemed to have adhered to the interpretations of Zhu Xi but, at the same time, he also criticized them. For instance, he claimed there was a need to revise the problematic parts of the scriptures in which the interpretation went against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overall text, even if the interpretation was a product of Zhu Xi’s theory. Where Ganjae closely adhered to Zhu Xi’s theory, we can see that he abided by Zhu Xi’s interpretations through Zhu Xi Daejeon, followed Zhu Xi’s interpretations when citing various other documents, and criticized the opinions of other scholars with Zhu Xi’s theory, which all show Ganjae’s compliance with Zhu Xi’s interpretations. Conversely, where Ganjae criticized Zhu Xi’s theory, we can see that he respected Hokmun and criticized Zhu Xi’s interpretation using Zhu Xi’s theory by labelling Zhu Xi eoryu a “tentative hypothesis.” He criticized this interpretation by claiming it was a “hypothesis without a core” (a comment of Zhu Xi’s) and suggested a “mistranslation” of the scripture in Zhu Xi eoryu, all of which are instances that show Ganjae’s criticism of Zhu Xi’s interpretations. Second, while following the scriptural interpretations of previous Confucian scholars, Ganjae criticized them also. For instance, he proposed critical viewpoints of even the most prominent scholars of Gihonakron if their work contradicted the original intent of the context and based his criticism on the works of foreign scholars or the scripture itself. Third, Ganjae accepted the opinions of other scholars with a critical viewpoint. For instance, he would enumerate the annotations of scriptures by many other scholars and would selectively accept those that he would deem correct and accept some critically even if they exhibited differing viewpoints from Zhu Xi’s interpretation. Given the attitude of the scholars in the Noron and Nakron factions of looking down on the academia of the Qing Dynasty,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as only barbarians, this was indeed an unusual stance. Therefore, we can consider the reason for Ganjae’s impartial attitude towards academia devoid of personal opinions to be the “results of his pursuit of correct learning and his commitment to taking up the proper role of a scholar.” 이 연구는 간재 전우의 「大學記疑」에 나타난 경학적 연구방법을 분석한 것이다. 주석 분석은 저자의 본의에 따라 분장 분절하여 경전 해석을 外形的 특징과 記述的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외형적 특징에는 訓詁的 방법과 文句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간재는 경전을 주석하면서 중요한 ‘字意’나 ‘文句’가 나오면, 그것에 대한 개념을 자세히 풀어서 전체 문장의 논리적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간재가 명덕설을 개진하는데 앞서 심을 훈고적 방법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愚按, 自注, 絶不可曉, 似當更商, 似說不行, 俟當質問 등에서 나타나는 문구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기호낙론을 계승한 간재가 어떤 관점으로 경전을 해석하고 있는지 기술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첫째, 주자의 경전해석을 따르면서 비판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본문 전체의 文脈이나 文義와 어긋나는 해석이 있다면 주자의 학설이라도 문제점을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따르는 면을 살펴보면 『주자대전』을 통해 주자주를 준수하며, 다양한 타 문헌을 인용하여 주자주를 준수하며, 주자설로 타 학자의 견해를 비판한 것은 모두 주자의 해석을 따르는 것이다. 비판하는 면을 살펴보면, 『혹문』을 존중하고 『주자어류』는 ‘未定說’이라하면서 주자설로 주자주를 비판하며, 주자소주의 ‘未精核說’을 주장하여 비판하며, 경전해석에 대한 『주자어류』 ‘誤記說’을 제시한 것은 모두 주자의 해석을 비판하는 것이다. 둘째, 先儒의 경전해석을 따르면서 비판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기호낙론계의 대학자라 하더라도 文脈의 본의가 다르게 해석되면 국외의 학자나 경전을 근거로 비판적 의견을 제시했다. 셋째, 타 학자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여러 학자들의 경전 주석을 열거하면서 그 중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해석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거나 주자와 상이한 점이 있다하더라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이것은 당시 淸代의 학술을 무시하던 노론・낙론계의 태도나 일본을 夷狄으로만 취급하던 입장에서 볼 때, 분명 이례적인 태도였다. 이처럼 간재가 私見을 배제한 엄정한 학문 태도를 갖게 된 이유는 ‘正學을 추구하며 학자 본연의 역할을 자임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간재의 경학사상 연구

        길태은(Gil, Tae-eun)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6 No.1

        This study analys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appears in Ganjae Jeonwoo’s Daehakgieui. By dividing sentences and clauses at this author’s discretion for annotation analysis,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interpretations of scriptures by dividing them into external and descriptive characteristics. External characteristics were further divided into exegetical and expressive methods. When annotating scriptures, Ganjae understood the logical structure and context of the overall text by fleshing out the concepts behind essential meanings or phrases. Thus, we can see that, before setting forth Myeongdeokseol, Ganjae interpreted the “heart” using the exegetical method. Next, this author studi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the text, such as wooan(愚按), jaju(自注), julbulgahyo(絶不可曉), sadanggangsang (似當更商), saseolbulhang(似說不行), and sadangjilmun(俟當質問).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to see in what perspective Ganjae, an inheritor of the Gihonakron, interpreted the scriptures. First, Ganjae seemed to have adhered to the interpretations of Zhu Xi but, at the same time, he also criticized them. For instance, he claimed there was a need to revise the problematic parts of the scriptures in which the interpretation went against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overall text, even if the interpretation was a product of Zhu Xi’s theory. Where Ganjae closely adhered to Zhu Xi’s theory, we can see that he abided by Zhu Xi’s interpretations through Zhu Xi Daejeon, followed Zhu Xi’s interpretations when citing various other documents, and criticized the opinions of other scholars with Zhu Xi’s theory, which all show Ganjae’s compliance with Zhu Xi’s interpretations. Conversely, where Ganjae criticized Zhu Xi’s theory, we can see that he respected Hokmun and criticized Zhu Xi’s interpretation using Zhu Xi’s theory by labelling Zhu Xi eoryu a “tentative hypothesis.” He criticized this interpretation by claiming it was a “hypothesis without a core” (a comment of Zhu Xi’s) and suggested a “mistranslation” of the scripture in Zhu Xi eoryu, all of which are instances that show Ganjae’s criticism of Zhu Xi’s interpretations. Second, while following the scriptural interpretations of previous Confucian scholars, Ganjae criticized them also. For instance, he proposed critical viewpoints of even the most prominent scholars of Gihonakron if their work contradicted the original intent of the context and based his criticism on the works of foreign scholars or the scripture itself. Third, Ganjae accepted the opinions of other scholars with a critical viewpoint. For instance, he would enumerate the annotations of scriptures by many other scholars and would selectively accept those that he would deem correct and accept some critically even if they exhibited differing viewpoints from Zhu Xi’s interpretation. Given the attitude of the scholars in the Noron and Nakron factions of looking down on the academia of the Qing Dynasty,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as only barbarians, this was indeed an unusual stance. Therefore, we can consider the reason for Ganjae’s impartial attitude towards academia devoid of personal opinions to be the “results of his pursuit of correct learning and his commitment to taking up the proper role of a scholar.” 이 연구는 간재 전우의「大學記疑」에 나타난 경학적 연구방법을 분석한 것이다. 주석 분석은 저자의 본의에 따라 분장 분절하여 경전 해석을 外形的 특징과 記述的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외형적 특징에는 訓詁的방법과 文句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간재는 경전을 주석하면서 중요한 ‘字意’나 ‘文句’가 나오면, 그것에 대한 개념을 자세히 풀어서 전체 문장의 논리적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간재가 명덕설을 개진하는데 앞서 심을 훈고적 방법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愚按, 自注, 絶不可曉, 似當更商, 似說不行, 俟當質問 등에서 나타나는 문구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기호낙론을 계승한 간재가 어떤 관점으로 경전을 해석하고 있는지 기술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본문 전체의 文脈이나 文義와 어긋나는 해석이 있다면 주자의 학설이라도 문제점을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따르는 면을 살펴보면 주자대전 을 통해 주자주를 준수하며, 다양한 타 문헌을 인용하여 주자주를 준수하며, 주자설로 타 학자의 견해를 비판한 것은 모두 주자의 해석을 따르는 것이다. 비판하는 면을 살펴보면, 혹문을 존중하고 주자 어류는 ‘未定說’이라하면서 주자설로 주자주를 비판하며, 주자소주의 ‘未精核說’을 주장하여 비판하며, 경전해석에 대한 주자어류 ‘誤記說’을 제시한 것은 모두 주자의 해석을 비판하는 것이다. 둘째, 先儒의 경전해석을 따르면서 비판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기호낙론계의 대학자라 하더라도 文脈의 본의가 다르게 해석되면 국외의 학자나 경전을 근거로 비판적 의견을 제시했다. 셋째, 타 학자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여러 학자들의 경전 주석을 열거하면서 그 중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해석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거나 주자와 상이한 점이 있다하더라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이것은 당시 淸代의 학술을 무시하던 노론·낙론계의 태도나 일본을 夷狄으로만 취급하던 입장에서 볼 때, 분명 이례적인 태도였다. 이처럼 간재가 私見을 배제한 엄정한 학문 태도를 갖게 된 이유는 ‘正學을 추구하며 학자 본연의 역할을 자임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艮齋 田愚의 「讀論語」 硏究

        길태은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3 No.-

        이 논문은 간재 전우의 『독논어』를 분석하여 그의 경학을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연구자의 주석 분석 방법은 기본적으로 간재의 경전연구 방법을 인정하며, 가능한 그의 경학자적 측면의 관점을 견지하였다. 또한 주석을 명확하게 살펴보기 위해 분장 · 분절의 방법으로 정치하게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경전의 本意와 전체의 의미를 정밀하게 파악하는데 필요한 연구’이다. 따라서 분장 · 분절을 통해 「독논어」의 ‘어느 장⋅절에 특히 주석을 정밀하게 해석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본래 경전의 본의를 제시한 것인가를 살필 수 있을 것이다. 간재는 性卽理 · 心卽氣를 입론으로 理無爲 · 氣有爲를 견지하며 심성 · 이기관계를 개진한다. 그는 ‘성에 근본하여 氣를 주재하는 것을 심’이라 하고, ‘심은 기보다 영험하지만 성보다는 거칠다’고 하며,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를 청탁수박이 혼재하는 일반적인 기질과 다른 차별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간재는 주자와 율곡이라 하더라도 엄정한 태도로 비판하고 있다. 이것은 경전의 본의를 탐구하며 자기학설 이론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신중한 태도라고 보여 진다. 그는 『논어』 책을 폈을 때 첫 글자 ‘學’자를 ‘學性’으로 해석하며 ‘四書’를 인용하여 ‘四書學’은 모두 ‘學性’임을 자세히 주석하고 있다. 성현의 말이 ‘性’자를 버리면 ‘學’이라고 이를 것이 없다고 하면서 간재는 공맹유학의 종지가 ‘宗性’에 있음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心이 나의 性을 근본하고’, ‘心이 나의 性을 배우고’, ‘性으로서 스승을 삼고 마음은 제자가 되고’, ‘聖門이 하늘에 근본한 학문임’을 찾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것이 간재가 ‘주자학적 경학’으로서 경전을 탐구하여 얻은 微言大義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간재에게 있어서는 유학의 종지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는 宗心論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이단 비판의 원리로 宗性論을 엄정하게 제시한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Ganjae Jeon Woo’s Dok Non Eo and reviews his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Essentially,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to accept Ganjae’s approach to annotating the Confucian classics, with the primary focus being on his aspect as a commentator. In order to provide a sophisticated analysis, this study divides Dok Non Eo into chapters and section that clearly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s annotations. This method is necessary to precisely reveal the original intentions of the classic manuscript and the overall meanings of his annotations. Accordingly, as the chapter/section scheme is applied to Dok Non Eo, it becomes clear in which chapter/section Ganjae’s annotations and analysis are the most sophisticated. Moreover, it also enables us to see whether his annotation and analysis reveals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classic manuscrip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e is the principle (性卽理)” and “the mind is the energy flow (心卽氣),” Ganjae puts forth his argument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mind, nature, Li, and Ki by advocating “Li has no action (理無爲)” and “Ki has an action (氣有爲).” He points out that the human mind presides over Ki on the basis of the nature. Thus, the human mind is more spiritual than Ki, but harsher than the nature. In this regard, Ganjae distinguishes Ki, which constitutes human mind, from temperament, which contains a mixture of good and evil. Even Zhu Xi and Yul Gok do not escape Ganjae’s impartial criticism. This is consistent with Ganjae’s cautious approach to set the foundation of his own theory through annotations on the Confucian classics. He interprets the first character “Hak (學)” of Non Eo as “Hakseong (學性)” and adds precise annotations arguing that “Saseohak” is all “Hakseong” by quoting the Four Books (四書). By citing the philosopher’s adage that “Hak” does not exist without nature (性), Ganjae clearly argues that the noble spirit of Confucianism is the noble nature (宗性). Accordingly, Mind should be based on the nature (心本性), Mind learns the nature (心學性), Nature is a teacher and human mind is its disciple (性師心弟), Consequently, Seongmoon (聖門) is the study that is based on the heavens. This has an unrevealed, deeper meaning (微言大義) that Ganjae understands by studying the Confucian classics as a commentator. In this regard, Ganjae criticizes the theory of the noble mind (宗心論), which leads him to understand the noble spirit of Confucianism differently, and propose the theory of noble nature (宗性論) as the principle for criticizing heretical views.

      • KCI등재

        『간재선생예설(艮齋先生禮說)』 일고(一考)

        김현수 ( Kim Hyunsoo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본고는 한말의 대표적 학자인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예학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까지 관련 선행 연구는 학술논문 3편, 해제 1편에 뿐으로, 종합적·심층적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그의 중요 예학서인 『간재선생예설(艮齋先生禮說)』을 통해서 간재 예학의 전반적 특징, 방향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우선 『간재선생예설』의 판본과 형식적 측면을 살폈다. 『간재선생예설』은 예 관련 서신과 예설을 수집·정리한 예서로, 1933년에 간행한 본과 1936년 에 보완·수정한 본이 존재한다. 그리고 예서의 체계는 ‘관혼례-통례-상례-제례-국례-국복변례-국애-잡록’으로 이루어졌다. 통례가 관혼례와 상례 사이에 있는 것은 『가례』의 체계와 차이가 나는데, 이는 『전재선생예설(全齋先生禮說)』과 『매산선생예설(梅山先生禮說)』의 체계를 계승한 것이다. 그리고 간재 예설의 전반적 특징 및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관혼·통·상·제례 등에서 전통적으로 논란이 되었던 예설(禮說)에 대한 간재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간재 예설의 네 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는 주로 율곡학파 내의 예설을 검토하고, 그 중 가장 타당한 주장을 찾으려 하였다는 점, 둘째는 주자의 예설과 삼례(三禮)·유교 경전을 근거로서 제시했다는 점, 셋째는 사설(師說) 즉 매산·전재의 예설을 존숭·계승하려 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은 종법의 원리를 강조하고 엄격히 지키려고 했다는 점이다. 이는 천리·인륜의 본연을 드러나도록 하는 방향으로 예학을 실천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내용은 개괄적 분석에 지나지 않기에, 차후에 보다 세밀하고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is research for Jeon, Woo(田愚: 1841-1922, the nom de plume: Ganjae)'s lixue(禮學). Jeon, Woo a renowned scholar of Yulgok School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left many achievements in lixue as well as Neo-Confucianism.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have been done in lixue.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looked at his major book, The Collection of Ganjae's theory of Li. Through this research, I wanted to examin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Ganjae's Li-theory, the basics of Lixue, and academic status on the history of Korean Lixue. The Collection of Ganjae's Theory of Li is selected and classified The Collection of Ganjae's Writing's letters about li and theory of li. There are two versions, being published in 1933 and a supplemented and revised version in 1936. They consist of celebrate the coming-age & wedding ritual, ordinary ritual, funeral ritual, ancestral ritual, national ritual etc. This ritual system differs in part from the system of Zhu Xi's Family Ritual.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ality of Ganjae's Lixue are as follows. First, Ganjae mainly tried to look at the Yulgok School's theory of Li and find the most valid argument. Second, he was based on Zhu Xi's theory, Classic of Li, Third, he tried to respect and succeed Jeonjae & Maesan's theory of li about the ritual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controversial. These points show that Ganjae's theory of li based on Jeonjae & Maesan s theory of li. Finally, Ganjae was basically trying to emphasize and strictly adhere to the zongfa(clan rules)'s principles, revealing the nature law and human nature. It is his lixue's direction.

      • KCI등재

        艮齋의 人物性論 고찰 − 「中庸記疑」를 중심으로 −

        길태은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4 No.-

        This study is a study on Ganjae’s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eory focusing on Jungyonggieu. Ganjae was born a generation after the Horak controversy and had been at the center of the argument on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since the mid-19th century. He inherited the Nakron Seongri theory based on th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which can be summarized as consisting of Yulgok's Seongri theory, Inmulseongdong, Mibal-sim Chae-seon (undetected principle of the mind), and Seongbeomsim-dong(聖凡心同). The interpretation of single line theory of Ganjae that will be discussed here also raises some questions about nature and human nature. The leading arguments in Doctrine of the Mean can be summarized as consisting of two main ideas. First of all, Gyeonghak theory states that Neo-Confucianism and Limu Yu-gi Youyu is a “correct study” of the Yumun Juri. For moral learning, “sikja” was suggested as a condition of study. In addition, the study was devoted to “Eonhae” (interpretation) to convey the standard learning. Second, a consistent principle that suggests the morals of Confucianism is represented as “Jon Sung (reaching the highest level of human nature/the noble disposition) ”in the theory of Jon Sung.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foundation of Ganjae's Gyeonghak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is only possible to reach the highest level of human nature by recording it with the sprits and energy as SimSigi (Your heart is your energy).” In the interpretation of Ganjae’s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e characteristics of Inmulseongdong an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have been reviewed. Ganjae explains human nature in terms of structures of Seongri Simgi (human nature and mine) and Seongdong-gi. To judge from the trend of Korean Neo-Confucianism, Ganjae's Inmulseong theory inherits the tradition of Nakron Seongri theory, which shows the ideology of Zhu Xi's Neo-Confucian philosophy to be at its root. Ganja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nature, consequently revealing the problem of practical realization of human nature with Sim bon seong and Sung-sa Simjae, and sought to pursue the ideal of Confucianism. 이 연구는 간재의 인물성론에 대해 「中庸記疑」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간재는 호락논쟁 이후 세대로서 19세기 중반 이후 성리논변에 대해 중심에 서 있던 인물이다. 그는 주자학을 기본으로 율곡 성리설과 인물성동, 미발심체선, 성범심동 등으로 요약되는 낙론계 성리설을 계승하였다. 여기서 다루려는 간재의 인물성론 해석 역시 자연과 인간 본질에 대한 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중용기의」에 나타난 주요 논점은 2가지로 요약하여 볼 수 있다. 첫째, 경학론에서는 성리심기론⋅리무위기유위에 대해 儒門主理의 ‘正學’임을 입언하며, 도를 배우려면 經을 먼저 익히기 위해 ‘識字’를 경학의 조건으로 제시하며, 표준적인 학문을 전수하기 위해 ‘諺解’에 심혈을 기울였다. 둘째, 尊性論에서 ‘유학의 도’를 제시하는 일관된 정신은 심본성 등의 존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간재 경학의 바탕에는 ‘심시기로서의 精爽의 기로 명기해야만 존성이 가능하다’는 전제가 내포되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간재의 인물성론 해석에서는 인간의 본질 이해와 人物性同에 대한 특징을 검토하였다. 간재는 인간의 본질을 성리심기⋅기질체동의 구조로 풀이한다.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 볼 때 간재의 인물성동은 낙론계열의 전통을 계승하는 모습에서 주자의 성동기이 사상이 근저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간재는 자연과 인간의 본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결과적으로 인간 본성의 실천적 구현의 문제를 심본성⋅성사심제로 밝히며, 인간다움을 실현하는 유학의 이상을 추구하려고 노력하였다.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수양론에 관한 소고 ― 성사심제에 기반한 경(敬)의 실천을 중심으로 ―

        강보승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The study of jeon Wu (1841-1922, pen name Ganjae) was mainly conducted on on ontology and psycholog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theories of Huaseo, Nosa, and Hanju schools. Thes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finding the logical characteristics of Ganjae's studies. However, it was not well studied how Ganjae practiced Confucian philosophy.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s philosophy centering on cultivation theory. Ganjae argued that "Heart is qi(氣)." And it was emphasized that qi was originally good and unified as one. Ganjae identified keeping qi pure as the core of Confucian practice with li(理) as the standard. Therefore, he argued the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is a teacher and the mind is a student'. Ganjae's argumen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li and qi. Ganjae recognized human nature as li and mind as qi, and saw that qi should emulate li, which was the same as Yulgok's theory. Therefore, Ganjae argued that incomplete 'heart' should always be led by recognizing and learning 'human nature'. Ganjae made this argument because he wanted people to develop inner power to do moral behavior. Ganjae argued that nature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mind, the mind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body, and that Kyung(敬) should lead the mind. This is because without Kyung, the mind is disturbed and human nature cannot be the standard of the mind. Ganjae agreed with Yulgok's view and argued that individual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hanged. However, Ganjae also emphasized Kyung, and he always practiced acquiring knowledge, controlling his mind, restoring his pure body and mind through rest, reading, and sitting still and upright, so it can be said that he followed the training method suggested by Toegye. 간재 전우 연구는 화서․노사․한주학파의 성리설과 비교를 통한 이기․심성론 위주로 이루어져 학문의 연원과 논리적 특징을 밝히는 데에 공헌하였으나, 실천가로서 그의 면모를 밝히는 데에는 소홀하였다. 간재는 심시기(心是氣)를 주장하면서 기의 본선함과 본일성(本一性)을 강조하였다. 리를 준거로 기의 순수성을 확보, 유지하는 것을 수양의 핵심으로 파악하였고 ‘성사심제(性師心弟)’를 주장하여 수양의 심성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기는 선악을 겸하여 리를 언제나 온전히 드러낼 수 없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의 해결을 위해 간재는 심 곧 기의 순수성을 담보하여 도덕 주체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간재의 이러한 주장은 리와 기의 무분별을 의미하지 않는다. 성을 리, 심을 기로 보고 기가 리에 따라 자신을 실현시켜야 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간재는 율곡의 이통기국에 의한 이기의 구분을 엄격히 하였다. 이것이 성을 기준으로 심을 통제하는 간재 성사심제설의 이론적 배경이다. 불완전한 도덕 주체인 심이 언제나 성을 지각하고 배워서 일신을 주재해야 한다는 간재의 심성 인식은 도덕 주체 확립을 위한 ‘심본성(心本性)’, ‘성사심제’로 응축․귀결되어 심성론의 중추가 된다. 간재는 성이 심의 준거가 되고 심이 일신의 주재가 되듯 경이 심을 주재해야 한다고 하면서, 경 없이는 ‘심본성’을 실현할 수 없다고 한다. 기질변화를 수양의 핵심 과제로 제시한 간재는 율곡과 같은 입장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경을 강조하고 치지, 구방심, 야기함양, 독서, 정좌를 통한 수양의 삶을 보면 퇴계의 수양론을 따랐다고 볼 수도 있다. 「시동서사의」에도 퇴계의 길을 걷고자 하였던 간재의 일상과 수양이 잘 드러나 있다.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경(聞慶)에서의 강학활동

        임옥균 ( Lim Ok-kyu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이 글에서는 간재가 문경지역에 거주할 때의 강학활동을 살펴봄으로써 40대 중반 왕성하게 학문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해가던 젊은 간재의 모습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문경의 심원사에서 강학활동을 하면서 간재는 「강규」를 세워, 선생과 제자 사이의 예를 엄격히 하였고, 부부 사이에는 반드시 서로 공경히 대할 것을 가르쳤다. 이를 통해서 자신의 학단 안에서라도 옛 예를 회복할 것을 기대하였다. 1884년에는 청화산 시동에서 강학활동을 하였는데, 「시동서사의」를 지어, 뜻을 크게 세울 것, 『소학』을 행동준칙으로 삼을 것, 공부하는 과정에서 성(性)을 위주로 삼을 것을 주장하였다. 성(性)을 위주로 삼을 것을 주장한 것은 성사심제설의 단초를 보여주는 것이다. 문경 지역에서 간재는 송병화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학문을 논하기도 하였고, 문경 지역과 관련 있는 학자들과 교류하기도 하였다. 송병화와 예를 논하면서 간재는 할아버지 상중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아버지를 대신하여 할아버지의 삼년상을 마치는 것이 인정상 맞는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송병화가 심이 체용을 갖추고 있다는 설을 주장한 것에 대해 그것을 반대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이 심의 주재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고 보고, 성체심용(性體心用)이라고 하여 어디까지 성을 앞세워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간재는 문경 지역에 거주하면서 문경 지역과 관련이 있는 학자들과도 교류하였는데, 의당 박세화와 지암 김재경이 대표적인 사람들이다. 박세화는 홍직필의 재전제자라는 점에서 간재와 공통점이 있었다. 박세화는 문경에서 의병활동을 도모하다가 체포되어 옥살이를 하였고,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여 단식으로 순국하였다. 간재와 의당은 당시 기울어져가던 나라의 운명, 중화와 이적, 거의(擧義)와 자정(自靖)에 대해 논의하였다. 김재경은 의성 사람으로 간재가 문경에 머물 때 교류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에도 상호 방문하고 서신을 교류하는 등 관계를 지속하였다. 간재가 문경에 머무르던 시기에 국가적으로 큰 사건들도 몇 가지 있었다. 간재가 심원사에서 강학을 시작하기 1년 전인 1882년에는 임오군란이 있었고, 1884년에는 의복제도를 좁은 소매로 바꾼다는 조정의 명령이 있었다. 간재는 이러한 조정의 명령에 따르지 않고, 옛 제도를 고수하도록 제자들에게 지시하였다. 조정의 명령을 따르지 않아도 되느냐는 의문에 대해서 간재는 의리상 불가한 것은 임금의 명령이라도 따르지 않을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1884년에는 또한 갑신정변이 있었는데, 간재는 외세를 배격하고 예를 지킴으로써 나라를 지킬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으로 볼 때, 간재가 문경에서 강학하던 시기는 개인적으로는 간재의 핵심적인 사상인 성사심제설을 정립할 단초를 마련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국가적으로는 외세의 틈바구니에서 어떻게 나라를 지킬 것이냐가 문제가 되었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는데, 간재는 이에 대해서 문화의 표지인 예를 굳건히 지킴으로써 나라도 지킬 수 있다는 신념을 지니고 있었고, 그에 따라 행동한 것으로 보인다. While the lecture activities in Simwonsa, Ganjae Jeon Wu(1841~1922) has established a "law of lecture activities" which was an ritual between a teacher and pupil, between the couple. Through this way he expected to recover the former ritual, even within their own school. In 1884 he built a "law of Sidong school", meaning to build a large object, elementary scholarship will serve as the rules of conduct, and argued that human nature mainly served to the core in the course of study. Ganjae in Mungyeong area was also discussing studies with Song Byeong-hwa(1852~1916) and received correspondence with scholars in areas related to Mungyeong. They were Kim Jae-kyung(1841~1926) and Park Se-hwa (1834∼1910). Ganjae had also some big national events on the sojourn time in Mungyeong. In 1882 there were army incident, in 1884 there were a command of the government that people must pull on western clothes. Ganjae did not follow the command of the government. Someone asked "Can we not follow the command of the government?" Ganjae replied "We have a right to resist to the illegal command of the government. There were also 1884`s Gapsin-coup, Ganjae saw that we must defend the country by rejecting foreign power and keeping our rituals. Given the above, the timing that Ganjae lectured in Mungyeong personally was a time that provided a clue to establish his core ideas. Nationally it was a time that must defend the country from foreign nations. Ganjae had faith that for keeping the country we must keep firmly our own rituals.

      • KCI등재

        간재 전우 성리설의 문제의식

        유지웅 ( Yoo Ji-woong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19세기 중반을 전후한 기호학계는 그동안 절대적 권위를 가지고 있던 ‘心是氣’에 대한 비판과 회의가 크게 성행하였다. 이러한 경향을 주도하던 인물로는 李恒老와 奇正鎭이 있다. ‘心是氣’에 대한 이들의 공통된 입장은 인간의 행위를 주재하는 심을 악의 원인이 되는 '氣'로 파악함으로서 현재의 혼란상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이는 곧 '心是氣'는 더 이상 당시의 시대적 혼란상을 극복해 나가고 상황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호학계의 상황에서 理無爲, 氣有爲, 性卽理, 心是氣의 전통을 고수한 인물은 田愚이다. 특히 전우는 華西, 蘆沙學派의 성리설에 대해 性을 大本으로 여기지 않고 心을 大本으로 여기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한다. 그래서 전우는 조선 성리학의 정통성을 기호 성리설을 통해 재확인함과 동시에 ‘心是氣’에 반하는 학설 비판에 평생을 쏟게 된다. 이에 필자는 한말 기호학계의 상황에서 전우가 고민한 문제의식이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의식에 의해 제시된 그의 성리설이 그가 택한 自靖과 講學활동과는 어떠한 연결고리가 있는지를 확인하려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전우가 왜 心是氣를 고수하였는지 주목했다. 단지 철저한 사승관계에 대한 계승적 측면에서 이를 바라본다면 전우 성리설에는 아무런 생명력이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필자는 理의 주재를 관철시키기 위해 실질적 실현자인 ‘心(氣)’에 주목하여 당시의 시대상을 극복하려 했던 문제의식이 자리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당시 시대적 혼란상의 원인을 心에서 찾고 있지만, 결국 이 심은 다른이의 心이 아니라 전우 바로 자신의 心이라고 생각했다. 전우는 이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理’가 조선의 땅에 다시 실현될 수 있도록 성리학 道統의 전수자로서의 역할을 자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will attempts to clarify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Ganjae adhered to 'the mind is vital force' in the situation of Kiho school, which was the subject of the theory of Simjuri. After that, this paper will clarify to reveal the meaning of his theory of Neo-Confucianism, which is presented by his critical mind, at the time. Especially, I have wondered why Ganjae’s Neo-Confucianism adhered to in this paper. Ganjae's theory of Neo-Confucianism would have no val-ue if it were considered in a successive point of view of close relations between student and teacher. Because of the fundamental critical mind of such intervention, he refused to guarantee the superintendence of the mind by assuming the moblie of li like Hwaseo and Nosa. That is why I be-lieve that Ganjae adhered to 'the mind is vital force'. From Ganjae's per-spective, li's mobile is undermining its character of always good and the absoluteness, and also denying the value of Neo-Confucianism. Thus, Ganjae's adherence to ''the mind is vital force'' can be attributed to his critical mind. So how did Ganjae want to overcome the chaos of the times? According to Ganjae's theory of Neo-Confucianism, the realization of an immobile moral nature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mind.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e mind is vital force’. In other words, the mind is not steady but has a possibility of change. However, this possibility of change has a negative meaning that it can interfere with the realization of the moral nature, but on the other hand it implies the positive meaning that the moral nature can be fully realized. Therefore, Ganjae gave active responsibility to 'the mind is vital force',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change,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time when li was not realized properly. So that is why it is 'the mind is vital force'.

      • KCI등재

        자유주제 : 艮齋(간재) 田愚(전우)의 序跋文(서발문)에 나타난 世敎(세교)와 道本文末(도본문말)에 대한 考察(고찰)

        나종선 ( Jong-seon Na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艮齋 田愚(1841~1922)는 조선왕조가 국권을 상실하는 역사의 전환기에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학자이다. 간재는 序 92편과 跋 186편의 序跋文을 썼는데, 그중 ‘世敎’와 관련한 것이 16편, ‘道本文末’에 관련한 것이 15편이다. 序跋文에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 그것을 타개할 타개책이 들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는 간재의 序跋文을 통하여 스스로 세상을 등지고 講學에 진력하여 후세에 도를 전하고자 하였던 그의 수도의식과 세교가 일맥상통하는 관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未曾有의 난세를 맞이하여 문학이 백성의 윤리와 감화에 보탬이 된다는 관점에서 ‘世敎의 발현 양상’과 ‘道本文末의 文藝觀’을 통해 간재가 생각한 도의 전달 매체로서의 문학관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 구한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유자로써 간재 스스로가 짊어졌던 책무가 무엇이었는지 확인해보았다. 간재는 세교를 통해 도학이 바로서야 국가가 존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올바른 선비의 양성이 세교인 것이다. 그러므로 백성들을 교육해야만 나라를 다시 세울수 있다고 보았다. 글 짓는 참된 자세에 대하여 문장은 화려함을 뽐내는 것이 아니라, 덕과 의로부터 나와야 되고, 공명과 이욕을 쫓는 모습이 없어야 되고, 또한 모든 문장과 글은 도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간재의 생각을 확인하였다. 간재는 도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실천하여 맥을 잇고자 하는 신념이 있었다. 세교와 도학사상은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1841~1922) spent an eventful life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story when the Joseon Dynasty was losing its sovereignty. In the situation of the turbulent period marked by the collapse of traditions and the loss of national power as a result of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intellects in those days had a consciousness of crisis and coped with the situation in various ways. Ganjae might deliberate on what the scope of practice of principles was to humans, and how far the actions of Confucian scholars should reach in such a troubled time. Ganjae(艮齋)’s scholarship was practical science for opening a new era by re.creating and developing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until that time, and it provided a ground for establishing the modern value of Neo.Confucianism.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Ganjae Society and active studies on his Confucian ideas and Neo.Confucianism, the significances of Ganjae’s thoughts are newly illuminated. While most of previous research works focused on his Neo. Confucianism,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his literature although he left a large number of poems and prosaic writings and therefore his literary character has not been explained clearly. Ganjae wrote 92 prologues and 186 epilogues. In the extensive prologues and epilogues, it is believed that Ganjae recorded solutions to break through the national cris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find the viewpoint penetrating the general knowledge of the world (世敎) and his consciousness of self.discipline, which he, as a scholar who turned his back on the world and pursued study, wanted to transmit to his descendents through his prologues and epilogues. Literature is merely a minor artistic skill but it has the power to rule the temper and to spread public morals infinitely throughout the world. From the viewpoint that literature contributes to people’s ethics and conversion in such an unprecedented troubled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expressing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explored how Ganjae’s view of literature as a means to transmit the way, which Ganjae thought, was expressed through ‘Tobonmunmal (道本文末-The way is first and literature is the next).’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hat his intention that he wanted to disclose clearly like the sun and the moon will be revealed and that the literary character of his prose will also be explained.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독논어(讀論語)」를 통해 본 도의(道義)의 의미 연구

        길태은 ( Gil Tae-eu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3 No.-

        이 연구는 『논어』를 통해 본 도의의 의미를 간재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이에 「독논어」의 주요 견해를 확인해 보고, 간재생애에 있어서 도학적 의리정신과 교학적 자정의 의미를 『논어』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19세기 중반 이후에 활동했던 간재는 외세의 침략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심각한 도전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간재는 「독논어」에서 ‘학이시습’의 ‘학’자를 주석함에 ‘심이성을 배워야 한다.’는 심학성을 바른 학문으로 인식했다. 만일 존심(尊心)으로 해석하면 바로 광자나 방자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하여 심이 도의를 따라야 함을 주장한다. 그렇기에 간재의 문제 의식은 ‘선악을 실행할 수 있는 심이 어떻게 하면 순선한 본성에 근본 할까’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곧 인간의 본성에 근본 하는 윤리실천 주체의 확립을 통해 심이 도의[性理]를 실천하는 것이 선비정신이며 도학정신임을 주장한다. 간재의 교학적 자정의식 속에서 교학과 저술활동은 공자가 제시한 ‘천하에 도가 있으면 나타나 행동하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물러나 숨는다.’는 도의 구현방법에 충실한 것이었다. 이러한 간재의 삶과 경학 태도를 보면 존성을 중시한 도의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살필 수 있는데, 당시 국가사회의 부조리와 왜양의 침탈은 모두 인간의 심기를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간재가 망국이라는 극악의 모순을 목도하며 일제강점의 불합리를 겪어야 했던 시기를 비취어 볼 때 그의 현실대응에 대한 문제의식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meaning of Taoist righteousness through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center of Ganjae. The study scans the major perspectives in “The Read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讀論語」) and explores The Analects of Confucius for what the Taoist commitment to loyalty and self-purification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meant to Ganjae’s life. Active in his scholarly pursuit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Ganjae harbored a serious commitment to contesting aggressions from foreign forces and their cultures. In commenting on “learn” in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his “The Read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Ganjae viewed Simhakseong (心學性), meaning “the mind should learn the heart,” as the correct type of scholarship. Cautioning that a person who construes the word as “upholding the mind (尊心)” may instantly be turned into a madman or an arrogant person, he insisted that the mind must conform to Taoist righteousness. In Ganjae’s critical mind, the paramount question is “how can a mind that can perform good and evil serve as the foundation of a pure and good nature?” In other words, Ganjae suggests that a mind practicing the Neo-Confucian philosophy on nature and principle creates the gentleman-scholar's spirit as well as the Taoist spirit.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writing as committed to Ganjae’s self-purification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remained faithful to what Confucius presented as the way to realize the truth when he said, “When right principles of government prevail in the kingdom, he will show himself; when they are prostrated, he will keep concealed” Ganjae’s attitude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obviously grounded in the Taoist righteousness that lay great store on the upholding of the heart, which reflected the scholar’s criticism that the contemporary political and society-wide irregularities as well as the aggressions from Japan and the Western powers all resulted from a failure to shed light on the minds and energy of humans. Paying attention to the time period when Ganjae had to witness an extreme contradiction, the fall of the kingdom, and suffer the irrationality of the Japanese Occupation, one can understand the scholar’s critical mind regarding how to cope with his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