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상관계 이론적 관점에서 재구성한 기독교 신앙교육 목표

        김선아(Sun-A K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8 기독교교육정보 Vol.20 No.-

        This article attempts to reconstruct objective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in the light of object relations theory. It is primarily based upon the idea that object relations theory can offer some crucial perspectives of relation models on the relation-oriented Christian faith education. Object relation models point out how pa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ape in the present. Just as object relations theory serves for reflecting upon the inner representations of oneself and others that shape relationships. The theory can also illuminate the religious experiences that involve the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object. Object relations theorists (Rizzuto, Meissner, and Clair) put stress o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especially 'mother') who provide the early basis for the representations of God, because the prevailing characteristics of the divine representations share in those of the parental representations. The understanding of faith of Fowler, Osmer, Groom and Westerhoff offered an idea for shifting Christian faith education as relation-oriented Christian faith education. It led to regard object relations theory as a basi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Before reconstructing objective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first, I tried to find out some possibilities of applying object relations theory for Christian faith education. Second, I examined the necessities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objective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in the light of object relations theory. Third, I attempted to reconstruct objective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 models according to Sunday School' system. More research on curriculum and method will be required for accomplishing these objective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effectively. In conclusion, a relation-oriented Christian faith education will help the Christian education learners live as mature Christians who are endowed with self-development and faith development in this complicated society. Therefore, I am of the opinion that it is meaningful to reconstruct the objective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 models suggested by object relations theory.

      • KCI등재

        가정에서 자녀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이정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8

        In today's family, it can be said that children's faith education is in a very difficult time. Moreover, faith education at home is urgently requir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as society changes rapidly, families are also changing rapidly. As the current society became diversified and personalized, the family lost its educational func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immediately said that faith education in Christian families has collapsed. The reason is that the problem of faith education in today's family lies in poo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roblems are becoming difficult for parents and children due to changes in values caused by individualism and capitalism, and as the difference between values and the generation of children widens. In addition, disconnection of dialogue at home due to the disconnection of culture between generations is an obstacle to faith education. It is urgent to restore the educational function of Christian families. When parents provide Christian faith education to their children, their children can grow up properly. Communication with children is desperately needed to restore the purpose and function of faith education at hom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children's motivation for religious education. Parents and children's communication must be open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need to be sufficiently motivated for faith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 of the absence of faith education at home, an alternative will be proposed to restore faith education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irst, the necessity of faith education at home will be discussed. Then communication at the beginning of faith education will be considered. And third, communication and methods at home to implement faith education will be presented.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provide clues to restore and implement faith education in Christian families. 오늘의 가정에서 자녀의 신앙교육은 매우 어려운 시기에 놓여 있다고 할 것이다. 더욱이 코로나 19 팬데믹을 겪으면서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정 또한 급격히 변해가고 있다. 현 사회가 다원화와 개인화가 되어가면서 가정이 교육적인 기능을 상실한 것이다. 즉 기독교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이 무너져 내려져 있음을 즉시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늘의 가정에서 신앙교육의 문제는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에 있다. 의사소통의 문제는 부모와 자녀가 개인주의, 자본주의로 인한 가치관의 변화가 자녀세대와 가치관의 차이가 확대됨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워지고 있다. 더불어 세대 간 문화의 단절로 인한 가정에서의 대화단절이 신앙교육의 방해 요소가 되고 있다. 기독교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는 일이 시급하게 필요한 일이다. 부모가 자녀들에게 기독교 신앙교육을 실행할 때 자녀들은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다. 가정에서 신앙교육의 목적과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절실히 필요하다.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신앙교육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양육 태도는 신앙교육에 대한 동기 부여가 충분히 확보될 필요가 있다.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의 부재라는 당면한 문제 해결하기 위하여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을 통한 신앙교육 회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정에서 신앙교육의 필요성을 이야기할 것이다. 그리고 신앙교육의 시작 의사소통에 대하여 고찰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로 신앙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가정에서의 의사소통과 그 방법들을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가정의 신앙교육을 회복하고 실행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엔데믹 시대, 가정신앙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신승범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기 재발견된 가정신앙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및 중요 성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가정이 신앙교육의 현장으로 건강하고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필수요소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코로나19 이전과 이 후로 구분하여 가정신앙교육을 주제로 하는 연구를 살펴봄을 통해 가정신앙교육의 당 위성, 필요성 및 긴급성을 재확인하였다. 이후 가족관계를 가정신앙교육의 필수요소로 제시하기 위해 가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다루는 연구를 살펴봄을 통해 가 족의 건강성과 만족도는 함께 있는 시간의 양에 달린 것이 아니라 무엇을 하며 시간 을 어떻게 함께 보내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를 기 초로 엔데믹 시대 가정신앙교육의 네 가지 방향을 제안했다. 엔데믹 시대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은 자녀 신앙교육의 표준(normal)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이 신앙교육의 현장이 되어야 하고 부모가 신앙교육을 위한 교사 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거대 담론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실제로 가정이 신앙교육의 현 장으로 준비되고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실천적 및 생활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형식이 아닌 관계를 강조하는 신앙교육, 대화와 참 여 및 경험을 통해 가족 내 신앙 공동체성을 강화하는 신앙교육, 가정의 문화를 통해 자녀들이 신앙 가치관을 내재화할 수 있도록 돕는 신앙교육을 제안하였고, 이러한 변 화와 강화를 위해 교육공동체인 교회가 가정과 부모를 돌보고 가르쳐야 할 필요가 있 음을 강조했다. 가정이 신앙교육의 현장으로 건강하고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가정과 부모 를 돕는 프로그램 개발과 부모가 자녀와의 의사소통을 포함한 관계 개선 및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활동형 프로그램 개발 및 가정에 기독교적 문화가 정착될 수 있 도록 돕는 문화 운동 및 프로그램 개발은 후속 연구 과제 또는 프로젝트 개발로 남겨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ffirm the imperativeness, necessity, and importance of family faith education, which was rediscovered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to present essential elements and directions necessary for the healthy and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family as a field of faith education. To this end, we reconfirmed the imperativeness, necessity, and urgency of family faith education by first looking at studies on the subject of family faith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before and during COVID-19. Afterwards, in order to present the family relationship as an essential element of family faith educa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family were examined.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health and satisfaction did not depend on the amount of time together, but on what and how they spend time together. Finally, based on this, four directions of family faith education in the endemic era were proposed. Faith education at home in the endemic era should be the standard for faith formation of children. For this, a practical approach is needed to help families prepare and function as the field of faith education, rather than just emphasizing that the family should be the field of faith education and parents should play the role of faith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faith education that emphasizes relationships rather than formalities, faith education that strengthens faith community within the family through dialogu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and family culture. As an educational community, the church should care for and teach families and parents for change, recovery, and reinforcement of family.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help families and parents to function healthy and effectively as a field of faith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various active learning programs that help parents improve and restore relationships, including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o create a Christian culture in the home was left as a follow-up research task or project development.

      • KCI등재

        교회 청소년 신앙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방안

        이은성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In the sense that the church is a public institution with a mission to maintain publicity in addition to its community function, members of the church should be educated as believers with proper civic consciousness based on Christian faith in helping and building up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the church should support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church members who are also a member of democratic society, so that the individuals who are educated with the main content of civic education will achieve the vision of God’s kingdom in the world. Adolescence is a time when high level thinking ability is formed, and a time when self-identity is establish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formation of faith identity, it is very important to correctly educate and balance the faith of adolescents at that time. However, the youth in our society do not have the proper opportunities to cultivate social responsibility, morality, and citizenship in a social atmosphere that prioritiz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ersonal interests of the entrance examination. Christian youths also often fail to receive the opportunity for civic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hristian public responsibility, as the faith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the personal salvation-oriented faith training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church.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morality, and citizenship of a person within faith education is a core competence to be cultivated during adolescence, which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formation of faith. To do so the church needs to promote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during juvenile education and should be open to expanding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 within the curriculum. Although there is a growing importanc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within the church today, there is a considerable lack of research that otherwise suggests academic discourse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local churche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general and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youth education. Secondly, this paper looks at the meaning of discipleship, civil work, and the relationship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viewpoint of formation of public faith. Finally, the research examines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of the church and suggests alternatives; 1) establishing a clear vision of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within the subjects of church education; 2)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capacity of the teachers and to strengthen the participation capacity of the youth; 3) developing various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4)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related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교회는 일면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되는 공적인 사명이 있는 기관이기도 하다는 면에서, 공동체의 구성원들을 기독교신앙에 입각한 바른 시민의식을 가진 신앙인들로 교육하여,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 민주사회의 이상실현에 일조하며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교회는 신앙교육에 있어서 공적 신앙을 기반으로 한 민주시민교육을 주요 교육내용으로 담아 이를 교육받은 공동체의 개개인들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나라의 비전을 성취해나가도록 지원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는 시기이자 고도의 사고능력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또한 신앙적으로는 신앙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전환기로서 이 시기 청소년의 올바르고 균형 있는 신앙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사회의 청소년들은 입시위주의 교육풍토와 개인의 이익을 우선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사회적 책임감과 도덕성 그리고 시민성을 함양할 적절한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기독 청소년들 또한 많은 경우 신앙교육이 개인구원에 치우친 신앙훈련과 교회내의 교육활동으로 집중되면서, 그리스도인의 공적 책임과 연계한 시민성 교육의 기회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사회의 일반 청소년은 물론 교회의 청소년들 역시 실천적 시민역량이 부족한데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교회교육에서 시민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여 왔다는 것에도 그 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즉 교회교육이 개인의 종교적 행위와 구원은 강조하였으나, 청소년의 인성과 도덕성 함양은 물론 그들이 속한 또 다른 공동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은 상대적으로 등한시 하여 온 것이다. 신앙교육에 있어서 한 사람의 인성과 도덕성, 시민성은 신앙형성의 중요한 전환기가 되는 청소년기에 함양해야 할 핵심역량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청소년 신앙교육에 있어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제고 하여야하며, 교육내용의 구성에 있어서 그 지평을 확장하는 개방성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의 청소년 신앙교육에서 점증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에 반하여, 이에 대한 학문적 담론과 개 교회에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가운데 본 연구는 먼저 일반적인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청소년 교육에 있어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 및 그 내용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공적신앙의 형성이라는 관점과 연계하여 제자직과 시민직의 의미와 그리고 민주시민교육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교회의 청소년 신앙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해보면서 크게 1) 교회 교육주체 간 민주시민교육의 명확한 비전 정립, 2) 교사의 전문역량 강화 및 청소년들의 참여역량 강화, 3) 다양한 실천적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4) 민주시민교육 관련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이라는 4가지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구원하는 믿음"의 성격에 기초한 기독교교육의 근본 원리 및 과제

        이숙경 ( Sook Kyung Yie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ACTS 신학저널 Vol.28 No.-

        현대 기독교교육의 이론들은 각각의 입장에 따라 기독교 믿음을 이해하고 정의하는 방식이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성은 근본적으로는 신학의 변화와 현대 사회과학적 인식론의 영향에 기인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기독교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성에 혼돈과 위기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교육이 정체성을 바로 세워나가기 위해서는 기독교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믿음의 성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점을 강조한다. "구원하는 믿음"의 성격과 기준을 이해하고 그 위에서 기독교교육의 근본원칙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기독교교육이 항상 고민해야 하는 것들, 즉 사람들과 상황과 지식의 문제들을 논의하고 기독교교육의 현실적 과제들에 대해 기독교교육이 취해야 할 균형점을 "구원하는 믿음"의 성격에 기초하여 모색한다. 기독교교육의 변화될 수 없는 본질과 현실적 요구의 변화 사이에서 기독교교육이 견지해야 하는 기준점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하며 기독교교육의 영역이 확대되고 인식론의 변화와 기독교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요구에 직면하고 있는 미래 기독교교육의 과제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한다.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e diverse notions of christian faith in current Christian educational theories. This diversity results from theological trends and cognitive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The definitions of Christian faith in current Christian education confuse the identity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sist on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faith in biblical view for identifying Christian education. We study on the nature of “saving faith” as core of Christian faith making reference to J. Calvin. We discuss three problems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saving faith”. Firstly, the essential principles of Christian Education are identified. Secondly, in the view of “saving faith”, we deal with very important elements of Christian education : person, context, content(knowledge). Finally, we think about the needs for Christian education and try to fi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future. It is necessary for today’s Christian education to consider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fields, the trends of cognitive style and the public aspect of Christian education, firmly maintaining the notion of “saving faith”.

      • KCI등재

        신앙교육의 쇄신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권구식(Kwon, Goo Si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2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세속화의 거센 영향으로 복음 중심의 신앙생활에서 오는 활력과 기쁨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이로써 가톨릭교회 공동체 내부에서도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세속화(secularization)의 문제점들이 표출되고 있으며, 이른바 ‘신앙 따로 삶 따로’의 태도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배우고 그분의 삶을 닮아 가는데 도움을 주는 ‘신앙교육의 문제’와 깊이 관련된다. 특히 현대의 과학과 경제발전이 몰고 온 ‘자본주의적 삶의 방식’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형성한 새로운 문화’는 교회공동체의 내적 삶에 분별하기 어려운 형태로 깊이 침투해 있으며, 복음화 사명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교회 공동체 안에서 행하는 신앙교육은 세속화의 물결을 이겨내고, 신앙의 열정 안에서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주체적 신앙인’(an independent believer)을 양성하는 데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신앙교육을 쇄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교육자를 많이 양성하고, 그분의 교육방법(educational methods) 또는 교육 커뮤니케이션(educational communications)을 상황에 맞게 재창조해,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사람들의 종교적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신앙언어와 표현방식을 식별하고 만들어내는 일이 신앙교육의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가톨릭 신앙교육의 주체와 대상들이 복음의 생명력 있는 본성을 ‘성찰하는 신앙’(reflective faith)으로부터 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성찰하는 신앙이란, 하느님 말씀의 참뜻에 비추어 자신과 공동체의 신앙을 쇄신 및 성장시키는 방법을 숙고하고, 현재와 미래에 닥칠 신앙의 문제를 ‘예언자적 통찰’(the prophetic insight)을 발휘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창의적 과정이다. 또한 무엇보다 각각의 교회 공동체는 신앙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함에 있어 복음의 가치를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능력’(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ies)을 계발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본고가 [도식 1]을 통해 제언한 이러한 ‘신앙교육의 쇄신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은 쉽지 않은 과업일 수 있으나,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새로운 복음화의 중요한 사명이다. Nowadays Christians have increasingly been losing the vitality and pleasure of a gospel-centered life of faith due to the strong influence of secularization. The problems of secularization are being revealed inside the Catholic Church as well, and a “faith and life detachment” attitude is spreading dramatically. These phenomena are also deeply related to “faith education issues” that help believers learn the teachings of Christ and help them follow the example offered by his life. In particular, “the new culture formed b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capitalistic life style” that is driven by moder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has permeated deeply into the inner life of the church community in indistinguishable forms. This has become a serious challenge to the mission of evangelization. Faith education performed in today’s church community, however, has a limited ability in raising “independent believers” who overcome the waves of secularization and, out of the ardor of the faith, actively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the best way to renew faith education is to nurture educators who resemble Jesus Christ and re-create his methods of teaching and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creating new faith languages and new methods of expression that can touch the religious sensibilities of the people is emerging as an urgent task in faith education. This raises the necessity that subjects and objects of Catholic faith education should start from faith to reflect the vibrant nature of the gospel. Reflective faith is a creative process. It searches for solutions by contemplating methods of how to renew and nurture the belief in oneself and the community based on the real meaning of God’s words. This leads to proving the prophetic insight on belief issues that will happen now and in the future. In determining plans and practices in faith education, each church community should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ies that vividly deliver the values of the gospel. The paradigm shift for the renewal of faith education which this paper proposes by [Scheme 1] will not be an easy task but, nevertheless, an important mission for a new evangelization.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 원리를 반영한 기독교교육 콘텐츠의 내용타당도 분석 연구

        함영주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validity of Christian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principle of gamification. For this study, four gamification contents containing the story of Noah’s Ark were produced, and 20 experts in Christian education and gamification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se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relation to the content validity of faith education, the content validity was demonstrated in the subdomains such as faith education curriculum, faith development, and faith education suitability. However, a CVR value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was measured in the ‘promotion of faith growth’ among the areas of faith growth. Regarding the validity of gamification elements, content validity was obtained in 4 sub-elements of technique, challenge, competition, and expression out of five gamification elements. However, a CVR value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was measured in the ‘fitness of reward achievement’ in the achievement and reward domai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eaching and learning, relatively high content validity was shown in all five sub-areas of educational motivation, educational immersion, ease,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ree major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were presented. First, for the next generation’s fait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oducing Christian education contents using new media and a media platform that can mount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utilize Christian education contents and media for the holistic growth of faith in the next generation. Third, when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aith education based on gamification, the concept of Christian compensation must be presented and reflected. The truth revealed in the Bible does not change regardless of age or situation. However, the way that truth is communicated must take into account generations and circumstances. If Christian education contents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gamification are developed more actively, they can be beneficially used in the next generation’s faith education. 본 연구는 게이미피케이션의 원리가 반영된 기독교교육 콘텐츠가 신앙교육용으로 내용타당도를 갖추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노아의 방주 스토리를 담은 게이미피케이션 콘텐츠 4개를 제작하였고 기독교교육 전문가 20명이 본 콘텐츠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신앙교육 내용타당도와 관련하여 신앙교육과정, 신앙발달, 신앙교육 적합성 등의 하위영역에서 내용타당도를 갖추었다. 다만 신앙성장 영역 중 ‘신앙성장 유도’에 있어서 기준치보다 낮은 CVR 값이 측정되었다.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타당도와 관련하여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5개 중 기법, 도전, 경쟁, 표현 등 4개의 하위 요소에서 내용타당도를 갖추었다. 다만 성취와 보상 영역의 ‘보상성취 적합도’에 있어서는기준치보다 낮은 CVR값이 측정되었다. 한편 교수학습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하위영역인 교육동기, 교육몰입, 용이성, 유용성, 이용의도 등 5개의 영역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내용타당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 주요한 기독교교육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음세대 신앙교육을 위하여 새로운 미디어와 그것을 탑재할 수 있는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기독교교육 콘텐츠 제작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둘째, 다음세대의 통전적인 신앙성장을 위한 기독교교육 콘텐츠 및 매체의활용이 필요하다. 셋째, 게이미피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신앙교육용 교육 콘텐츠 제작 시 기독교적 보상의 개념을 제시하고 반영해야 할 필요가있다. 성경의 진리는 시대와 상황에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진리를 전달하는 방식은 세대와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게이미피케이션의 원리를 반영한 기독교교육 콘텐츠가 더욱 활발하게 개발된다면 다음세대 신앙교육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체육지도자의 스페셜올림픽 참여경험과 교육신념에 관한 연구

        채규연 ( Kyu Yeon Chae ),조영희 ( Young Hee Ch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지도자들의 스페셜올림픽 참여경험이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특수학급 교사, 사회복지기관의 특수체육 담당교사와 지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중 참여자 108부, 비참여자 111부, 총 219부 설문지를 분석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Spodek(1985)의 신념분류기준과 Peters 등(1985)이 제시한 신념측정도구(Beliefs Test Inventory)와 최선미(2001)와 임종미(2005)의 교육신념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알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체육지도자의 스페셜올림픽 참여에 따른 교육신념은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집단이 비참여 집단에 비해 교육신념이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은 성숙, 행동, 상호작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신념을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교육신념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행동주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특수체육 전공유무에 따른 교육신념은 특수체육 전공한 지도자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지도경력에 따라서는 3년 이하-5년 이하의 경우 교육신념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5년 이상에서 낮아졌다. 근무시설에 따른 교육신념에서는 특수학교가 사회복지시설,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비해 높은 교육신념을 나타냈다(p<.05).셋째, 특수체육지도자의 스페셜올림픽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교육신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p<.05), 하위요인별로는 성숙과 행동주의적 교육신념에서 6회 이상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의 교육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의 대회규모에 따른 교육신념에서는 국내, 국제대회에 모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들의 교육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신념의 하위요인별로는 성숙과 행동주의적 교육신념에서 또한 국내, 국제대회에 모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들의 교육신념이 높게 나타났다(p<.0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instructors` participation in Special Olympics influences their educational fai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9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instructors of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and welfare center, including 108 who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and 111 who did not. The research tools employed by this study include Spodek(1985)`s categorization of beliefs, the Beliefs Test Inventory by Peters(1985), and the questionnaire used in Choi Seon-mi`s 2001 study, modified from the original questionnaire used in some past studies on educational faith (Oh Chae-seon, 1990; Han Ji-hye, 1992; Heo Hye-gyeong, 1994; etc.) to suit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show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than those who had not. Among the sub-factors of educational faith, maturity, behavior, and interaction were found to be relevant,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Special Olympics-experienced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with respect to age. As for the college major of the participant, those who majored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ducational faith, only inter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experience, the participants with 1 to 5 year experience showed an increase in their educational faith, but the level of faith was found to decrease after 5 years. In regard to the facility type, those working at special schools show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than those working at welfare facilities or those teaching special classes within regular school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ird, the analysi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5) in educational faith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each instructor had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As for the sub-factors of educational fai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aturity and behavior of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6 times or more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As for the size of the event,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vent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while those who had participated only in international events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educational faith (p<.01). The instructors with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ecial Olympics experiences were also found to be higher in educational faith in terms of maturity and behavior (p<.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interaction.

      • KCI등재

        청소년 발달과 신앙교육

        조발그니(CHO, Balkeun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5

        본고에서는 발달이론을 통해 청소년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신앙교육의 방법과 과정 그리고 청소년 신앙교육의 주체인 부모와 교리 교사의 역할을 제언하면서 다음과 같이 일곱 가지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피아제는 청소년 시기를 형식적 조작기로 보며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고 여겼다. 따라서 나눔과 묵상과 같은 추상적 사고를 통한 신앙교육을 해야 한다. 둘째, 콜버그는 도덕발달이론을 주장하면서 청소년 시기가 착한 소년 착한 소녀 지향 단계(3단계), 사회질서 도덕성이 발달한 단계(4단계)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시기는 독립적 도덕적 신념이 없고 강압적 신앙교육을 거부하며 의미 있는 타인이 중요하다. 셋째, 에릭슨은 청소년 시기를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로 본다. 그래서 청소년이 자신의 문제를 살펴보고 고민을 나눌 수 있도록 교회가 노력을 해야 한다. 넷째, 골드만에 의하면 청소년은 추상적 종교적 사고단계이다. 청소년은 성경을 자구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신학적이며 신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주입식 신앙교육은 청소년 신앙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섯째, 파울러에 의하면 청소년은 종합적-인습적 신앙단계로서 신앙은 아직 견고하지 않고 교회의 권위를 따른다. 그럼에도 청소년은 또래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여섯째, 오저에 의하면 청소년 시기는 받기 위해 주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 신(神)은 청소년들에게 분리되어 있지 않고 상호적 관계를 지닌다. 일곱째, 다양한 종교교육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할 때, 청소년은 성인의 신앙과 달리 아직 성숙되지 않아 적절한 신앙교육의 개입이 필요하다. 위의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아 필자는 청소년의 신앙교육에서 다양한 나눔 중심 교리방법을 제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신앙교육은 주제중심과 신약 성경을 토대로 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그리고 나눔은 개방적이어야 하며 자기주도적 체험중심 신앙교육을 제언하였다. 청소년 신앙교육을 위해서는 부모의 신앙심이 선행되어야 하며 교리교사들이 교육학적 심리학적 지식을 갖추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dolescents in light of developmental theory. In addition, it proposes methods and curricula for faith education of adolescents and roles that might be played by both parents and catechists within this process. The claims set ou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iaget, adolescents at the formal operational level of development are capable of thinking hypothetically and deductively. Thus, abstract thinking, such as sharing, meditation and faith should be part of their education. Second, Kohlberg protests that adolescents ar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teps of development: promoting good boy/good girl models. But he proposes that they are moving towards a fourth step of social order and morality. Since they have no independent moral beliefs, young people can reject imposed faith education thus making the role of significant others important. Third, Erikson claims that for adolescents, identity issues are extremely confusing. Recognizing these difficulties the church is endeavoring to engage with these problems. Fourth, according to Goldman, young people are at the stage of having religiously abstract ideas. They have the ability to theologically interpret the Bible as opposed to literal interpretation. This realization raises serious difficulties regarding the use of ‘cramming’ methods in faith education for the young. Fifth, according to Fowler young people are at a synthetic-conventional stage of faith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s not firm and they may simply comply with church authority. Also, many teenagers ar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peers. Sixth, Oser states, there is a stage for adolescents where giving is in order to receive (Do ut Des). During this stage, God is not sensed as separate from them but has a mutual and reciprocal relationship. Seventh, in the opinion of various religious education scholars, the faith of teenagers is not mature like the faith of adults and it is thus necessary to have proper faith education in place for them. In line with the views of the above scholars, this study proposes that for youth faith education a method of education centered on sharing is needed. In addition, such a method of faith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New Testament. Such sharing ought to be open and faith education should be a self-directed experience. Finally two additional elements are considered: for faith education to successfully take place the parents’ religious beliefs ought to precede that of their children and catechists involved in religious education should have a sound pedagogical and psychological knowledge of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 연구

        김선아(Sun Ah,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본 연구는 학제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개인의 삶, 특별히 어린 시절에 겪어야 하는 삶의 어려움(difficulté)에 집중하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기독교 신앙교육의 만남과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모든 그리스도인들, 특별히 우리의 미래 세대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가 초청하시는 진정한 신앙의 삶, 즉 진정한 욕망과 만나는 모험의 삶에 응답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돌토는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에 기초하여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진정한 무의식적 욕망을 깨닫고, 그것을 실현시켜 나가는 삶이 곧 ‘욕망의 삶’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돌토의 ‘욕망의 삶’ 관점을 기독교 신앙교육에 적용하여 모든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진정한 욕망의 도상에서 끊임없이 모험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독교 신앙교육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더 이상 자존심이나 자기애적 이익을 날마다 충족시키려는 삶에 매몰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랑 안에서 하나님을 만나고자 희망하는 욕망의 길에 접어들 수 있게 돕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한다. 필자는 이를 위해 ‘통합성과 전체성을 이룬 존재의 집 형성’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기쁨과 사랑의 소통’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욕망의 진실을 추구하는 삶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한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부모와 예비부모, 그리고 예비교사들과 교사들을 교육할 수 있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통찰에 기초한 기독교 신앙교육 교재가 전문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욕망의 삶’을 지향하는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의 연령별 교육 과정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help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respond to Jesus Christ’s invitation for ‘the life of faith’, i.e. ‘the life of adventure’ for encountering ‘the authentic des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lls for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psychoanalysis. Dolto had made an emphasis on ‘the life of desire’ to realize and fulfil ‘the authentic desire’ in individual’s inner side.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Dolto’s perspectives of ‘the life of desire’ to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all Christia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should help all Christians to live the adventurous life constantly.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he direction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are given to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live adventurously and vividly on the road of ‘the desire’.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help to save the trapped generations so that they could be fre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nstructing the house of being with integration and wholeness’. Secon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mmunicating of joy and love’. Thir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the life pursuing the truth of desire’. For the praxis of this study, two proposals are given. First, the professional text books based on the Dolto’s psychoanalytical perspectives should be developed to educate the parents and pre–parents, teachers and pre– teachers. Secon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follow–up study is needed to develop the age–specific curriculum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This kind of the age–specific curriculum helps to clarify and certify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psychoanalytical Christian fait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