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음악대학 커리큘럼 제안을 위한 미국 음악 대학과의 비교 분석

        최아라 ( Aa-ra Choi )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17 국내학술심포지엄 Vol.2017 No.-

        본 논문은 한국의 서양음악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을 대학에서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와 졸업 후의 진로를 음악교육 전공과 음악연주 전공으로 나누고 졸업 후의 진로를 음악교육 전공과 음악연주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를 조사 하였다. 또한 다양한 음악대학의 커리큘럼 보다는 연주 중심의 획일화 된 음악대학의 커리큘럼이 음악전공 대학생들로 하여금 만족하고 진로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앞으로 교육과정에 변화되었으면 하는 점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음악이 좋아서(흥미), 타고난 음악적 재능 등의 내적요인들에 의해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과 진로의 보장, 수입의 보장 등 현실적 직업요인들은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전공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음악대학 교육과정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으로 교육과정에 변화 되었으면 하는 점들에는 교육과정이 더욱더 다양하고 체계화되며, 실용성이 강화 된 과목들이 개설되었으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공립 음악대학과 미국 주립대학교의 음악전공 커리큘럼을 조사, 분석 하여 우리나라 음악대학 교육과정이 변화되고 보완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인식하며 음악전공 대학생들이 졸업 후 선택할 수 있는 진로가 연주자 외에 다양하고 체계화 된 진로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직업과 진로관련 문제에 대하여 음악대학의 변화와 대책 방안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oriented to South Korean students majoring in Western music and inquired into the reasons for having chosen music as a major at university, as well as reasons for having chosen their career for music education major and music interpretation major after dividing the career after graduation into music education and music interpretation. Moreover, this study also inquired into the fact if the interpretation-focused standardized curriculums of music colleges give more satisfaction to students and are more helpful for the career than diverse curriculums of music colleges. Simultaneously, this study examined some improvement points for the current curriculum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music major students chose the major due to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liking for music (interest) and inborn musical talent.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the realistic professional factors such as guarantee of employment, career and income did not gi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hoice of majoring in music. Also, regarding the career after graduation, the higher the grade of the students, the les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s of curriculums of music colleges was shown. Moreover, regarding the future improvement points of the curriculum,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students hop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more diversified and systematic and more subjects with enhanced practicalit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will give an opportunity of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changes and sup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s of music colleges of our country,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s of music department of public music colleges of South Korea and State universities of America. Based on thi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diverse and systematic career possibilities of music major students apart from players (interpreters) for the choice of career after graduation, and talk about changes and countermeasures of music colleges regarding professions and career problems of music major students.

      • KCI등재

        음악과 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요인 및 교과과정의 진로 적합도 비교분석

        정환호,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ived factors that the influenced career choice and curriculum applicability toward the actual filed after graduation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n=178). The music majors indicated that they chose music as the college major because of their affection for music while job achievement and income were perceived as the lea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ir career choices. On the other hand, the business majors pointed out that job achievement and incom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 their career choices. Regarding their occupational expectation for the future career, there was a gap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in that music majors rated curriculum applicability relatively low compared to business majors. This result indicated that colleges of music need to revise current curriculum for music major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career.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majors and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음악전공 재학생과 경영전공 재학생을 대상(n=178)으로 이들의 전공 선택 요인과 현재 공부하고 있는 대학의 교과과정에 따른 진로와의 적합성을 비교 조사하여, 음악대학과 음악전공자들에게 교과과정 개발 및 졸업 후 진로지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음악이 좋아서(흥미), 타고난 음악적 재능 등의 내적요인들에 의해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과 진로의 보장, 수입의 보장 등 현실적 직업요인들은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학 전공자들은 취업과 진로의 보장이 가장 큰 선택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실제 전공 선택에 있어서는 음악전공자들이 보다 큰 진로 장벽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진로의 문제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과정 진로 적합도는 경영학 전공이 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규직 가능성 역시 경영학 전공자가 높게 나타났으나, 음악전공생들에게도 연주가 아닌 다른 분야의 직업적 수요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들에 대한 이해와 진로교육의 실천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미치는 영향: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양은주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 we selected applied music departments of three representative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sampled college students in those departments. For the survey tool, we us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major satisfaction,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total of 41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 hypothetical study model on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was supported. We also found out that major satisfaction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directly through learning flow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Learning flow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directly through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students' learning flow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본 연구는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준비행동 간의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대표적인 3개 대학의 실용 음악과를 선정하여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으로 구성된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에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공만족도의 간접효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경로보다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이중으로 매개하는 경로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것으로 밝혀졌다. 본 결과는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전공학습에 대한 몰입도와 집중도가 좋을수록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고 진로 계획을 해나갈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다시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으로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음악전공자의 진로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22년

        주성민,이제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tasks of career education through domestic research trends on career problems of music majors. For this purpose, 52 research papers(31 journal articles, 21 thesis/dissertation paper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2 were analyzed according to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has increased rapidly when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was implemented since 2011. Second,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by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musicology and music education. Third, most of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Western classical music majors and undergraduates at the college of music as the main subjects. Forth, alth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most, the proportion of mixed research methods was relatively higher compared to studies conducted o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on the rise. Fifth, research topic was divided into problems of curriculum and factors affecting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tasks of care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요자 중심의 교양영어 운영 방안 연구 - H대학 예체능계열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on how effectively college English programs can provide the demander-oriented education to the students. H University has been offering customized English courses since the second semester in 2015 for students majoring in Physics and Art. These courses focus on four parts; providing TOEIC program depending on students’ needs, major-related English learning programs for 2 weeks, customized evaluation, and finally learning specific chapters in the text book which are related to students’ major or easier ones. As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in 2015 by the department, it was found out that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is program in light of offering contents related to their interests. Most professors were also pleased with it in that students a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lass much more actively with better concentration. However, the counterplan for the opinion of minority in taking TOEIC lecture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professors’ overwork to prepare for classes was also mentioned as the problem to be solved.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에 소재한 H대학의 교양영어 예체능계열의 맞춤식 분리 운영의 사례를 통한 수요자 중심의 교양영어 운영 방안의 효과 및 개선점을 논의함에 있다. 행정상의 이유로 수준별 수업이 아닌, 전공별 분반 방식의 전체 공동 수업으로 교양영어를 진행하는 H대학은 2015학년도 2학기부터 타계열에 비해 영어 학습에 있어서의 특수성이 더 뚜렷한 예체능계열 학생들의 수준과 관심 분야에 맞는 맞춤식 수업을 제공해왔다. 강독과 토익수업을 병행하는 교양영어의 예체능계열의 분리 운영은 크게 ‘수요에 따른 토익 수업의 제공’, ‘전공영어 프로그램 2주차 실시’, ‘맞춤식 평가항목 및 점수 구성’, 그리고 ‘공동교재의 개별 챕터 선정’의 네 가지 부분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한 학기 운영 후인 2015년도 2학기 말에, 모든 예체능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와 교강사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을 시행하였다. 학생들은 본인들의 필요에 따른 수업의 제공과 전공과 관련된 관심 분야의 내용을 제공한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의 적극성, 높은 몰입도, 강의의 수월함 등의 긍정적인 운영 효과가 있었다고 답했다. 반면에, 토익 수업을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된 분반에서 토익 수업을 원하는 소수의 학생들을 위한 대책 마련, 관련 단어표현들과 소재를 다룬 독립적인 교재의 개발, 그리고 수업 준비를 위한 교강사의 업무과다 등의 문제점이 개선해야 될 부분으로 지목되었다.

      • KCI등재

        대학 뮤지컬 전공 무용 수업의 컨조인트 분석 적용을 위한 속성 및 속성 수준 탐색

        손원미,전순희 한국무용연구학회 2018 한국무용연구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of dance classes through conjoint analysis in order to propose the optimal design of the practical dance course for musical theatre majors. For this purpose, Three instructors with at least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dance lessons of musical arts and 6 students from K university who major in musical arts were selected, th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The first attribute is the curriculum, and levels are practical course, theory course, and practical & theoretical course. The second attribute is course contents, and levels are the course ratio, where each ratio of basic to choreography is 5:5, 7:3, and 3:7 The third attribute is types of tasks and the levels are individual task, team-based task. The fourth attribute is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levels are the designated choreography, creative choreography, designated and creative choreography. From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emphasize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presenting specific standards and guideline necessary for progress of practical dance course for the musical theatre majors. 본 연구는 대학 뮤지컬 전공 무용 실기 수업 진행의 구체적 방향제시를 위해 컨조인트 분석 적용에 필요한 무용수업의 속성 및 속성수준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뮤지컬과 무용수업 진행 경험이 있는 교직 경력5년 이상의 지도자 3명과 K 대학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 번째 속성은 수업 내용으로 이에 대한 속성 수준은 실기 수업, 실기와 이론을병행하는 수업으로 나누어진다. 두 번째 속성은 수업 과정으로 이에 대한 속성 수준은기초와 안무의 비율이 5:5, 기초와 안무의 비율이 7:3, 기초와 안무의 비율이 3:7인경우로 나누어진다. 세 번째 속성은 과제 유형으로 이에 대한 속성 수준은 개인과제, 팀별과제로 나누어지며, 네 번째 속성은 평가 방법으로 지정 안무, 창작 안무, 지정과창작 안무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뮤지컬 전공 대학의 무용실기 수업 진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앞장서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Learning Motivations,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and Career Choices of College Music Majors in Korea

        배수영,권수미 한국음악교육학회 2023 음악교육연구 Vol.52 No.1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learning motivations,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and career choices among college music majors in Korea. Results from a survey of 152 music majors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showed that their music learning motivation was primarily autonomous and not controlled. High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were expressed, with the most preferred career being that of a college lecturer/studio instructor, followed by a performer, and the least preferred being that of a music teacher. The only motivation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pursuing a career in music and choosing a performer or college lecturer/studio instructor as a future career was identified motivation. However, introjected motivation had a negative impact.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s had no effect on music career intentions or choice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ach orientation of music learning motivation has a unique effect on the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and career choices. The results also highlight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into why music learning motivation has no relation to music college students' career choice as a music teacher.

      • KCI등재

        음악 비전공 대학생의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한 음악 활용과 중등 음악교육 경험 및 영향에 대한 인식의 관계

        김지은,이수연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는 음악 비전공 대학생의 일상생활에서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한 음악 활용과 중등 음악교육 경험 및 영향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72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6명의 소그룹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 및 내용 분석을실시하였다. 그 결과, 음악 비전공 대학생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음악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해 음악을 활용하는 것은 ‘중등 음악교육 경험 및 영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있었으며, ‘음악 활동 참여 유무’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중등 음악교육 경험은 내적 성장을 도모하는‘정서적 만족감’, ‘음악적 민감성과 기초지식 필요’, ‘음악 활동 수행 평가에 대한 부담감’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방안은 ‘협동 음악 활동 수업’, ‘실제적 악기 연주 경험’, ‘음악 수업시수의 확보’를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music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among non-music maj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cognition of secondary music education. The research, involving a survey and group interviews with 72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used music for personal stress relief. The study found a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music and perceptions of music education, although participation in music activitie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his utilization. Experiences in music education included emotional satisfaction, musical sensitivity and knowledge, and a sense of burden in performance evaluations. Recommendations for music integration into daily life included cooperative music ensemble class, practical instrument playing, and sufficient class hours for music education. Future study is suggested the incorporation of music into daily life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음악전공자용 진로장벽검사도구(MCBI)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정환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usic Career Barrier Inventory (MCBI), a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tool that objectively measures the inner-environmental Career Barrier Factor perceived by music maj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which involved 147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first conducted a data analysis (N=347) of Previous studies, which surveyed students' Career Barrier. Then we were able to get 11 subfactors and 65 items as a result by conducting an Open-ended survey and exit evaluation. Three expert evaluations were repeated, and because of this, each item could be classified as an accurate factor without overlapping items. Then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and after the item was modified, nine career barrier sub-factors and 46 items were selected. In the next step,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72)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inspection tools, and as a result, 30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ight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lack of career information, performance anxiety, lack of confidence, lack of interest, economic problems, unstable job environment, physical problems, and lack of musical ability)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by clearly measuring career barriers that students perceive by applying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desired career path.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tool's validity should be verified by conducting a CFA(Certified Factor Analysis) on the extended population in subsequent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전공자들이 지각하는 내적·환경적 진로장벽 요인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다차원적 진로장벽 측정도구 MCBI(Music Career Barriers Inventory)를 개발하는 것이다.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을 분석한 선행연구결과를 근거로 재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및 전문가평가를 진행하여 기초검사문항을 도출하였다. 총 3단계의 유목분류과정을 거쳐 1차 기초검사를 위한 9개의 진로장벽 하위요인과 46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이후 검사도구의 유효성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n=72)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8개의 진로장벽 하위요인(진로정보 부족, 연주불안, 자신감 부족, 흥미부족, 경제적 문제, 불안정한 직업환경, 신체적 문제, 음악적 능력 부족)과 30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도구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확장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도구의 유효성 검증을 제언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음악대학의 진로지도 현장에서 실제 적용이 가능하며 개인이 희망하는 진로유형 및 개인적 변인의 특성에 따라 주요한 진로장벽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으므로 실증적 자료 누적에 따른 음악전공자 진로연구의 이론적 기틀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 대학의 음악교육과정 실태 분석

        김혜진 ( Kim Heyji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초등교원을 양성하고 있는 대학에서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음악관련 교육과정에 있어서 이론적 지식 뿐 아니라 실기 능력을 고루 갖춘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음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원을 양성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음악관련 교육과정에 관한 수업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원을 양성하고 있는 대학에서의 음악교육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설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교원을 양성하고 있는 대학의 2004학년도와 2017학년도의 심화 교육과정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축소ㆍ운영되어지고, 각 대학별 상황 및 특성에 맞추어진 교과목 편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수준 및 능력, 각 대학별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 초등 교사가 되기 위한 합리적인 교과목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When it comes to music education, colleges that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able to enable them to obtain not only basic music theory knowledge but also practical techniques.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curriculum and clas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courses,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opening music classes in ways that are more desirable. This study shows that, after comparing advanced music curricula of 2004 and 2017 in colleges that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usic curriculum of 2014 scaled back the courses and activities, and courses were formed according to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I expect the music curriculum to be standardized in order that sensible courses can be provided for those who study music education to beco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considering each school’s situation and students’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