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어린이 박물관 시각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관람객 경험에 관한 연구

        Qiyi Deng,Min Lee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어린이들이 박물관 관람을 통해 문화를 알아가며 교육을 받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적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통한 시각 정보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제고 및 커뮤니케이션 효과 향상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어린이 박물관 교육 활동은 박물관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 디자인을 검토하고, 중국 어린이 박물관 교육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시각 디자인 프로젝트 연구를 통해 중국 어린이 박물관의 실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현재 중국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 디자인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개인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얻은 실질적인 정보를 가시화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 박물관 시각 디자인의 특성 문제와 원인을 규명하고, 연구 과정 중 시각장 영역, 커뮤니케이션 모드, 정보의 시각화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나타난 문제의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각 디자인 구성에 대하여 설문 응답자의 체험 및 검증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개선책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향후 어린이 박물관은 디지털 미디어와 과학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실제와 가상이 결합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와 함께, 교육 활동, 문화 생산, 커뮤니케이션과 체험을 통해 도시문화 시스템과 대중 사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을 대상으로 시각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고, 경로와 범위를 확인하여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다양한 전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내 어린이 박물관의 시스템적인 시각 구축 형태의 기조를 박물관 문화 전승에 발맞춰 교육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for children to sense cultures and receive education through museum visits.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visu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vis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enhanc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Children's museum educational activities are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museu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 design of children's museums and provid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s museums in China. First, we analyze the practice of Chinese children's museums through visual design project research.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current problems of visual design in Chinese children's museums, visualized the practical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and survey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this, we identified the problems and causes of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design in children's museum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that emerg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using the visual field area, communication mode,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ing method. Finally, the analysis was improved based on the survey respondents' experience and verification of the visual design composition. In the future,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children's museums will develop into a form of real and virtual defective communication, as well as a form of participation in urban cultural systems and mass social networks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cultural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visu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identify the path and scop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various exhibitions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the systematic form of visual construction in children's museums in China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line with the transmission of museum culture.

      • KCI등재

        어린이박물관의 전시 공간 내 사용된 색채의 지각적 · 심리적 분석 -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고선영(Koh, Seon Yeong),이나리(Lee, Na R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환경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어린이들의 감성과 호기심을 자극하고 교육적 효과까지 경험할 수 있는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들의 성장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소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의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인 전시 공간 내 색채 활용의 지각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을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국공립어린이박물관 중 관람객 빈도가 높고 아직 선행연구에서 제외된 기관인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조사 방법을 통해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분포도 추출을 위해 포토샵 CS6 Pixelat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색채의 지각적 분석을 위해 컬러픽커, Munsell Conversion System과 색채 심리적 분석을 위해 미국환경 기준 색에 대한 심리 반응요소와 알슈터와 해트윅의 색채사용 심리분석 기준을 사용하였다. 추출한 색채의 값을 바탕으로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내 사용된 색채의 지각적, 심리적 분석결과 전시 내용과 어린이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전반적으로 전시 공간에 사용된 색은 적절하게 보였다. 하지만 소수의 전시 공간에서는 전시 내용에 더 비중을 둔 색채 활용으로 어린이들이 체험적으로 전시를 경험하기에 다소 무게감이 있는 환경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잠재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공간인 어린이박물관 전시 공간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색채의 활용은 어린이들의 지능, 신체, 심리,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nvironment has an important impact o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Children’s Museum is a place where children"s sensibility and curiosity can be stimulated, educational effects can be experienced, and growth needs can be satis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use of colors in the exhibition space, which is an element that composes the environment of a children"s museu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which is an institution that has been excluded from previous studies, although the frequency of visitors is high among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museums in Kore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ase study method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Photoshop CS6 and Pixelate were used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on color in the Children"s Museum and to analyze the color distribution map of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And for the perceptual analysis of color, a color picker and Munsell Conversion System tool were used. For the color psycholog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psychological response factors for colors in the US environmental standard and the psychological analysis criteria for color use by Alshooter and Hattwick. As a result of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colors used in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based on the extracted color values, the overall colors used in the exhibition space seemed appropriate whe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owever, in some exhibition spaces, the use of colors that put more emphasis on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llowed children to experience the exhibition experientially. Through the use of appropriate and effective colors in the exhibition and the experience space of the Children"s Museum, a place where children"s creativity and potential can be improved,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various areas such as intelligence, body, psychology, and emotion.

      • KCI등재

        국립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어린이관람객 놀이 분석

        최일선,방은정,하민경,김민정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at the children’s museum by analyzing children’s play appearances, play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play experiences among children visitors to the children’s museum within the national museum.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45 observations and 41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5 child visitors at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from September 9 to September 24, 2022. The collected transcript data underwent analysis and categorization. To enhance validity and minimize errors in data interpretation, four professors and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ong with three curators from the children’s museum, collaboratively reviewed the data, the data analysis process, and the findings. The study revealed that children's play manifested as both ‘one-time play’ and ‘repeated play.’ Furthermore, the play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child visitors encompassed ‘intuitive play,’ ‘imitative play,’ ‘information-receptive play,’ and ‘transformative play.’ Lastly, the play experiences of child visitors conveyed the meanings of both a ‘fun experience’ and an ‘experience leading to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imperative for children's museums to flexibly and widely emplo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xperiential exhibitions, constructing exhibits that facilitate immediate and diverse feedback on children’s respons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관람객인 어린이의 놀이 출현, 놀이 특성, 놀이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어린이박물관 체험전시공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 9월 9일∼9월 24일까지 국립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관람한 어린이관람객 55명을 대상으로 총 45회의 관찰과 총 41회의 면담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전사 자료는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유아교육전공 교수 및 전문가 4인, 어린이박물관 학예사 3인이 자료 해석 내용을 검토하여 오류를 줄이고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관람객의 놀이 출현은 ‘일회적 놀이 ’ 와‘반복적 놀이’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관람객의 놀이 특징은 ‘직관적 놀이’, ‘모방적 놀이’, ‘정보수용적놀이’ 및 ‘변형적 놀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관람객의 놀이 경험은 ‘즐거운 경험’, ‘성장으로의 경험’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 대상 체험전시물의 내용과 방법을 좀 더 유연하고 확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 반응에 즉각적이고, 다양한 반응의 피드백이 가능한 체험전시물 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역할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박성혜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본 글에서는 국립박물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단계와 현재 운영 상황, 그리고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초창기 국립박물관의 대표적 어린이교육프로그램은 1950년대 서울과 경주에서 진행한 어린이박물관학교, 1974년 어린이문화재미술실기대회, 1984년 국립중앙박물관과 소년동아일보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어린이박물관 현장학습’ 3가지였다. 이후 1990년대 후반기부터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국립박물관에서 어린이 대상 교육을 하면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목적과 취지 중의 하나는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알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어린이 교육에서만은 이보다 더 중요한 문화재 본질에 접근하여 문화재를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을 교육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앞으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은 내용적인 면에서는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행동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형식적인 면에서는 온라인과 학교 공교육과 연계하여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양질의 박물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의무가 있다. 즉, 시대에 걸맞게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개인과 공교육로 연계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원하면 누구든지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향후 국립박물관이 해야 할 일일 것이다. Afte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relocated to Yongsan in 2005,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newly established as a separate entity. Since its inception on October 28, 2005, the Children's Museum has been a children-centered museum and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 providi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to families. The Children's Museum has operated not only exhibition galleries but also educational programs for families and children. The Museum has developed its own programs and shared them with its affiliated museums. This article goes over the Museum's representa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their development progress and current oper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children'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 is required to find right methodology and direction with proper educational goals for the next generation. First, in terms of content, programs should lead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ith love and understanding. Second, in terms of format, museum'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linked with online platform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more people can gain access to the quality museum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museum education provides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to children so that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hen educational programs are provided, they should be present both on-site and online in connection with individual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anyone can enjoy museum education. This is the mandate of national museum.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한 박물관의 확장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의 ‘Health Curriculum’을 중심으로-

        유정규,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2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museums is effective in strengthening participation of visitors and changes in museums. Furthermo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can be expanded by using educational theme that matches the identity of the museum. This study examines the usefulness and success factor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s a possibility of expanding museums through the case of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in New York.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is one of the smalles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has received attention by develop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obesity through healthy lifestyle and spread it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The health program of Manhattan Children's Museum's has been successfully expanded to many schools and cultural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As in the case of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the success factors of museum expansion are the coexistence of localities and universality and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Domestic museums should als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by actively promo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본 연구는 뉴욕 맨해튼어린이박물관 사례를 통해 박물관 확장의 가능성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유용성과 성공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은 대부분 큰 규모인 미국 내 어린이박물관들 중에서 가장 작은 박물관에 속한다.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은 뉴욕에 사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비만을 방지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교와 기관 등으로 보급하면서 주목받았다.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이 확장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지역성과 보편성이 공존하고 변형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국내 박물관들도 변화하는 경쟁 환경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 관람객에서 창작자로!” 어린이박물관 메타버스 플랫폼 전시 적용 실행연구: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정선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3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5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for the implementation of ‘child-led participation’ in the Children's Museum to analyze the process of children’s participation as creators of the metaverse platform and to apply the process to museum exhibitions. For the research purpos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s in game creation were selected and a Roblox creation workshop was operated. And the completed games were loaded onto Roblox, a metaverse platform. The site of the study is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Complex, which is scheduled to open, and games created by children will be implemented as metaverse platform exhibitions as a special exhibi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implement‘child-led participation’ are as follows. ①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possibility of children's independent activities, ② to understand and strive for the children's generation, ③ when planning an exhib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end of technology and era change and find interesting ways that children can lea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pha gene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a children's museum in which children participate as creators of metaverse exhibitions and childre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m to exhibition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more advanced child participation contents will be developed in the children's museum an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children's leading participation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generation. 이 연구는 어린이가 메타버스 플랫폼의 창작자로 참여하고, 이를 전시에 적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어린이박물관의 ‘어린이 주도적 참여’ 정착을 위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이다. 이를 위해 게임창작 경험이 있는 초등고학년 어린이를 선발하여 로블록스 창작워크숍을 운영하고, 완성된 게임을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에 탑재하였다. 연구의 현장은 개관예정인 국립박물관단지 어린이박물관으로, 어린이가 창작한 게임은 기획전시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전시로 구현될 예정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어린이 주도적 참여’ 정착을 위해 필요한 환경 여건과 시사점으로 ① 기획자는 어린이들의 자주적 활동의 가능성을 읽어내고 박물관의 전시로 끌어낼 수 있는 안목과 전문성을 키워야 하며, ② 사회와 가정에서 어린이 세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이들을 존중하고 지지하는 어른들의 태도와 노력이 필수적이고, ③ 전시기획 단계에서 기술과 시대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알파세대의 특성을 반영하여 어린이가 주도할 수 있는 흥미로운 장치들을 찾아내야 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가 메타버스 전시의 창작자로 참여하고, 이를 전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어린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어린이박물관을 모색해본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어린이박물관에 보다 발전 된 어린이 참여콘텐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어린이세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어린이의 주도적 참여가 정착되는데 미약하게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박물관의 체험전시 선호 연구

        양혜진,김남효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6

        The advancement of media influences culture and education of children on this era, also causes new change on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on this study, with focusing on problem of 'children' among the convenience of advancement of media, analyze preferences of experimental display applied to analog and digital media in children's museum. Subjects of study are constituted to 2 children's museums, selected from 6 children's museums, located near Seoul, for 1st on-spot research, for timing and tracking observation and survey. The result of study is first, frequency of experimental display applied to analog media was absolutely high among 179 displays on 6 children's museum. On the result of timing and tracking observation, display applied to analogy media was high preference on both museum. Various experimental display devices to cover display device of analog media using digital media. Second, positioning experimental display considering children's focusing timing on the children's museum plan. Third, character of display and circulation highly effected on children's preference. The circulation plan should consider character of media applied display. 21세기 지식 정보의 환경 안에서 현대인은 다양한 문화를 생산하며 소비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의 발달은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어린이의 교육과 문화에 영향을 미쳐 교육환경에도 새로운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발달이 인간에게 주는 편의 중에서 ‘어린이’와 관련된 문제에 초점을 두고, 아날로그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박물관의 체험전시물에 대한 어린이들의 선호도를 조사·연구함으로써 효과적인 관람 체험을 위해 필요한 미디어의 활용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우리나라 수도권 내에 위치한 6개 어린이 박물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1차 현장방문 조사 후, 2개 어린이 박물관을 재선별하여 시간추적 관찰방법을 통해 어린이의 체험시설물 관람 확률과 점유 시간·빈도를 조사함으로서 어린이의 전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6개의 박물관에 설치된 총 179개의 체험시설물 중 아날로그 미디어의 활용빈도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점유 시간과 빈도에 대한 추적결과에서도 Y·H 어린이 박물관 모두에서 대부분 아날로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전시물을 더욱 선호하고 있음을 밝혔다.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전시를 포괄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전시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어린이 박물관을 계획하고 구성할 때, 그 규모가 큰 경우 어린이들의 집중 시간을 고려하여 출입 공간에 집중이 필요한 전시를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고,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각 벽마다 어린이들을 집중시킬 전시물을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전시물의 성향과 동선에 따라 어린이 박물관의 관람에 있어서 어린이들의 선호는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미디어의 활용에 따른 전시물의 성향을 고려하여 동선을 계획해야할 것이다. 본 결과를 계기로 어린이가 스스로 원하며, 관람체험효과 또한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어린이 박물관 시설 구성에 관해 다양한 접근과 영역에서의 심화된 연구가 진행되기 바란다.

      • KCI등재

        중국 어린이 박물관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각디자인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Qiyi Deng,Min Lee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is a pilot study to review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to improve the digital media design of children's museums in China, which has been rapidly transplanted since the 1990s. To this end, five visual information components and five compositional principles were proposed. The components and principles were employ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visual design of children's museums in Chin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visual design of four children's museums in Chin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focused on multi-modal experiences or interactions from children's perspectives was insufficient. 2) The use of low-chroma color and text-oriented information in children's museums were found to be less readable while placing the cultural identities of museums into vagueness. 3)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 young visitors were not sufficient to respond to the various needs of children. This study discuss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igital media application of children's museum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China, and presented the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visual information by digital media based on visual transmission theory and perceptual development theor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espite visiting the children's museum site and evaluating each component, the explanation of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of visual information was further elaborated and applied as a scoring table to ensure that each principle and element was valid as an evaluation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children's museum's digital media design.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급격하게 발전한 중국 내 어린이 박물관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어린이 박물관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각 정보 디자인을 보완하기 위한 파일럿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각발달이론과 정보전달이론에 기초해 어린이 박물관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각디자인을 분석 및 평가하기 위한 5개 시각 정보 구성 요소와 5개 구성 원리를 제안하였다. 각각의 시각 정보 구성 요소와 원리에 따라 중국의 어린이 박물관 4곳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각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1) 어린이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춘 다중감각적 체험이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구성이 부족하였고, 2) 어린이 박물관을 사용하는 주체가 아닌 만든 주체인 성인의 눈높이에 맞는 색상과 텍스트 중심의 구성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어린이 박물관의 문화적 정체성이 모호해졌으며, 3) 수신자인 어린이 관람객의 다양한 발달 수준과 지각 반응양식에 대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각디자인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변화의 시도가 부족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에서 설립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 박물관의 디지털 미디어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논의하고, 시각전달 이론과 지각발달이론에 기초한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시각정보의 원리와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 현장을 방문하여 각 구성요소를 평가하였으며, 어린이박물관의 디지털미디어 디자인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의 적용을 통해 각 원칙과 요소의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박물관 온라인 유아역사교육 현황 분석

        이경하,박세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어린이박물관 온라인 유아역사교육 현황 분석이 경 하*ㆍ박 세 진** 요약: 이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의 온라인 유아역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포스트코로나시대 어린이박물관의 효과적인 유아역사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020, 2021년에 실시된 10개 어린이박물관의 23개 프로그램이다. 국립어린이박물관 누리집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집하였으며, 유아역사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운영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내용은 대부분 지역의 대표 유물을 활용한 문화사를 다루고 있으며, 교수학습방법은 교육내용에 대한 설명 후 만들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운영방법은 실시간교육과 동영상을 통한 교육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박물관의 온라인교육은 포스트 코로나 국면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유아역사교육의 내용 확대, 온라인 매체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 어린이박물관 플랫폼 구축을 통한 온라인 유아역사교육의 발전을 기대한다. 핵심어: 어린이박물관, 온라인교육, 유아역사교육, 코로나-19, 교육방안 □ 접수일: 2022년 5월 30일, 수정일: 2022년 6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Yang Univ., Email: lkha33@hanmail.net)** 교신저자, 동대문문화재단 문화정책팀(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Dongdaemu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Email: endless604@hanmail.net)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arly ChildhoodHistory Education at the Children’s MuseumKyungha Lee & Sejin Park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an online education plan for effective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online children’s history education at children’s museu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 programs of 10 children’s museums conducted in 2020 and 2021. Programs were collected through the official website of the National Children’s Museum. As a result, mos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deal with cultural history using representative relics of the region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the most used to expla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o make something. As for the opera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through real-time education and video was mainly conducted. The online education of the Children’s Museum is expected to continue even in the post-Coronavirus phase. Therefore, we expect the development of online children’s history education by expanding the contents, diversif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media, and establishing a children’s museum platform. Key Words: Children’s Museum, Online Educati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Corona-19, Education Plan

      • KCI등재

        중국 어린이박물관 실내공간의 위계 분석에 관한 연구

        담복서,이행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다양한 문화 발전과 교육의 역할로 각광받는 박물관은 사람들에게 깊이 있는 학습과 다양한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박물관은 교육을 핵심 목표로 하는 전문 기관으로서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 성격을 지닌 기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어린이박물관의 공간구조에 대한 위상관계와 공간 위계 측면에서 심층 분석하여 공간 위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어린이박물관에서의 편리한 이동과 관람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의 공간 위상도와 위계 분석을 활용하여 중국의 중·대형 규모에 해당하는 국·공립 어린이박물관의 실내 공간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공간 인지성과 공간 접근성에 대한 예측 및 분석을 했다.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상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얕은 고리형 구조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구조는 인지 수준이 낮은 어린이에게 더욱 적합하며 어린이의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위계 분석 결과에서는 체험전시 공간과 공용공간이 전체 공간구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간구조 명료도 분석 결과에서는 어린이들이 동선을 이용할 때 충분한 정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공간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먼저 체험전시 공간과 공용공간의 인지성과 접근성을 개선해서 어린이들의 관람 체험을 향상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단위 공간 간의 물리적 연결도와 시각적 연결도를 높여 어린이가 동선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보다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의 관람 경로를 최적화하고 시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줄여서 어린이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정량적 분석 방법을 통해 어린이박물관의 공간적 특성을 밝혔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의 접근성과 인지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과 제안은 향후 어린이박물관의 공간 설계 및 계획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다만 연구 방법에 있어 다소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공간적 특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입면에 대한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Museums, as globally significant cultural and educational venues, provide opportunities for in-depth learning and rich cultural experiences. Children's museums, in particular, focused on educational goals, are seeing an increasing demand. However, current research on these specialized institutions is relatively sparse. Hence,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topological relationship and spatial hierarchy of children's museums in China to thoroughly explore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to facilitate ease of movement and visitation within these museums. (Method) Utilizing spatial syntax,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components within the interior spaces of medium and large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museums in China, employing justified graphs and spatial hierarchy analysis. Additionally, it conducts predictive analyses on children's spatial recognition and accessi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Results) The study yield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n analysis of topological relationship types shows that shallow-ring structures are most prevalent, which are more suitable for children with lower cognitive abilities and contribute to their social skill development. Secondly, results from the spatial hierarchy analysis demonstrate that experiential display spaces and public areas occupy central roles within the overall spatial arrangement. However,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s intelligibility indicates that children face challenges in obtaining sufficient information while navigating the routes, leading to difficulties in accurately identifying spaces. Based on these insights, several recommendations are put forward: Firstly, enhancing the recognizability and accessibility of experiential display and public spaces could significantly improve children's visiting experience. Secondly, it is advised to increase both the physical and visual connectivity between individual spaces, aiding children in more effortlessly gathering information as they navigate. Lastly, optimizing children's viewing routes and minimizing factors that may create visual obstructions will make it easier for children to move around. (Conclusions)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fer valuable guidance for the future spatial design and planning of children's museums. It is important to note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method, with future studies planned to include the examination of spatial profiles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pati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