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천군전(天君傳)」 장르 규정 및 명명(命名)에 관한 제언-「국순전(麴醇傳)」 및 「수성지(愁城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민희 ( Min Heui Le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문학교육학 Vol.42 No.-

        Today researchers and student, teachers all are confused to call differently the name of genre between the Gajeon(假傳, personified allegorical biography) in Korye dynasty and Cheongun(天君) type works in Choseon dynasty. Especially Cheongun-Jeon(天君傳)`s genre could not classified an appropriate agreement of Gajeon and novel(narrative). It is real that it is called differently by ‘Gajeon’, ‘Gajeon-cheo(假傳體)’, ‘Simseong-gajeon(心性假傳)’, ‘Gajeon-cheo novel(가전체 소설)’ etc. Therefore this study debated about the question of genre of Cheongun-jeon through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and composition by comparing with Gajeon work Guksun-Jeon(麴醇傳) in Korye dynasty and with another genre`s work Suseong-Ji(愁城誌) in Choseon dynasty. Cheongun-Jeon conforms with general Gajeon`s form such as introduction to character, but we can confirm novel`s quality in its composition such as oppositional configuration of characters, construction aspect of conflict, consequential development of event etc. These characteristics is similar with Suseong-Ji by Im Je(林悌) in 16th century.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at Cheongun-Jeon is close to the narrative genre(novel). Then, we need to indicate Cheongun-Jeon as a novel, one sub-genre of narrative. And we should consider of personifying things strongly, when we want to define the genre name. Therefore, I suggest to use the name of genre ‘Euiin-cheo novel(擬人體小說)’, instead of avoiding the name of genre such as ‘Gajeon’, ‘Gajeon-cheo’, and ‘Gajeon-cheo novel’, given the existing confusion to learners. However, if it do not get a unified consensus in concern with the nature of Cheongun-Jeon and genre regulatory issue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point of view among researchers, it need to inform honestly about those issues for the learners. It is not important to know the genre theory itself, but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multiple interpretations of Cheongun-Jeon. In literary education, it needs to be made in a way that learners and teachers can rethink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genre education.

      • KCI등재

        <天君紀>의 修養論 形象化, 그 志向價値에 대한 새로운 認識

        신태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7

        Cheongungi holds revolutionary status in the history of the Cheongun discourse, which used to be a didactic genre of explaining and conveying training theories. It was converted into a novel genre of embodying training theories by the time of Cheongungi. There is a need to focus on characters of Cheongungi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genre conversion. The main characters include Cheongun, the Loyal Subject, and Enemy General. Cheongun loses his Bonseong by neglecting his cultivation of Mibalsi. The Loyal Subject reprimands Cheongun that is lazy with his training. The Enemy General is sensitive to interests. The speaker of Cheongungi introduces the Enemy General has a quick eye for profit rather than being a bad man. He highlights Cheongun's restoration of his Bonseong by the help of his Loyal Subject. The author's viewpoint of the political scene those days is projected on this value sought after by them. The value sought after in Cheongungi provides two lessons for modern people. One is that Bonseong has immunity and healing functionality, and the other is that the mind has cosmic nature and independent status. Each of the lessons is followed by their training methods: reading, meditation, painting, climbing, and writing will be proper for the first lesson, and episodes about Simseong of Toigye and Judoni will be fit for the second lesson. <천군기>는 天君談論의 역사에서 획기적인 위상을 점하고 있다. 천군담론이 종래에는 修養論을 설명ㆍ전달하는 敎述 갈래였지만, <천군기>에 이르러 수양론을 형상화하는 敍事 갈래, 그 중의 소설로 전환되었다. 갈래 전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천군기>의 인물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天君과 忠臣과 敵將이 주요 인물이다. 천군은 未發時의 涵養을 소홀히 해 本性을 잃고, 충신은 수양을 게을리하는 천군을 질타하고, 적장은 이해관계에 민감하다. <천군기>의 화자는 적장이 惡人이기보다는 잇속에 밝은 자라고 소개하며, 천군이 충신의 도움을 받아 본성을 되찾는다고 역설한다. <천군기>의 志向價値는 현대인에게 교훈 두 기지를 제공한다. 본성이 免疫力과 治癒 機能을 지녔다는 점과 心이 우주적 성격과 주체적 위상을 지녔다는 점이 그것이다. 각 교훈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들면 다음과 같다. 도덕적 본원, 즉 仁의 함양 노력이 첫 번째 교훈을 구체화하는 방안이고, 인욕의 억제와 천지만물의 生意 체인 노력이 두 번째 교훈을 구체화하는 방안이다.

      • KCI등재

        경주 천군동지역 단층에 기록된 제4기 지진성미끌림

        박현제,한래희,구도희,우상우,손문,윤동화 대한지질학회 2022 지질학회지 Vol.58 No.3

        A Quaternary fault may have slipped seismically or aseismically. If a Quaternary fault of interest has slipped since before the Quaternary,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any seismic slip indicator identified from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aternary slip or not. In this study, we conducted structural observation and material analysis on the damage zone and core of a Quaternary fault, Cheongun-dong area, Gyeongju, to find seismic slip records and determine whether they have originated from the Quaternary seismic slip. We recognized two geological features that may be directly related to seismic fault slip: pulverized granite in the damage zone and gouge injection veins in the core. Concerning the former, its formation timing is uncertain. The latter, some of which include the Quaternary sediment grains and are injected into the Quaternary deposit, reliably indicates the occurrence of the Quaternary seismic slip on the fault. 제4기 퇴적층을 절단하여 제4기 단층으로 인지되는 경우라도 그 단층을 따라 지진성미끌림이 발생했는지의여부는 추가적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아울러 연구대상 단층이 제4기 이전부터 활동해온 것이라면 거기에서 관찰되는 지진성미끌림의 흔적은 제4기뿐 아니라 그 이전에 기록된 것일 수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층에 남겨진 제4기 지진성미끌림의 기록을 확인하고자 경주시 천군동지역의 제4기 단층의 손상대 및 단층핵을 이루는암석을 대상으로 물질분석 및 노두규모에서 미세규모까지의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차적으로, 손상대에서는 분쇄화강암이, 단층핵의 여러 위치에서는 단층비지의 주입세맥이 지진성미끌림과 관련된 기록임을 확인하였다. 이 중 동지진성 분쇄화작용으로 인한 분쇄화강암의 형성은 제4기 발생여부가 확실치 않은 반면, 단층비지 주입세맥의 경우 제4기 퇴적물을 포함한 것과 제4기 퇴적층 내로 주입한 것 등이 관찰되므로 제4기 지진성미끌림 발생을 분명하게 지시한다.

      • KCI등재

        歷史意識 不在의 史書 읽기와 懷古的 感情의 消費에 대한 批判 -「愁城誌」를 읽는 한 가지 방법-

        엄기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2

        This work Suseongji throws such a question as "what is the meaning of history and its reading?" In this work, Ym Je, the author deals with such things as Cheongun and his reading of history, historical figures' appearance and Cheongun's treatment, construction of Suseong and surrender by Gookyang, which criticize that the reading of history withou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s just a spend of retrospective sentiment. Especially the chosen situation setting for this work is a drinking party. Usually at the party, the noise of talk and laughter is uproarious and the retrospective sentiment is spent. We can get a sense of the author's excellence through this. However, the author sends us one more message. Though the sur- render of people in Suseong, Goolwon never submitted to it, he was disobedient to that situation and fled. It symbolize that history is not the past, but the present, because Goolwon would build another Suseong in somewhere. 林悌의 「愁城誌」는 歷史/歷史書 읽기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작자는 天君과 그의 역사서 읽기, 歷史上 實存 人物의 登場과 이들에 대한 천군의 태도, 愁城의 축조와 麴襄에 의한 愁城의 陷落 등을 그려내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천군의 역사서 읽기가 진지한 歷史意識을 바탕으로 是非와 得失을 따져 현재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역사를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모아 놓은 옛 이야기로만 머물게 하여 感傷에 젖어 懷古的인 感情을 消費하는 것임을 批判하였다. 그런데 작자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麴襄에 의해 愁城이 陷落되고, 성안의 모든 이들이 降伏함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屈原만은 不服하고 逃走한다. 굴원의 이러한 행위는 역사의 현재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어디에선가 또 다른 愁城을 쌓아 역사가 과거가 아닌 바로 지금, 우리 옆에 있는 것임을 말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소창청기(小창淸紀)』 이본(異本)과 17세기 초반 조선(朝鮮)에서의 수용 양상

        김은정 ( Eun Je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小청淸紀』는 明末 吳從先(?~?) 이 지은 淸言集이다. 이 책은 萬曆 연간에 중국에서 간행된 즉시 조산에 수용되어, 許筠 (1569~1618) 이 『閒情錄』 에 이 책의 내용을 대폭 수용하였으며, 申欽(1566~1628) 이 淸言만을 선록하여 『野言』 권1로 엮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만력 간본 『소창청기』 는 확인되지 않는다. 대신에 만력 연간에 시리즈물로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小창淸紀』, 『小창別紀』, 『小창艶紀』 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는 『四庫全書存目叢書』 수록본과 일치한다. 따라서 존목총서 본『청기』가 만력 간본 『청기』 라 할 수 있다. 한편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필사본 『소창청기』 는 존목총서본과 다른 본이다. 이들 이본을 정밀히 대조한 결과 『소창청기』 에는 18자본과 19자본이 있었으며, 만력 간본이 18자본, 서울대 중도본이 19자본임이 확인된다. 이 가운데 19자본이 시기적으로 앞서 간행되었다. 이후 18자본이 만력 간본으로 간행되었는데,官本 또는 昌本 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그런데 18자본과 19자본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우선 l9자본은 『淸語』 가 단권인 반면에 18자본은 『청어』가 上, 下 2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무엇보다도 l9자본에는 『附紀』 가 포함되어 있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후 『부기』는 오종선이 자신의 저작을 18자본으로 일괄적으로 간행할 때 『소창자기』 로 재 편집되어 간행되었다. 이들 2종의 『소창청기』 는 시차를 두고 조선에 유입되었던 듯하다. 허균은 1614, 1615년의 사행 때 4천권의 서적을 구입하면서, 아마도 최초로 간행되었던 19자본 『소창청기』 를 입수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 근거로 『한정록』 에서 ``소창청기`` 라 인용서 목을 밝히고 있지만, 『소창자기』 에서 확인되는 기사가 다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19자본에는 『부기』 의 형태로 현전하는 『자기』 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신흠이 『야언』 권1을 편찬하는데 참조한 『소창청기』는 18자본 만력간본인 것으로 확인된다. 18자본에만 있는 『청어』下에서 취선한 기사가 6칙이나 되기 때문이다. 신홈이 『청기』 를 열람하고 『야언』을 편찬할 시점이 방축기 후반인 1620년 전후인 것으로 보이는바, 이 시기에 재편집된 18자본 『청기』 를 입수하였다고 하겠다. SoChangCheongGi(『小창淸紀』) was a book of CheongUn(淸言) edited and published by OhJongSun(吳從先) who was a literary man in later Ming(明) dynasty. This book was accepted as soon as published in Chosun(朝鮮) Dynasty. HeoGyun(許筠, 1669~1618) edited HanJeongRok(閒情錄) under the influence of this book, and ShinHeum(申欽, 1566~1628) edited YaUn(『野言』) as a collection book of CheongUn. However, there are two versions of SoChangCheongGi at that. time: a Version of 19 letters and a Version of 18 letters. The Version of 19 letters was the earliest printed book, was consisted of CheongEo(『淸語』) CheongSa (『淸事』) CheongHyang(『淸享』) CheongOon(『淸韻』), and BooGi(『附紀』). The Version of 18 letters was reedited and printed book during Manlyuk(萬曆) era. At that time, BooGi was reorganized to SoChangJaGi(『小창自紀』) another published book by OhJongSun. The other side, the latter part of CheongEo was added to the Version of 18 letters. There were many articles which of reference book was SoChangCheongGi. but actually were quoted at SoGhangJaGi in HanJeongRok edited by HeoGyun. These articles were originally recorded in BooGi which was only included in the Version of 19 letters. So the fact that HeoGyun read the Version of 19 letters SoChangCheongGi is confirmed. Otherwise, ShinHeum read the Version of 18 letters SoChangCheongGi, Because 6 articles of YaUn were recorded in the latter part of CheongEo which only included he Version of 18 letter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와 제문제

        김지현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1

        This study has reviewed with the focus on issues conspicuously noted from the cases of the stone pagodas restor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rough this effort, it presents the conclusion to state for points to pay attention in future restoration endeavors,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so forth. With respect to the restoration of stone pagodas, the most frequently confirmed error was the displacement of the pagoda materials, and the typical display could be shown i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of Galhang-saji (site of Galhang Temple), in Gimcheo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in Cheongun-dong, Gyeongju, and others. This issue was a concrete and factual matter that could be improved with an appropriate procedure and paying attention. Second is the change in structure or composition of the stone pagoda, that there are 3-story stone pagoda in Bulguk-sa, Gyeongju, 5-story stone pagoda in Muryang-sa, Buyeo and others. This issue was undertaken while the clear concept and philosophy on the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and style was still not complete that, in recent days, it has been refrained, but such trend is still shown in those recently restored stone pagodas. If the original shape of the stone pagodas to be restored at the present time is unable to prove, it would be a way to preserve the current status until the firm basis could be secured. Third, in the event that a stone pagoda is restored by using significantly more new materials than the original materials, it could be a re-construction, not the restoration, and there is a typical case of East-Pagoda of Mireuk-saji in Iksan. In the event that any pagoda that has been destroyed, such as the 3-story stone pagoda in Beongseo-ri, Mungyeong, is to be reconstructed with the new materials, it would be constructed by referencing to the similar size and proportion of stone pagoda that it cannot be stated as an accurate restoration. In this relation, it is possible to study the design method of the stone pagoda to utilize it in the restoration, but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is that it would be a task to be processed for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data continuously in the future. Lastly, there are insufficiency of base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along with the error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foregoing would be most fundamental and innate approach for the restoration that any error thereto could be an important issue to result in damaging the original shape and form in its consequence. Namely, it is a key that penetrates entire process of the restoration that it requires the methodology on ‘sufficient’ collection of base data steadily, and it requires the need to unyieldingly contemplate what should be done for preventing errors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In the public issue making process on restoration and investigation on base data, there is a need of sufficient time throughout entire process. Furthermore, in order not to encounter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re is a need to make close compilation of reports, white books and other data when disassembling and restoring the stone pagoda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 중에서 눈에 띄게 확인되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복원시 주의해야 할 점과 개선 방향 등을 기술하는 것으로 맺음말을 대신하였다. 석탑의 복원에 있어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는 오류는 탑재의 變位였으며, 대표적으로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것으로, 제대로 된 절차와 주의만 기울여도 개선되는 문제였다. 둘째, 석탑의 구조나 구성의 변화로,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복원의 원형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철학이 미진한 상태에서 행해진 것으로 최근에는 지양되는 분위기이지만, 근래 복원된 석탑들에서도 공공연히 볼 수 있다. 현시점에서 복원하고자 하는 석탑의 원형을 증명할 수 없다면 확실한 근거가 확보될 때까지 현상 보존을 하는 것도 방법 중하나라 할 수 있다. 셋째, 원부재보다 新部材를 많이 사용하여 석탑을 복원할 경우, 복원이 아닌 再建이 되기도 하였는데, 익산 미륵사지 동탑이 대표적이다. 문경 봉서리 삼층석탑과 같이 멸실된 탑재를 신부재로제작할 경우, 대개 유사한 크기와 비례의 석탑을 참조하여 조성하므로 정확한 복원이라 할 수 없었다. 관련하여 석탑의 설계방식을 연구하여 복원에 이용하는 방법론이 있겠으나, 현재 연구가 미진한 상태로 향후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축적과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과제로 생각한다. 마지막은 기초자료의 수집 및 조사의 불충분과 그에 따른 해석과 판단의 오류이다. 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오류는 결과적으로 원형을 훼손하는 결과까지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였다. 즉, 이는 복원의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으로, 기초자료의 ‘충분한’ 수집에 대한 방법론을 꾸준히 계발해야 하며, 해석과 판단의 오류를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복원에 관한 공론화 과정과 기초자료 조사에서 복원의 전과정에 걸쳐 충분한 시간이 요구되며, 더불어 향후 이와 같은 문제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 현재 석탑을해체, 복원할 때 보고서, 백서 및 기타 자료를 면밀히 남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천군류(天君類) 출현의 철학적 기반과 서사문학적 지위

        신상필 ( Sang Phil Shin ) 우리한문학회 2010 漢文學報 Vol.23 No.-

        「天君演義」는 조선 仁祖 시대의 문인인 鄭泰齊가 인간의 마음을 `天君`으로 의인화하고, 酒色으로 평정심을 잃는 상황과 이후 본성으로의 회복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처럼 심성을 천군으로 의인화한 작품은 김우옹의 「천군전」에서 비롯되어 16, 17세기 일군을 이뤄 근대 초기까지 이어진다. 그 가운데 章回體 작품인 「천군연의」는 서사와 구성의 측면에서 발군으로 꼽히며, 유가 正心工夫를 위해 1917년 한문현토체로 출간되기까지 한다. 이때 천군류 작품의 존재가 어떻게 성립되고 전개되었는가의 의문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선행 연구는 이에 대해 假傳의 전통이나 心學의 전개, 혹은 소설 서사의 차원에서 해답을 찾아 왔다. 본고는 이들 선행 연구에 공감하면서 보다 종합적인 방면에서 천군류의 성립 기반에 접근하고자 한다. 성리학을 기반으로 삼은 조선왕조는 불교, 도교 등 이단을 배척함과 동시에 유교 철학의 이해와 내면화에 따른 확산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후학 계도를 위한 「從政圖」 「作聖圖」 등의 유희와 圖說의 전통은 「천군전」의 성립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유가의 心性論에 근거한 천군류 작품의 서사 방식은 허구에 대한 비판을 무화시킴과 동시에 중국 역사연의 소설을 수용함으로써 보다 서사적 완성도를 갖춘 「천군연의」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은 조선조 성리학의 철학적 기반과 서사양식의 전개에 따른 사회적 수용의 과정을 고려하며 살펴야 하며, 본고는 그 총체적 구도를 통해 천군류 작품의 성립과 존재 양상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eongun Yeonui」, written by Jeong Taejae, a writer in times of King Incho in Chosun Dynasty is a literary work which personified the humans mind as `Cheongun` and illustrated the circumstances of its losing composure and a process of the recovery to its true color. Similarly, works which personified the mind as Cheongun started from 「Cheongun story」by Kim Woo-Ong and continued till early modern times via their peak time in 16th and 17th century where they were developed to form a specific group. 「Cheongun Yeonui」, out of them, a novel composed with Janghwoe style is an outstanding work on view of description and composition, and was published in Chinese Hyunto style in 1917 as a textbook of Jeongsim Gongbu (a study to keep a mind) for Confucian student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originated from a question that how the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Cheongun style works had been developed. Previous studies tried to find an answer from a tradition of Gajeon or development of Shimhak or in a level of novel description. The paper intends to approach a basis of establishment of Cheongun style works in more comprehensive aspects while agrees with these previous studies. It was necessary for Chosun Dynasty whose spiritual basis was Neo-Confucianism to intend an expansion of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of Confucianism whereas excluding heresies such as Buddhism or Taoism. Further, a tradition of plays (a kind of board game) such as 「Jongjeongdo」and 「Jakseongdo」and Doseol (Diagram and explanation of philosophical theory) for young students enabled an establishment of 「Cheongun Story」. In addition, it could be developed to 「Cheongun Yeonui」which had more descriptive completeness because Cheongun style works accepted Chinese historical novels while incapacitating criticism on fiction with their description methods. A set of these phenomena should be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a process of social acceptance according to philosophical basis of New-Confucianism during Chosun Dynasty and a development of description styl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shall be able to understand an establishment and existence aspect of Cheongun style works through total structure.

      • KCI등재후보

        중생 복합내병성 고품질 벼 ‘청운’

        최임수(Im-Soo Choi),조영찬(Young-Chan Cho),원용재(Yong-Jae Won),김명기(Myeong-Ki Kim),이점호(Jeom-Ho Lee),이정희(Jeong-Heui Lee),양창인(Chang-Ihn Yang),김연규(Yeon-Gyu Kim),김정주(Jeong-Ju Kim),신영섭(Young-Seop Shin),백만기(Man-Kee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지 Vol.47 No.2

        The ‘Cheongun’ is a rice variety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uweon462’ which has translucent milled rice and medium maturity and ‘Milyang192’ that the elite line has a bacterial blight resistance and mid-late maturing property by the rice breeding team at NICS, RDA in 2012. The heading date of ‘Cheongun’ is August 13 and five days later than check variety, ‘Hwaseong’. It has 87 cm of culm length and 114 spikelets per panicle. It showed weaker cold tolerance than that of ‘Hwaseong’ while exposed to cold stress. ‘Cheongun’ showed resistance to blast disease, K1, K2 and K3 race of bacterial blight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K3a race, other viruses and planthopper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translucent,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short grain shape. It has similar protein content (6.7%) and amylose content (19.5%) to that of ‘Hwaseong’. ‘Cheongun’ showed better palatability index of cooked rice than that of ‘Hwaseong’. Its milled rice recovery rate is similar to those of ‘Hwaseong’. However, whole grain rate of milled rice is higher than that of ‘Hwaseong’. ‘Cheongun’ has 4.98 MT/ha of milled rice productivity in ordinary cultivation. ‘Cheongun’ could be adaptable to the middle plain area in Korea(Registration No. 5114).

      • KCI등재

        <천군실록(天君實錄)>의 서사 특성과 사상적 지향

        김수영 한국고소설학회 2019 古小說 硏究 Vol.48 No.-

        This paper deals with Cheongunsillog(天君實錄) by Ryu, Chi-Gu(柳致球), a 19th-century Cheongun narrative work. First, I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unsillog. Next, I explored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Cheongunsillog,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re are four main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unsillog. First is the active utterance of 'Sangje(上帝)', which means Taegeuk(太極). Second is the narrative development centered on ‘juinong(主人翁)’, which means Seong(性). Third is the emergence of reactionary characters, Hwa-yo(禾么) and Hwa-do(禾刀), which means lust and profit. Fourth is the use of colorful Taoist ideas and language. As mentioned above, Cheongunsillog attempted to make various narrative changes while being aware of various flows and traditions of the Cheongum narrative of the former generation. This narrative characteristic of Cheongunsillog is closely related to the ideological intention of the work. Cheongunsillog pursued the Neo-Confucian mind theory that emphasized Li(理). Thus, Cheongunsillog deepened the fictional exploration of 'Seong' (性), which was not done in the previous Cheongun narrative. In this process, Cheongunsillog failed to advance the novel's search for jeong(情) and desire(慾), which was accomplished in the previous Cheongun narrative, such as Hwang, Joong-Yun's Cheongungi(天君紀). Also, Cheongunsillog came up with a conservative thane. Nevertheless, in the '19th century perspective' where the topography of ideology and the economic foundation of society changed, Cheongunsillog gained a new meaning as a Cheongun narrative work that raised the question on the discipline of the mind toward "grofit'. Above all, the extension of the Neo-Confucian mind discipline to social ethics in the work is considered a meaningful attempt by Cheongunsillog. 본고는 세기 천군서사 天君敍事작품인 류치구 柳致球 의 천군실록 天君實錄을 대상으로 먼저 전대 천군서사와 구별되는 천군실록 의 서사 특성이 무엇인지를 고찰했다 다음으로천군실록 의 사상적 지향이 무엇이며 그것이 작품의 서사 특성과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를 탐구했다천군실록 의 주요 서사 특성은 크게 네 가지가 검토되었다 그 하나는 태극 太極을 뜻하는 의인화된 상제 上帝의 적극적 발화 發話이다 그 둘은 성 性을 뜻하는 주인옹 主人翁중심의 서사 전개이다 그 셋은 반동인물로서 사욕 私慾과 이익 利益을 뜻하는 화요 禾么와 화도 禾刀의 등장이다 그 넷은 다채로운 도교적 발상과 언어의 전용 轉用이다 이상과 같이 천군실록 은 전대 천군서사의다양한 흐름과 전통을 의식하면서도 여러 가지 서사적 변화를 꾀했다천군실록 의 이러한 서사 특성은 작품의 사상적 지향과 내적으로긴밀히 결부되어 있다 천군실록 의 작가 류치구는 사상적으로 주리적 主理的심성론을 추구했다 이에 천군실록 에서 성 性에 대한 소설적 탐구를 심화하여 장편 형식을 통한 주리적 主理的심성론의 적극적 서사화를 천군서사사 天君敍事史에서 이루었다 다만 이과정에서 천군실록 은 황중윤 黃中允의 천군기 天君紀와 같은전대의 천군서사가 성취한 정 情과 욕망에 대한 소설적 탐구를 더진전시키지 못했으며 주제적으로 한층 보수화된 심성수양론을 내세웠다 그렇기는 하나 사상계의 지형이 바뀌고 사회의 물적 토대가 변화된 세기적 상황에서 천군실록 은 이익을 향해 치달리는 마음의 수양에 대한 문제를 새로 제기한 의의가 있다 심성수양론을 사회윤리적 차원으로 확장한 점은 천군실록 의 유의미한 시도로 평가할만하다.

      • KCI등재

        申欽의 淸言 선록집 <野言> 연구

        김은정 국문학회 2010 국문학연구 Vol.0 No.22

        ShinHeum(申欽, 1566∼1628)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literature and scholarship of Ming(明) dynasty. It is true that he read many books which were published in Ming(明) dynasty, but he didn't disclose titles of that books. Therefore there are no evidence of the fact that ShinHeum contacted books published in Ming dynasty. YaUn(<野言>) edited by ShinHeum was a collection book of CheongUn(淸言) of later Ming dynasty, as well as other occasions, title of that book which he refer also has unknown. But by researching in this study, the book that ShinHeum refer is SoChangCheongGi(<小窗淸紀>) which was edited and published by OhJongSun(吳從先) who was a literary man in later Ming dynasty. It is similar to HanJeongRok(<閒情錄>) written by HeoGyun(許筠, 1669~1618). There are some differences YaUn, as compared with HanJeongRok. First, ShinHeum had a selecting standard of HoiSim(會心). Second, ShinHeum only selected short compositions of CheongUn, while HeoGyun rather selected long compositions that had crazes for various specialties. Third, ShinHeum rewrote most of compositions for the purpose of lyrical elegant prose. Particularly, ShinHeum represented the daily fact of SanLimGyungJe(山林經濟) that is a life in the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