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마산포 개항장 제외와 조선인 경제인의 면모

        김예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conomic changes in the region and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Joseon people since the exclusion of the Masanpo port, and to reveal the appearance of the Joseon businessmen who endured the changes despite the outward changes. Through this study, Koreans in Masan continued their economic activities through commercial transactions and market days with other local residents formed in the area even after the Governor-General rejected Masanpo Port. When the Japanese were able to use the port (90 years after the announcement) with the patent of the Busan Customs Commissioner, they built modern port facilities in the area to support foreign trade. It was also intended to shake up the economic prosperity of the Masanpo Koreans by carrying out reclamation projects and owning land. Second, the controlled port of Masan was transformed into 'Migok Port'. According to the trend at the time, exports began to increase in 1913, and in 1918, when the rice crisis occurred in Japan, exports exceeded imports. During this period, the main products of Masan Port were grains such as rice and beans. Furthermore, with the completion of the Gyeongnam Line linking Masan and Jinju in June 1925, the collection of rice from nearby areas was promoted, and the use of it together with port facilities was strengthened to become a rice export port. Thirdly, from 1911 to 1920, Joseon businessmen established their own businesses, focusing on transportation, rice, and rice sal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Joseon businessmen in Masan established the company in the name of guardian ceremony so that the Japanese could not lose their local economic power. Fourth, Joseon businessmen set up a company based on Wonjeong and Seokjeong. At that time,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Wonjeong coexisted with the Jochang area and the Reclaimed land, and Joseon businessmen established six out of 17 Jochang companies and 11 Reclaimed land companies to expand their economic prosperity to the Japanese region. Fifth, Joseon businessmen focused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Masanpo rather than expanding to Sinmasan. In addition, 90 out of 107 businessmen (84.1 percent)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only in Masanpo, and 45 of them, or half, participated in only one project. This means that it was not easy to expand economic activities due to the financial strength of the Joseon people at the time. Rather, however, this situation forced Koreans to focus more on the Masanpo area, which is believed to have given them the potential to survive in their hometown and economic territory from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conomy. In short, Joseon businessmen remained strong in Masanpo despite the Governor-General's excluding opening of Masanpo, the Japanese's development of Masan Port and the expansion of Japanese businessmen. 본 연구는 마산포 개항장 제외 이후 지역 경제 변화와 조선인의 경제 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외부의 변화에도 자신의 본거지이자 생계지인 마산포 일대에서 강고하게 버틴 조선인 경제인의 모습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첫째, 마산지역 조선인은 총독부의 마산포 개항장 제외(1911.1.1. 시행) 이후에도 이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해 온 타지역민과의 상거래, 장날 등을 통해 경제활동을 지속했음을 확인하였다. 일본인들의 경우 총독부의 마산포 통제에도 부산세관장의 특허 아래 항구 이용이 가능해지자(고시90호), 이 일대에 근대적 항만시설을 구축하여 자신들의 대외무역을 뒷받침하고자 하였고, 이와 함께 매축 사업을 진행하여 땅을 소유함으로써 마산포 일대에서 공고한 조선인의 경제영역을 흔들고자 하였다. 따라서 조선인과 일본인은 마산포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경제영역을 놓고 갈등 관계를 빚을 수밖에 없었다. 둘째, 통제된 마산항은 ‘미곡이출항’으로 변모해갔는데, 당시 수이출품액 추이를 보면 1913년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일본본토에서 쌀 소동이 발생한 1918년에는 수이출품액에 수이입품액을 능가하였다. 이 기간에 마산항의 주요 이출품은 쌀, 콩 등 곡류였다. 나아가 1925년 6월에 마산과 진주를 잇는 경남선이 완공되면서 인근 지역으로부터 미곡 집산은 더욱 원활해졌고, 항만시설과 함께 이용되면서 미곡이출항으로의 모습이 더욱 강화되어갔다. 셋째, 조선인 경제인은 마산포 통제 이후부터 1920년대까지 회사는 운수창고업, 공장은 정미업, 개인상업체는 미곡판매업을 중심으로 설립하였다. 특히, 이들이 정미공장과 미곡 판매 중심 개인상업체 설립에 주력했던 것은 마산의 도시권에 좋은 쌀 생산지인 창원, 함안 등이 포함되어 있고, 경남선이 부설되어 인근 지역으로부터 미곡 집산이 원활해진 여건을 활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한 사례에 불과하지만 원동무역(주) 설립 목적을 통해 마산지역 조선인 경제인들이 지역 경제권을 일본인들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한 수호 의식을 표방하며 회사를 세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조선인 경제인은 마산포 일대 중에서도 옛 조창 터인 원정과 석정을 중심으로 사업체를 설립하여, 두 동을 중심으로 경제영역을 공고히 하였다. 당시 원정의 행정구역은 조창일대와 일본인들이 주도해서 형성한 매축지가 함께 공존하였는데, 조선인 경제인은 사업체 17개소 중 기존의 조창 일대에 6개소, 매축 일대에 11개소를 각각 세움으로써 오히려 일본인이 형성한 매축 일대까지 경제영역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조선인 경제인은 신마산이나 타지역으로 확장보다는 마산포 일대에서의 경제활동에 주력하였다. 특히, 1910년대∼1920년대에 사업체 소속 조선인 중 절반이 넘는 69.2%(중복)가 조창 터인 원정과 석정에서 활동하였다. 따라서 마산포 일대가 조선시대 조창 설치시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계속해서 조선인의 경제영역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선인 중 마산포에서만 경제활동을 한 경우가 전체 107명 중 90명으로 84.1%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비중이었다. 이들 중 사업체 1개소에만 소속된 경제인이 절반에 해당하는 45명이었는데, 이것은 당시 조선인의 자금력으로 외부로의 확장이 쉽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조선인들은 더욱 마산포 일대로 밀집될 수밖에 없었고...

      • KCI등재

        Chinese businessmen in the German-Leased Port City of Qingdao(1897-1914)

        Zhu, Jian-Jun(주지엔쥔)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4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1

        During Germany’s 17 years of occupation of Qingdao, the Chinese businessmen entering Qingdao actively developed their own businesses. Soon they became an indispensable force of Qingdao’s financial life and made the German Qingdao a business and commercial city centering around China, in economic terms. Stimulated by the German colonial rule, this force formed a clear national concept on the general and displayed nationalist activities, intertwining with but going far beyond traditional local and regional identities among the sojourning businessmen. However the Chinese businessmen in Qingdao did not approach specific issues with blind nationalist identities. They screened the Germa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in their daily life, making choice of their own to organize protests when their specific interests and dignity were violated, or to cooperate to the ‘civilized” ways in the city development which they viewed positively. By contrast, they no longer approved of the rule of the Qing government in the hinterland but directed their patriotic enthusiasm, hope and identity to the newly-founded Republic government with the trust and demand that it would protect the Chinese people’s life and property and make China a more civilized strong country.

      • KCI등재

        상하이거주 타이완상인(臺商)의 양안(兩岸)에 대한 인식 - 자녀의 교육전략을 통한 접근-

        김미란 한국중국문화학회 2013 中國學論叢 Vol.38 No.-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how Taiwanese businessmen (臺商) living in Shanghai perceive the two countries they are connected with, Taiwan and China, through investigating what strategies they employ when making decisions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particular, the paper attempts to discern whether Taiwanese economic migrants face any psychological dilemmas regarding their ethnic-nation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Cross-Strait; and if so, how they solve these dilemmas, given the tendency since 2000 for increasing numbers of Taiwanese businessmen to settle in Shanghai. The education system in China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ternational schools, Chinese public schools and schools for Taiwanese businessmen. Taiwanese economic migrants working in large corporations tend to send their children to an international school, whereas those from the middle or lower middle class are more likely to choose either a Chinese public school or a school for Taiwanese businessmen. Among the latter group in particular, there is a trend towards ‘localization’ and a preference for Chinese local middle/highschools. Taiwaneseparents worry about whether their children will experience value-confusion while studying in the Guomindang-focused and communist-centered education system in China. Nevertheless, many are taking their children out of the Taiwanese schools and enrolling them in Chinese local schools instead. The reason for this, according to the evidence presented in this paper, is that they perceive Shanghai as a 'global' city and their own country Taiwan as ‘local’ government . They see Taiwan as a ‘nexus’ providing them with practical resources rather than ‘emotional stability’ or ‘ethnic-national belongingness’. They also view their homecountry as less internationally important than the ‘global’ city of Shanghai and therefore do not feel psychologically obliged to see Taiwan as ‘a place to go back’ or re-migrate to. Instead, they see Shanghai as a unique place unlike the other regions of China. Thus, the findings of there search were that whils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 galocal school in Shanghai, Taiwanese businessmen did not any feel psychological obligation to choose Taiwan over China.

      • KCI등재

        중국 조선족기업과 우리나라 기업과의 교류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김정희(Kim Jeonghee)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0 디아스포라 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세계각지에 분포되어 많은 경제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우리나라 한상들 중에서 가장 우리나라와 근접한 위치에서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는 중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국은 거대한 내수시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조선족이 보유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국내기업들이 빠르고 안정적인 중국진출을 꾀할 수 있으리라고 보여 진다. 따라서 중국조선족기업들과의 교류활성화를 위한 연구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중국조선족의 경제활동 및 국내기업과의 교류동향 그리고 한상의 경제 활용효과 및 중국조선족기업들의 네트워크 활동 등을 조사하였고, 좀 더 현실적인 중국조선족과의 교류를 위한 방법 도출이 요구되어진다고 보고 중국조선족의 한국에의 투자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상대회에 참석한 한상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전남대 세계한상문화연구단이 제8차 세계한상대회를 참가해서 중국조선족과 전남도의 4개의 지방자치단체간의 양해각서를 체결하는데 교량역할을 담당하면서 중국조선족의 국내투자 및 무역업무를 증대시키고 또 국내중소기업들의 수출활로를 모색할 기반을 조성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조선족 기업인들에게 국내의 시장상황을 상세히 소개해주고 그들의 상황을 국내기업들에게 잘 설명해주어 한상들의 국내기업과의 연계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키고 교류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Korean businessmen are engaging in commercial activities around the whole world, but this study will focus on China which is the nearest country to Korea. Because China has a huge domestic market, if we can effectively make use of the network of Joseon Ethnic people, Korean companies could enter into Chinese market quickly and smoothl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how to expand the exchanges with Chinese Joseon Ethnic companies. This study surveyed Chinese Joseon Ethnic businessmen"s commercial activities, trends of exchange with Korean companies, effects of Korean businessmen"s economic utilization and activities of Chinese Joseon Ethnic companies" network by using of literature survey. Because it need to find a way to exchange with Joseon Ethnic companies practically,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Joseon Ethnic businessmen"s investment in Korea, we also did a survey targeting on Korean businessmen who presented at The 8th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will give out the results after analyzing. Research Group for Global Korean Business and Culture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ented The 8th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did a role as a bridge assisting Joseon Ethnic companies and 4 Local self-government from Chonnam Province signing on the MOU. This Group also increased Joseon Ethnic"s domestic investment and trading businesses, and it formed the basis to grope the outlet of SME"s export. In order to attract each other"s attention and exchange with each other to make Korean enterprises have active activities with domestic enterprises, this study will give theoretical basis by introducing domestic market to Joseon Ethnic businessmen in detail, and the situation of Joseon Ethnic companies to Korean enterprises.

      • KCI등재

        실패기업인의 재창업지원 제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김형호,윤현덕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6

        The Korean government is building a virtuous cycle of startups and venture businesses for a dynamic, innovative economy. This ecosystem is made possible when a social environment that embraces tolerance and turn business failure into re-startups and challenging venture startups by outstanding entrepreneurs are present. Due to the government's efforts to promote start-ups and venture businesses, their number has been increasing annually, but the efforts to create a social environment for re-startups and establish a relevant institution have recently started.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policy direction for re-startups by getting policy implications afte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failed businessmen' re-startup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failed businessmen. This study also reviewed advanced nations' cases and mad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re-startup policies. Before the startup culture that recognizes failure as the stage for success is formed as in the U.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egal basis for continuously pushing for the rechallenge policy of EU's Small Business Act and establish and operate the private sector-driven revitalization council of SMEs in Japan.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guarantee of failed businessmen' livelihood. If additional research and government policies are added to the conclusions made on the policy implications, this research will provide an in-depth insight for revitalizing domestic re-startup. 정부는 역동적 혁신경제로 경제 대도약을 위해 선순환 벤처·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태계 구축은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기업가정신을 지닌 우수인력의 도전적 벤처창업과 실패를 관용하고 이를 경험으로 재창업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가능하다. 정부의 벤처·창업 붐 조성 노력으로 벤처기업 및 신설법인 수 등이 매년 증가 하고 있으나, 이들 기업이 실패할 경우 재창업 등으로 재기 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과 지원제도 마련의 노력은 최근에야 시작되었다. 실패기업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 지원제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실패한 기업에 대한 그간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실패기업인의 재도전, 재창업과 관련된 현황을 파악 후 해외 선진국 사례와 국제비교를 통해 적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실패기업의 재창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과 같이 실패를 성공의 한 단계로 인식하는 창업문화가 형성되기 전까지는 EU의 SBA법과 같은 재도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근거 마련과 일본의 민간 중심의 중소기업재생지원협의회 구성 운영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패기업인의 삶의 질 보장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에 대한 추가 연구와 정부 정책이 보완된다면 국내 재창업 활성화를 위한 깊은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상공인의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정성적 연구

        홍한국,김녹현,김철민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Though start-ups by small businessmen are increasing year by year,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have been low.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look at various ways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by small businessmen.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issue have focused on identifying influential factors that lead to the success and growth of start-ups by them, mostly based upon quantitative perspectives. Few has approaced with qualitative perspective such as actual case studies in academic papers.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a wide range of successful cases of start-ups by small businessmen, we will develop countermeasures by business types and suggest practical lessons that can be appropriately utilized in starting a new small business. 최근 경제위기의 여파로 국내 산업에서 소상공인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전체 사업체 중 86%를 차지할 정도로 소상공인 창업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1년 내 40% 정도 폐업하는 등 사업의 성공률은 낮아 소상공인의 사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소상공인의 창업 성공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소상공인의 성공 및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정량적 분석이며, 실제 사례연구 등의 정성적 분석은 학술논문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창업 성공에 대한 광범위한 사례를 분석한 후, 유형 별로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소상공인이 창업하는 준비 과정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용적 교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타이완상인(臺商)의 상하이 이주와 중산층문화

        김미란(Kim, Mi-ra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29 No.-

        이 글은 타이완상인이 집단적으로 ‘성공한 중산층’으로 재현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여 2000년 이후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화동(華東)지역으로 이주한 타이완상인의 소비생활, 즉 가사노동자 고용상태를 통하여 타이완상인에 대한 미디어의 재현과 현실사이의 간극을 살펴보았다. 양안 개방이래 대륙의 미디어는 타이완상인을 성공한 중산층으로서 높은 소비생활을 유지함은 물론 자선과 공익사업에 앞장서는 집단으로 재현하고 있다. 1997년의 금융위기 이후 대량으로 상하이로 이주한 타이완인 기업가와 중간 관리자들은 2002년-3년에 이르러 투자의 정점에 달하였다. 그러나 대륙출신의 고급인력의 성장과 중국이 ‘생산공장’에서 ‘소비시장’으로 변화함에 따라 대기업을 제외한 중간관리자층은 점차 경쟁력을 상실해갔으며 이미 2003년에 ‘타이깐(臺幹, 타이완인 중간관리자)이 타이완 노동자(臺勞)로, 타이완노동자가 타이완 건달(臺流)’로 전락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타이완상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대중에게 ‘가시화’된 것은 상하이에 등장한 푸동(浦東)공항과 홍챠오(虹橋)공항을 중심으로 형성된 타이완상인집거지가 계기였다. 이들의 소비와 일상생활이 매체에 노출됨으로써 타이완상인들의 삶은 대륙의 서민들의 삶과 구별된 폐쇄된 ‘gated community’로 비쳐졌고 집거지의 등장은 상하이의 부촌과 빈촌에 대한 상하이인의 인식의 지도까지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중산층 ‘전업주부’를 탄생키는 조건이자 소비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계기라고 할 수 있는 가사노동자 고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느끼는 물가상승의 압박과 함께 사용횟수와 지불임금면에서 타이완 상인 내부의 지불능력의 편차가 뚜렷하게 읽혔다. 현실의 삶과 재현이미지 사이에 이러한 간극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베이징정부의 미디어 정책인 ‘기업가를 통해 기업가를 불러들인다(以商招商)’ 통일전선 전략의 영향이 주요 원인이다. 이러한 간극의 결과로 정부의 타이완상인 끌어안기 담론에도 불구하고 대륙주민들은 타이완상인을 ‘동포’라기보다는 ‘특혜를 받으며 마음껏 소비하는 계층’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하다. This paper, starting from a question whether or not Taiwanese businessmen could be represented as a ‘successful middle class’ group, looks into the difference between such media representation and the reality, by investigating everyday life of Taiwanese businessmen who have migrated to the East China region including Shanghai, b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ir home labourers" situation of employment. Since the opening of Cross-Strait Relations, media representation of Taiwanese entrepreneurs paints them as a successful middle class, however, according to the growth of top-notch manpower from mainland China and changes of China from “a manufacturing factory” to “a consumer market”, by 2003 they began a process of differentiation among themselves. The result obtained after analysing the employment situation of home labourers hired at Taiwanese businessmen"s homes, which is an indicator that enables to examine their purchasing power shows that they are pressured with price increase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mselves in the amount of wages paid to home labourers and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employment. A gap between real life and represented image is mainly due to the Beijing government"s Unified Front strategy as incarnated in their media policy, ‘entrepreneurs invite entrepreneurs’.

      • KCI등재

        소규모사업자의 기장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정덕주,박성배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3

        현재 우리나라의 세제 중 가장 근간이 되고 있는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는 신고납세제도이다. 이러한 신고납세제도하에서는 납세자 스스로 세금을 계산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납세자의 자발적인 협력의지이다. 여기서 납세자의 자발적 협력의지란 세금을 계산할 때 정확한 근거에 의하여 계산함을 말한다. 그러므로 납세자가 세금계산에 있어서 근거과세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장을 통하여 세금을 계산 할 때 현행의 신고납세제도가 성공할 수 있고 또한 공평과세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조세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입법적으로 국민의 경제능력에 따라 공평하게 세금을 부과하고 그렇게 거둬들인 세금은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납세자들에게 골고루 그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이렇게 공평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거래와 소득을 투명하게 파악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한다. 근로소득자의 경우에는 원천징수제도가 있기 때문에 소득이 투명하게 노출이 되고 있지만 자영업자의 경우에는 투명하게 소득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그것은 자영업자들이 대부분 소득파악의 기본이 되는 회계장부를 기록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세기반을 토대로 수평적, 수직적 공평성을 달성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납세자의 소득을 계산할 수 있는 근거로서 장부기장을 유도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자영업자의 기장확대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조세정책의 개선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소규모 사업자들의 장부기장을 어떻게 하면 확대할 수 있을 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우선 우리나라의 국세기본법, 부가가치세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등 각 세법에서 규정하는 기장 의무에 대해서 파악하였으며, 기장실태를 살펴보았고, 기장확대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소상공인의 경제지원을 통한 확대방안이다. 이를 위하여 소상공인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투명한 경제 환경 조성과 지하경제를 양성화 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둘째, 세무제도적 요인의 정비이다. 즉,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제도를 정비하고 면세대상 축소 및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득세법상 기장의무를 확대시키고 납세의식을 고취를 위한 홍보 및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도를 제안하였다. 셋째, 과세표준양성화를 통한 확대방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금거래 노출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봤고, 적격지출증빙 수취대상을 확대 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세금계산서 방행제도의 개선 및 관리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넷째, 기장사업자에 대한 혜택을 통한 확대방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장세액공제를 확대하고, 무기장가산세를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성실기장신고자에 대한 혈실적인 혜택의 부여를 강조하였다. 금융기관에서 거래시에 재무제표 제출을 필수요건화 하는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 다섯째, 세무대리인을 활용한다. 우리나라 소규모영세 사업자들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세무대리인을 통한 기장확대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해보고자 하였다. The corporation tax, income tax and value-added tax (VAT), all classifiable under the 'self-assessment system', may be said to be the mainstream in the current Korean tax system. Under the 'self-assessment system', tax payers are allowed to determine themselves the amount of tax to pay, for which nothing seems more important than the taxpayers' will for voluntary compliance. The taxpayers' will for compliance in this context means their willingness to compute tax exactly in the prescribed way. Only when taxpayers calculate their tax amount on the basis of book entry which is most fundamental for this system, it is then plausible to expect the current 'self-assessment system' or fair taxation as a whole to go successfully. In order to secure such fairness in taxation, it is preemptive to have complete information about all transactions and incomes of taxpayers. In case of wage earners, all sources of their income are laid bare without reserve, while the incomes of the self-employed are not fully monitored, because most of them do not keep accounts that should normally serve as basis for examining incomes. It will be quite impossible to look forward to fairness in taxation vertically as well as horizontally on such fragile ground. In a bid to deal with this situation, it is imperative to recommend taxpayers to maintain accounts of their transactions to enable them to offer the basis for computing tax amount to pay. The present paper aims to join efforts to improve the tax politics by mainly exploring measures to spread book-keeping among self-employed businessmen. This study builds up its theory for finding means to generalize bookkeeping among operators of small scale business. For this purpose, research is made first concerning obligations for taxpayers to keep books as stipulated in the Korean tax laws such as the Basic National Tax Act, Value-added Tax Act, Income Tax Act, Corporation Tax Act, etc., and then five suggestions are made as approaches to generalize bookkeeping as follows: First, extens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operators of small-sized business and measures must be worked out to create transparent environment for economic activities and to bring the underground economy to light; Second, measures are suggested to streamline simplified taxation system pursuant to the Value-added Tax Act and to tighten the requirements to receive tax reduction. Moreover, it is suggested to expand the scope of obligations to keep books as stipulated in the Income Tax Act and to intensify the programs for public relation and education to promote consciousness of tax payment; Third, it is sought after to lay bare as much amount of cash transaction as possible and suggested to widen the scope of approved expenditures against evidence. Besides, it is tried to improve or strictly control issuance of tax invoice; Fourth, emphasis is placed on expanding the scope of tax exemption for bookkeeping and increasing penalty tax for ommission or non-entry in an effort to offer more advantages on realistic base to those who declare booked accounts faithfully. It is also considered to oblige taxpayers to submit financial statements to the bank when opening or making accounts with it; and Fifth, as a measure to utilize tax agency in a try to lessen difficulties facing minor businessmen, it is discussed to establish measures to popularize bookkeeping by way of tax agents.

      • KCI등재

        1930년대 전반 조선 미곡정책과 재조선일본인의 식민자본 ―"조선미곡창고주식회사"를 중심으로―

        이혜인 ( Hye In Lee ) 수선사학회 2015 史林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rice policy and Colonial Capital power of Japanese in Joseon in the first half of 1930s. A subject of analysis for this purpose is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Joseon Granary Corporation which were established as part of the rice policy in Joseon in 1930s. The previous studies on this topic tend to overlook the role and the interests of Japanese businessmen in Joseon who conducted the rice policy at that tim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ce policy and the Japanese businessmen in Joseon was a crux of a problem on this topic. ‘Rice Granary Plan on Joseon’, which was the primary rice policy of those days, was to resolve the crisis of rice price in Japan. Also, the Japanese businessmen in Joseon had desired to export rice from Joseon to Japan more efficiently. Establishing ‘Joseon Granary Corporation’ was the effectual way to fulfill both requirements. While this corporation was being prepared, especially specifying the capital scale and the sphere of business, there were some compromise and adjustments between the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and the promoters of the corporation consisted of majority of Japanese businessmen. Although this corporation confronted with the poor business results at first, it overcame the difficulty by being subsidized from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Japanese Government. The significance of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is corporation was not just on thecontribution to the resolution of crisis of rice price in Japan. It was also meaningful because it helped to expand advantages of the promoters who were also the stockholders of the corporation. In other words, achieving the rice policy as a conductor spontaneously accompanied the benefit for the both promoters and stockholders of the corporation. They were circularly connected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

      • KCI등재

        중국기업인의 대 한국 무역장벽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이기환 한국무역상무학회 2018 貿易商務硏究 Vol.80 No.-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Chinese businessmen's perception of Korea's trade barriers in trade with Korea since the Korea-China FTA. Existing studies in Korea and China have mostly focused on trade barriers to their trade partner from their own perspective,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ir trade barrier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trade partner.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Korea's trade barriers through the survey from Chinese companies.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degree of dissatisfaction with tariff level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support of Korea-China FTA. Certification and cost factors came in second, followed by customs clearance, inspection/quarantine and technical trade barriers factors. In order to develop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some points to be considered. First, further negotiations are needed to lower the tariff rates of both countries faster than the FTA negotiations. Second, the drastic abolition of non-tariff measures in both countries. Third, it describes the details of the relaxation of non-tariff measures in the case of new FTAs or further negotiations between FTA partners. Fourth, minimizing the effect of regulation that hinders t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