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교양 한문 수업 사례와 개선 방안

        김미선 ( Kim¸ Mi-sun ) 한민족어문학회 2021 韓民族語文學 Vol.- No.9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유행으로 갑작스럽게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게 된 교수자들은 효율적인 수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였다. 본 논문에서 는 필자의 비대면 교양 한문 수업 사례를 교수자들과 공유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비대면 교양 한문 수업 방안 모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2020학년도 1학기에 84명의 수강 인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교양 한문수업을 진행하였다. 구체적 수업 사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동영상을 통한 강의 중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한문이라는 과목의 특성상 기초적인 한문 지식 전달에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있고, 동영상 강의를 반복하여 들으며 복습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둘째, 활동 자료를 이용하여 상호 작용을 하였다. 매주 수업 내용을 복습하는 간단한 활동 자료를 작성하게 하고, 다음 주차 동영상 강의 초반부에 이에 대한 피드백을 하였다. 셋째, 한자 쓰기를 평가에 활용하였다. 대면 시험이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노트정리, 쓰기 교재 등을 평가에 활용하여 변별력을 확보하였다. 비대면 교양 한문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교수자의 측면에서는 소통을 위한 창구를 확대하고, 학교의 측면에서는 분반별 수강 인원에 제한을 둘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안전한 대면 시험을 치르기 위해서는 50명 이하로 한 분반 수강 인원을 제한하여야 할 것이다. Due to the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commonly referred to as COVID-19, has spread around the world, teachers who suddenly had to lead non face-to-face classes (untact classes) struggled to come up with effective class plans. This paper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efforts for the search for an efficient non face-to-face Chinese character class as an essential university liberal arts subject, by sharing my case observations of non face-to-face Chinese character classes with teachers and by offering improvement plan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I conducted non face-to-face Chinese character class for a group of 84 students. Specific class ca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lecture-oriented classes were conducted through videos. Because of the nature of studying Chinese characters, it was necessary to allocate the necessary time to disseminate the bas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hear and review the video lectures repeatedly. Secondly, the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ed with each other by using activity data. Students were asked to prepare simple activity materials to review what was learned every week, and they were given feedback on their assignments at the beginning of the next week’s video lecture. Thirdly, the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was utilized for evaluation. Since the face-to-face exam presented a difficult situation, we used arranged notes and writing textbooks for evaluation in order to to prevent discrimination. While conducting non face-to-face Chinese character class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indow for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 and to limit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hool. In order to provide sufficient feedback to students and to provide a safe face-to-face exam, the number of class members per class should be limited to 50 or less.

      • KCI등재

        고등학생 대상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술 교과 연계 음악 감상수업지도안 개발 및 검증 연구

        곽도연,정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high school music appreciation class plans to confirm how to effectively develop art-linked music appreciation classes using metaverse including Gather Town and Cospaces Edu.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 music class sessions related to art, literature, and theater were organized for music pieces from Russian nationalist school, and some of the class plans were applied and tested for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and the class re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class plans that were not applied in the field, a field suitabil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in-service teachers. Sessions 1 to 5 were art-linked music appreciation classes for 10th graders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Sessions 1 to 2 did not use metaverse while Sessions 3 to 5 used metaverse to compare the students′respons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 using metaver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class satisfaction and experience in art-linked appreciation. However, along with the advantages, the disadvantages of device use were also identified. Sessions 6 to 8 were related to literature and theater, and they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itability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art-linked music appreciation class using metavers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but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platforms or students considering the metaverse activities as gaming, the pros and cons of metaverse-based classes were identified.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classes using metaverse are needed responding to the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술 연계 음악 감상 수업의 효과적 구성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감상 수업지도안 개발과 검증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민족주의 악곡을 제재곡으로 미술, 문학, 연극과 연계된총 8차시의 음악 감상 지도안을 구성하였으며 개발한 지도안 일부를 실제 적용 및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 검사를시행하고, 학생과 교사의 수업 후기를 수집, 분석하였다. 실제 적용하지 않은 지도안은 현직 교사의 현장 적합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개발한 8차시의 지도안 중 1~5차시는 미술 연계 음악 감상 수업으로, 대전광역시에 있는 고등학교 1학년 8학급을대상으로 1~2차시는 메타버스를 활용하지 않고, 3~5차시는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음악 감상 수업에서 메타버스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 및 미술 교과 연계 감상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볼 수 있었지만, 장점들과 더불어 기기 활용에 따른 단점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6~8 차시는 문학 및 연극과 연계한 음악 감상 지도안으로, 현장 적합도 검증 의견을 바탕으로 활동 내용 및 차시 사이 과제 등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술 교과 연계 음악 감상 수업은 학습자에게 긍정적인영향을 미침을 볼 수 있었으나 플랫폼 활용에 따른 조작 방법이나 수업을 게임으로 여김으로써 다가오는 아쉬운 점들로부터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볼 수 있었다.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에 맞추어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다양한 후속 수업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실과교과서의 가정관련 단원의 현장적용 방안

        박순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3 實科敎育硏究 Vol.9 No.1

        Home Economics domain of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in Elementary school was divided 5 areas and presented Food & Nutrition, Clothing & Textiles, Housing, Family and Consumer Science. And this plan of practical application was designed for the children from the 3rd to the 6th grades in the class of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lesson plans of the 5th grade were applied to Clothing & Textiles and Family Science, the plan of the 6th grade was applied to Food & Nutrition. And Consumer Science plan was applied to the 3rd grade class and Housing plan was applied to the 4th grade class as the plans of utilizing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In conclusion, by presenting the study plans of the 3rd and the 4th grades,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be accomplished in the 3rd and 4th classes and connected to the 5th and the 6th grades. And also to activate and deepe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5th and the 6th classes, the plan using the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was propo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사용자 참여디자인 방법을 통한 미술수업 방안 연구 - 학교 숲 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

        박미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class with a user participation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way to create a school forest by using the space around the playground. In addition, it is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school space that fully reflects the opin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nducting art classes from the lessons on designing the necessity of creating a school forest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process of designing it directly. As a research method, first, we derive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that examines actual cases of user participation design and school forest creation. Second, the art class process model applying the design of participation of the user to school forest creation is suggested.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participation design is verifi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forest. Lastly, through participation design applying art class,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space occupied in the community and suggest how to use it.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 and expects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ssuming that the goal of professional and user-oriented design is different. It is as follows. First,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reflect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actual users of the school forest on the school ground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rked together by applying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o the actual target sites to construct a space through the process model of the art clas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pare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role of space in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planned life space where learning and life are combined. This study may be limited to generalizing to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needs to study various cases because the progress and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student group at each grade level, expanded participant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budget, and business purpose. 본 연구는 학교 공간 중 운동장 주변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학교 숲을 조성하는 방법으로서 초등학생이 참여하는 사용자 참여디자인으로 미술수업을 전개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아울러 초등학교의 학교 숲 조성의필요성 및 지역의 특징에 대한 이해 수업을 시작으로 직접 디자인하는 과정까지의 미술수업을 진행하면서 초등학생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학교공간을 만드는 가능성을 여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사용자 참여디자인과 학교 숲 조성의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는 선행연구를 통해 초등학생대상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한다. 둘째, 학교 숲 조성 사용자 참여디자인을 적용한 미술수업 과정 모델을 제시한다. 셋째, 학교 숲에 대한 이해도를 설문조사와 집단 심층 면담을 통해 초등학생 참여디자인 도입에따른 효과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미술수업을 적용한 참여디자인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공간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전문가 중심의 설계와 사용자 중심의 설계가 도달하는 목표가 다르다는 것을전제로, 결과물보다는 참여디자인 과정에 의미를 두고 있으며 지역 사회를 구성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초등학생의 참여 가능성을 기대하며 진행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운동장에 조성되는 학교 숲의실제 사용자인 초등학생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하였다. 둘째, 참여디자인과정을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이 함께 작업을 진행하여 미술수업의 과정 모델을 통해 공간을 구성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스스로 배움과 삶이 어우러진 계획적인 삶의 공간을 만드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역할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참여 대상이 소수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참여디자인은 학년 단계별 학생 군, 확대된 참여자, 학교별 지역 특성, 예산, 사업 목적 등에 따라 진행과정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무도교육 운영 실태 및 사례분석

        김중형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martial arts Challenge Classes by analyz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classroom in the speculative exercise area amo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is purpose, 194 elementary school teachers (96 in Jeonnam and 98 in Gwangju)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Gwangju and Jeonnam were surveyed. For personal interviews,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areas were selected as convenience samples and cases of the actual operation of the throwing activities in each area were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personal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used by Spradley, J. P., & Le Compte, M. D. (1984),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ited "lack of knowledge of martial arts Challenge Classes", "principal and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and "student safety teacher" as burden factors for the operation of martial arts Challenge Classes. second, the improvement plan for elementary school martial arts Challenge Classes was ‘development of content for martial arts Challenge exercise activitie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level’, ‘faithful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content system for challenge area’.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peculation warfare by reconstructing various speculation warfare ev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limited to Taekwondo and Ssireum under the name of a certain speculation festival, that is, traditional martial arts in Korea. 이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 내용 중 투기도전 영역에 대한 수업운영 실태 및 사례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투기도전수업을 개선하고 활성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광주, 전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194명(전남 96명, 광주 9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고, 개인면담은 경기(서울)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역에 각각 근무하고 있는 현직 초등교사 4명을 편의표본 표집방법으로 선정한 후 비 참여관찰과 개인면담을 통해 각 지역의 투기도전활동 수업운영 실태에 대한 사례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radley, J. P., & Le Compte, M. D. (1984)가 사용한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가 생각하는 투기도전수업 부담요인으로는 ‘투기도전수업지식 부족’, ‘교구 및 시설환경 요인’, ‘학생안전사고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투기도전수업 개선방안으로는 ‘투기도전 영역에 대한 내용체계표 개선’,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투기도전활동 콘텐츠 개발’, ‘무도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충실’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이제는 어느 특정 투기도전종목 즉, 우리나라 전통무예라는 명분하에 태권도, 씨름에 국한되지 말고 초등학생 수준에 맞춰 다양한 투기도전 종목을 재구성하여 투기도전이 갖는 교육적 가치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교양수업의 비대면 교수법 연구 -‘교양한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황수정,한예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eaching methods for a real contact-free class of Chinese characters. For this purpose, a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 was organized for better instruction at colleges and focus was placed on the reinforcement of efficiency of contact-free classes. Following this, a Standard Class Plan was made for a contact-free class that would apply real instruction for ten classes of Chinese characters as a subject with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onsulting was presented by the Institute for Innovation in Education. All the classes of Chinese characters received a good evaluation in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for their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respect to the contact-free Chinese character program, in addition to video lessons and real-time Zoom classes, the followings were included: First, a Chinese character video lesson was presented and the students were tested with the use of a short quiz consisting of 40 questions. Secon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among the students, a test for learning diagnosis was made. Third, after the consulting was completed, the results were shared between the students. In this manner, the Chinese character class was designed as a precyclic, contact-fre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to increase participation. 본고는 ‘교양한문’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법 연구이다. 실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대학의 강의향상 프로그램으로 ‘교수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비대면 수업의 효율성 강화에 초점을 두었다. 비대면 수업 진행을 위한 <표준수업계획서>를 만들고 ‘교양한문’ 10개 분반에서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후 교육혁신원에서 제안하는 교과목 컨설팅도 받았다. ‘교양한문’ 전 분반에서 교육적 성과 및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 등에 관한 역량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교양한문’ 비대면 수업은 동영상 녹화강의와 Zoom을 활용한 실시간화상수업으로 병행하는 본 수업 외에도 첫째, 한자동영상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매 주차별 30여자의 한자를 익힌 것을 40문항 내외의 한자퀴즈로 진단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한자자가점검인 <설문>과 교과목 학습진단도 시행하였다. 셋째, 교과목 컨설팅을 받은 후, 그 결과에 대해서도 수강생들 과 공유하였다. 이처럼 ‘교양한문’은 선순환하는 비대면 수업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수업참여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인식 및 개선 연구

        류상희,진의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3

        이 연구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실행에 요구되는 지원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교과 전문가(실과:95명, 기술: 39명, 가정: 58명, 대학교수 포함) 192명, 초․중학교 학생 1,473명으로 총 1,66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교과 역량에 대해 소속, 집단별 중요도, 실현 정도 등에 상호간에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증진 방안에 대한 조사 결과, 교과 역량별로 별개의 교수․학습 방법 및 활동이 이루어지기보다는 다양한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들을 교과 역량 함양에 사용할 수 있다. 셋째,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역량이 학교 수업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을 위한 교과 역량에 기반 교육내용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한 실천적인 준비와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으로 교육과정 내용 재구성에 관련해서는 실생활 연계된 교육내용 재구성, 타 교과와의 문제해결 중심 융합․연계 지도, 교육 내용의 적정화 또는 축소,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수업 시수, 교육 내용의 최소한의 변화 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교수․학습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자료의 적극적인 보급, 실습 형태로 활용 가능한 워크북 교과서, 적정 기술 체험 등 활동 위주의 수업이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여섯째, 평가 측면에서는 수행 평가 모형, 예시안 개발 및 교사 연수 병행, 교과 역량을 위한 평가 방법 개선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hat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needs to run for the empowerment of curriculum Practical Arts(Home Economic·Technology) through promoting skills curriculum to nurture creative talent necessary for the future. The subjects were 192 subjects experts(95 practical arts, 39 technology, 58 home economic,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1,473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1,6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PASW 18.0,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al Arts(Home Economic·Technology) Survey results for curriculum competencies, affiliation, class-wide significance for the curriculum competencies, and achieve a degree of difference in perception may appear larger with each other and so on. Second, the Practical Arts(Home Economic·Technology) curriculum competencies promoting research, by Professor separate curriculum competencies in the room. You can use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being made to cultivate skills curriculum. Third, the 2015 revision Practical Arts(Home Economic· Technology) the practical preparation and support in order to become a curriculum competencies outlined in the curriculum implemented in the school curriculum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schools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etc. need. Fourth, with regard to support measures to curriculum content reconstructed for curriculum competencies promoting real life linked to educational content reorganization, other subjects and problem-solving oriented fusion. Linkage map, rationalization or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untreated water according to curriculum changes , it presented such a minimal change in the training. Fifth, Professor in terms of learning. The class-oriented proactive dissemination of learning materials, work in actionable form Practice Book textbooks, appropriate technology experience, including activities such as the proposed necessary. Sixth, the proposed terms of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not an example of parallel development and teacher training Comments, evalu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competencies.

      • KCI등재

        Google사이트도구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사 원격수업의 실제적 방안

        이선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measures for remote classes in the histor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this end, as one of the useful methods for remote classes in the second-level cultural arts education course, we tried to find a class plan by giving an example of actively using 'Google Site Tool'. This study first explored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Google site tools. Then, based on the cases of remote classes in <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stages of 'preparation', 'benefit', 'practice', and 'utilization' were set. Using these steps, we devised a practical class plan that can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mprove learning reality in remote classes using Google Site Too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solving project tasks in distance classes in th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a useful method for students to reach their learning goals with interest.

      • KCI우수등재

        뉴노멀 시대 문화예술교육 접근성 확대 방안 연구 - 성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보림,최진경,이미연,김형섭 한국음악교육학회 2022 음악교육연구 Vol.5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뉴노멀 시대에서 성인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 및 접근성 확대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뉴노멀 시대 성인들의 문화예술적 향유 양상을 놀이 와 경계 허물기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이에 적합한 교육모듈을 구체적 항목에 따라 구안하 고 이것을 음악교육 분야에 적용한 수업설계 개요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이는 성인문화예술교육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 교수자 연수를 실시하고, 맞춤 형 교육을 위한 토대 마련이 탄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새로운 기술적 환경에서 문화예술 교육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활용해야 할 것, 예술의 본질이 변질되거나 왜곡되지 않도록 지침 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과학교양교육을 위한 실험수업의 필요성과 효율적 운영방안

        손향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necessity of experimental practice and the matters that should be kept in mind for the course development, to seek policy measures for efficient operation after it outl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absence of universities that run related courses despite of the need for experimental courses to achieve the goal of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xperimental class were explained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was analyzed based on the lecture data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fter perform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Molecular Biology for All> lecture at the Seoul Science Center. It also summarizes the problems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through cas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difficulty should be adjusted and the factors such as mobilization of skilled instructors, change of evaluation method, and introduction of experimental credit system through linkage with base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기 과학교양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해 실험교과목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강좌를 운영하는 대학이 부재한 국내 현황에 대해 개괄한 후, 이의 개선을 위해 과학교양실험수업의 필요성과 교과목 개발에 유의해야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나아가 효율적 운영에 필요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론연구를 통해 실험수업이 갖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서울시립과학관의 <모두를 위한 분자생물학>강좌를 참여관찰한 후 강의 자료와 수강생 설문내용을 토대로 강좌의 효율성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례조사를 통해 교과목 운영과정에 야기되는 행정절차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수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수업의 난이도 조정, 숙련된 교수자 확보와 교재개발, 평가방식 전환, 거점시설 연계를 통한 실험학점이수제 도입 등을 적극 고려해야한다고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