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안수길의 신문 연재소설과 4·19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적 재현 양상 - 『생각하는 갈대』(1961~62), 『백야』(1963~64), 『내일은 풍우』(1965~66)를 중심으로-

        강용훈 ( Kang Yong Hoon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이 논문은1960년대초·중반에연재된 안수길의신문연재소설 『생각하는갈대』, 『백야』, 『내일은 풍우』가 4·19 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를 재현하고 있는 양상에 대해 분석했다. 안수길 작품이 신문에 연재되었던 1961년부터 1966년까지는 서울의 도시개발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시기이지만, 4·19와 5·16 및 한일협정 반대운동 등의 정치적 격변이 진행되며 한국전쟁 직후와는 다른 특성의 문화들이 생성되던 때이기도 하다. 안수길은 이 시기의 소설들을 통해 휴전 직후인 1954년부터 한일협정 반대운동이 실패로 끝나는 1965년까지의 서울을 형상화하며 댄스홀 · 바(Bar) · 뮤직홀 · 다방과 같은 1950~60년대의 문화적 유희 공간을 재현하고 있다. 그러한 공간이 청계천 시장과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적 일상, 그리고 4·19 혁명이나 한일협정반대운동 등의 정치적 사건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은 독특함을 지닌다.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연재되었던 『생각하는 갈대』는 ‘일본’ 및 ‘북한’과 같은 금기시되던 것들이 귀환한 상황에 반발하거나 두려움을 느끼는 피난민 기성세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시장에서 노동하고 있는 여성인물과 교육 사업에 매진하는 청년인물 또한 함께 형상화하고 있다. 새로운 인물들을 부각시키는 작업은 1950년대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과 구별되는 공간적 상상력을 드러내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1963년부터 1964년 연재되었던 『백야』에서는 대중적 유희문화가 지배하는 공간으로만 규정되던 도심의 복판에 자리했던 ‘청계천 시장’의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한 동시에, 그 공간에 초점을 맞춰 전후의 서울이 공간적으로 재편되고 있는 양상 또한 그려내고 있다. 1965년부터 1966년 연재되었던 『내일은 풍우』에서는 부정적으로만 형상화되던 도심에 청년들의 다층적 문화 공간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학사주점’과 같이 4·19 혁명 이후 새롭게 형성된 문화적 장소들을 서사 안에 담아내고 있다. 공간적 기획이 변화해간 양상은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에 재현된 청년문화의 모습이 입체적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한 것과도 맞물려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분석하며 4·19 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적 변화 양상이 소설 속에 어떻게 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In this thesis, it was analyzed how Seoul culture before/after the 4.19 Revolution was represented by newspaper serial novels, i.e. “Thinking reeds (1961-62),” “White night (1963-64),” and “Tomorrow will be windy and rainy (1965-66)” published in early-to-mid 1960s of Ahn Su-gil. The period from 1961 to 1966 when Ahn Su-gil’s works were published in the newspaper was the time that urban development of Seoul was not regularly started yet. However, specific cultures different from the times just after the Korean War were also generated during such period due to political upheavals such as 4.19, 5.16, and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Through the novels during such period, Ahn Su-gil represented cultural amusement spaces in 1950-1960 represented by dance halls, bars, music halls, and coffee shops by narrating Seoul from 1954 when a ceasefire was determined, to 1966 when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failed.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u-gil had the aspect to reveal that such spaces were linked with economic daily life in such places as Cheonggyecheon Market and political events such as 4.19 and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In the thesis,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u-gil in early-to-mid 1960s were analyzed and it was analyzed how cultural changes of Seoul before/after the 4.19 Revolution was represented and how the sensibilities of characters in the novels were embodied to meet such changes.

      • KCI등재

        만주 이주민 소설의 주권 지향성 연구 -안수길과 이기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차성연 ( Cha Seong-ye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7 No.-

        만주 이주민 소설은 이주민의 민족적 저항을 보여주는 민족주의적 서사로 읽히거나 유사제국주의적 시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아왔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이 작품의 주체가 되는 이주민의 정체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보고, 이민족과 타협하며 어떻게든 정착해 살아야 했던 이주민의 주권지향성을 중심으로 만주 이주민 소설의 문학사적 의미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안수길의 「벼」와 『북향보』에 나타난 수전개간의 공로는 농경 기술의 선진성을 기반으로 타지에 정착할 수 있는 명분이 되어주었다. 이를 통해 조선인은 이민족의 승인을 얻을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만주 정세의 변화에 따라 살던 곳을 떠나야 하는 유동적인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그들이 만주에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주권`이었다. 안수길의 『북향보』와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만주 이주 조선인의 주권지향성을 이주민 공동체나 조선인 국가의 구상을 통해 재현하고 있다. 안수길 문학이 만주의 이주민에 대해 좀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북향보』를 통해 이민족과 화합하는 협화적 주체의 이주민 공동체를 구상할 수 있었던 반면,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집단적 노동과 그로 인한 생산의 기쁨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민족을 배제한 조선인만의 국가를 구상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수길의 『북향보』와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일본 이외의 다른 어떠한 국가도 상상할 수 없었던 시기에 조선인의 공동체 혹은 국가를 구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novel by Manchu immigrants has been read as a nationalist narrative describing the nationalist resistance of immigrants or evaluated as a piece of work showing the sight of pseudo-imperialism. The thesis is to re-assess the meaning of Manchu immigrant novel in literature history based on sovereignty-oriented nature of immigrants who were required to compromise with other ethnic groups for settle-down given the assumption that previous studies didn`t understand the identity of immigrants which was the subject of novels. The merits of cultivating a rice paddy described in 「Rice」and 「Bukhyangbo」by Ahn, Su-Gil served as justification for settling down in an alien land with advanced agricultural skills. Chosun people in Manchu area could get approval from other ethnic group thanks to these skills, but they were still forced to leave where they lived based on Manchu situations. This explains why `sovereignty` was the thing they needed most in order to settle down in Manchu. 『Bukhyangbo』 by Ahn, Su-Gil and 『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re-create the sovereignty-oriented nature of Manchu immigrants by conceiving the idea of immigrant community and country of Chosun people. The immigrant community, a subject in harmony with other ethnic groups, could be conceived in『Bukhyangbo』since the literature by Ahn, Su-Gil understood Manchu immigrants more cleary while『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focused on collective labor and subsequent pleasure from production and visualized the country only for Chosun people excluding other ethnic groups. Despite this difference, I can see their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cause these two novels, 『Bukhyangbo』by Ahn, Su-Gil and『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conceived the idea of community or country of Chosun people when no other country than Japan could be imagined.

      • KCI등재

        안수길의 <토성>과 고정(古丁)의 <막리(莫里)>에 나타난 아편

        장춘매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7 No.-

        아편은 중국근대사에서 서구열강이 청나라의 대문을 열어준 열쇠이고, 일본이 중국 동북을침략한 도구였기에 중국근대문학에서 아편은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위만주국 시기 일본침략 현실을 다룬 고정의 소설 <막리>에도 아편은 만주 인민의 신체를 마비시키고 청년들의 항일 정신을 약화시키는 독약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고정과 같은 시기에 만주에서 활동한조선인 작가 안수길의 소설 <토성>에서는 아편이 조선인들이 빈곤에서 벗어나고 큰돈을 벌수 있게 해주는 다소 긍정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이렇게 두 작가가 아편의 기능을 다르게 그려낸 이유는 세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 민족이 다르기 때문에 안수길은 조선인으로서 아편이 동포들에게 가진 경제적 이득만 바라보고, 고정은 한인으로서 동포들에게 입힌 고통만 보았다. 둘째, 현실대응 방식이 달라서 안수길은 일본통치 정책을 순응하는 태도로 아편정책을 받아들이고, 고정은 일본의 암흑 통치에 간접적으로 저항하는 태도로 아편정책을 인내했다. 셋째, 두 작품의 창작한 시점이 다르다는 점이다. 1941년에 <토성>을 창작한 안수길은 만주국을 인정하고 일본의 통치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지만, 1936년에 <막리>를 쓴 고정은 일본의 통치에 소극적으로 저항하는 자세로일제의 아편정책을 비판한 것이다. Opium was the key to the opening of Qing dynasty in the modern Chinese history, and opium appeared as a negative image in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as it was the instrument with which Japan invaded Northeast China. In Gu Ding's novel <Moli> as well, which depicts the aggression of Japan during the time of Manchukuo, opium is portrayed as a poison that paralyzes the body of Manchuria and weakens the anti-Japanese spirit of youth. However, a Joseonin writer, Ahn, Su-gil's novel <Toseong> in Manju at the same time as Gu Ding shows a somewhat positive image as opium makes Joseon people free from poverty and earn a big money.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e two writers portrayed the functions of opium differently. First, Ahn, Su-gil, as Joseonin, saw only the economic benefits that opium had for his compatriots, and Gu Ding saw only the suffering of compatriots as Chinese. Second, as they have different ways to respond to the reality, Ahn, Su-gil accepted opium policies in a manner that conformed to Japanese governing policy, and Gu Ding endured opium policy in an indirect resistance to Japan's dark rule. Third, the time of creation of the two works is different. Ahn, Su-gil, who created <Toseong> in 1941, acknowledged Manchukuo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Japan's governing policies, but Gu Ding, who wrote <Moli> in 1936, criticized Japan's opium policy in a passive stance against Japan's rule

      • KCI등재

        내부망명자의 고독

        한수영(Han Soo-yeong)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말년의 안수길을 지배하고 있던 것은 ‘망명의식’이었다는 것이 이 글의 커다란 전제다. 그는 실제로 망명을 시도한 적도 없었고, 망명을 결행할 만큼 노골적인 핍박을 받은 적도 없지만, 자신이 속해 있는 법적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에 대한 환멸과 부정, 혹은 애증(愛憎)의 복잡한 심경을 작품을 통해 암시해 오고 있었다. 그의 ‘망명의식’이 지닌 특징은, ‘망명’에 관한 ‘욕망’을 암시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욕망’을 억누르는 ‘억압’의 기제를 스스로 제공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런 점에서, 말년의 가작(佳作)임에도 불구하고 안수길의 작품 계보에서 그다지 주목받아 오지 않았던 단편 〈망명시인〉은, 작가의식의 표층과 심층, 그리고 그 사이의 균열과 단층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좀 더 흥미로운 사실은, 〈망명시인〉에서 노출되고 있는 작가의 ‘망명’에 관한 ‘욕망’과 ‘억압’은, 안수길의 작품 세계 안에서 오래 전부터 일정한 계보를 형성해 오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 계보는 전시기(戰時期)에 발표되었던 〈갱생기〉와 〈두 개의 발정(發程)〉에서 시작하여, 후기의 〈IRAQ에서 온 불온문서〉와 〈노부부〉, 〈삼인행〉까지 이어진다. 이 계보를 통해 확인되는 그의 ‘망명의식’은, 전시기나 전쟁 직후에는 주로 대한민국의 절대적인 빈곤이나 열악한 삶의 수준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소망과 연결되지만, 후기로 접어들면서, 분단의 고통이나 민주주의의 파탄과 같은 정치적 환경에 대한 비판의식과 더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의 작품 세계 전체를 가로지르는 ‘망명의식’의 계보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 초입에서 우리는 작가 안수길의 ‘재만 경험’과 다시 조우하게 된다. 그의 개인사와 작가로서의 삶에 운명처럼 각인되어 있는 ‘이주’와 ‘정주’를 둘러싼 이 길고 힘든 여정이, ‘망명’을 둘러싼 그의 ‘욕망/억압’의 근원적 사건임을 재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The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sense of emigraion was most important way of thinking in Ahn Su-gil’s late life. He was a kind of ‘inner emigrant’. Actually, he had never ever tried to emigrate to other country, also had not been oppressed to decide to escape from Korea. But, he always dreamed to escape to another country. We need to read carefully his last short story “망명시인An Emigrant Poet” to understand his sense of emigration. We can see the surface and deep structure of writer’s consciouness through that short story. There was a genealogy of desire for emigration in Ahn’s works. “갱생기A Rebirth”, “두 개의 발정 Two Beginning”, “IRAQ에서 온 불온문서Seditious Documents from IRAQ” belong to that genealogy. Ahn Su-gil’s sense of emigration originated in his life in Manchuria. In Manchuria, he had special experience which taught him the ‘outness’ and ‘otherness’. There are many Korean writers who had lived in Manchria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returned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Ⅱ. But Ahn Su-gil is so unique that he showed us new horizon for description of Korean diaspora and settlement during the 20th century.

      • KCI등재

        4.19의 세대론과 안수길 소설 속 예외상태의 주체 - <백야>를 중심으로 -

        김주리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6

        본고는 <백야>를 비롯한 1960년대 안수길 소설 속 4.19 서사의 특징과 의미를 밝혀보려 한다. 1960년대 지식인과 대학생에게 4.19는 부정적인 기성세대에 대한 의로운 신세대의 저항으로 정립된다. 이와 달리 <백야>에서 강조되는 것은 세대간 충돌이나 갈등이 아니다. <백야>에서 4.19는 일제강점기로부터 이어진 예외상태 속 다양한 세대의 동질화한 체험으로, 주권 권력의 폭력에 의한 정치적 시민권의 박탈과 벌거벗은 생명의 경험으로 서사화한다. <백야> 속 다양한 인물들은 월남 전재민으로서 유사가족관계를 구성하며 서로가 서로를 돌보고 연대한다. 특히 기성세대와 신세대를 연계하는 30대 지식인의 이력을 통해 <백야>는 4.19를 해방기와 한국전쟁기 주권 권력의 통치성에 저항해 온 청년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의미매김한다. 이러한 관점은 <백야> 뿐 아니라 1960년대 안수길의 4.19 서사 전반에 나타나는 것으로서, 한국근현대사의 예외상태 속 벌거벗은 생명의 연대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미명>이나 <꿰매입은 양복바지>, <타목> 등에서 4.19는 아버지-일제강점기-이북(또는 만주)의 기억과 아들-1960년-서울의 동질감으로 환기된다. 4.19와 근현대 한국사회의 현실을 서사화하는 1960년대 안수길의 단편소설들에서 부자 세대는 갈등하기보다 공통의 기억을 공유하거나 연대하는 존재로 나타난다고 하겠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4.19 narrative in Ahn, su-gil’s novels in the 1960s, including <White Night>. For intellectuals and college students in the 1960s, 4.19 was established as a just new generation’s resistance to the negative old generation. Conversely, what is emphasized in <White Night> is not intergenerational clashes or conflicts. In <White Night>, 4.19 is the experience of homogenization of various generations in the state of excep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s narrated with the deprivation of political citizenship due to the violence of sovereign power and the experience of naked life. The various characters in <White Night> form a family-like relationship as defectors from North Korea, caring for and solidarity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rough the history of 30s intellectual linking the old and new generations, <White Night> places 4.19 as an extension of the youth movement that has resisted the sovereignty during the liberation and Korean War. This perspective, which appears not only in <White Night>, but also in Ansu-gil’s 4.19 narrative in the 1960s,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solidarity of naked life in the exceptional state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ameless>, <Sewn Suit Pants>, and <Tamok>, 4.19 is evoked by the memory of the father -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North Korea (or Manchuria) and the homogeneity of the son - 1960 – Seoul. In Ahn, Su-gil’s short stories of the 1960s, which narrates the reality of 4.19 and modern Korean society, the father-son generation appears to be in solidarity or sharing common memories rather than conflicting.

      • KCI등재후보

        일제 암흑기 만보산사건과 소설적 재현 양상 연구

        용석원(Yong Seok W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한국 근대문학사에 있어서 일제 암흑기 문학은 하나의 공백으로 자리한다. 그리고 이를 개진하기 위한 다분한 논의가 있었다. 재만문학과 탈식민주의 연구가 그것이다. 본 연구 역시 그러한 논의의 한 연장이다. 만보산사건은 일제말기 조선과 조선인들이 딛고 선 동북아시아의 좌표와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간헐적이지만 지속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우선 만보산사건 자체에 주목함으로써 일제 암흑기의 동북아시아에서 조선인들이 인식한 자신들의 국제적인 위상이 어떠한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만보산사건은 일제의 대륙침략의 구실과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정치·외교적인 책략이었다.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은 일본의 이중국적정책에 의하여 모호한 국적에 놓임에 따라 3중, 4중에 걸친 억압과 수탈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되었다. 만보산사건은 이러한 조선인의 국제적 위상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민족적 비극이라 치부할 만한 만보산사건은 발생 직후에는 국내에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이후 10년이라는 세월이 흘러서야 호명되기에 이른다. 이 시간적 거리는 민족 정체성과 디아스포라로서의 삶에 대하여 당대 지식인들로 하여금 성찰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 사유물이 이태준의 〈농군〉과 안수길의 〈벼〉인 것이다. 만보산사건에 대한 소설적 재현에 있어서 두 소설은 상이한 양상을 취한다. 이태준의 〈농군〉의 경우, 소설적 재현을 거친 만보산사건은 실제 사건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조선인의 만주 이민사에 있어서 강제 이주의 시기에 발생한 만보산사건을 〈농군〉에서는 그 이전의 시기인 탄압기로 설정한 것이 그 하나이다. 또 다른 하나는 중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분쟁인 만보산사건을 중국 농민들과 조선 농민들 간의 갈등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만주를 탐방하였던 이태준이 이처럼 만보산사건을 왜곡한 이유는 창작 당시의 검열을 의식한 결과로 이해된다. 그런 까닭에 〈농군〉은 만보산사건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문학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지 않다. 그 대신타국에서 직면하게 된 생존의 문제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강인하게 대처하는 조선의 농민상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안수길의 〈벼〉는 당시 동북아시아의 정세를 반영함으로써 역사적 기록에 가깝게 만보산사건을 재현하고 있다. 이것은 〈벼〉의 결말이 실제 만보산사건과 맥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따라서 〈벼〉는 만보산사건이 배면에 깔고 있는 조선·중국·일본 간의 정치·외교적인 역학관계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소설인 것이다. 당시 재만 조선인들은 일제의 이중국적정책에 의하여 정치적으로 종국인인 동시에 일제 황국의 신민이기도 하며, 그러면서도 심정적으로는 조선인이라는 미묘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 〈벼〉는 당대 재만 조선인들의 미묘한 국제적 위상을 재현함으로써 한국적인 디아스포라의 위상과 비애를 형상화하고 있다. Japanese colonial dark ages were a gap in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Korea. There was a discussion to express this point. It resulted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and de-colonialism studies. And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such studies. Manbosan Affair has been intermittently but continually dealt with because it provides a view on the coordinate and status of Northeast Asia on which Joseon and Joseon people stepped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tional status of Joseon people perceived by themselves in Northeast Asia of dark ages by focusing on the Manbosan Affair. The Manbosan Affair was a political diplomatic intrigue to prepare the excuse and foundation of Japanese imperialists’ invasion into the continent. Joseon people who moved to Manchuria had vague nationality due to Japan’s dual nationality policy and so they had to receive triple or fourfold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Manbosan Affair which can be regarded to be ethnic tragedy did not arouse big echo when it happened. It could be called after 10 years had passed by Joseon’s writers of the time. Manbosan Affair would trigger critical mind to the intellectuals of that time regarding ethnic identity and the life as immigrants. And the thought was embodied in <Nonggun> -farmer- by Lee Tae Jun and <Byeo>-rice- by Ahn Su Gil. In the novelistic reproduction of Manbosan Affair, two novels take different attitudes. In case of <Nonggun> by Lee Tae Jun, reproduced reality is quite different with actual case. One of the differences, it sets up the time of Manbosan Affair, which actually happened in the time of forced immigration of Joseon people to Manchuria, into the previous time of suppression. For another difference, it treats the Manbosan Affair, which was dispute between Chinese government and Japanese government, as the conflict between Chinese farmers and Joseon farmers. It is understood that Lee Tae Jun, who visited Manchuria, distorted Manbosan Affair being aware of censorship. For such a reason, <Nonggun> does not have a characteristic of testimony literature even though it deals with Manbosan Affair. Instead, it suggests Joseon’s farmer image who strongly and actively handles the direct issue of existence away from home. On the other hand, <Byeo> by Ahn Su Gil reflected the situation of Northeast Asia of that time and reproduced Manbosan Affair similar to the historic record. It is clearly revealed that the ending of <Bye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actual Manbosan Affai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ovel <Byeo> actively reflected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dynamics among Joseon, China and Japan reflected by Manbosan Affair. In that time, Joseon residents in Manchuria, due to the Japanese Empire’s dual nationality policy, politically belonged to China and subjects to Japanese Empire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they found themselves on delicate situation of being Joseon people in their mind. This way, <Byeo> reflected delicate international status of Joseon residents in Manchuria of that time embodying the status and sorrow of Korean diaspora.

      • KCI등재

        안수길 장편소설 <북향보> 연구

        서재길 ( Jae Kil Se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본 논문에서는 안수길의 장편소설 <북향보>의 서지사항을 검토하고 텍스트를 새롭게 소개하는 한편으로 이 작품에 나타난 북향촌에의 이상 추구와 그 이념적 좌표로서의 북향 정신이 당대의 맥락 속에서 지니는 의미에 대해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신문연재본 <북향보>가 현재 완본으로 존재하며 저자에 의해 일부 수정, 삭제된 부분을 제외하고 는 개작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아울러 삭제된 부분을 복원하는 한편으로 그 내용이 만주국 국책에 협력하거나 전시 체제하 지원병 및 징병 장려와 관련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면 이 소설은 북향촌이라는 이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겪게되는 위기와 그 해결의 과정이 중심이 되고 있다. <북향보>에서 보다 본질 적인 부분은 북향촌 건설의 지도 이념으로서의 ``북향 정신``과 ``도혼稻魂``이 라는 이데올로기가 지닌 양가성과 중층성이다. <북향보>에서 나타난 ``북향정신``이란 외견상으로는 만주국 국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만주국 체제를 위협하는 것으로서 간주될 여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양가적이고, ``도혼``이란 조선 민족주의를 상기시 키면서도 사회진화론적 맥락에서 조선인이 ``일본 국민``으로서 만주에 ``진출``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로서 작동할 여지를 지니 고 있었기에 중층적이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theme of Pukhyangbo 北鄕譜 (The Song for the Northern Hometown) and its ideological position, by introducing the original source text of this novel. It became clear that the whole text of Pukhyangbo exists as clippings which have been preserved by his family. There are a few modifications in these clippings. Some parts were blacked out by the author, most of which were dealing with the necessity of Koreans` collaboration with the Manchukuo and wartime mobilization. But the core narrative of this novel is about overcoming the crisis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ideal of a northern hometown.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multi-layered features and ambivalence of both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北鄕情神 and ``the soul of rice farming`` 稻魂, which were suggested by the heroes of this novel as guiding ideas in making an ideal town for Koreans in Manchukuo.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seems to be ambivalent, because it was considered not only as a collaborative ideology for Manchukuo but also as a rebellious thought by the colonial authority. ``The soul of rice farming`` is also multi-layered, in that it seemed to serve as an imperialist ideology for Koreans`` expansion to Manchukuo as a Japanese imperial subject, while it also reminded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

        특집논문 : 불가능한 명랑, 그 슬픔의 기원 -1960년대 안수길론

        임유경 ( Yu Kyung L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1960년대를 살아냈던 많은 문학자들은 자기를 관조하는 자기를 작품 에 등장시킴으로써 ``명랑의 불가능성``을 탐사하는 데 기꺼이 자신의 ``미천 한 용기``를 걸었다. 이 탐사가 용기를 필요로 했던 것은 ``명랑할 수 없음``이 곧 ``시대와의 불화``와 급속히 조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용 기는 직설적인 방식을 통해 발휘되기도 했지만, 많은 경우 한 걸음 떨어진 자리에서 발현되었다. 이 ``비켜선 자리``는 작가 자신의 말마따나 ``비겁함`` 으로 인해 비롯된 것이면서, 동시에 처해 있는 현실 속에서 그가 택할 수 있는, 정치적 공간을 개시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적 위치``이기도 했다. 이 글에서는 현실로부터 ``비켜 선 자리``에 자신이 서 있다고 생각한, 혹 은 그러하다고 평가받은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 가 하는 물음을, 리얼리스트라는 문학자로서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의식 하며 현실과 마주했던 안수길과 그의 작품들을 통해 탐색하고 구체화 해 보고자 했다. 안수길에게로 관심이 가닿았던 것은, 그의 어떤 소설 속 주 인공의 초라하고 비겁하고 꺼림칙해하는 모습과 ``도무지 명랑해지지 않는 다``는 고백이 유독 오래 잔상을 남겼기 때문이다. 그의 소설에서 ``명랑의 불가능성``은 단지 ``명랑할 수 없음``만이 아니라 ``명랑을 연출하는 것의 어려움``까지도 포함하고 있었다. 이것은 자기 안에 내재해 있는 불온한 심리 를 조심스럽게 예감하는 것, 나아가 시대와의 불화가 불가피함을 대면하 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여느 사람들처럼 자신의 삶을 명랑하게 기획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예감을 감당하는 것이기도 했다. 안수길은 1960년대 정치권력의 통치술에 대한 예감을 소설을 통해 표 출하는 데 꽤나 적극적인 작가였다. 그의 소설은 이철범의 표현을 빌리자 면 ``예민한 정치 감각``의 소산이자, 검열의 힘을 근거리에서 체감하며 그 자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작가 자신이 느꼈던 ``불온한 것에 대한 감 각``을 구현한 것이었다. 명랑의 불가능성이 규율 메커니즘에 길들여진 자 신을 다른 자기가 바라보는 순간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라 할 때, ``방관 자``(bystander)로 보일 수도 ``사열관(査閱官)``으로 보일 수도 있는 이 위치 에서 ``불가능한 명랑``을 인위의 힘으로 변형하지 않고 가장(假裝)하지 않 는 일, 그리고 작품의 미열을 보존하는 일, 안수길에게는 이것이 자신이 실현시킬 수 있는 ``시민윤리``의 최대치였다. courage` on exploring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by making an appearance of contemplative self in to their own works. These explorations needed a courage because the impossibility of being cheerful had to facing ``the disagreement with the epoch``. Hence, this courage was revealed often in some distant place of historical reality. It is reliable to regard escapism was appeared by ``cowardice`` in some sense, as the writer himself had confessed, but it is also important to evaluate these dispositions as the best ``methodological position`` to open political space that he could choose in the reality in which he was situated. How should we read the writers who chose to take a distant position from reality or who were evaluated to be so and their works? The basic critical viewpoint of this article is condensed in this question.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give shape to the aforesaid critical view through examining Ahn Soo-gil, who was constantly aware of his literal identity as a realist who was facing reality and his literary works. I was becoming interested in Ahn Soo-gil because a shabby, faint-hearted, and uncomfortable character of his novel and the confession of ``never becoming cheerful`` left afterimage especially for long. In his novel, ``the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includes not only ``inability to become cheerful`` but also ``difficulty of performing cheerfulness.`` This impossibility meant revealing inherent political rebellion of his own. Furthermore, this certain disagreement applied the inevitable confrontation to his own time so that the dissent of the writer could link to the premonition that he was not able to plan his cheerful life as ordinary people. Ahn Soo-gil was a writer who actively expressed his premonition about the ruling techniques of political power in the 1960s. His novel, in Lee Cheol-beom`s words, was a product of ``acute political sense.`` It also meant to give shape to the ``sense toward rebellious things`` which the writer himself felt who experienced the power of censorship at a close range and was not free from the magnetic field. If it is able to describe that the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was triggered when the other self looked at himself who was disciplined by regulation mechanism, Ahn soo-gil`s tendency not to disguise ``impossible cheerfulness`` with artificial power and tendency to preserve the mild fever of the works, could be revaluate as the most faithful ``citizen moral`` for the writer, who was situated in the position that could be seen either as ``bystander`` or as ``inspector``

      • KCI등재

        이태준의 <농군>과 장혁주의 ≪개간≫을 통해서 본 일제 말기 작품의 독법과 검열

        이상경(Sang Kyung Lee)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3

        When evaluating the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rks written in the latter year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ne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literary production at the time is far greater than is the case for literature from other periods. What was the author required to write by the colonial authorities,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How did they respond to this pressure in the composition of their work? Unless the author abandoned writing altogether, he or she had to struggle with the problem of how much, or how little, to express in order to circumvent censorship. Unfortunately, this internal dilemma rarely left its mark in the form of direct evidence; it must thus be deciphered between the lines or extrapolated from context. Consequently, such latent information is difficult to uncover within a single work. A relative approach that compares multiple texts from the same author or texts written by various authors in similar chronological and spatial circumstances is thus necessary This study examines Lee Tae-jun`s Peasants (Nonggun, 1939) and Jang Hyeok-ju`s Cultivation (Gaegan, 1943)-both works depicting the Manbosan Incident of 1931 but written during the late colonial era, when Korean authors were being pressured to write propagandistic literature about the pioneering of Manchuria. By undertaking a comparative reading of these two texts, this study aimed at elucidating the way in which Japanese censorship operated, while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authors` perspectives on nation and the Great Manchu Empire as manifested in response to such censorship.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First, Peasants was written not as a chronicle of the cultivation and irrigation project in Manbosan, but as a testament to the painful history of Korean farmers who worked the land in faraway Manchuria. While it is true that Lee Tae-jun wrote the short story after personally visiting the Manbosan area, the omission of the Japanese consulate, which played a key part in the actual event, from the story is not so much a result of Japanese-influenced historical distortion as of novelistic fictionalization. Second, although the text deviates from historical fact by eliminating the involvement of the Japanese police and depicting the Manbosan Incident as simply a clash between Korean and Chinese farmers, to the extent that it represents Korean casualties as caused by gunfire from the Chinese military, this was not a propagandistic move intended to gloss over Japan`s conspiratorial actions. It was, rather, a method Lee employed to refrain from expressing in his fiction what the colonial authorities were pushing him to say but he himself did not wish to articulate. Jang Hyeok-ju`s Cultivation, subtitled A Chronicle of the Building of Manbosan Village, depicts extensively and in great detail the violence perpetrated by the Chinese military and the local banditry on Korean farmers, and thus actively declares that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are benevolent protectors of the Korean settlers. By contrast, Peasants avoids having to speak about any gratitude owed to the Japanese by remaining silent on the entire issue. Third, unlike Cultivation, Peasants illuminates the hardships suffered by Korean farmers in Manchuria in a more comprehensive and dramatic manner by also remaining silent about the bright future that will unfold under the rule of the Great Manchu Empire after the successful cultivation of the Manbosan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