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입학사정관 직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유은선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er’s professional life as an admissions officer. Through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clarify the important experiences and meaning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working as an admissions officer. For this purpose, the professional experiences of admissions offic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ocial context in which university admissions policies change and the passage of time. At the onset of implementing the admissions-officer system, the researcher experienced a difficult time due to misunderstanding and distrust of the admissions officer. However, knowing that the admissions officer could bring meaningful changes to the university entrance environment, the researcher acquired identity as an admissions officer while giving social value and meaning to work. However, the researcher also experienced exhaustion caused by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excessive government intervention in college admission, and an attitude of excessive immersion in work. After that, while objectively looking at the job and work of the admissions officer, the researcher began to seek the job of the admissions officer as a universal job. Based on the these results,the meaning of the admissions officer's work experience was deriv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와 조사경찰관 증언의 증거능력

        김정한(Kim, Jeong-Ha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2

        형사소송법이 제정된 이래 지금까지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이하 “경피신”이라 한다)의 증거능력은 ‘내용인정’을 그 핵심요건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피신에 자백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이 공판정에서 범죄사실을 인정하는 경우라면 경피신을 증거로 사용할 현실적 필요가 없고, 부인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경피신에 대하여도 내용을 부인하여 증거능력을 상실시킬 것이기 때문에 내용인정을 증거능력의 요건을 하는 한 경피신은 증거로서의 법률적 효용이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개정 형사소송법은 조사경찰관이 조사과정에 지득한 내용을 법정에서 증언하는 경우 ‘원진술 상황의 신빙성 입증’을 요건으로 증거능력을 가진다고 규정하여 이제 사법경찰관은 피의자를 신문하더라도 피의자신문조서를 작성하는 것보다는 이를 법정에서 증언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피의자를 신문하면 반드시 조서를 작성하게 하고 있고 그 적법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사실들과 모순관계에 있다. 과거 경찰에 의한 수사권 남용과 인권침해를 우려하여 경피신에 증거능력을 부여하지 아니한 사정은 이해가 되나, 현실적으로나 법이론적으로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는 지금의 상태를 언제까지나 유지할 수는 없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경찰서 상주 변호사 제도의 적극적 도입, 조사경찰관에 대한 탄핵적 증인신문 제도, 신문 내용과 조서화 과정의 객관성, 공정성 확보방안 보완 등을 전제로 경피신에도 실질적 진정성립 인정을 요건으로 하는 실질적인 증거능력을 부여하여 법정에 현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필요하다면 조사경찰관의 증언도 증거로 현출시킨 다음 법관은 그와 같이 현출된 여러 증거들을 기초로 합리적인 증명력 판단을 통해 실체적 진실을 찾도록 하는 것이 공판중심주의의 본래의 취지와도 맞고 실체적 진실발견이나 소송경제의 이념에도 부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From the 1954 enactment of Criminal Procedure Act up until now, core requirement of the admissibility of dossiers of suspect interrogation prepared by a police offic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is ‘admission of content’ and there is not a sufficient amount of opinions on this matter. The reality is that criminal investigation is mostly conducted at police stations and about half of the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the result of interrogation, are presented as evidence at the trial via the prosecutors’ office. But even when a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contains a confession, if a defendant admits his/her crime in court, there is no realistic need to use such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as evidence, and if the defendant denies his/her crime in court, naturally such defendant would also deny content of the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and its admissibility as evidence would be lost and so as long as admission of content remains a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thereof,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has no legal use whatsoever as evidence. Until now,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the fact which an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acquires in the suspect interrogation process is not admissible as evidence even if the defendant testifies such fact in court, but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when an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testifies in court the fact he/she acquire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provided that ‘reliability of the ‘circumstance of original statement’ is proven, such fact be admissible as evidence. So, it became much more efficient for a police officer to testify in court than to prepare dossiers of suspect interrogation. Such circumstance runs counter to the requirement that dossiers be prepared after interrogation of suspect and all other devices to secure legality and fairness thereof. From such perspective, this author will provide criticism of position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on the admissibility of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and of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as evidence and will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amendment thereof. If interrogation of suspect is conducted through legal and fair criminal investigation procedure and the suspect’s statements are correctly reflected in the dossiers, such dossiers, whether prosecutor’s interrogation dossiers or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should be deemed admissible, be examined in court, and become object of probative power evaluation. Various devices are already in place for a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of suspect or dossiers preparation process to be legal and fair but there is still something lacking so in order to improve them, this author herein proposed: active introduction of police station-stationed attorneys; cross examination of the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methods to secur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interrogation and the dossiers preparation process, etc.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should be granted admissibility through such improvement, presented in court as evidence and, if necessary, the investigating police officer’s testimony should also be presented and then the judge just need to decide probative power thereof through rational comparison and review of reliability. Judge’s fact-finding in this manner complies with original purposes of principle of trial-centeredness and also with finding of real truth and trial economy.

      • KCI등재

        입학사정관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전경애(Kyung-Ae Ju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입학사정관제는 그 본질상,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정성적인 형태의 다양한 평가 자료를 가지고 지원자의 정보를 주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평가방법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전형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편협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편파적인 평가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선발의 공정성 및 입학사정관 각 개인의 윤리성이 입학사정관제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의견 및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주요영역을 선정하였으며, 현직입학사정관들과의 심층면접과 논의과정을 통해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입학사정관윤리교육프로그램은 입학사정관이 직면하게 되는 실제경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를 다루었고, 행위자의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하여야 한다는 주제선정의 원리에 따라 ‘사회와의 상호작용’, ‘선발과 관련된 윤리성과 책무성’, ‘입학사정관 업무와 관련된 법적 책무’ 라는 3개의 핵심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12개의 세부주제와 주제별 교육 자료까지 제시하였다. 입학사정관 윤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은 입학사정관 개인의 전문성 및 윤리성을 고취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입학사정관제가 공정하고 신뢰로운 선발제도로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role of admissions officers in universities is to evaluate applican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basis of diverse bases and materials for evaluation that include not only quantitative, but also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applicants. Therefore, the crucial key to ensuring the success of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is to ensure the fairness of admission-related decisions and the integrity of individual admissions officers by urging them to render impartial evaluations based on professionalism and avoidance of bias. This study selected the major realm of the ethical education for admission officers on the basis or experts’ opinions, and documentary research, and tr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mpose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and discussions with the incumbent admissions officers. The program must handle subjects that are intimately related to the actual experience of many admissions officers, and must be capable of inducing voluntary compliance from the officers. Therefore, the program suggested b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core areas of ethics: that is, ‘interaction with society,’ ‘ethics and responsibilities involved in admission,’ and ‘legal obligations and roles of admissions officers.’ To this end, it provides twelve sub-topics and learning materials. Providing this kind of ethical education programs for admissions officers will help not only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ethical commitments of admissions officers, but also broadly to establish a fairer and more reliable admissions officer system.

      • KCI등재

        사법경찰관의 조사자증언과 수사상 진술의 증거활용

        한연규(Han Yon Kyu) 대검찰청 2018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0

        조사자증언제도의 도입, 효과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나, 경찰 수사상 이루어진 피의자의 진술을 증거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조사자증언제도의 도입에 본질적 의미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조사자증언의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는데 그 이유로는 ➀ 특신성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예측하기 어렵고, 증명력 문제를 혼합하여 판단하는 경우가 많아 증거능력을 인정받기가 매우 까다로운 점 ➁ 경찰 피의자신문 조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법제를 근거로 법원에서 조사자증언을 특히 엄격히 해석할 뿐 아니라 증거신청조차 잘 받아주지 않는 실무상 관행 ➂ 경찰 조사과정에서 피의자 진술의 임의성을 담보할만한 제도적 장치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혼합시켜 특신성을 판단할 경우 조사자증언이 증거능력으로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조사자증언의 위축과 직결된다. 법정에 현출시킬 수 있는 증거능력 판단의 기준을 모호하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증거를 제출하는 자부터 판단하는 자에 이르기까지 증거로 사용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 뿐 아니라 그런 증거가 나오는 상황을 꺼리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조사자증언제도의 활성을 위해서는 법원에서는 특신성을 증거능력의 요건으로 이해하여 진술의 임의성과 ‘직접 관련’되거나 임의성을 ‘추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특신성을 판단하여야 한다. 독일, 프랑스, 미국, 영국, 일본 등 외국 주요 국가들은 방식, 요건 등에 차이가 있었으나 모두 수사절차상 진술을 증거로 활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조사자증언의 문제가 아닌 조서 외 증거현출 방법으로서 피의자의 인정 진술(수사 당시 조서 기재내용과 같이 진술한 사실을 인정하는 진술) 및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외국 주요 국가들처럼 수사상 진술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들이 충분히 마련되는 경우에는 증거의 영역에서 조사자증언이나 인정진술, 영상녹화물 등이 검찰 작성이든, 경찰 작성이든 조서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There is a fundamental meaning in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because it allows us to use a statement of a suspect on the police investigation as evidence, although there are diverse opinions on the issue of application and effect of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In practice,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is less in use by the following reasons: ➀ It’s not easy to predict because the special credibility as an admissibility aren’t clear. Furthermore, we often judge by confusing admissibility and reliability of evidence, hence it is very difficult to be recognized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➁ On the basis of an unauthorized act on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a police protocol of examination of a suspect, there has been a practical custom in which the court not only interprets strictly police officer’s testimony, but does not even accept an application for evidence in court. ➂ During the police investigation, it can’t be said that there are institutionalizing means to guarantee the voluntariness of the suspect’s confession. in particular, judging the special credibility as an admissibility by mixing admissibility with reliability results in problems where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is not evaluated properly as evidence.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traction of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A criterion of judgment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to be presented in court can be ambiguous and this doesn’t only makes those who presents evidence reluctant to encounter a problem, creating a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being used as evidence but also makes those who judges it avoiding situations where such evidence is presen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the judge should receive the special credibility as an admissibility with the element for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consequently gauge whether it is ‘directly related’ or ‘presumptive’ in the voluntariness of the statement. We need to consider that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Japan use statements in the investigative stage as evidence,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ethods and requirements. From a long-term point of view, the suspect’s consistent statements and the video recording should be recognized a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f there are enough institutionalizing devices to secure and maintain statements in investigative stage like major foreign countries, in the realm of evidence, police officer’s testimony, consistent statements, video recordings, could be served as a way to completely replace the protocol whether written by the prosecutor or by the police.

      • KCI등재후보

        대학입학사정관제의 특징 및 개선방안 분석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양성관 한국교육정치학회 2009 敎育政治學硏究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 diversity of admission officer system,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 relating to college admission, benefits of various interest groups, universities, high school teachers, applicants and their parents, and other research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ism of newly hired admission officer. Cooper, Fusarelli, and Randall(2004)'s four dimension policy lenses-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 and technical- are used to enable new admission officer system in a range of complex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review in the selection process should be focused on the consideration of underserved group of students in class, region, and type of high school. Second, new admission officer system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battle filed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university.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this system collaborating with high school teachers to encourage admission officers to be proactive in the consideration of applicants' high school curriculum activities and to reduce the effects of private college admission consulting company. Third, financial supports of the central government for admission officer system should take into account college characteristics, private vs. public, central vs local, small vs. large institutions. The supports should extend to high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 in order to spread the information about new admission officer system toward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urth, professional development of newly hired admission officer should be enhanced by each college's educational program. In conclusion, admission officer system should set up an accountability system by informing the plan of college admission and selected students profile and monitoring the college admission decision process. 이 연구는 입학사정관제와 관련된 대입제도의 구조와 입학사정관제가 추구하는 다양성의 가치를 이와 관련된 이해당사자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입학사정관 전형의 개선방안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입학사정관제의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고 개념을 재해석 한 뒤, 입학사정관제를 Cooper, Fusarelli, Randall이 고안한 다차원 교육정책분석틀을 사용하여 입학 사정관제를 규범적, 구조적, 구성원, 기술적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인재의 다양성 을 사회적 다양성으로 확대하고, 구조적 차원에서는 고교 교육과정을 개인적 역량을 파악하는 수준 에서 반영하여 사교육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고교등급제에 대한 불신을 해소함으로써 대학의 책무성을 증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구성원 차원에서는 대학의 특성에 따라 입학사정관제 지원의 필요성, 고교 지원의 필요성, 학부모에 대한 입학사정관 전형 안내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자격기준보다 교육훈련을 통한 증진을 강조하였고 입학사정관 전 형요소의 통합 및 기타 전형의 통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사자 증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성민(Park, Sung-mi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2

        조사자 증언은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으로 정식으로 제도화되었지만, 그 필요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2020년 형사소송법의 개정으로 검사작성 피신조서의 증거능력요건이 강화되면서 향후 조사자증언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조사자증언에 있어 조사자와 피의자의 대립관계 및 조사자 진술의 객관성에 대한 의문을 근거로 조사자증언의 증거가치를 부정하는 입장을 반박하고 이를 재확인하였다. 조사자의 법정진술 내용은 다양해서 피의자 및 참고인의 수사기관 진술로서 그들의 법정 진술과 상이한 진술일 수도 있고, 진술과정에서의 상황적 묘사일 수도 있으며, 범행현장의 목격담일 수도 있다. 따라서 피의자와 참고인의 진술이 엇갈리거나 참고인이 수사기관에서 진술 후 법정에서 진술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는 성폭력범죄, 가정폭력범죄, 데이트폭력범죄의 경우 조사자증언의 중요성은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사자증언과 수사기관 작성 조서의 증거능력이 충돌하는 형사소송법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그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조사자증언을 요증사실의 직접증거보다는 간접증거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참고인이 증언거부권을 행사하면 조사자증언의 증거능력을 부인하는 판례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원진술자의 진술불가능 사유에 심리강제 및 회유 등 범죄심리학적 요소를 감안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316조의 특신상태요건이 조사자와 조사자 아닌 자의 구별이 없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조사자의 경우 진술채득과정의 적법절차를 특신상태와 구별하여 별도의 요건으로 구성할 것을 주문하였다.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was formally institutionalized by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2007, but the necessity of the Police officer’s testifying was constantly controversial. However, with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Law in 2020, the requirements for admissibility of the suspect interrogation protocol written by prosecutor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 importance of the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is emerging. In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based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olice officer and the suspect and the objectivity of the police officer s statements, refutes the position of denying the evidence value of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and reaffirmed the evidence value of this. The statements in court of the police officer are diverse. For example, a statement different from the statement of the suspect and the reference person at the investigative agency, a circumstantial description in the process of statement, or an sightings of the crime. Therefore, in the case of sexual assault crimes, domestic violence crimes, and dating violence crimes in which the statements of the suspect and the reference person has a tendency to mix or the reference person has a tendency to reject the statement in court after making a statement in an investigative agency, the importance of the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can be said to be maximized. Therefore, in this thesis, a metho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was proposed. And the problem of criminal procedure law, in which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and the admissibility of the evidence of the report prepared by the investigating agency conflict, was solved. First of all, it was proposed to use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as indirect evidence rather than direct evidence about the fact of requiring proof. And it was argued that the necessity requirements included criminal psychological reasons. In addition, while criticizing the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police officer and the others in the circumstantial guarantees of trustworthiness of Article 316, the police officer requested that the due process of the statement acquisition be distinguished from the circumstantial guarantees of trustworthiness and constitute a separate requirement.

      • 대학 입학사정관전형의 유형 분석 -평등성과 수월성, 일원성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임진택 ( Jin Taek Lim ),김은혜 ( Eun Hye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2 입학전형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대학별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전형을 유형화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입학사정관전형의 설계 방향을 제시해보는데 있다.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30개 선도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교육적 가치의 지향점에 따라 평등성(equity)과 수월성(excellence), 그리고 평가 역량이 단일적 차원이냐 다면적 차원이냐에 따라 일원성(singularity)과 다원성(pluralism)으로 나눠보았다. 본 연구 결과 현재 입학사정관전형은 그 강조점에 따라 4분면에 골고루 퍼져있어 학생선발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사분면은 ``수월성·다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전형명칭에 주로 대학인재상을 반영한 대학인재, 미래인재, 창의인재, 글로벌인재, 자기추천인재 등이 해당된다. 2사분면은 ``평등성·다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다문화가정과 북한이탈주민, 아동복지시설출신자, 조손가정, 국가유공자, 사회기여자 등의 출신 배경에 대한 배려와 지역 할당 개념의 지역균형·인재선발이 해당된다. 3사분면은 ``평등성·일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기존의 정원 외 전형으로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가구학생, 특성화고출신자, 특성화고졸재직자, 특수교육대상자 등이 해당된다. 4사분면은 ``수월성·일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1단계 학생부 교과 성적만으로 학생을 선발하거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고 있는 전형이 해당된다. 학교생활우수자, 학업우수자, 전공특성우수자 등이 해당된다. 향후 입학사정관전형은 대입전형의 평등성과 수월성, 대입전형의 다양화와 대입전형의 단순화가 조화되는 방향에서 설계되어야한다. 즉,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인재 선발을 반영하면서 수험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대입전형이 설계되어야겠다. This study classifies and analyzes the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system in universities to suggest desirable design plan of those system. This study analyzed 30 leading universities for admissions officers system and classified types by applying equity and excellence, singularity & plural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current admissions officer model is evenly spread to 4quadrants de pending on the point and finally reflects the variety of student selection. 1st quadrant i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xcellence/pluralism`` quadrant and includes university``s talent, future talent, creative talent, global talent, and self-recommended talent reflecting mainly right talent of university. 2nd quadrant i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quity/pluralism`` quadrant and includes considerations to multicultural family, resident escaping from North Korea, student from child welfare institutio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person of national merit, contributor to society and regional balance/talent selection of regional allocation concept. 3rd quadrant is amodel other than existing quota a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quity/singularity`` quadrant and includes student from farm village/fishing village, recipient of basic living/potential welfare recipient, student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 who takes special education. 4th quadrant i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xcellence/singularity`` quadrant and includes a model which selects students only with stage 1 high school records or establishes SAT lowest qualification. Student who is excellent in school life, student who is excellent in school records, and student who has excellent characteristic in major are included. The admissions officers system needs to be designed to harmonize between equity & excellence, and singularity & pluralism of admissions. Therefore, the system must consider the reflection of talented personnel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core values that future society required, and must be designed to reduce burden of students and parents.

      • KCI등재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실태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권승아,성태제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1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에 의하여 대학입학사정관제도가 2008년에 40개 대학에서 운영되었다. 40개의 시범대학과 155명의 입학사정관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입학사정관의 개인특성,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개선점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학사정관의 특성으로서 학력은 일반적으로 석사학위 이상이며 경력은 초ㆍ중등교사, 연구원, 그리고 대학입학 관련 직원이 다수였고, 주로 채용공고를 통하여 임용되었으며 비정규직이 대부분이었다. 학생선발은 대학 본부나 부서에서 설정한 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아직까지 입학사정관은 입학전형기준을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선발 시 다수의 입학사정관이 협의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학사정관의 판단이 미치는 영향은 30%이하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입학사정관의 조직은 입학관련 부서의 하나로 운영하고 있었다. 입학사정관에 대한 인식으로서 학생들의 자료를 검토할 경우 가장 우선시 하여야 할 자료는 학생부와 비교과 영역, 면접 내용, 그리고 자기소개서라고 하였으며, 입학사정관이 지녀야할 중요한 업무 능력은 전형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과 평가능력, 전형자료 분석과 이해능력, 그리고 창의적인 연구능력 순서로 열거하였다. 입학사정관의 인식으로 과열과외 완화와 사교육비 감소에 대한 기대는 낮았으며 학생선발의 다양화와 특성화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입학사정관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과 업무에 대하여 매우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법적ㆍ제도적 보장에 대하여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입학관련부서와의 관계 정립과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사회적 공감 부족 등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였다. In 2008,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egan to financially support 40 colleges to apply holistic review of application materials in their student selection. This study surveyed 155 newly-hired admissions officers in those 40 colleg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admissions offic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are master degree holders and their former occupations were teachers, researchers, and college admissions-related staff members; 2) they took a part in application review process but their level of influence in student selection is under 30%; and 3)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dmission decision are academic records, interview, and personal statement.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admissions officer is ability to conduct holistic evaluation, and analysis skills needed in reading application materia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follow.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expect that selecting students based on a holistic evaluation would diversify the ways to select students, but do not expect in reduction of educational expenses spent in private sector.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role and duty but dissatisfied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security of their position.

      • KCI등재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 개발

        방재현,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in Korea. To pursue this goal,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bout college admissions officers' competencies. Focus group interview and 4 SMEs review were implemented to revised the draft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A survey with 109 college admissions officers of 21 university were conducted to validate a draft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final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was constructed with two competency areas, four roles, six common competencies and twenty-two task competencies. The competency areas were common competency and task competency and the roles were evaluator, researcher, planner, guider. The six common competencies were ethicality, professionalism, self-management, communication, teamwork, leadership. The twenty-three task competencies were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ontext,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ontext, the applicants’ documents of college entrance exam, the process of college entrance exam,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applicants’ documents, understanding of assessment criteria and guidelines, analysis and assessment of applicants’ documents, judgement of the successful candidates, analysis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results, utiliz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results, the understanding of admissions officers policy,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ollege entrance exam policy, deriving the assessment criteria and elements, developing the assessment guidelines, developing the interview questions, schedul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scheduling the assessment of college entrance exam,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administration, planning the public-relations programs, developing the promotional strategy, making the promotional material presentation, consulting.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대학입학사정관 역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대학입학사정관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대학입학사정관 잠정적 역량모델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2차례 수정되었고, 수정된 잠정적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대학입학사정관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은 공통역량과 직무역량의 2개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공통역량은 윤리성, 전문가 의식, 자기관리, 의사소통, 팀워크, 리더십 등 6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직무역량은 지원자의 입학여부를 결정하는 평가자, 대입전형 및 제도에 대한 연구자, 대입전형 일정을 수립하는 기획가,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안내자 등 4개 역할에 따라서 청소년 이해, 고등학교 교육현장 이해, 전형 평가자료 이해, 전형 과정 이해, 전형자료의 신뢰성 검증, 평가기준 및 지침 이해, 전형자료의 분석 및 평가, 지원자 합격 판단, 전형 결과 분석과 전형 결과 활용, 국내외 대입정책 및 전형 분석, 평가준거 요소ㆍ추출, 평가지침 개발, 인터뷰 문항 개발, 전형 일정 수립과 전형 평가 일정 수립, 대학 행정 이해, 홍보 프로그램 기획, 홍보 전략 수립, 홍보 자료 구성, 홍보 자료 전달, 전형 상담을 위해 상담 수행 등 22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 KCI등재

        디자인 대학입시에서 입학사정관 전형의 도입에 대한 탐색 - 입학사정관들을 대상으로

        길임주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2

        The research is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implementing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college admission screening, specifically for design majors. The Admission Officer Systems in Korea and the U.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purpose for implementation, the high school curriculum, decisive factors for admission screening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surrounding college admission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57 Admission Officers concerning the suitability and the related issue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in design majoring college screening.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Admission Officers generally agreed upon implementing the system in design majoring colleges, showing more emphasis on portfolio, interview, study pla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n the scores of SAT or high school GPA. They also thought the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llege's distinct features and the founding ideology. They thought the role of professor important when interviewing for screening, and the desirable ratio for the interview is 30 to 40%. Finally, they suggested a few points for settling dow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s in design majoring college admission screening. 본 연구는 디자인대학 입시가 기존의 변화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전형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최근 확대 시행되고 있는 입학사정관 전형을 디자인대학 입시에 도입하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입학사정관전형을 도입목적, 고교 교육과정의 운영, 대학입학허가 결정요인, 대학진학을 둘러싼 사회심리적 요인의 측면에서 미국의 경우와 비교하였으며, 국내 한 디자인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의 실시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입학사정관 57명을 대상으로 디자인 전공분야의 입학사정관전형 도입과 관련된 논의점들을 조사한 결과, 첫째, 입학사정관들은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찬성하면서 포트폴리오, 면접, 학업계획서, 비교과활동 등의 질적인 자료를 수능이나 내신 성적과 같은 양적인 자료보다 더 중요한 전형요소들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면접관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대학의 특성과 건학 이념에 따른 전형이 바람직하며 면접의 반영비율은 30∼40%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셋째, 입학사정관전형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정성 및 신뢰성과 사회적 인식과 공감대의 부족으로 지적하였다. 넷째, 디자인 전공분야의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