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발명 단원 교재 연구 모습의 이해

        박아름(Ah-reum Park),최유현(yu-hyeon Choi) 한국실과교육학회 202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발 명 단원 교재 연구와 관련된 사회 물질적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초연구, 면담자 선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연구 결과 정리의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의도적 표본추출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면담 질문은 수업의 주안점, 수업 공동체, 매체 활용, 교사의 경험,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환경 조성 총 6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검증과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 구 참여자에 대한 면담 내용을 전사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개방 코딩(Open Coding)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Actor-Network Map으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발명 단원 교재 연구의 모습을 행위자-네 트워크 이론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행위자-네트워크 지도(Actor-Network Map)로 분석 내용을 시각화하였다. 처방의 공간(spaces of prescription)과 협상의 공간(spaces of negotiation)에서 의무 통과점(Obligatory Passage Point, OPP)인 교사를 거쳐 다양한 행위자(Actor)들이 ‘교재연구’라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었다. 둘째, 행위자-네트워크 지도(Actor-Network Map)를 바탕으로 초 등교사의 발명 단원 교재 연구 모습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행위자(Actor)가 ‘교재 연구’ 라는 네트워크의 결속을 강화 또는 저해하기도 하며, 다른 행위자(Actor)를 네트워크로 끌어들 이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명 단원 교재 연구를 교사의 역량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사 물, 기술, 제도 등 다양한 비인간 물질이 얽힌 복합적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이론 을 활용한 발명 단원 교재 연구의 모습 고찰을 통해 발명 교육의 확장적 이해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socio-material network associa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ntion unit textbooks through the lens of Actor-Network Theory.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process involved basic research, interviewer selection,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a summary of the resul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the interview questions covered six areas: class focus, class community, media use, teacher experiences,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class environment creatio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verific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data comprised transcribed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via open coding and visualized as an Actor-Network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through an actor-network theoretical perspective, visualizing results through an Actor-Network Map. In the spaces of prescription and spaces of negotiation, various actors, including teachers who were the Obligatory Passage Point (OPP), were forming a network called “Textbook Research.” Second, based on the Actor-Network Map, the study analyz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Actors were found to occasionally strengthen or weaken the cohesion of the network “Textbook Research” while also attracting other actors into the network. This study confirms that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is not solely a measure of teacher competency but a complex web of relationships involving various non-human substances such as humans, objects, technologie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it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vention education by examining the research on invention unit textbooks using various theories.

      • KCI등재후보

        관계이론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

        최병두(Byung-Doo Choi)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1

        이 논문은 초국적 이주 분석을 위한 기존 연구방법론으로 관계이론을 재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 연구방법론으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유의성과 한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초국적 이주에 관한 기존 이론 또는 연구방법론들은 흔히 행위이론, 구조이론, 그리고 이들 간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관계이론으로 구분된다. 사회적 연결망 이론, 사회적 자본론, 네트워크이론, 이주체계이론, 그리고 초국적이주이론 등을 포함하는 관계이론은 행위/구조의 이분법을 벗어나서 연계성을 강조하지만, 연계에 관한 서술이 다소 모호하고, 또한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이러한 관계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3가지 주요 개념들, 즉 행위자-네트워크, 번역, 위상학적 공간 개념 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개념들이 초국적 이주 연구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raditional relational theories in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to discuss actor-network theory as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raditional theories or methodologies to approach transnational migration tend to be classified into 3 types, that is, action theory, structural theory and relational theory which attempts to connect those two types. The type of relational theory which includes social network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migrant networks theory, theory of migration system, and transnational migration theory has emphasized properly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levels of action and that of structure, but described somewhat ambiguously that connectivity and tended to use confusingly numerous terms to do so.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traditional theori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is paper suggests actor-network theory,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ree groups of its important concepts, that is, actor-network, translation, and topological space.

      • KCI우수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관광분야 공유경제 플랫폼의 성장과정 분석 - 에어비앤비를 중심으로 -

        김상태,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3

        This study analyzed the growth of Airbnb, which is an excellent example of a sharing economy platform, based on the translation process of the actor-network theory. The translation process is analyzed in the order of attraction → entrapment → reinforcem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ach step attracted hosts and guests, had the guests register on a web-page, and related various non-human actors to continue transactions. In other words, a network among various human and non-human actors is formed by a sharing economy platform. In particular, non-human actors played various roles in each step. First, the attraction step played exchange and trust roles, and the entrapment step played exchange, trust, and convenience roles. The reinforcement step played exchange, trust, and individual benefit role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the actor-network theory as a new paradigm to explain social phenomena. The actor-network theory emphasizes the relationships among non-human actors such as technology and materials instead of focusing on people and groups in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can provide more diverse and richer explanations than from a human-oriented perspective. In the practical aspect, it showed that a non-human actor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or growing a sharing economy platform similar to the Airbnb platform. In other words, it revealed that non-human actors should be organized and mobilized in the aspects of exchange, trust, and convenience. The results can help companies built on a sharing economy platform, which are newly emerging in the domestic tourism sector, develop successful strategies.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번역 과정을 토대로 공유경제 플랫폼의 사례인 에어비앤비의 성장과정을 분석하였다. 번역과정은 끌어들이기 → 가두기 → 강화하기 단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단계마다 호스트와 게스트를 끌어들이고, 웹페이지에 등록하고, 거래를 지속하게 하는데 다양한 비인간 행위자들이 연계가 되었다. 즉 공유경제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 간의 네트워크가 구성되었다. 특히 비인간 행위자들은 각 단계마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먼저 끌어들이기 단계에는 교환과 신뢰의 역할을, 가두기 단계에는 교환, 신뢰, 편리성의 역할을 하였다. 강화하기 단계에서는 교환, 신뢰, 개인편익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사회속의 인간, 집단의 중심이 아닌 기술, 사물 등의 비인간 행위자와의 관계를 강조한다. 이러한 인간-비인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것은 사회현상을 설명할 때 인간중심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 보면 에어비앤비 플랫폼과 유사한 공유경제 플랫폼이 성장하기 위해서 비인간 행위자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보이고 있다. 즉 교환, 신뢰, 편리성 측면에서 비인간 행위자를 조직하고 동원해야 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관광분야에 생겨나고 있는 공유경제 플랫폼 기업의 성공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망제정치: 21세기 미국의 군사안보 네트워크 전략

        고봉준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3

        Recent strategic thinking of the U.S. does reflect a perspective of network politics. One of the prominent scholars in the U.S. posits that now the measure of power is connectedness, emphasizing that war, diplomacy, business, society, and religion are all networked.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changes in U.S. security-military strategies by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network politics. Toward this end, this article, first, discusses some of the main concepts of network power, and introduces social-network theory and actor-network theory to address main characteristics of GPR and missile defense network of the U.S., respectively. The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is, since the order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llows the way the network politics perspective describes, it is necessary for us to face up to the reality of current events in which various actors and issues are mutually connected. Then, we should also properly understand structures of the networks we belong to and ponder ways of utilizing a niche for networking as a middle power within the networks. And the chance of success in the work can be largely increased by adopting proper approaches of network politics. 최근 미국의 전략적 고민에는 네트워크 세계정치에 대한 인식이 반영되어 오고 있다. 연결성(connectivity)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국의 고유한 능력이 21세기도 미국의 세기로 만들 것이라는 주장의 핵심에는 전쟁, 외교, 비즈니스, 미디어, 사회, 종교 등 세계의 모든 부분이 이미 네트워크화하였고, 권력의 척도는 바로 연결(con- nectedness)에 있다는 시각이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최근 미국 군사안보 전략의 변화의 모습을 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관점을 도입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권력 정치의 특징적인 모습에 대해 논의하고,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구상하고 있는 군사안보 네트워크를 정의하기 위해 사회-네트워크이론(social- network theory)과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각각 원용하여 미국의 해외주둔미군재배치(Global Posture Review: GPR)와 미사일방어 네트워크 구축을 정리한다. 이 글의 핵심 주장은 만약 국제정치의 조직 원리가 네트워크적 방식을 따른다면 다양한 행위자들과 많은 이슈 영역들의 연계가 중요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구조로서의 네트워크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동시에 중견국으로서 네트워킹이 가능한 부분을 찾아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고민이 필요하고, 그 성공 가능성은 네트워크적 관점의 적절한 적용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아날로그의 반란과 분단의 번역자들

        이희영(Hee-Young, Yi)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4

        이 연구는 21세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급격히 재구성되고 있는 한반도의 분단현실을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 ANT)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990년대 중반 식량을 찾아 국경을 넘어 이동하기 시작한 북한주민들이 다양한 남한사회의 영상매체와 접촉하면서 형성되는 행위자 네트워크를 추적하여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량을 구하기 위해 중국 국경을 넘어온 북한주민들이 만나게 된 것은 단지 식량만이 아니라 남한 노래와 드라마 등의 ‘문화’였다. 이를 통해 북한사회에서 금지되었던 남한사회/ 외부세계에 대한 훔쳐보기가 확산되었다. 둘째, 북한주민의 남한 문화에 대한 관심은 도강자들이 식량 대신 북한으로 가져간 아날로그 전자기기에 대한 잠재적인 수요로 작동하였고, 이를 통해 북한-중국-남한의 행위자 네트워크가 급속히 형성, 확장되었다. 식량 난민이었던 도강자들의 광범한 밀무역 네트워크는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행위자 네트워크로 확대 강화되고 있다. 이것은 곧 새로운 삶의 양식(style)과 이것을 실천하는 북한 주민의 형성을 의미한다. 셋째, 남한 드라마 시청의 행위자 네트워크는 북한사회 내에 공존하는 ‘제2의 토템’으로서 체제의 외부이자 내부로 이해될 수 있다. 남한 드라마 시청의 행위자 네트워크는 한편으로 사회주의 북한체제의 지배적 규범과 충돌한다는 점에서 북한사회의 외부이다. 다른 한편 북한사회의 핵심적인 체제구성원들이 주요한 행위자로 동참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사회의 내부이다. 넷째, 이 연구 결과는 사례분석에서 재구성한 인간과 비인간의 행위자 네트워크에 의해 한반도의 분단장치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안과 밖이 결합된 남한 드라마 시청의 행위자 네트워크는 북한 체제를 소리 없이 변화시키는 ‘체질변화의 동력’일 수 있다. 중국 사회가 위로부터의 체제개방을 통해 포스트 사회주의 체제로 연착륙하고 있다면, 북한사회에서는 공급체계의 위기로 시작된 북한 주민들의 (재)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가 역설적으로 북한사회의 체질 변화를 추동하는 동력이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 Network Theory(ANT), the reality of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it is reconstructed by rapidly developing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More specifically, this case study focuses on actor networks that are emerging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North Korean border-crossers and the South Korean visual mass media which the former engage with when migrating in order to obtain food. Key findings from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North Koreans who crossed the border into China in a quest for food not only obtained edibles, but also came into contact with songs and television dramas which were in North Korea and provided North Koreans with a possibility to ‘sneak a peek’ of South Korean society/ the outside world, an activity that was/is strictly prohibited in North Korea. Secondly, North Korean refugees’ strong interest in South Korean culture led to an increased demand for analogue electronic devices (for instance, colour TVs, DVD players, computers etc.), which could be cheaply imported from Japan, South Korea, Taiwan because of the analogue-digital conversion taking place in these countries at the time. As a result, actor networ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ere rapidly constructed and extended beyond the ‘dispositive of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Extensive smuggling networks of river-crossers in North Korea are spreading and gaining strength as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actor networks connecting North- and South Korea. Thirdly, it is not only the poor lower class but also the highest ranks of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are involved in this formation process of the actor network of watching South Korean visual media. In other words, the actor network of watching South Korean television dramas can be understood as both external and internal to North Korean Society. Finally, this case study refers us to a significant change in the dispositive of Korean division, which is brought about by human and non human actors (especially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 KCI등재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본 북핵 문제와 6자 회담

        전재성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4 국가안보와 전략 Vol.14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the Six-Party Talk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ainful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and Actor-Network Theory. These theories shed new light on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by stressing network among major actors related to the issue and try to bridge theoretical cleavages between structure-oriented and actor-focused approaches. The resilience of the problem challenges the usefulness of existing political and international theories, not providing practically useful theories in analyzing and prescribing North Korean problems. In a sense, the difficulty that lies in this issue requires international theorists to ponder up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orizing nuclear issues and East Asian international politics. This article argues the following points: 1) the United States, in building and maintaining the first Northeast Asian multilateral, track I security mechanism, i.e., the Six Party Talk, assumed the role of “translating”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2) other actors have tried to have the initiative to translate the problem in their own favors; 3) the mixture of resource power and network power of all participating countries resulted in each round of the Talk; 4) strategic positions in each country have created a complex combination to direct the Talk; 5) China, and South Korea were two countries to maximize their positional power to affect the process of the Talks; and 6) the Talk did not succeed in going beyond the Obligatory Passage Point, failing to establish the Talk as the main mechanism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본 논문은 2003년부터 시작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의 진행과정을 네트워크 이론의 시각에서 분석한다. 네트워크 이론은 사회학 분야에서 주로 발달된 이론으로 사회연결망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 Actor-Network Theory)로 대별된다. 양자 모두 행위자들 간의 관계망을 강조하여 구조와 행위자 간의 존재론적 간극을 도모하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 이론으로 분석된 6자 회담의 진행양상을 분석한다. 국가들 간의 세력배분구조와 각 국가들의 전략과 이익 같은 기존 국제정치학 이론의 주요 변수들을 고려하면서도 동시에 위치권력, 구조적 공백, 번역, 의무통과점 등과 같은 개념들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1) 6자 회담은 동북아에 존재하지 않던 국가들 간의 트랙 I 다자 안보협의체로서는 최초이기 때문에 미국이 주도하는 번역 작업이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고, 2) 이후 6자 회담의 장 속에서 각각의 행위자들은 북핵 문제의 번역을 둘러싼 경쟁 속에서 자기 중심의 네트워크를 중심화하고자 노력했으며, 3) 6개국들 간의 자원권력이 매우 강력하게 작용하는 과정에서 국가들 간의 전략과 이익의 네트워크가 근저에 존재하면서 협상의 진행과정을 이끌었으며, 4) 각 국가들 내부의 대북 전략의 갈래들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따라 6자 회담의 향방이 결정되었고, 5) 이 과정에서 중국과 한국은 위치권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6자 회담의 주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6) 결국 6자 회담은 동북아 국제정치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는 의무통과점을 넘지 못하여 북핵 문제 해결의 주된 메카니즘으로 자리잡지는 못하였다는 점을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으로 본 과학적 실행의 현상 생성 사례

        유금복,이종혁,이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scientific learning of phenomenon production in scientific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In the actor-network theory, they see the connection between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or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network of raising issues, attracting attention, registering, and mobilizing problems as the essence of scientific execution.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cientific learning w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in the case of scientific execution to create phenomena in structured inquiry and free inquiry. To this end, the types and roles of actors participating in scientific practice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andatory passing points for important actors and establishing networks was schematized. As a result, it showed that phenomenon-based scientific practice can expand the scop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learning, and that the materiality of non-human actors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cientific learning including phenomenon produ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implications of the actor-network theory 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본 연구는 과학적 실행에서 현상 생성이 가지는 과학 학습의 의미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서는 문제 제기, 관심 끌기, 등록하기, 동원하기의 네트워크 구축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들의 연결을 과학적 실행의 본질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으로 구조화된 탐구와 열린 탐구에서 현상을 생성하는 과학적 실행 사례를 탐색하고 과학 학습의 의미를 조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적 실행에참여하는 행위자들의 종류와 역할을 분석하였고, 중요 행위자의 의무통과점 설정과 네트워크 구축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그결과 현상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적 실행은 과학적 이해와 과학 학습의 적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을 보이고, 비인간 행위자의 물질성이 현상을 생성하는 것과 같은 과학 학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의 맥락에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가지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사물의 문화와 행위성 이해를 통한 융합적 관점 획득 방안 탐색

        민수홍(Min, Soo h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2

        본 연구는 디자인 대상의 경험 방식에 대한 인식론이 강화되면서, 디자인 결과물로서의 사물과 그것을 활용하는 인간과의 관계를 보다 새롭게 볼 수 있는 관점을 익혀야하는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의 융합적 디자인 연구 분위기와 그 실행 방식의 관습성 및 성찰적 연구 역량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을 의식하며 시작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 기술에 관한 지식과 실천의 영향을 받는 오늘날의 사물과 인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인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디자인 연구에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이행하였다. 첫째, 연구배경과 목적, 그 방법과 범위를 기술하였다. 둘째,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소개하고, 그 특성을 사물의 문화 연구에 적합한 네 가지 맥락으로 정리하였다. 셋째, 디자인과 과학 · 기술과의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사례 분석을 통해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앞으로의 디자인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럼으로써, 디자인 결과와 과정, 그 평가와 수행 방식에 관하는 다양한 논의가 인간-비인간 행위자 간의 상호구성적 네트워크 개념에 속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가지는 대상에 대한 경험 방식은 어떤 사물과 사건, 그 작동과 작용 원리에 대한 해당 사회의 이해 방식 및 이를 활용하여 이뤄지는 모든 도구적 실천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둘째,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관점은 사용자이자 행위자로서의 어떤 인간과 그 인간을 가능하게 하는 비인간 행위자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를 보다 균형 잡아볼 수 있게 해준다. 셋째, 이러한 관점을 익힘으로써 디자인 연구가 융합적 · 성찰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has begun with the awareness of the lack of implications and reflexivity in today`s convergence design research practices which pursue the concept of user’s experience tha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acquire a viewpoint to look at the co-constructive relationship between artifacts as a design result and human being utilizing i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Actor Network Theory, which analyzes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and humans today in the context of technoscience, into Design research. The research is done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t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its method and scope. Second, it introduces Actor Network Theory an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in four contexts. Third, it suggests a method to apply Actor Network Theory to the future design research through cases analysis tha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Science and Technology. By this, it analyzed that various discussions about design result, processes, evaluations and performance methods belong to co-constructive network concept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In conclus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implication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through Actor Network Theory discussed in this research. First, the user’s way of experiencing the objects as non-human actor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s and events, the way of the user’s societies understand all the principles, and all the practices that are made by using it. Second, the perspective of Actor Network Theory allows a more symmetrical understanding of the co-constructive relationships between a person as human actor and her/his non-human actors which enable that person. Third, by studying these perspectives, design research can strengthen its convergent and reflective capabilities.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으로 살펴보는 박물관학: 뮤지엄을 둘러싼 인간/비인간 행위자의 끊임없는 ‘번역’

        김수진 한국박물관학회 2020 博物館學報 Vol.- No.39

        Within the context of post-critical museology, this study navigates the concept of topological space surrounding diverse human and non-human actors including museums, visitors, technology through the lens of Actor-Network Theory (ANT). Unlike traditional museology which dealt with the discourse within a museum institution, ANT-driven museology allows us to consider a museum as an actor and a network at the same time. After new museology, it became important to consider various museum visitors in the discourses of museum studies and museum education. Besid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s and technology is getting closer and closer. This paper examines how a museum meets with various human and non-human actors through the concept of ANT’s “translation.” In particular, it aims to re-examine non-human actors’ performance and capture the fluidity of a museum actor-network. This study only identifies several cases of museum actor-network among many. Thus, more networks need to be practiced and studied. 다양한 관람객의 행위성과 디지털 기술과의 관계를 부각시키는 포스트-비판적 박물관학의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뮤지엄, 관람객, 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을 둘러싼 위상 공간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박물관학이 뮤지엄이라는 기관 내에서의 담론을 주로 다루었다면, ANT의 위상공간과 연결지어 다루는 박물관학은 뮤지엄을 행위자이자 네트워크, 즉 행위자-네트워크로 사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신박물관학 이후 박물관학 및 뮤지엄 교육학 담론에서는 다양한 관람객과의 만남에 대한 논의가 중요시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COVID-19 이전부터, 그리고 포스트 코로나, 뉴 노멀 시대가 되면서 뮤지엄과 테크놀로지의 관계는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ANT적 접근을 통해 뮤지엄이 어떻게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와 다각도로 만나는지 다양한 관계들을 ANT의 ‘번역’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본다. 특히, 능동적인 비인간 행위자를 재조명하고 뮤지엄과 관련한 관계망의 유동성을 포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사례들은 뮤지엄과 관련한 행위자-네트워크의 일부에 해당하며, ANT를 차용하여 뮤지엄을 둘러싼 다양한 형태의 관계가 실현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한 제주 예멘 난민의 관계성의 이해

        박준홍,정희선 한국도시지리학회 2019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rehend the Yemeni refugee crisis in Jeju as a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ismantling a network of various human and non-human actors by examining the discourses on refugee acceptance and opposition in relation to human rights and social security. The visa-free entry policy in Jeju Island was a major actor in Yemeni refugees’ entry into South Korea in 2018, and the international refugee protection system such as the Refugee Convention, Refugee Act, and the Korean Refugee Act (2013) played a role of key actors in the formation of refugee actor-networks. In addition, social media through which Yemeni refugees shared information on the Jeju Island’s visa-free system as well as mass media which spread information about Yemeni refugees’ entry and Islam as a heterogeneous cultural element also included multifarious social actors previously unrelated to refugee issues in the network. In understanding the major elements of the socio-political debates on Yemeni refuge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consider non-human actors such as refugee-related policies and institutions, including social media and mass media reports but also to reflect the relational processes of actions related to refugees, such as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ocial security identified in terms of actor-network transformation and (re) configuration. This approach considers refugees as relationally formed actors, rather than beings with certain absolute attribute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ecognize refugee problems in the context of network building among human and non-human actors. 본고에서는 제주 예멘 난민 사태를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의 네트워크 구축과 해체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난민 수용과 반대, 인권과 사회안보 등의 난민 담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무사증 제도는 2018년 예멘난민 입국의 주요한 행위자로 작용하였으며 난민협약 및 난민의정서 등 국제난민보호제도와 국내 난민법(2013년) 도 기존 네트워크의 해체와 새로운 난민 행위자-네트워크의 형성에 있어 핵심적인 행위자로 기능하였다. 또한 예멘난민이 제주도 무사증 제도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예멘 난민의 입국과 이질적 문화요소로서 이슬람교에 대한 정보를 확산시킨, 사회적 매체와 대중매체 역시 난민 문제에 무관했던 사회 주체들을 네트워크에 포섭시켰다. 제주 예멘 난민에 관한 사회정치적 논쟁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있어 난민 관련 정책 및 제도, SNS, 언론 보도 등 비인간 행위자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난민과 관련된 관계적 실천 과정, 즉 인권 보호와 사회안보의 이슈를 행위자-네트워크의 변형과 (재)구성의 관점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난민을 특정한 본질적 속성을 지닌 존재가 아닌,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행위자로 간주함으로써 난민 문제를 재인식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