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동학농민혁명의 문학적 형상화 - 채길순『 웃방데기』와 김용락「하늘이 내려다보고 있다」를 중심으로

        우수영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historical situ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of GumiㆍSeonsan in Gyeongsang-do Province, and to clarify how characters’ awareness of reality is being embodied recently in Korean literatur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yeongsang-do area showed the aspect different from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Honam area. In other words, when the primary rebellion took place in Honam area, the peasant army in Yeongnam area failed to do together with this. But with being influenced by the reform activity of the peasant army in Honam area, the Donghak Peasant Army even in Yeongnam area was united and proceeded with forming great force. The peasant army, which rose up in each region of Chungcheong-do ProvinceㆍGyeongsang-do Province, with responding to Giporyeong(起包令) by Haewol of the Donghak Assembly in September 18, rebelled in order to fight together with the main unit of the peasant army moving northward.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area united with the peasant army mainly in Gimsan, Sangju, Yeongdong and others and then developed the organized combat. They ever occupied Seonsam-eup and attacked Nakdong War Commissaries of the Japanese army as well. This proces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area of Gyeongsang-do Province in 1894 was reborn as a number of literary works that embodied many Donghak peasant revolutions. The awareness of reality in characters of a work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works by Kim Yong-rak and Chae Gil-soon, who were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area of Gyeongsang-do Province in 1894 out of it. In Kim Yong-rak's two poems,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the Donghak peasant army of Seonsan, which appears in the Haepyeong Plain of GumiㆍSeonsan area, is being uplifted. It could be known to be relevant even to the expansion in time and space. That is to say, the image of true man, who is going to right path that is inevitable when it comes to human being under the heaven of looking down, is just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themselves. In Chae Gil-soon's 『Utbangdegi』 and Jo Jung's 『Ruined Country』, the awareness of reality in each class,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army in 1894, was examined. It elicited the fixed awareness of reality in upper-class characters of Joseon who have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through characters Lee Dae-gam and Jo Min-gu, the variable perception of reality in Joseon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the government army Kim Seok-jung and Kim Byeong-don, and the recognition of reality toward the new world in the Donghak peasant army through ‘Gapi.’ ‘Possibility of new world’ perceived by the Donghak peasant army of being represented as a character called 'Gap,' may be spoken for the awarenes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Joseon. It can be said to contribute to which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yeongsang-do Province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umiㆍSeonsan is enhanced. It could be grasped that lot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sang-do Province following Haewol's Giporyeong(起包令) is actually entering 'way of true man' based on the conviction in 'possibility of new world,' through the above works. 본 글의 목적은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상황을 살피고, 동학농민군을 중심으로 한 각 계층 인물들의 현실인식이 최근 한국문학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경상도 지역의 동학농민혁명은 호남지역에서의 전개과정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호남지역에서 1차 봉기가 발생했을 때 영남지역 농민군은 이에 함께 하지는 못했으나, 이후 호남지역 농민군의 개혁활동에 영향을 받으면서 영남지역에서도 동학농민군이 결집되어 크게 세력을 형성해 나갔다. 동학교단 해월의 9월18일 기포령에 호응하여 충청도ㆍ경상도 각지에서 기포한 농민군들은 북상하는 농민군 주력 부대와 합세하기 위해 봉기했다.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군은 주로 김산, 상주 영동 등지의 농민군과 연합하여 조직적 전투를 전개했다. 그들은 선산읍을 점거하기도 했고, 일본군 낙동병참부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혁명 과정은 동학농민혁명 120주년 2014년을 맞아 동학농민혁명을 형상화 한 다수의 문학작품으로 재탄생되었다. 본 글에서는 그 중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혁명에 관계한 김용락과 채길순의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 속 인물들의 현실인식을 분석하였다. 김용락의 시 2편에서는, 구미ㆍ선산 지역 해평 평야에 등장하는 선산 동학농민군의 현실인식이 고양되고 있으며 그것은 시간과 공간의 확장과도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내려다보는 하늘 아래 인간이면 가야하는 바른 길을 가고 있는 참사람의 모습이 바로 그들 구미ㆍ선산 동학농민군인 것이다. 채길순 『웃방데기』와 조중의 『망국』에서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각 계층의 현실인식을 살펴보았다. 인물 이대감, 조민구를 통해 유교 세계관을 지닌 조선 상층 인물들의 고정된 현실인식을, 관군 김석중, 김병돈을 통해 조선 관리들의 변동적인 현실인식을, ‘갑이’를 통해 동학농민군의 새세상을 향한 현실인식을 도출하였다. 『웃방데기』 ‘갑’이라는 인물로 대표되는 동학농민군이 해월의 눈빛을 통해 감지한 ‘새로운 세상의 가능성’은 조선 동학농민군의 인식으로 대변될 수 있다. 그것은 경상도 동학농민군, 구미ㆍ선산 동학농민군의 현실인식이 고양되어가는 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실제 해월 기포령 이후 많은 경상도 동학농민군이 ‘새로운 세상의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바탕에 두고 ‘참사람의 길’로 들어서고 있음을 앞의 작품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일전쟁기 지식인의 국제정세 인식과 세계관

        최규진(Choi Kyu-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6 No.-

        이 글은 청일전쟁을 앞뒤로 한 때 지식인들의 대외인식을 살펴보면서 사상의 지형을 짚어보려 했다. 문명관을 일정하게 공유하고 있던 개화파 안에서 조차 대외인식에 미묘한 차이가 드러났다. 특히 중국관이 그러하다. 동양적 질서에서 세계 질서 속으로 편입되어가는 전환기에 중국의 능력과 지도력에 대한 평가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사상을 가졌다 하더라도 특정한 나라에 대한 인식에는 공통점이 있기도 했다. 1894년 무렵 지식인은 격변하는 국제정세에 따라 사상의 혼동을 겪었지만, 다원적 세계관을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청일전쟁은 조선의 사상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을 문명의 모델로 여기는 추세가 더욱 드세어졌다. 1894년 청일전쟁에서 중국이 패배하면서 우등한 백인과 열등한 흑인의 비유는 동아시아 내부에 반영되었다. 그리하여 우등한 일본과 열등한 청국이라는 구분을 만들었다. 1894년 무렵 지식인들은 청일전쟁의 성격이나 제국주의 침략의 논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ideology, reading the foreign recognition of intellectuals before and after Sino-Japanese War. There was a subtle difference on foreign recognition, especially on view of China even in 개화파, who shared the perception of civilization. It resutled from the difference of evaluation on what the ability and leadership of china was like about the time when it shifted from the Oriental system to the world one. Though they had different ideologies, however,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That was an recognition on specific country. At the time of 1894, intellectuals suffered rom the confusion of ideology depending o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But they thought of it as the opportunity for plural international perception. Sino-Japanese War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osun thinking world. Therefore, the current in which they regard the winner Japan as the model of civilization prevailed. Due to the defeat of China in 1894’s Sino-Japanese War, the comparison of ‘superior Whites and inferior Blacks’ was reflected into East Asia. With this, the separation of superior Japan and inferior China was made. At that time of 1894, intellectuals didn’t understand properly the character of Sino-Japanese War and the invasion logic of Imperialism.

      • KCI등재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 관련 기록물 연구 - 1894년 출판 조선여행기록을 중심으로

        문순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1

        A study of Japanese Chosun travel esseys in late 19 century Moon, Soon-Hee In the studies of modern times Japanese travel essays, imperialistic viewpoints are generally dominating the logics which are contempt of Chosun, justification of colonial administration and emphasis of backwardness of Chosun. In these times, travel essays written by Japanese could not free from these conclusions. However, it is worthwhile to find the traces how these historical records which were based on imperialistic viewpoints were produced and how these symbolized images of Chosun were expansively reproduced. The importance of materials in late 19 century is her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Japanese publications of Chosun travel related books in late 19th century and travel circumstances at that time through travele ssays which were published in1894. When we see the Japanese publications of Chosun travel essays which were currently verified after opening the port, we can see publications of Chosun related books were rapidly increasing after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in the year of 1894, 1904, 1906 and 1910 and the big incident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social backgrounds of rapid increase of Chosun travel essays, first, there were increasing sailing people to Chosun since 1880 and a foreign concession of Japanese residents were located in Chosun in 1890, and the second was Sino-Japanese war. The authors of travel essays which were published at that time were teachers, ordinary citizens, reporters and Buddhists and the contents were composed of introduction of Chosun and necessary informations for travel even though their majors and interests were different in their subjects. But, in travel essays at those times, we can tell that an overall symbol of Chosun was not established and different imperialistic viewpoints have existed between the authors under the influences of those times and outside of such influences.

      • KCI등재후보
      • 1894년 執綱所의 설치와 그 운영

        崔孝軾 한국동학학회 2003 동학연구 Vol.13 No.-

        본고는 동학혁명에서 동학지도 세력이 집강소를 설치하여 농민에게 많은 고통을 주었던 폐정을 개혁하고 사회 개혁을 실천한 내용을 다룬 연구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why the principal characters established the institution of Gipgangso(執綱所) during the Donghak(東學) Revolution in Lee Dynasty, 1894 which was prevented the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s and was reformed the illegal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that a lot of pheasants have been given many trobles in their lives, and how it practiced the variable social systems for their welfare.

      • KCI등재

        해방 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

        金泰雄(Kim, Tae-Woong) 역사교육연구회 2015 역사교육 Vol.133 No.-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of descriptions of 1894 peasantry war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 school, 1945~2014. For such analysis, the paper first reviewed the descriptions of 1894 peasantry war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 school, 1945~2014 and the chronological Korean national curriculum 1946~2014. These descriptions reflected the chronological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outcomes accomplished about 1894 peasantry war in south Korean academia. With this research, I discovered that these descriptions on peasantry war have improved and have been boosted by empirical research accomplishment and revised curriculum. But as ideological arguments have intensified recently, these descriptions also fell in a difficult position. In brief, we must describe 1894 peasantry war on the ground of educational and social consensus and scholarly research achievements without political considerations.

      • KCI등재후보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의 법제사적 의미검토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와 1905년 일본 각의결정의 비교검토-

        최철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독도연구 Vol.- No.19

        Korean Empire had systematic modern legislation with the Imperial Law No. 1 on Official Document and Act. According to the Imperial Law No. 1, status of Imperial Law, which was enacted by the order of King, was respected more than general Act in the procedure of enactment as well as higher than any other legal norms such as the decision of government cabinet, enforcement decree of ministry, directive of ministry and notification. This was almost same as Japan because legislation of Korean Empire was very similar to that of Japanese Empire. So, Japanese government could not challenge the fact that Korean Empire Imperial Law No. 41 of 1900 was the modern legislation which proclaimed the sovereign territoriality over the Seokdo(Dokdo). Imperial Law No. 41 of Korean Empire(1900) not only had higher legal position compare to the decision of Japanese Government Cabinet(1905) which incorporated Takeshima into Japan but also enacted earlier than the Decision of Japanese Government Cabinet and its entailing legislative measure. Furthermore, Korean Empire Government published the Imperial Law in the Gwanbo(an official gazette) but Japanese Government did not any such legal publication. It means Korean Empire took higher legal action and proclaimed its sovereign territoriality over the Dokdo more publicly than Japanese Empire. As a modern law, Imperial Law No. 41 has the meaning of the first evidence that Korean Empire exercised direct legislative sovereignty over the Dokdo at that time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So, the importance of Imperial Law No. 41 as a legal title on the Dokdo must be emphasized more than any other historical evidences which recorded the fact that Korea exercised territorial jurisdiction through the Korean history. 대한제국의 칙령은 입법체계상 법률의 위임에 의하여 제정되는 내각결정이나 명령, 훈령, 고시 등과 달리 대외적 구속력을 갖는 상위의 법규범이며 입법절차에서 법률보다 존중되는 법규범이었다. 대한제국의 입법체계는 당시 일본의 법제와 대체로 동일하였다. 대한제국은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를 통해 대한제국의 영토관할권에 독도(석도)가 포함되어 있음을 국가의 대외적 의사표시를 하는 공식문서로서 관보를 통해 공포하였다. 대한제국의 입법체계와 절차를 규정한 법률로서 ‘공문식’에 따른 입법절차를 거쳐 제정되어 관보에 공포된 대한제국의 칙령 제41호는 법체계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불과하며 국가적 의사표시를 위한 공식문서인 관보에도 게시되지 않은 1905년 일본의 시마네현 고시보다 상위의 법체계상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칙령 제41호는 독도를 새로이 대한제국의 영토로 편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울도군의 관할에 포함되는 독도(석도)에 대하여 별도의 지리적 위치 등에 대한 설명 없이 법률로 명시하였다. 칙령 제41호에 따른 관할권의 행사는 울도군 절목이라는 후속적 하위법령의 제정을 통해 세금의 징수라는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방식으로 시행되었다. 칙령 제41호는 대한제국이 일본보다 먼저 서구적 근대법의 형식으로 독도에 대한 직접적 주권을 행사한 1차 증거로서 의미를 갖기 때문에 독도에 대한 영토주권의 근거로서 그 무게와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일전쟁기 일본 재류 청국인 처우와 인식

        조국 ( Cho Guk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4 No.-

        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을 불러온 청일전쟁은 그동안 방대한 연구가 축적되었으나 주된 관심이 전쟁에 이르는 경위나 조선을 둘러싼 국제 관계·대내외 정책, 전쟁의 전개 과정에 기울어진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 내부 상황에 초점을 맞춰 청일전쟁 시기 일본 재류 청국인의 지위 변화와 청국인에 대한 인식을 검토했다. 당시 일본에서 발행된 신문에는 재류 청국인을 조롱하거나 애국심이 없는 청국인의 태도를 비판하는 기사가 산견되며 이는 전쟁 과정에서 발생한 청국 포로들에 관한 기사를 통해 한층 강화되기도 했다. 다만 기사 내용을 상세히 검토해 보면 단편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재류 청국인의 양상이 확인된다. 이들은 전쟁을 기회로 폭리를 취하는 교활한 상인이자 경계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출신 지역에 따라 ‘정복 왕조’ 청국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는 청국인의 모습도 그려졌다. 한편 청일수호조규 하에 영사재판, 나아가 치외법권적 특권을 누리던 청국인은 전쟁으로 그 권한을 상실하게 되었다. 전쟁 직후 제정된 칙령 제137호는 전시기 적국민 청국인에 대한 단속, 통제를 위해 제정되었으나, 실상은 전후에도 효력을 유지하였다. 다만 전쟁 이후에는 재류 청국인에 대한 단순한 등록제도이자 관리제도로 그 성격을 바꾸어 나갔다. 칙령 제137호의 재류 청국인 관리제도로서의 성격은 1899년 칙령 제352호로 계승되었다. 칙령 제352호는 청국인 가운데 미숙련 노동자의 내지잡거만을 배제하였다. 이는 청일전쟁 시기 나타난 재류 청국인 다층성의 제도적 귀결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Sino-Japanese War was an important event that l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e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the War, or policies towards Korea. This paper analyzed the legal status and perceptions of Chinese in Japan. During the war, articles despising Chinese are easily found from the newspapers published in Japan. Those description on Chinese were reinforced by the articles about the Chinese prisoners of the war. However,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article more closely, Chinese are also alerted by their mercenary spirits prior to nationalism. The criticism of the lack of patriotism among the Chinese also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Qing, a conquest dynas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of origin in China. There was a multilayer that could not be unified into Chinese. The war caused the Chinese to lose their extraterritorial rights in Japan. The Edict 137(y.1894) was enacted during the war to control the Chinese in Japan, but remained in effect even after the war ended. However, after the war, it served as a Chinese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n succession to the Edict 137(y.1894), the Edict 352(y,1899) restricted unskilled Chinese workers from living in Japan. It was an institutional result of the multilayer Chinese during the Sino-Japanese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