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과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손성규 ( Sung Kyu Sohn ),염지인 ( Ji In Yum ) 한국회계학회 2011 會計學硏究 Vol.36 No.2

        국제회계기준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공정가치 평가이다. 공정가치 평가를 강조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에서도 공정가치 평가의 일환으로 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을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가치에 근거하여 자산의 손상차손과 손상차손환입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경영자의 재량성이 개입될 가능성은 다분히 존재한다. 손상차손회계와 이익조정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의 대부분은 손상차손과 관련된 연구이다. 손상차손회계 중 이익상향조정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손상차손환입에 대한 연구는 손상차손 연구에 비해 많이 수행되지 않고 있다. 손상차손의 인식이 이익조정과 관련되어 이슈가 된다면 손상차손환입 또한 이익조정과 관련되어 이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가 손상차손환입을 경제적 실질을 반영하기 위한 것 이외에 기회주의적 이익상향조정의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익조정 관련 독립변수로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전 적자액, 전기 2년 연속적자보고여부, 전기 처음적자보고여부, 전기대비이익감소액, 전기 Big bath 여부, 전기 최고경영자 교체여부, 이익상향조정가능성 집단여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투자자산손상차손환입의 인식과 관련된 경제적요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종합주가지수변동률, 종합채권지수(매경BP종합채권지수)변동률, 전국부동산가격변동률, 주가장부가치비율변동률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으며,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에서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는 부채비율, 기업규모, 산업별 더미변수를 통제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을 인식하기 전 적자액이 많을수록,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전 당기 경영성과가 전기 경영성과에 비해 낮게 보고된 기업일수록, 전기 Big bath 가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이익상향조정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에 해당할수록 당기 이전에 인식한 투자자산 손상차손을 당기에 더 많이 환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영자가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을 경제적 실질을 반영하기 위한 것 이외에도 기회주의적 이익상향조정수단으로 활용할 개연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이 이익상향조정의 수단으로 활용될 개연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투자자산 손상차손환입에 대한 환입조건, 공시사항 등과 관련된 회계기준에 있어서 보다 더 명확하고 구체적인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감사인이 감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도 이들 항목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ost crucial part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is the fair value measurement of the asset. The measurement of fair values, in particular the valuation of Level 2 inputs other than quoted market prices and Level 3 inputs in the fair value hierarchy, can be very complex and figures are difficult to verify, and thus, may be used to manage earnings. Some recent studies show that fair value accounting(FVA) provides corporate managers with great discretion in the recognition and measurement of assets. Concern about the relation between FVA and earnings management has surfaced as a timely and global issue. The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in Korea(K-GAAP) recognizes both asset impairment and impairment reversal as a part of FVA. It is very likely that management`s discretion is exercised in the recognition and measurement of asset impairment and impairment reversal. Most of issues related to the asset valuation are the research regarding asset impairment. Research on the asset impairment reversal has not been conducted even though it could be easily associated with the income increasing motive. If the impairment is related with income management, impairment reversal should be related with income manipulation at the same time. Impairment reversal can be used for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to manage earnings upward in ways that do not affect taxable incom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impairment reversal is used for the purpose of income management, in addition to the economic reason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investment asset impairment reversal in Korea. The total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4,516 firm-year(non-financial industries) in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RE) as of December 31, 2009 including 462 firmyear reversal observations for the period 2001-2009. The financial and related data are retrieved from TS 2000 database and KIS-VALUE database. This study uses the amount of the investment asset impairment reversa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uses the absolute value of net loss amount prior to impairment reversal, the consecutive loss reporting in the prior year, the initial loss reporting in the preceding year, the absolute value of earnings decline amount before impairment reversal with respect to the prior year, the big bath in the preceding year, the replacement in the previous year of the incumbent manager, and the probability of upward income increasing policy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average annual change ratio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of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the korea MK composite bond price index, and the price book-value ratio are used to control the economic factors in specific year. Finally, debt-to-assets ratio, firm size, and industry differences are added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Empirical results of tobit regression analysis show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companies with the high amount of net loss prior to impairment reversal, the decline of reported earnings before impairment reversal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high probability of big bath in the preceding year, and the high probability of upward income increasing policy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impairment reversal. Also, additional analysis based on a sample of companies reporting at least one reversal item consistent with the primary conclusion of this study. Therefore,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impairment reversal and earnings management are related. In a nutshell, managers can use impairment reversal as one means to manage earnings, despite extensive accounting rule/its disclosure requirements. In conclusion, our result indicates that impairment and impairment reversal are used as a convenient vehicle to manipulate reported earnings. The condition and accounting rule/its disclosure requirement for impairment and reversal recognition should be specifically improved to account for this empirical finding. At the same time, auditors should pay a close attention to this item.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impairment reversal and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Also, the results contribute to the recent debate surrounding FVA among academics, accountants, standard setters, regulators, business community, or investors. In the future as the IFRS is fully adopted, the fair value measurement will become a more wide-spread and important issue, It will raise further serious questions. Despite the findings that this study provides, there are the limitations that remain to be explored. Certainly, the present study was limited in scope to the models of the investment asset impairment reversal of the asset impairment reversal and the amount of the reversal. We expect future research should aim at expanding to other assets in addition to investment asset and coul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timing of impairment reversal. Now that this paper is complete, we hope the outcome of the present paper will be a step toward a richer and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asset impairment reversal and earnings management.

      • KCI등재

        자산손상 및 환입의 차기 이익예측력에 관한 연구: 지배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도훈 한국국제회계학회 2023 국제회계연구 Vol.- No.107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asset impairment and reversal information recognized by a company for the current perio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ng future earnings, and to verify whether this effect is affected by the quality of governance. [Methodology]This study analyzed non-financial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KRX) from 2014 to 2020.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company's next profit (operating profit), and the main variables of interest were asset impairment and reversal in multivariate regression. In order to analyze the incremental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predictive value of impariment and reversal, this study uses corporate governance evaluation grade announc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Findings]First, this study found that management's earnings management intention was weakly reflected in the impairment recognition of tangible assets. Second, the impairment of other assets was found to provide predictive value for future operating profits. Third, The predictive value of impairment and reversal of assets (especially tangible assets) in companies with better governance structur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companies. [Implicat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in that the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motivation and predictive value of recognizing assets impairment and reversal, and that they provide evidence for the role of governance in accounting choice and measurement. [연구목적]본 연구는 기업이 당기 인식한 자산손상 및 손상의 환입 정보가 차기 이익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이 지배구조의 품질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거래소(Korea Exchange: KRX)에 상장된 비금융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기업의 차기이익(영업이익)으로 하였으며, 주요 관심변수는 당기 이익수준과 자산 손상 및 환입으로 하였다. 지배구조에 따른 차이분석을 위해서는 한국ESG기준원에서 공시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평가 등급을 이용하여 지배구조 우수기업과 통제기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첫째, 경영자는 유형자산의 손상인식에 있어서 이익조정 의도가 약하게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타자산의 손상은 차기 이익에 대한 예측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자산의 손상 및 손상환입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의도와 예측가치 제공 의도가 혼재되어 차기성과와 일관적이지 않은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지배구조에 따른 손상 및 손상환입의 예측가치 차이는 주로 유형자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자산의 분류별로 손상과 환입의 예측가치에 대한 비교정보를 제시하였으며, 지배구조에 따른 증분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의 손상 및 환입 인식 동기 및 차기 성과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 회계선택 및 측정에 있어서 지배구조의 역할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현행 낙양춘의 형성과정 연구

        오비로 ( Oh Beero ) 한국음악사학회 2019 한국음악사학보 Vol.62 No.-

        “낙양춘”(洛陽春)은 현전하는 유이한 당악곡(唐樂曲)이나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송(宋)나라의 사악(詞樂)으로 고려 때 전해져 전승과정 속에서 변하여 현재에 이른다”는 등의 구체성이 없는 서술을 사용한다. 본고에서는 그 “낙양춘”의 형성과정이 어떠한 지를 설명코자 “낙양춘”의 선율이 전하는 모든 문헌(악보)들을 검토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격적인 형성과정 이전에 고악보들의 시기 순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악장요람』(樂章要覽)의 점(·)단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래서 점(·)이 ‘대금(大笒)의 숨구’임을 앎과 동시에 『樂章要覽』의 “낙양춘”이 1음1박이 아니라, 각기 고유한 시가를 지닌 음악이며, 이것이 『속악원보』(俗樂源譜) 권4의 “낙양춘”과 동일한 음악임을 알았다. 이를 통하여 『樂章要覽』(순조)―『俗樂源譜』 권4(고종)―『俗樂源譜』 권6(일제강점기)의 순서임을 알게 되었다. 형성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악곡명의 변화는 『樂章要覽』·『俗樂源譜』 권4 및 권6 모두 “낙양춘”이라고 쓰고 있으나, 『아악부악보』(雅樂部樂譜)·『아악생교과철』(雅樂生敎科綴)·『이왕직아악부오선악보』(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에서는 “기수영창지곡”(其壽永昌之曲: 일명 “기수영창”)으로 바뀌고, 부수적으로 괄호 속에 (“낙양춘”)이라고 쓰거나 아예 쓰지 않는 형태로 변하였다. 해방 이후 1970년대에도 “낙양춘”을 표기했으나, 여전히 “기수영창지곡”을 원제(原題), “낙양춘”을 부제(副題)로 표기했고, 2007년부터 “낙양춘”을 원제, “기수영창”을 부제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악기편성은 악보를 통하여 나타난 것들만 다뤘다. 『俗樂源譜』 권4에서는 장고점(杖鼓點)이 있어 장구가 편성됐음이 명확하다. 그런데 『俗樂源譜』 권6부터 장구가 등장하지 않았고, 이는 『雅樂部樂譜』도 마찬가지였다. 『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에서는 아악기인 절고(節鼓)가 처음으로 등장했다가 해방 이후부터 민간악기인 좌고(座鼓)로 바뀌었다. 해방 이후 1978년에 장구를 다시 편성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2007년 이후 사용하지 않는다(교습본인『樂章要覽』과 『雅樂生敎科綴』 제외). 이 외에 일제강점기에 보이지 않던 방향(方響)과 박(拍)이 해방 이후부터 다시 편성되었고, 노래가 추가되었다. 선율선의 변화 없이 음고(音高)의 교체가 있었다. 먼저 주요 5음이 아닌 2음에서 나타난 『樂章要覽』과 『俗樂源譜』 권6의 ‘姑·無’, 『俗樂源譜』 권4의 ‘夾·應’이 『雅樂部樂譜』에 이르러 각 악기보에 혼재되어 불협화음을 이루다가 『雅樂生敎科綴』을 거쳐 『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에 이르러 다수결에 의해 ‘姑·應’으로 통일되었다. 주요음 중에서는 『樂章要覽』과 『俗樂源譜』 권4, 권6 모두 ‘太·仲·太·黃’이었던 악구가 『雅樂部樂譜』에서 ‘太·林·太·黃’ ’(鐘磬·大笒· 唐笛·牙箏), ‘太·南·太·黃’(觱篥), ‘太·太·黃’(奚琴)으로 나뉘어 변하였다. 『雅樂生敎科綴』에서는 ‘太·南·太·黃’으로 나타나 다수결에 의해 ‘太·林·太·黃’으로 통일 및 연주된 것이 보였고, 『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에서 주선율인 당필률·대금은 ‘太·林·太·黃’, 종경·해금·아쟁은 ‘太·太·黃’으로 정리됐다. 『雅樂部樂譜』부터 삽입음이 나타났는데 이는 어떤 악보에서도 문헌적인 근거를 찾을 수 없었고, 음악적으로도 의도하지 않은 불협화음을 만들거나 절주를 맞지 않게 하는 방향이었다. 일제강점기의 “낙양춘”이 전승된 음악이 아니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이는 재연(再演)이라기보다 창작(創作)이고, 이러한 형태의 창작은 훼손이다. 이후 『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에서 이 삽입음들이 통일되었는데, 주선율인 당피리·대금은 가장 삽입음이 많은 『雅樂部樂譜』의 당적보(唐笛譜)로, 종경은 종경보(鐘磬譜), 해금·아쟁은 아쟁보(牙箏譜)로 선택되었다. 이들이 절주(節奏)를 맞추는 것은 주선율이 삽입음을 연주할 때 나머지 악기가 쉬거나 본음을 지속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삽입음들은 반드시 본음(本音)의 앞에만, 반드시 본음보다 음고(音高)가 위였다. 이러한 특징이 해방 이후 전승악보집 시리즈의 악상기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했다. 『樂章要覽』·『俗樂源譜』 권4까지는 각 음이 고유한 시가(時價)를 가졌고, 『俗樂源譜』 권6부터 현재까지 1음1박이다. 다만 『俗樂源譜』 권6은 1음1박만 나타나고, 그 1박이 3분박인 것은 『雅樂部樂譜』부터 시작되는데, 명시(明示)가 아니라 암시(暗示)되어 명확하지 않다. 또한 『雅樂部樂譜』부터 본음끼리 결합, 본음과 삽입음의 결합이 시작되어 1/3-2/3박, 2/3-1/3박 구조가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나, 역시 명시가 아니라 암시였다. 3분박이라는 직접적이고 명시적인 근거는 『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 이후에 찾을 수 있었다. 환입(還入)은 『樂章要覽』·『俗樂源譜』 권4, 권6까지는 모두 명기되었다. 그러나 『雅樂部樂譜』에서는 『俗樂源譜』 권6과 같은 위치에 종경(鐘磬)·필률(觱篥)·아쟁보(牙箏譜) 3종에서만 점(·)이 작게 찍혀있었고, 『雅樂生敎科綴』에도 환입을 표시한 것으로 보이는 필기만이 있었다. 『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에서는 아예 환입이 사라지고, 환입이 시작음인 南으로 음악이 끝났다. 해방 이후에는 1978년부터 다시 환입이 원래의 위치대로 연주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樂章要覽』과 『俗樂源譜』 권4의 조선조 “낙양춘”과 『俗樂源譜』 권6의 “낙양춘” 사이에는 분명한 단절이 있다. 『俗樂源譜』 권6에서는 1음1박화라는 중대한 변화가 있었고, 이후 『雅樂部樂譜』―『雅樂生敎科綴』―『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를 거치며 일어난 음고의 교체 및 결합, 그리고 근거없는 음의 삽입과 악기군에 따른 선율의 분화 등이 현행 “낙양춘”의 형성에 중대하게 작용했다. 또한 이는 전승과정 속에서가 아니라 재연과정, 더 엄밀히 훼손의 과정 속에서 일어난 것이었다. 따라서 “낙양춘”을 설명할 때 “전승과정 속에서 변하였다”는 서술은 정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현행 “낙양춘”은 조선시대가 아니라 『俗樂源譜』 권6과 1929~31년경(『雅樂部樂譜』)부터 1936~39년경(『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까지 일제강점기 약 10년 안팎의 세월동안 변화를 겪었고, 최종적으로 1936~39년경 『李王職雅樂部五線樂譜』에서 완성됐다. 이후에는 선율적인변화 없이 환입의 재사용, 편성에 방향과 박을 추가, 노래선율의 추가 등만 있었다. “Nagyangch'un” 洛陽春(Spring in Lo-yang, Lo-yang-ch'un in Chinese) is the only two of remained tangak 唐樂(Chinese-derived music), though its importance, use exp lanation without concreteness such like “As one of Song 宋 saak 詞樂(music for poe try of Sung China, tz'u-yueh in Chinese) delivered during Koryo 高麗 dynasty, “Na gyangch'un” has changed with the process of transmission until today.” This study ex amined for concrete describing the formation of “Nagyangch'un” by reviewing all the existing documents that contained the melody of “Nagyangch'un”. First of all, it needs to clear the period of documents that examined the paragraph of dots(·) in Akchang yoram 『樂章要覽』. The dot(·) was breathing marks for the taegum 大笒 and each tone in the Akchang yoram has its own rhythm, not one-tone one-beat music. Therefore “Nagyangch'un” in the Akchang yoram and the fourth volum e of Sogak wonbo 『俗樂源譜』 were the same music. The followings are the features that are founded. The name of “Nagyangch'un” du ring Choson 朝鮮 dynasty was “Nagyangch'un” and wrote by itself on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it changed to “Kisu yongch'ang chigok” 旣壽永昌之曲(“Piece of Kisu yongch'ang”, also called “Kisu yongch'ang”). Even after the post - liberation era, “Kisu yongch'ang” used as original in the 1970’s not used as second ary until 2007. As for “Kisu yongch'ang”, it has never been used as the name of “Nagyangch'un” from Koryo 高麗 to Choson dynasty. Changgu 杖鼓(hourglass drum) was necessary for Choson’s “Nagyangch'un” but di sappear in the colonial period, cholgo 節鼓(large drum) listed instead any relations with the Nagyangch'un’s identity. As same as perspective of any relations with identi ty, chwago 座鼓(seated drum) listed during liberation era and still same in today. There were some replaces of pitches without melodic variation. During the Japanes e colonial era, the scale of “Nagyangch'un” changed into ‘黃·太·姑·仲·林·南·應’(c·d· e·f·g· a·b) and these are still the same in nowadays which had never been in the Cho son period. A phrase ‘太仲太黃’(d-f-d-c) at the Choson period changed into ‘太林太黃’(d-g- d-c) and once more divided into ‘太林太黃’(d-g-d-c) and ‘太-太黃’(d-res t-d-c)’ at the colonial period. There was an existence of insertion tones without any basis of documents that ma kes impossible play as an ensemble. These insertion tones are always exactly in front of original tones and exactly higher than original tones’ pitch so make musical unnat ural and disharmony with no musical intention. It had arranged to possible that coul d play ensemble during the same era but one original melody divided into three mel odies by instrument groups and also insertion tones were never gone. Each tone had its own length and “Nagyangch'un” had its own rhythm during th e Choson period, yet changed to one-tone one-beat music while colonial era as well one beat composed with three small beats. The one beats were comprised of 1/3-2/3 and 2/3-1/3 beat forms by combined original-insertion tones or original tones themsel ves. In the Choson period, Hwanip 還入(re-entering, i.e. dal segno) was expressly mar ked but in the colonial era, it didn’t mark but hint and soon disappeared. Today, H wanip is marked correctly due to the results of some researches. In conclusion, current “Nagyangch'un” completed around 1936~1939 and there w asn’t altered of melody structure after this. The formation of the current version of “Nagyangch'un” is not transmission but distortion.

      • KCI등재

        대손충당금 규모가 재정운영 결과와 대손충당금 환입에 미치는 영향

        정성호 ( Jeong Seong-ho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4

        지방자치단체는 대손충당금을 과소하게 계상하여 재정운영 결과를 좋게 보이려고 할 유인이 있다. 본 연구는 대손충당금 규모가 재정운영 결과와 대손충당금 환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전 지방자치단체 2008 회계연도부터 2015 회계연도의 재정상태표와 재정운영표를 활용하여 패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대손충당금 규모가 커질수록 재정운영 결과 지표값은 “0” 또는 “-”에 가까워진다. 이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지방자치단체가 대손충당금을 과소하게 계상하여 재정운영 결과를 좋게 보이려는 회계선택의 개연성이 있다는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재무제표 인식상 오류를 줄이기 위해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하는 형식으로 ‘재정운영 결과’의 추계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손 충당금 규모와 대손충당금 환입규모 간 관계는 군 단위 자치단체의 미수세금 및 미수세외수입금 대손충당금만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대손충당금 설정이 대손충당금 환입으로 직접 연계되지 않는다는 방증이며, 임의조정 또는 부적절한 결손처리와 연계되어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Local governments have incentives to underestimate bad debts for soundnes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allowance for bad debts affects net operating cost and the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Toward this end, the scope of this study spans from FY 2008 to FY 2015, and the methodology employed is pan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lowance for bad debts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s, and net operating cost becomes closer to “0” or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hat local governments are likely to make accounting decisions that are designed to under-estimate the allowance for bad debts for soundness.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errors in the recognition of net operating co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ethod of estimating ‘net operating cost’ to a form that considers revenue minus expens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llowance for bad debts and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is significant (+) only at the municipal lev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the amount of the allowance for bad debts on the tax receivable of a local governmen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and is associated with the adjusted (or inadequate accounting) allowance for bad debt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부채비율이 대손충당금설정에 미치는 영향 : 특・광역시・도를 중심으로

        정성호,최수영 한국정부회계학회 2017 정부회계연구 Vol.15 No.1

        지방자치단체의 부채비율이 높으면 재정이 건전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이해관계자들은 부채비율이 높은 지방자치단체에 관심이 많아진다. 따라서 부채비율이 높은 지방자치단체는 일종의 분식 회계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다. 즉, 지방자치단체의 부채비율이 높으면 자산의 차감계정인 대손충당금과 같은 현금지출 없는 비용을 적게 설정하여 재정건전성이 높은 것처럼 보이는 회계선택을 할 유인도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부채비율이 높으면 대손충당금설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한다. 연구의 대상은 특・광역시・도이고, 범위는 2008 회계연도부터 2015 회계연도이며, 분석기법은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이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미수세금 대손충당금 및 미수세금・세외수입 대손충당금 규모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부채비율이 높은 지방자치단체일수록 대손충당금을 적게 설정하여 재정건전성을 높이려는 회계선택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재정이 건전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대손충당금 발생액의 과소 계상은 차기연도 대손충당금 환입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해 대손충당금의 조정이 차기연도 대손충당금 환입 규모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대손충당금을 임의조정하고 있다는 판단이 가능하다. 함축하면, 지방자치단체의 미수세금 및 미수세금・세외수입의 대손충당금 규모가 부채비율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과, 조정된 대손충당금은 대손충당금의 환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hen the debt ratio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s, fiscal soundness deteriorates. External stakehold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ocal governments with high debt ratios. Thus, local governments with high debt ratios are more likely to make more conservative accounting choices. On the other hand, if the debt ratio of a local government is high, there are incentives to select an accounting method that increases fiscal soundness by managing expenses, with the exception of expenditures such as allowances for loan losse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s’debt ratio on allowances for bad debts. Toward this end, the scope of the this study spans from FY 2008 to FY 2015, and the methodology employed is the Panel-Corrected Standard Err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ebt ratio of local governments, the more negative (-) the effect of the allowance for bad debts of the tax receivable. This implies that the higher the debt ratio of a local government, the lower the allowance for bad debts, and the greater the odds that the local government will choose an accounting practice that increases its fiscal soundness. Second, underestimation of the allowance for bad debts in terms of fiscal soundness reduces the reversal of loan loss provisions in the following year. This is a result of the assumption that the allowance for loan losses has been adjusted due to the debt ratio. In other words, adjustment of the allowance for bad debts will affect the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in the following ye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the amount of the allowance for bad debts of the tax receivable of a local government is related to debt ratio. Additionally, we confirm that the adjusted allowance for bad debts affects the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 KCI등재

        한국음악 ‘도드리[還入]’의 미학적 의미

        강유경(Kang Yu kyoung)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5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전통음악에 있어 파생 및 반복을 거듭하며 시대 속에 함께 해 온 도드리음악에 주목하여 도드리 음악의 내면성 및 그 음악이 추구하는 경지와 의미를 儒家美學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도드리는 한국 전통음악 중 正樂에 포함되는데 정악의 대부분에서는 다양한 도드리[還入]의 이름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런데 ‘정악’이라는 글자의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음악이 추구하는 ‘바른 음악’은 도드리 용어와 관련하여 ‘되돌아든다’라는 본원세계지향의 내면사상과 연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드리는 한국 전통음악에 있어 풍류음악과 관련되는데, 이는 신라시대 玄妙之道라는 풍류사상에서 출발하여, 조선시대에 이르러 儒家의 학문ㆍ사상과 접목되면서 선비의 실천적 수양공부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즉 조선시대 선비의 실천적 수양공부의 궁극적 목표는 “사사로운 자기의 욕심을 극복하고 예를 회복 함[克己復禮]으로써 뜻을 정성스럽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고[誠意ㆍ正心] 참마음으로 돌아가 자기의 본성을 분명히 깨달아 알며[盡其心者, 知其性也.], 궁극적으로는 천명을 깨달아[知其性則知天矣.] 천인합일의 경지에 이른다.”는 것인데, 이는 거문고음악의 내면적 지향이라 할 수 있는 琴道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따라서 도드리는 유가미학적 입장에서 볼 때 본원세계의 道를 지향하는 음악 내면의 철학적이고도 상징성을 띤 악곡의 명칭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변천을 거듭해 왔지만 끊임없는 도의 작용을 음악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오늘날 향악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는 대표적인 악곡에 대한 명칭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한편 한국 전통음악의 정악과 관련하여 그것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경지는 그 향유층 및 문인 선비들의 이념적 사고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악곡에 있어서도 ‘도드리’라는 이름으로 시대와 함께 거듭 내려 온 것에 매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이는 곧 ‘이상적인 정감의 실천적인 예술작품의 구현’이라는데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드리의 ‘되돌아든다’는 의미와 관련하여 본원세계로의 환원과 도의작용이라는 상징적 원리는 미래음악의 핵심적 역할로 거듭될 것임을 확신한다. 이것은 수 세기를 통해 많은 변화를 거쳐 음악적 파생을 거듭하며 형성ㆍ발전되어 오면서도, 끊임없는 도의 작용을 음악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는 의미로 과거에도, 오늘날에도, 미래에도 함께 할 예술의 끊임없는 구동력이 되는 용어이자 ‘도드리 정신’이라고도 할 수 있다. ‘Dodeuri music’ have been together in age with repetitive reiteration and derivatives in Korea Traditional Music A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examine the inner essence, the pursuit state and means of ‘Dodeuri music’ with a Confucian Aesthetics view. ‘Dodeuri’ which is the research topic comes under the Jeong-ak(正樂) of Korea s traditional music. A veriety of name ‘dodeuri[Reversal(還入)]’ are verified in most of Jeong-ak (正樂) field. As we can see in the sense of the letter of ‘Jeong-ak’, ‘The proper music[jeong-ak(正樂)]’ which is pursuit of this music can be connected with the inner world-oriented thought to accomplish one s long-chrished wishes by the related terms of ‘Dodeuri[Reversal(還入)]’. Because ‘Dodeuri’ is related with Tasteful Music[風流音樂]of Korea s traditional music, It is starting from Tasteful thought[風流思想] of profound idea[玄妙之道] in Silla Dynasty, and grafted onto confucian academic ideas in Joseon Dynasty. In doing so, ‘Dodeuri’ has been closely related with praitcal self-discipline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the ultimate goal of praitcal self-discipline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period is reach a high degree of ‘The Unity of Nature and Human[天人合一]’. The goal is achieved by recover the proprieties of his through overcome his own personal greed[克己復禮], and by establish elaborate will and be a person with an upright soul[誠意ㆍ正心], and by clearly find out his human nature by virture of an upright soul[盡其心者, 知其性也.]. By the way this is in line with a ‘Geum Spirit[琴道]’ which is inner-oriented goal of ‘Geomungo [琴]’ music. Therefore, ‘Dodeuri’ can be philosophical and symbolic name of music which is inner world-oriented music thought to accomplish one s long-chrished wishes with a Confucian Aesthetics view. And it can be the representive name of music which is acting as the pivotal role of today s Hyang-ak(鄕樂). Because it has been musically exemplified the continuous action of “Do(道)” which has been changed throughtout the ages. Meanwhile, with reference to “the Jeon-gak” of Korea s traditional music, the ultimate state of ‘Dodeuri’ is not finished with philosophical thought of Confucian Scholar and enjoyer group but has been handed down among actual name of music area by the name of ‘Dodeuri’ together with ages. Because it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implement the practical works of art with ideal emotion. Also, with reference to the meaning of ‘Dodeuri[Reversal(還入)]’, it s symbolic principle which are return to the inner world-oriented music thought and action of “Do(道)” will surely perform a key role in the future music. It is the meaning of that notwhitstanding ‘Dodeuri’ has been repeated musically derived, formed, developed with several changes for ages, it has been kept musically exemplified the continuous action of “Do” which has been changed throughtout the ages. That is to say, ‘Dodeuri’ is the terms of continuous Actuating Force of art together with past, today, and future. We can say this as a ‘Dodeuri Spirit’.

      • KCI등재후보

        『 한금신보』영산회상환입과 『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임병옥 국립국악원 2012 국악원논문집 Vol.25 No.-

        Yeongsanhoesang and Yeongsanhoesanggaptan are appeared in Eoeunbo. 'Gaptan' in Yeongsanhoesanggaptan is 'Gopnori'. There has been an opinion that 'Gap' and 'Tan' correspond to 'Gop' and 'Nori' respectively. 'Gop' is the abbreviation of 'Gopjeol' and 'Tan' or 'Nori' means a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Therefore, 'Gopnori' means a 'playing by double high tone'. 'Playing by double high tone' has the similar meaning to playing Soeneun Garak among Piri melodies in the current Yeomillak and seems to play higher notes than the original melodies. Therefore, Yeongsanhoesanggaptan means a 'playing Yeongsanhoesang by raising to higher note'. Yeongsanhoesanggaptan in Eoeunbo is a 'playing Yeongsanhoesanghwanip in Hangeumsinbo by raising to higher tone'. At that time when Hangeumsinbo was published, Yeongsanhoesang was played and Bonhwanip was played successively, then Yeongsanhoesanghwanip and Yeongsanhoesangjeji were played continuously. Because it is boring to play the tunes of the same family performed with Geomungo 4Gwae repeatedly, the playing Yeongsanhoesanghwanip which is the third musical piece, by raising to 7Gwae is Yeongsanhoesanggaptan in Eoeunbo. Yeongsanhoesanggaptan in Eoeunbo derived from Yeongsanhoesanghwanip in Hangeumsinbo has the structure of both the current Sangnyeongsan and the current Jungnyeongsan. 『어은보』에는 영산회상과 영산회상갑탄이 나타난다. 영산회상갑탄에서 ‘갑탄’은 ‘곱노리’이다. 갑탄에서 ‘갑’은 ‘곱’이고 탄은 ‘노리’라는 견해가 있다. ‘곱’은 ‘곱절’의 준말이고 ‘탄’ 또는 ‘노리’는 ‘연주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곱노리’는 곱절로 올려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곱절로 올려서 연주하는 것은 현행 여민락의 피리선율 중에서 쇠는 가락을 연주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이며, 원래의 선율보다 높은 음으로 연주하는 것을 뜻하는 것 같다. 따라서 영산회상갑탄은 영산회상을 높은 음으로 올려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은 『한금신보』영산회상환입을 곱절로 올려서 연주한 것이다. 『한금신보』가 편찬된 시기에는 영산회상을 연주하고, 이어서 본환입을 연주한 후에 계속하여 영산회상환입과 영산회상제지를 연주하였다. 거문고 4괘로 연주하는 동일한 계통의 악곡을 계속하여 반복 연주하는 것이 지루하기 때문에 세 번째 반복하는 악곡인 영산회상환입을 7괘로 올려서 연주한 것이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이다.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은 모두 14소절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갑탄의 14소절 중에서 제3소절은 제7소절과 동일하다. 또한 영산회상갑탄의 제11소절과 제14소절이 동일하다. 각각의 동일한 선율이 종지 선율 역할을 한다고 가정하여 영산회상갑탄을 4장으로 나누면 영산회상갑탄을 현행 상령산의 분장 형태와 같은 초장 3소절, 제2장 4소절, 제3장 4소절, 제4장 3소절로 나눌 수 있다. 영산회상갑탄의 동일한 선율인 제11소절과 제14소절과 동일한 선율이 제4소절과 제8소절에서도 나타난다. 각각의 동일한 선율이 종지 선율 역할을 한다면 영산회상갑탄을 현행 중령산의 분장 형태와 같은 초장 4소절, 제2장 4소절, 제3장 4소절, 제4장 3소절로 구분할 수도 있다. 『한금신보』영산회상환입에서 파생된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은 총 14소절로 구성되어 있고, 현행 상령산의 구조와 현행 중령산의 구조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 KCI등재

        자산손상회계와 경영자 영업이익예측 간의 관련성

        박범진 한국회계정책학회 2019 회계와 정책연구 Vol.24 No.3

        [Purpose]Previous studies on asset impairment accounting argue that managerial discretion of asset impairment accounting is exploited to achieve opportunistic objectives, but the issue on whether managers use asset impairment accounting to meet their self-reported operating earnings forecasts have been overlooke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versal of impairment loss and the impairment loss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meeting expected operating earnings forecasts and whether the impairment loss is utilized as a means of income smoothing or a big bath strategy. [Methodology]This study analyzed 447 firm-year observations listed on KOSPI from 2008 to 2017.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to verify the effect of asset impairment accounting on managers’ operating profit forecast. [Findings]The results show that recognition of reversal of impairment loss is not related to managerial operating profit forecast error and its accuracy, but recognition of impairment loss is related to large operating profit forecast error and its low accur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agers use asset impairment accounting differently to comply with operating profit forecasts and impairment losses are used for big bath strategy. Furthermore, since the error and accuracy of operating profit before the recognition of the impairment loss were relatively small as the magnitude of the impairment loss increased, this once again supports the assertion that the impairment loss was utilized for the big bath strategy. [Policy Implications]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icient allocation of limited resources in the capital market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of stakeholders. [연구목적]자산손상회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자산손상회계에 대한 경영자의 재량성이 기회주의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활용된다고 주장하면서도 경영자가 그들이 제시한 영업이익 예측치에 부합(meeting)하기 위해 자산손상회계를 활용하는지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손상차손환입 및 손상차손의 인식이 경영자의 영업이익예측 부합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손상차손이 이익유연화(income smoothing)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것인지 아니면, 빅배스(big bath)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것인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거래된 기업들 중 선정조건에 맞는 기업-연 447개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산손상회계가 경영자 영업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multiple regression)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본 연구의 결과에서 손상차손환입의 인식은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오차 및 예측정확성과는 관련이 없었지만, 손상차손의 인식은 영업이익의 예측오차 증가 및 예측정확성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가 영업이익예측 부합에 자산손상회계를 차별적으로 활용하며 손상차손은 빅배스 전략을 위해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손상차손 인식 전 영업이익 예측오차(예측정확성)은 손상차손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감소(증가)되었기 때문에 손상차손은 빅배스 전략을 위해 활용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정책적 시사점]본 연구는 자산손상회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 자본시장에서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이해관계자들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