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실습 전 현장적응교육이 치위생과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은(Myung-Eun Kim),김희경(Hee-K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에게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한 후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15시간 동안 현장적응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였고 교육 후 간접 및 직접 실기 평가를 통해 실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현장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전후비교는 paired t-test,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현장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육 수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및 직접실무능력은 교육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교육만족도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현장실습만족도 중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 영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에 따라 현장적응교육은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이므로 향후 다양한 적응 교육을 개발하여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confidence and executive ability after conducting field adaptation education to dental hygiene students who start their first field practice. Thirty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evaluated with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evaluation of practical skill before and after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5 hours. Also field practic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fter field practice.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executive ability, and direct practical ability before and after education.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s a results,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practical skills of after field adaptation program were increased than before that(p<0.05).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howe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sub-regions correlated with “education content” and “support of field practice” among the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ub-regions(p<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nagement various adapt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as it increases the adaptability of the first field practice and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 KCI등재

        신규간호사 및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 조사

        김숙정,지혜련,임유진,김남영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tention to stay, field adaptation, and educational demands between the new nurses and reemployment nurses. This research was done to create a base for a program that will improve field adaptation, and to prevent dropping out or moving.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stay of the 48 new nurses and 48 reemployment nurses (t = -2.10, p = .038),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eld adap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 = -1.48, p = .142 ). Finally, the subjects responded with the topics they would most like to learn about emergency patient care. Throug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intention to stay in hospital.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비교하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현장적응력을 강화하고 이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비교조사연구를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을 졸업한 신규간호사 48명과 6개월 이상의 경력단절기간을 가진 후 재취업한 간호사 48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 차이는 결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현장적응 정도는 신규간호사의 가족 부양의 책임 유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 두 군간의 재직의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t=-2.10, p=.038), 현장적응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48, p=.142).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이 가장 원하는 직무교육 주제는 응급환자간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현장적응을 강화하고 재직의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현장실습 적응에 관한 연구

        박경미(Park ky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현장실습 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현장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3,4학년 학생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5월 3일부터 6월 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현장실습 적응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중 실습환경과 환자와의 갈등, 사회적 지지 중 평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가 현장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현장실습 적응을 46%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장실습 적응을 높이기 위해 임상실습 중 실습환경 및 환자갈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중 평가적, 정서적 지지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ocial support and field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field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ing students in grades 3 and 4 and collected data from May 3 to June 3, 2019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ocial support, and field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practice environment, the conflict with patients, the evaluation support and the emotional support among the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field practice adaptation.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46% of the field practice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onsiders the emotional and emotional suppor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and patient conflict and the social support during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on-site practical adaptation.

      • KCI등재

        현장실습이 지적장애 전공과 학생의 사회적응도와 직업흥미에 미치는 영향

        임옥,정은희,김태강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eld practice on social adaption scale and vocational interests of the majoring cours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Pre- and post-test research designs were applied to 6 student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majoring course and pre-post-change changes were compared through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First, on-the field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ocial adaption scale of the majoring cours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articular, it has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areas of social independence and occupational life. Second, there was a change in vocational interests through field practice. Interest in the automobile maintenance, restaurant service, and interpersonal service area has increased, especially in the area of vocational interests. Conclusion: In this paper, the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reflecting on the majoring course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social adaption scale was enhanced and interested by choosing a job according to vocational interests and learn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장실습이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응도와 직업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지적장애학교 전공과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설계를 적용하였고, 사전-사후의 변화는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장실습은 지적장애 전공과 학생의 사회적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사회자립 영역과 직업생활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현장실습을 통하여 직업흥미에 변화가 있었다. 직업흥미 영역 중 특히 자동차 정비, 식당서비스, 대인서비스 영역의 흥미도가 높아졌다. 결론: 직업흥미에 따라 직종을 선택하고 배움으로서 사회적응력이 향상되고 흥미를 갖게 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과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하는 것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습부진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이정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for underachieving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purpose, both a literature survey and a forming research were applied. In the literature survey, keyword was determined as ‘underachievemen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lass model’ and a draft model was drawn by deriving the core value and core processes of the model. And that, improvement points were extracted after applying the draft model to the field. The draft mode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form the completed model. The core value of the model was as follows; (1) ‘Strengthening of an underachieving student’s foundation of support through an organic rela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2) ‘Raising of a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e study experience of actual problem solving’, (3) ‘Developing of a community spirit and a collaboration ability’. The core processes were divided into “pre-class activity”, “in class activity” and “post-class activity”. Detail activity process was derived in all 11 steps. It was extracted as step of a LMS system formation, an academic warning recipient check, an advance curriculum notification, a looking back (self-searching, self-understanding, in-depth self-interview), overcoming together (real problem sharing, data collection, cooperation, discussion, mutual exchanges and results presentation), an assessment (self-evaluation, peer evaluation, team assessment) and a reflection (self-reflection, team reflec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the student who had academic difficulties in university of the experience and the knowledge to be able to overcome and become independently, and give the basic data for successful university life for them through this study. 본 연구는 학습부진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형성 연구를 함께 사용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주요어를‘학습부진’과‘대학생활적응’,‘수업 모형’으로 결정하고 모형의 핵심가치와 핵심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였다. 이후, 모형의 초안을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개선점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형의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완성된 형태의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 결과 모형의 핵심가치는 첫째,‘교수자와 학습자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학습부진학생의 지지기반을 강화한다.’둘째,‘실제적 문제 해결의 학습경험을 통해 반성적 사고를 기른다.’셋째,‘팀 활동 경험을 통해 공동체의식과 협업력을 기른다.’로 도출되었다. 핵심 프로세스는 수업 전 활동과 수업 중 활동 그리고 수업 후 활동으로 나누어졌다. 세부 활동 프로 세스는 총 11단계로 도출되었다. LMS 환경 구축, 학사경고대상 확인 및 교과목 사전 안내, 자기 돌아 보기(자기 탐색하기, 자기 이해하기, 심층 면담하기), 함께 극복하기(실제 문제 공유하기, 자료수집하 기, 협업, 토의, 교류하기, 결과물 발표하기), 평가(자기평가, 동료평가, 팀 평가)하기, 성찰(자기 성찰, 팀 성찰)하기 단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학업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이 스스로 극복하고 자립할 수 있는 경험과 지식을 제공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업 존중감과 직무만족 및 현장적응에 관한 연구

        강미 ( Kang Mee ),강경숙 ( Kang Kyung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서의 간호 인력관리방안을 개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G광역시에 소재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9월 20일부터 10월 15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한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종교, 결혼여부, 총 임상근무 경력, 급여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현장적응은 연령, 종교, 결혼여부, 총 임상근무 경력, 간호직 선택 동기, 부서이동 경험, 급여수준, 직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직업 존중감은 직무만족과 현장적응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직무만족과 현장적응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업 존중감과 직무만족이 현장적응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for the nursing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ose participants were 213 nurses working for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in G city, between September 20th and October 15th in the year of 2014. The data analysis methods are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PSS/WIN 19.0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the nurses` job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marital status, total clinical experiences, and salary level. Also, the field adaptation did so according to age, religion, marital status, total clinical working career, motivation of becoming a nurse, experience of transfer to different departments, salary level, and position in a working place.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job esteem, their job satisfaction, and field adaption. In conclusion, the job esteem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were identified as major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ir field adaptation.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프로그램 영향평가: 대구 중학교 무작위통제실험 사례를 중심으로

        김부열,박윤수,신은철,이주호 한국응용경제학회 2022 응용경제 Vol.24 No.4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daptive learning program provided to 266 students in one middle school in Daegu city, South Korea. While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line and endline academic performance, we do not find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of the adaptive learning program. However,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by deciles shows that there is 0.358 standard deviation improvement for the first decile group. Given the very low attendance and task completion rates of the adaptive learning program, how to increase the adoption for this type of education technology is a prerequisite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대구시에 위치한 중학교 1개교에 재학 중인 266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온라인학습기기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무작위통제실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기초 및 기말 진단고사 성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온라인학습기기의 평균처치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분위회귀분석을 통해 하위 10% 학생들의 학업성과가 0.358 표준편차만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처치집단 학생들의 저조한 프로그램 출석률과 수행률을 고려할 때,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프로그램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용관련 고교의 교과과정 만족도 분석 -인천의 B학교를 중심으로

        김남연,김미현,김창숙,임미혜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The beauty high school is recognized with an important center of the manpower supply and actively operated as a beauty industry develops as a high-value added one. For this, an investigation on the satisfaction with a curriculum was conducted among 263 senior students in an beauty high school to know how well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the teaching conte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The beauty high school students mostly have chosen the hair field, and then skincare, make-up and lastly nailcare, etc as a detailed majors. They were not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vision of beauty-industry while they were choosing their own detailed major. Th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level of curriculum but they were not as satisfied as the curriculum level with on-the-job-training when asked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They wanted improvement on a training environment when asked about a course management. Therefore we need a development and complement of curriculum about field adaptation ability.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was higher in the students who considered an attitude for beautycare and employment and then entered the school with their own decision than the ones who entered the school because of a middle school grade.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needed to receive an academic aptitude test and a carrier education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The researchers here tried to provide a basic data to seek for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educational policy of beauty high school which is an important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urns out beauty industry's talents. Detailed analysis of curriculum for beautycare high school will be necessary later. 뷰티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발전함에 따라 미용관련 고등학교는 중요한 인력공급의 중추 교육기관으로 인정받아 보다 많이 활성화 되어 운영 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뷰티산업에서 요구하는 교과과정을 확립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인천시내 미용관련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관련고교 학생들은 세부 전공으로 헤어분야를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피부, 메이크업 및 네일 순으로 선택하였고 이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산업의 전망에 대한 인식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교과과정의 내용에 있어서 교과목 난이도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적응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현장 적응 능력 개발을 위한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과운영에서는 실습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 적응 교육 및 심화실기 교육 등 현장 실무에 관한 교과과정에 대한 보완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적성이나 취업을 고려하여 자의적으로 판단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중학교 성적 때문에 타의적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과과정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교입시를 위하여 적성검사 등 진로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는 뷰티산업의 인재를 배출해 내는 중요한 교육기관인 미용관련 고교가 현장의 요구에 부흥하는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교육방향을 모색하고 교육정책으로 수립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추후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