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몽과 멋진 신세계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

        이하준 ( Lee Ha-ju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헉슬리와 아도르노는 도구적 이성의 부정성을 소설과 철학이라는 언어적 문법을 통해 보여준다. 이들의 문명비판에 대한 문제제기와 내용의 상당한 근친성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논점들을 면밀하게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들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이논문은 아도르노의 시각에서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다시 읽기를 검토한다. 아도르노와 헉슬리는 지배이념과 지배방식을 구현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의 분석, 지배의 심리학, 자유의 상실에 대한 비판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계몽의 계몽, 문명의 독을 해결하는 방식은 사회의 구조변화와 개인적 탈주 및 부분적 개선이라는 상이한 전략을 취한다.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는 자신의 철학적 관점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명료성과 난점들을 동시에 갖는다. 헉슬리에 대한 아도르노 비판의 주요내용은 보수주의적 색채, 정신문화에 대한 관념론적 동경, 실증주의적 성격, 무정부적 개인주의, 지배의 공고화를 위한 암묵적 기여, 사회적 해방을 위한 실천적 계기성의 결핍으로 요약될 수 있다.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는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수행되는 난점과 다시 읽기의 텍스트적 근거의 제한성에서 오는 한계가 있다. 헉슬리의 포드 사회에 대한 선취적 비판과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의 논점들은 알파고 시대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 하나의 길을 제시한다. Huxley and Adorno show the negativity of instrumental reason by taking linguistic grammar of novel and philosophy. Although there is a considerable similarity in the way of raising questions and its contents on their criticisms of civilization, it is hard to find out any carefully examined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Huxley’s and Adorno’s arguments of the above issu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Huxley’s Brave New World from Adorno``s perspective on Huxley, namely Rereading Huxley. There seems considerable familiarity in both Adorno’s and Huxley’s analysis of social mechanism, the realization of ruling ideology, and the criticisms of the loss of freedom. But their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namely the poison of civilization, seems to be a different strategy that would show ‘changing the social structure’, ‘individual escape’, and ‘partial improvement’ under the existing social conditions. Adorno``s ‘Rereading Huxley’ seems to have both clarity and difficulties simultaneously because it starts from only Adorno’s own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main contents of Adorno``s criticism on Huxley could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words: conservative color, idealistic yearn for spiritual culture, a positivistic character, anarchic individualism, implicit contributing to consolidation of domination, and the lack of practical force for the social emancipation. It seems quite certain that Adorno``s ‘Rereading Huxley’ reaches the limit caused by the matter of ideological aspects and the application of the limited text. This paper finally opens up the way of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era alpago throughout the examination of Huxley``s preceding criticisms of Ford Society and the issues of Adorno``s ‘Rereading Huxley’.

      • KCI등재

        풍자소설과 세계문학: 식민지 시기 올더스 헉슬리의 수용 양상

        김미연 한국비교문학회 2023 比較文學 Vol.- No.90

        This paper analyzes the pattern of Alders Huxley’s acceptance in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Although Huxley is now known as a ‘scientific novelist’, the discussion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it would have been the same way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To analyze this, the following contents were reviewed. First, this paper confirmed that Huxley’s discourse occurred in the academy. The first people to introduce Huxley were English literature majors. Among them, Choi Jae-seo and Kim Young-seok were particularly prominent. The two presented academic reviews beyond introduction. Many contemporary studies were reflected in the two’s reviews, and in-depth analysis was attempted than in the previous era. The interest of English literature majors was similar in Japan. This meant that Huxley’s literature was immediately approved as ‘world literature.’ Secondly, this study scrutinizes the contextual circumstances in which Huxley was designated as a ‘satirical novelist.’ The introduction of Huxley’s literary works accentuated the post-World War I epoch, wherein cynicism and skepticism, characteristic of post-war literature, were prominently discernible in Huxley’s writings. Choi Jae-seo interprets these features as manifestations of Huxley’s ‘self-satire.’ Thirdly, the research analyzes Point Counter Point and Brave New World from the vantage point of ‘satirical novels.’ The former actively introduces a character archetype embroiled in a conflict between ‘reason’ and ‘instinct.’ Choi Jae-seo perceives the portrayal of the wandering intellectual type as reflective of ‘crippled humanity’, thereby broadening the scope of understanding English literature during the 1920s. The latter work is classified as both ‘science fiction’ and ‘satirical fiction.’ Operating on the premise that scientific progress does not guarantee human happiness, it is regarded as a cautionary tale against homogeneity and the erosion of individuality. Consequently, this study holds the significance of reconstructing the discourse that took shape within the colonial shipbuilding milieu, capturing Huxley’s arrival to critique the prevailing zeitgeist through the technique of ‘satire.’ 이 논문은 올더스 헉슬리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 수용된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헉슬리는 현재 『멋진 신세계』의 ‘과학소설가’로 각인되어 있지만, 처음부터 과연 동일한 호명 방식이었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분석하기위해 다음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헉슬리의 수용은 아카데미의 자장에서 발생하였다. 수용 초기의 주축은 영문학자였다. 그 가운데 특히 두드러진 인물은 최재서와 김영석이다. 두 사람은 소개 차원을 넘어 학술적인 평론을 발표하였다. 두 사람의 평론에는 동시대 영미문학 연구서가 다수 반영되어 있었으며 앞선 시대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수행되었다. 일본의 영문학자들 역시 상당한 관심을 가졌고, 번역과 평론이 다수 발표되었다. 결과적으로 아카데미의 조명을 바탕으로헉슬리의 문학이 곧장 ‘세계문학’으로 승인되었다. 둘째, ‘풍자소설가’로 호명된 맥락을 분석하였다. 헉슬리의 문학이 유입되며 강조된 것은 1차대전 이후의 시대적 상황이다. 헉슬리의 초기 문학에는 1차대전 후의 냉소와 회의가 점철되어있었고, 자신이 속한 지식인 계급의 무력감과 퇴폐를 집중적으로 비판하였다. 최재서는 이러한 헉슬리의 ‘자기 풍자’를 각별히 주목하였다. 셋째, 『연애대위법』과『멋진 신세계』를 ‘풍자소설’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전자의 경우 ‘이성’과 ‘본능’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물 유형이 적극적으로 소개되었다. 최재서는 방황하는 지식인 유형을 ‘불구의 인간성’으로 해석하여 1차대전 이후에 창작된 영국 문학의 이해를 넓혔다. 후자의 경우 ‘과학소설’과 ‘풍자소설’로 명명되었다. 과학의 진보가 인간의 행복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획일화된 사회와 개성의 절멸을 경고하는 소설로 독해된 것이 핵심이다. 이 연구는 ‘풍자’의 기법으로 시대를 비판한 헉슬리가 도착한 장면을 포착하여 식민지 조선에서 형성된 학술적인 담론을 재구성해 보았다.

      • KCI등재

        토머스 헉슬리와 자연에서 인간의 위치

        김기윤 ( Kim Ki-y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3 No.-

        토머스 헉슬리의 『자연에서 인간의 위치』는 현대 체질인류학의 정립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 책이며 찰스 다윈의 진화이론을 인간의 영역으로 확장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문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에서 헉슬리는 인간의 진화는 분명한 사실이며, 이를 설명하려는 자연선택이라는 다윈의 가설은 종교적 또는 사변적 신념에 기대지 않는 가장 훌륭한, 아니 유일한 이론임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생물학적 자아란 인간의 형상이 신보다는 동물을 닮았다는 깨달음을 뜻하는 것이었고, 그 생물학적 자아의 존재를 깨닫게 하기 위해 헉슬리는 자신을 ‘다윈의 불독’으로 자칭하면서 윌버포스 주교와 같은 당시의 종교인들과 ‘격돌’을 벌였으며, 진리의 확신에 찬 ‘과학인’을 자처하면서 리처드 오웬과 같은‘아마추어’와 싸움을 벌였다고 이해되어 왔다. 그리고 『자연에서 인간의 위치』는 이 격돌의 결정(結晶) 으로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그 논쟁의 실제 상황을 복원해 보고 또 헉슬리 자신의 삶을 영국빅토리아 시대의 맥락 속에서 살피는 역사적 분석은 전혀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 분석에서 헉슬리는 자신과 아마추어 과학자 사이에, 그리고 자신과 종교인들 사이에 공론장을 만들기 위해 전투적인 수사를 동원하고 있었다. 그렇게 ``보여주기 전투``를 통해 만든 공론장을 통해 헉슬리는 당대의 종교인들이나 여타 지식인들과 함께 사회의 질서를 버텨 주는 문화적 권위를 만들고 지키려했다. 그리고 그 전투의 배경에는 당시의 문화와 과학은 물론 헉슬리 자신의 개인적 삶과 신념의 그림자들이 선명히 스며들어 있었다. Thomas Henry Huxley``s Man``s Place in Nature has been known well as important literature initiated modern physical anthropology. More famous image attached to the book has been its author``s role as an advocate of Charles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indeed, in the book, Huxley claims the plausibility, if not veracity, of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Through his convincing argument in the book, Huxley carved out man``s biological self as a physical entity; and such image of man came to be the basis of our own modern self.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mage of Huxley as Darwin``s bulldog, he embarked fierce battles against religious establishment represented by Bishop Wilberforce and against aristocratic scientific community represented by ``British Cuvier`` Richard Owen, in order to let them recognize that man is closer to the beasts than to the God. Furthermore, according to Huxley, man of science was truly qualified authority on the discussions about man``s place in nature, which had been known as the question of questions which had been the territory of religion and philosophy. Yet, Detailed analysis on the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around the publication of his book provides us of a surprising new perspective on the issue: Huxley was one of the public moralists who tried to reestablish cultural authority of the society working with, as well as fighting against, the other formerly established religious and aristocratic establishments. And during the process of his struggle to get such a goal, his personal experiences as well as his contemporary culture provided him of significant insights on his contemplations about man``s place in nature.

      • KCI등재

        다윈과 헉슬리: 진화론, 자유주의, 그리고 제국주의

        김기윤 ( Kim Ki-y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7 No.-

        1859년 12월,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판되고 다음 해에 토머스 헉슬리의 서평이 『웨스트민스터 리뷰』에 실렸다. 서평에서 헉슬리는 『종의 기원』이 “자유주의 병기고의 진정한 신무기”라 지적했다. 헉슬리가 말하는 자유주의란 1830년대 일련의 법안개혁을 전후하여 강력한 정치세력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전문직업인들과 산업계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중산층을 대변하는 사회의식이었으며, 헨리 브로엄과 해리엇 마티노를 통하여 잘 알려진 휘그 자유주의자들의 정치의식이었다. 이들의 자유주의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반 영국 내 비국교도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고전적인 자유주의와는 결을 달리하면서 개인의 자유는 물론 개인의 의지와 도덕률 그리고 근면과 절제를 강조하며 경쟁을 인정하고 장려하는 정치적 사상이었다. 19세기 전반 영국에서 진화론은 라마르크의 진화이론에 기초하여 환경과 제도의 변화를 통해 인간과 사회를 바꿀 수 있다는 혁명적 사회이론으로 여겨졌으며, 진화론의 주창자들은 사회의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다윈은 자신의 진화론이 라마르크의 진화론과는 다르다는 점을 애써 강조했다. 자연선택은 개인의 노력과 능력에 무게를 두면서 선거법을 개정하고 새로운 구빈법안을 시행하는 휘그 자유주의자들의 생각을 뒷받침하는 이론이기도 했다. 그런데 1870년대에 접어들면서 복잡해지는 산업사회의 환경 속에서 개인 간의 경쟁보다 개인의 자유와 계발을 위한 협동과 국가의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한다. 다윈의 『인간의 유래』가 보여주는 사회성의 진화 이론은 이렇게 변화된 자유주의 담론을 뒷받침해 주는 일종의 도덕론이었다. 한편, 1870년대에 헉슬리는 개인의 노력이 결실을 맺고 진정한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국가가 아동의 교육이나 주민의 위생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면서, 고전적인 자유주의자였던 허버트 스펜서와 갈등을 빚는다. 1880년대부터는 일련의 법안개혁을 통해서도 정의가 실현되지 않았다고 보는 여러 부류의 인물들이 사회주의를 주창하게 되는데, 이들과도 헉슬리는 갈등을 빚는다. 국가의 관리자 역할을 오래 해 온 제국의 관리 헉슬리에게, 스펜서의 자유방임주의나 사회주의자들의 평등한 사회의 꿈은 모두 사회, 국가, 나아가 제국의 지속적인 진보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으로 보였다 As soon as Charles Darwin`s On The Origin of Species was published, Thomas Huxley wrote a judiciously favorable review of the book. In the review Huxley described the book as a "veritable Whitworth Gun in the armory of liberalism." The liberalism Huxley referred to was the Whig liberalism which had been advocated by Harriet Martineau and Henry Brougham since 1830s, side by side with a series of social reform bills. The backbone of the Whig liberalism were newly appearing middle class members from industrial and professional sectors who deplored `old corruption` related with the institutions of aristocracy and national church. Huxley noticed that Darwin`s theory on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was a hypothesis supporting the Whig liberal ideology emphasizing the social improvement through individual virtue and competition. And Darwin was in fact tried to emphasize the competitive aspects of nature in order to segregate his idea from the Lamarckian evolutionary idea that had been conceived as an idea associated with revolutionary reform movement of radical thinkers. However, from the 1870s, variety of social problems caused by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ociety seemed to be too serious to let the solution left to the individual members of society. And Darwin`s Descent of Man contains arguments underpinning collectivist`s moral sentiment that the new liberals wanted to hear about.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compulsory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level students around 1870s was the reaction of those new liberal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tate`s active role for the liberal cause. And this collectivist turn of the liberalism was to be a significant ingredient of the `imperial archive` for the next generation of the public moralists of the British empire.

      • KCI등재

        과학의 고전읽기 교육사례 연구 ― 토머스 헉슬리의 로마니즈 강연 「진화와 윤리」를 중심으로

        이경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 example for reading science classics focusing on Thomas Huxley’s Romanes lecture, “Evolution and Ethics”. “Evolution and Ethics”, which Huxley proposed in his later years, opposes the thoughts of the intellectuals and laborers at the time who proposed radical social reformation applying the evolution theory of the nature to society. Thus, what can be clearly recognized from his work is Huxley's thought that the progress of human society cannot be interpreted based on the evolution theory of the nature. By emphasizing on the law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s the principal of the natural evolution, Huxley asserts that the evolution of the nature cannot coexist with ethical principles of human society. In contrast, he delineates that the social progress was achieved through the progress of not only technology but also ethics and the purpose of social progress is the realization of ethical process. The central educational methods for studying “Evolution and Ethics” are putting forth questions about the work and group discussions, utilizing video material, and implementing writing assignments. First, the instructor presents questions so that students may have group discussion about comprehending the text and main ideas, and how the content of the work relates to contemporary society. Second, to examine limits to Huxley’s thoughts, presentations and debates on a movie about the animal world in which community is maintained not through competition but cooperation are proceeded. Third, to intensify students’ comprehension ability and extend their thoughts, academic writing assignments on various topics related to the text are implemented. Huxley’s “Evolution and Ethics”, which deals with various thoughts such as science, society, ethics, etc, is an effective work to educate not only scientific knowledge and thinking but also convergence thinking in liberal arts courses for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본 논문은 토머스 헉슬리의 로마니즈 강연 진화와 윤리를 중심으로 진행한 과학의 고전읽기 교육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헉슬리가 만년에 발표한 진화와 윤리는 당시 영국의 지식인과 노동자들이 자연세계의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하며 급진적인 사회개혁 사상을 주장한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작품에서 명료하게 인식되는 것은 인간사회의 진보를 자연의 진화이론에 입각하여 해석할 수 없다는 헉슬리의 사유이다. 헉슬리는 자연의 진화 원리로서 무엇보다 생존경쟁의 법칙을 강조함으로써, 자연세계의 진화는 인간사회의 윤리적 원리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인간사회의 진보는 기술문명 뿐만 아니라 윤리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진 것이며, 인간사회 진보의 목적은 윤리적 과정의 실현이라고 기술한다. 작품 고찰을 위한 주요 교육적 방법은 발문제시와 조별토의, 영상자료의 활용, 글쓰기 과제의 실행이다. 첫째, 교수자는 발문을 제시하여 텍스트 읽기와 주제 이해, 작품내용과 현재 사회의 연관성에 관한 학생들의 조별토의를 시도한다. 둘째, 헉슬리의 사상적 한계를 살펴보기 위해 경쟁이 아니라 협력에 의해 공동체를 유지하는 동물세계의 영화 관련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셋째, 학생들의 작품이해 능력을 심화시키고 사고를 확장시키기 위해 텍스트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학술적 글쓰기 과제를 실행한다. 과학, 사회, 윤리, 종교 등 여러 분야의 사상들을 다루고 있는 헉슬리의 「진화와 윤리」는 다양한 전공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수업에서 과학적 지식과 사고 교육을 넘어서 융합적 사고교육을 실행하기에 효과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나타난 여성 유토피아 비전과 철인 통치 국가론

        조현준(Hyun June Cho) 한국비평이론학회 2024 비평과이론 Vol.29 No.1

        이 글은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나타난 젠더 유토피아의 비전을 살펴본 뒤, 플라톤의 『국가』의 철인통치 국가에 비유되는 무스타파의 세계국가와 비교해 그 유토피아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유토피아 논의는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에서 다르게 접근해 왔다. 자유주의 유토피아는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시하는 반면, 사회주의 유토피아는 공동체의 평등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멋진 신세계』는 과학 기술 문명이 발달한 세계국가에서 가부장제를 혁파하고 재생산 노동, 감정 노동, 돌봄 노동을 벗어난 젠더 평등의 유토피아를 그렸지만, 주요 여성 인물들이 고통과 죽음을 겪고 사실상 젠더 위계속에 있다. 따라서 헉슬리의 세계국가는 여성에게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그리지만 정작 작품 속의 주요 여성 인물은 외모로 평가되고 비극적 삶을 산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과도한 국가 규범이 질서를 강제해서 얻어진 유토피아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무스타파의 세계국가는 플라톤의 『국가』에서 그린 이상적 국가론 일부를 구현하고 있는데, 안정을 기반으로 하는 계급사회이고 철학자가 통치하며 행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두 국가는 유사하다. 그러나 세계국가는 공동체의 안정을 너무 강조해서 플라톤의 국가보다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며, 추구하는 가치가 달라서 정신적 행복보다 감각적 쾌락을 중시한다. 결국 헉슬리의 유토피아는 젠더평등의 이상적 구조를 가졌지만 정작 그 안의 여성은 불행하다는 한계가 있고, 철학자가 통치하는 이상적 국가로서 안정성과 효율성 면에서는 뛰어나지만, 교육방식이 억압적이고 감각적 쾌락만 탐닉하며 사실상 계급과 젠더면에서 불평등하고 자유가 제한된다는 한계를 갖는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vision of gender utopia presented in Aldous Huxley’s Brave New World and explores its utopian possibilities in Mustapha’s World State, which is compared to the philosopher-ruled state in Plato’s Republic. The theme of utopia has been approached differently in liberalism and socialism: liberal utopia prioritizes individual freedom, while socialist utopia emphasizes egalitarian community. The World State in The Brave New World abolishes patriarchy with advanc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depicts a gender utopia without female reproductive labor, emotional labor, and care labor, while the actual main woman characters such as Lenina and Linda suffer pain and death. Therefore, Huxley’s World State represents an ideal gender utopia, while the female characters are evaluated based on their appearance and live tragic lives due to excessive national norms enforcing order. On the other hand, Mustapha’s World State embodies some of the ideal state described in Plato’s Republic, and the two polities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class societies based on stability ruled by philosophers. However, the World State places too much emphasis on community stability, suppressing individual freedom, emphasizing sensual pleasure rather than spiritual happiness, Eudaimonia of Plato’s polity. Eventually, Huxley’s utopia has an ideal structure of gender equality, but the women living there are not so happy. Although it is excellent in terms of stability and efficiency as an ideal politeia ruled by a philosopher, it has limitations that its educational method is rather oppressive, only indulges in pleasure, then represents a failed gender utopia in the end.

      • KCI등재
      • KCI등재

        미술과 자아의 확장 -‘Brave New World’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준형 ( Lee Joon H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본 논문은 개인의 한계와 열등감을 연구자와 미술 공간을 확장시키는 창조적 원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연구자의 ‘Brave New Wrold’ 프로젝트에 대해 연구하였다. 오웰의 1984, 어린앨버트실험, 스키너상자실험 등을 통하여 개인이 어떻게 주체성을 잃고, 획일화 되는지, 또 어떻게 순응하게 되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에서 개인적 가치를 드러내고 지키기 위한 프로젝트의 상징적 노력은 제도를 벗어날 수 없는 연구자의 한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그 한계를 새롭게 바라볼 수 밖에 없는 전환된 관점의 출발이 되었다. 보편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에서 개인으로서 느끼는 열등감과 한계는 전환된 관점으로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아들러의 ‘창조적 자아’의 개념으로 살펴보았고, 연구자의 프로젝트에서 드로잉과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나오는 대사를 좌우로 병치시키는 책으로 엮어 인간의 존엄성과 개인성의 중요성을 시각화 하였다. 통상적인 미술공간이 아닌 장소에서 이루어진 ‘Brave New World’는 고전에 대한 오마주, 소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저장된 자연 에너지의 이용, 드로잉과 글을 엮은 책, 출판사 등록 등의 다양한 양식의 융합을 통해 하나의 프로젝트가 완성되는 형식으로 이를 통해 상징적으로 자아와 미술의 확장을 꾀하였다. 이는 또 다른 미술의 방법론으로서 의미있는 시도인 동시에 사회와 개인, 미술과 작가, 내용과 형식의 관계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rave New Wrold’ project of the researcher who uses the limits and inferiority of the individual as a creative driving power to expand the research space and the art space. We examined how individuals lose their identity, become uniform, and how they adapt through Orwell's 1984, Little Albert experiment, and Skinner box experiment. The symbolic efforts of the project to reveal and protect individual values in a society pursuing universal values have revealed the limitations of researchers who can not escape from the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verted viewpoint that can only look at the limits. The concept of Adler's “creative self” that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limitations felt as an individual in a society that emphasizes universal value is the driving force of creation from a divergent point of view. The importance of human dignity and personality was visualized by juxtaposing the emerging dialogue on both sides in the researcher's project drawing and Aldous Huxley's ‘Brave New World’. ‘Brave New World’ is a place that is not a usual art space, but a fusion of various forms such as homage to classics, small photovoltaic system, use of stored natural energy, and drawing. Through this approach it was symbolically aimed in expansion of self and art. This is a meaningful attempt as another methodology of art, and it is meaningful in a way to ques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art and artist, content and form.

      • KCI등재

        대위법적 문명의 의미 탐색 :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추재욱(Choo, Jae-Uk) 문학과환경학회 2014 문학과 환경 Vol.13 No.2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civilization" often addressed in the Brave New World. It is not until one understands the writer"s point-counterpoint narrative that the re/discovery of the civilization in the new world is fully made through a step-by-step approach to the text. Accordingly, the past and present historical meaning of the New Mexican Reservation should be first reviewed to know why Huxley foregrounds the reservation along with the brave new world in the text. Secondly, two episodes will be compared; the past historical episode that Gorillas were exhibited in London in 1861 and the present fictional one that John the Savage from New Mexico Reservation is experimented with as an ape in the zoo. Creating the point-counterpoint narrative quoting or using many of the historical or fictional characters in the novel, Huxley has implicitly led us to rediscover what the real civilization should be like in the future unlike that depicted in the dystopian novel. Huxley seems to suggest the attitudes that T. H. Huxley and Matthew Arnold should have had in their argument as to which one is superior to the other, science or culture/literature; T. H. Huxley should have more valued the culture and literature, and Matthew Arnold the science. In brief, Aldous Huxley argues those two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society. Finally Huxley seems to say that it is only when both humanity and science are reciprocally respected that human society would prosper without losing the value of humanity even in the scientific world.

      • KCI등재

        문학 :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의 과학, 축복인가, 재앙인가 -디스토피아 과학-

        김현생 ( Hyun Saeng Kim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14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Huxley`s scientific point of view in his novel, Brave New World, by asking whether science a blessing or a disaster. Huxley portrays here in Brave New World a Utopian Country that obviously would turn into a Dystopia one. It is set ostensibly in the far future, the year of Our Ford 632, which equivalent to Gregorian Year 2540. Projection his novel into the future, Huxley offers a picture of the world as it might become if man becomes subservient to science rather than science subservient to man. The conversation between John the Savage and Mustapha Mond presents many controversial issues about science. Their discussion in chapter 17 acts as a core summary of the novel. John the Savage, who is appalled by the sterility and absence of feelings in the World State, where life founded on "Community, Identity, Stability" and the pleasure principle endorsed by drug kind of soma. The behavior of John the Savage is sometimes compelled by external forces thereas sometimes they are the result of human volitions and desires. His actions are still determined wholly by their current conditions, but at least the subject is the author of the actions. In conclusion, this article asserts that scientism developed without humanities could be a disaster for the future life of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