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몽골 대학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유의어 분석

        에르덴수랭 ( Z Erdene Su Re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4 No.-

        외국어를 학습할 때 기본 문법이나 어휘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학습자들이 초급 단계에서 중, 고급 단계로 올라갈수록 상황에 적합한 어휘를 사용하고 보다 정확하게 그 의미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하여야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재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몽골인 학습자들의 특징은 비한자문화권 한국어 학습자고 또한, 영어보다 러시어가 가까운 이유로 학습 단계가 올라갈수록 어휘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어휘 중 유의어 학습을 개선 할 수있는 방법으로 학습자 및 교사를 위한 유의어 쌍 목록집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번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를 위한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목록집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어 연구의 주 자료들을 통하여 한국어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추출 목록을 선정하고 몽골에서 대표적인 몽골국립대학교 및 몽골인문대학교의 한국어 학과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유의어를 분석하였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한국어 기본 유의어 쌍 목록 선정 및 몽골대학교 한국어 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색인 부분에 없지만 한국어교육용 기본 유의어 추출 목록에는 존재하는 유의어 쌍 중 선별하여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보완 추출 목록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명사유의어 460쌍(43.9%), 동사유의어 354쌍(33.6%), 형용사유의어 136쌍(12.9%), 부사유의어 101쌍(9.6%)으로 총 1051쌍을 추출하였다. 단계별로 보면 초급 단계 154쌍(14.6%), 중급 단계 353쌍(33.5%), 고급 단계 546쌍(51.9%)으로 구성하여 선정하였다. South Korea and several countries have active partnership in all sectors of globalization, and they have friendly relations with Mongolia sinc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The number of Mongolian people they are interest in Korean studies, Korean institution, Korean companies, and Korean institutions has been increased. For the first time the learners have learned in the Korean - Mongolian and contrast, but now there was a lot of interest about Korean and Korean studies. Mongolian learners, though do not find difficulties at the beginning, understanding of the kanji-based Korean language is found to be an uphill task at the higher stages of the education. Although it is imperative to learn the basic grammar and vocabulary when studying a foreign languag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differences of synonyms is equally important too. Because, having known such differences ensures fluent and precise use of vocabulary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making eas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Basic instructional Korean synonyms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used for the educational proposes at the Korean Department i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and Mongolian University of Humanities were extrac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vocabulary of both the learners and teachers could be improved effectively by the synonyms presented as a list of pairs of words with guidelines for the users.

      • KCI등재후보

        韓國文集中楚辭序跋考論

        가첩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硏究 Vol.32 No.-

        본고는 한국문집속의 10명의 문인들이 지은 13편의 초사 관련 서발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에서의 한국에서의 초사 판본의 전파와 한국의 초사 연구 양상을 연구하였다. 한국 문집 속의 이 13편 서발문은 모두 한국과 중국 역사에서 초사 판본의 전파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이다. 초사 서발문에서 언급되었던 초사 판본은 현재 중국 판본의 장번시녀사해례초사(莊蘩詩女士楷隸楚辭)만 남아있고, 기타 판본은 유실되어 진일보 탐색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문집속에 수록된 서발문에 초사 판본의 전파, 초사 문학 평점, 초사 주석본 품평 등 여러 측면의 내용을 통해 한중 초사 판본의 전파 양상과 한국 문인들의 초사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다. 우선 한국에 『초사(楚辭)』필사본이 아주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李頤命의 『楚辭』 鈔本, 金氏의 『楚詞』鈔本, 申光裕와 任允摯堂의『楚辭合』鈔本, 童漢의 『楚辭抄』등이다. 동시에 우리는 李種徽의 「題楚詞新集註後」에 근거하여 李氏가 수장했던『楚辭新注』판본이 건륭3년(1738)본이며 한국에 유입된 시간은 1756년 이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판본이 乾隆三年(1738)原刊本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고증이 필요하다. 동시에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屈復의『楚辭新註』는 중국의『楚辭新註』판본의 중요한 보완이다. 이밖에 金沢榮이『毗陵莊蘩詩女士楷隸楚辭』에 대해 지은 발문은 한중 문인 사이의 교유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毗陵莊蘩詩女士楷隸楚辭』는 중국 초사법서(楚辭法書)의 중요한 판본이므로 마땅히 중국초사법서 작품의 해제에 편입되어야 한다. 다음 한국 고대 문인들이 초사를 평점할 때, 굴원 및 주희의 관점에 대한 평론은 중국 문인들의 논점과 서로 맞물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한국문집의 초사 서발문에서 申維翰은 “虛實相生” 黃景源은 “六義” 司空檍은 “哀而不怨,深得風雅之体”라는 표현을 사용하여『楚辭』에 문학적인 비평을 진행하였고 이는 모두 한국 문인들이 초사에 대한 최고의 평가라 볼 수 있다. 그 중 申維翰의 “虛實相生”의 관점은 論騷史에 있어 그야말로 시초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한국 고대 문인들이 주희의 『楚辭集注』 을 좋아하고 존중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동시에 한국 고대 문인들은 『楚辭章句』, 『楚辭補注』, 楚辭新註』 3종의 주석본에 대해서도 품평을 하고 존숭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볼 때, 한국 문집 속의 초사 관련 서발문은 초사 판본의 전파, 초사 문학 평점, 초사 주석본의 품평 등 중요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가치가 있다. 그러나 필자는 단지 『韓國歷代文集叢書』, 『韓國文集叢刊』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기에 연구대상의 자료가 제한적인 점이 있다. 필자는 향후 관련 자료를 더욱 많이 수집하여 진일보 심도있는 논문을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 KCI등재

        국립한국문학관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연구

        오창은(Oh, Chang-eu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7 No.-

        국립한국문학관은 1996년 ‘문학의 해’를 맞아 건립이 추진되었고, 2013년에 이르러 한국문학계를 중심으로 다시 건립논의가 활성화되었다. 2015년 ‘문학진흥법’이 국회를 통과해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이 현실화되었다.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문학 진흥의 핵심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부지선정을 둘러싸고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어디에 국립한국문학관을 설립할 것인가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보다 중요한 것은 콘텐츠 확보와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이다. 국립한국문학관은 문학을 둘러싼 ‘매개의 콤플렉스(complex)’이고,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가 어우러지는 ‘정신적 가치 생산’의 장소이다.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이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현 시점에서 근대문학자료의 현황 파악과 수집, 보존과 관리, 확산과 대중화를 위한 논의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국립한국문학관이 한국문학 진흥의 매개적 공간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문학콘텐츠 구성이 중요하고 주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키비움(Larchiveum) 개념에 입각해 공간을 구성하고, 체계적 자료수집, 복각복 시스템, 정본 전집발간, 디지털라이블러리 활용을 제안한다. 근대문학자료유산 확보를 위한 연구조사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고, 더불어 공신력 있는 ‘근대문학유산 자료수집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국립한국문학관의 우선 수집대상 자료 파악, 개인소장자 실태파악, 기증예우 시스템 수립을 통해 콘텐츠 확보 방안을 마련되어야 한다. 희귀자료의 국가적 관리를 위해서는 한종의 문학자료 유산에 대해 3권을 확보하는 계획을 세워야 하고, 더불어 복각본을 통한 보존·유지·관리·확산계획도 수립되어야 한다. 국립한국문학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살아있는 문학체험의 장소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라키비움(Larchiveum = 도서관(Library) + 기록관(Archives) + 박물관(Museum)) 공간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도서관이 열람 중심이었고, 기록관과 박물관도 보존과 전시 중심이었다면, 라키비움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한 복합문화공간’으로 기능의 확장성을 중시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한 공간에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다면, 국립한국문학관의 기능도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색인(Index)의 공간으로서 앞으로 건립된 국립한국문학관은 ‘현대성’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요구된다. 자료들을 재배치하는 색인 작업이 미래지향적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공간에 의미를 기입’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국립한국문학관은 동아시아적 가치의 발견, 미래의 정신문화의 둥지가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논리에 좌우되지 않는 미래 공공자산으로서 근대문학자료유산를 확보하고, 보존·유지·관리·확산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s 1996 marked “the Literary Year,”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Korean Literature Center (hereafter, NKLC) was advocated; in 2013, the discussion was activated again by Korean literary circles. In 2015, with the passing of the Literature Promotion Act by the National Assembly, construction of the center was , and it is certain that NKLC has the potential to play a big role as the key space for promoting Korean literature. The civil society and literary circles are keen on identifying the right construction site for NKLC, but the discussion on the composition of its contents has not yet occurred. This study asserts that the composition of literary contents is important if NKLC is to serve as the mediating space for the promotion of Korean literature. Plans for NKLC conceptualize it as a mediating literary complex, a place of mental value production where writing and reading will occur. According to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Center’s survey on the collection of Korea’s recent-modern literary materials, books published from 1894 to 1945 number 4,545, representing 2,013 types. Additionally, there are of non-book materials from this period. Books published from 1945 to 1960 number 33,265, representing 3,180 types. From 1895 to 1945, 124 kinds of literary magazines were published. However, only 760 books from this period survived. Given that the construction of NKLC is now being discussed, there is a need to survey the status of recent-modern literary materials and gather, preserve, manage, promote, and popularize them. Research activities and surveys should be conducted to secure the recent-modern literary heritage.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create an official committee for gathering these materials.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priority materials for NKLC, solicit personal collections of materials, establish a beneficiary donation system, and devise measures for securing contents. In order to manage rare materials at the state level, a plan should be devised to secure three books for each kind of literary heritage. Furthermore, a system to preserve, maintain, manage, and promote the literary materials through duplicated versions is needed. An orderly framework for digital libraries and human libraries is required to manage NKLC’s contents and encourage the utilization thereof. For NKLC to serve as a live complex space for literary experiences, the spatial concept of “Larchiveum = Library + Archives + Museum” should be adopted. In the past, libraries focused on reading and lending books; archives and museums also focused 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The larchiveum serves as an expandable complex literary space enhanced by digital technology. Thus, for a user to be able to actively use the functions of a library, archives, and museum in a single space, NKLC should expand its functions. The projected NKLC as an indexing space must provide modern features. Indexing for the deployment of materials needs the entry of spatial meaning to offer value in the future. NKLC should be the cradle for discovering East Asian values and promoting the future mental culture. To that end, measures not swayed by economic logic are needed to secure, preserve, maintain, manage, and promote recent-modern literary heritage as a public asset.

      • KCI등재

        한국어 능력 시험에 관한 신문과 수험자의 담론 분석

        지현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what social issues current Korean proficiency test could bring forward; and, as a consequence,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test’s improvement. The articles about “Korean Language Test” and “TOPIK fever” in the five major Korean newspapers have been examined; and what discourses have been made in Korean society in concern of the test are studied. Also, 17 TOPIK test-takers were interviewed to elicit their understanding, attitude, feeling about the 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IK and actual Korean learning. According to the newspaper articles, they, in general, see Korean Wav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to increase also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They repeatedly use phrases such as ‘the greatest in history, fever, the biggest number in history’ highlighting tha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is historic. Some articles point out that the Asian Korean-learners tend to take the test due to economic causes and that the host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s student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universities have been maintaining them improperly. The TOPIK test-takers say that they take the test with an integral motivation, adapting to Korean culture better and gaining their self-esteem. TOPIK is regarded as an “only” test to identify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y. Also it is regarded as a mean to get scholarship or financial support, a role of gate-keeping of living on in Korea. They think critically that TOPIK is ‘a test for test’, not ‘a real test for Korean language competency’ since it does not have a speaking test. They also claim that preparing for TOPIK has got nothing to do with their improving Korean ability. The present research, as a conclusion, suggests what follows to correct the problems in the Korean assessment. First,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tracting policy needs sweeping reconsideration and improvement. Second, TOPIK is not to be taken as a test covering all part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testing, issuing working visa, acquiring citizenship, and measuring Korean proficiency; individual tests must be made for different purposes. Third, intensive training programs or specific graduate schools for the Korean assessors need more practical interest and investment to make the Korean assessment specialized much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능력 시험이 어떠한 사회적 논제를 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한국어 능력 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일간지 신문 5종을 대상으로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에 대해 한국사회 안에서 어떠한 담론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또 TOPIK 수험자 17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시험에 대한 인식, 태도, 감정, TOPIK과 한국어 학습과의 연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신문 기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일간지 신문들은 ‘한류→한국어 학습자의 증가→한국어 시험 응시생 급증’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또한 ‘사상 최대, 열풍, 역대 최다’ 와 같은 표현을 신문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TOPIK 응시자수의 증가가 역사적으로 놀랄 만한 사건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일부 신문은 아시아권 한국어 학습자가 경제적인 이유로 TOPIK에 응시하는 경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하거나 정부나 교육기관의 유학생 관리 소홀을 우려하는 시선을 나타내었다. TOPIK 수험자들은 한국 문화권으로 더 잘 적응하고 자기 만족감을 얻기 위한 ‘통합적 동기’가 강하였다. 그들에게 TOPIK은 한국어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시험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또 TOPIK 점수는 장학금이나 생활비 지원 혜택을 받게 해주는 수단이며 한국에서 살아가기 위한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수험자들은 TOPIK을 ‘시험을 위한 시험’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말하기 시험이 없으므로 진정한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지 못한다고 비판하였다. 그들은 TOPIK을 준비한 경험이 한국어 구사력과 연계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별도의 한국어 공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고는 결론으로 한국어 평가 분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학생 유치 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TOPIK 하나로 유학생 선발, 노동 비자 발급, 국적 취득, 한국어 숙련도 측정 모두를 할 것이 아니라 시험 점수의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각각의 한국어 시험이 만들어져야 한다. 셋째, 한국어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집중 연수 프로그램이나 대학원 차원의 전공 교육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서 한국어 시험의 전문화를 위한 실천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 KCI등재

        국가재건최고회의 시기 박정희 정권의 사회단체 규제와 정치적 입지 확보 모색 : 한국아세아반공연맹 강화를 중심으로

        서상현(Suh, Sa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1 No.-

        본 연구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시기 박정희 군부가 정치적 입지 확보를 시도해 가는 과정을 검토했다. 국가재건최고회의가 남긴 기록물과 당시 신문 기사 등을 토대로 박정희 군부가 정치적 입지 확보를 모색하였던 것을 검토했다. 박정희 군부 내 개별 인물이 아닌 국가재건최고회의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군부는 국가재건최고회의 활동의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정당·사회단체를 해체시켰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5월 23일 포고령을 통해 기존의 정당·사회단체를 해체했다. 이후 6월에 새로운 사회단체 등록 관련 법률을 만들어 사회단체를 통제하고 정치적인 입장을 내세우지 못하게 조치했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장면 정권 시기의 사회단체 등록제를 폐지했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사회단체 등록에 있어 허가제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이승만 정권 시기에 사용하였던 군정법령 제55호와 유사했다. 군부는 과거의 사회단체 난립과 부패일소를 이유로 내세웠지만 강력한 여론 통제와 사회단체들의 정치적인 행동과 발언을 막기 위한 의도가 더 강했다. 군부는 민정이양 이전까지 기존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하였던 정당·정치인·사회단체들의 활동을 규제하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확대해 갈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얻고자 했다. 군부는 정치적 입지 확보를 위한 시도로 한국아세아반공연맹을 강화하고자 했다. 한국아세아반공연맹 강화의 일환으로 이사진을 개편하면서 구 정계 인사들을 참여시켰다. 군부는 이사진 개편 등을 통해 구 정계 정치 인사들을 반공 활동 내에서 포섭하고자 했다. 국가재건최고회의의 반공 활동을 강조하고자 하였으며 인지도가 있는 정치 인사도 국가재건최고회의 사업에 지지를 보내고 있다는 것을 동시에 보여주고자 했다. 이는 국가재건최고회의가 구 정계 인사들을 사회악으로 규정했던 것과 상반되는 모습이었다. 군부는 국가재건최고회의 기간 동안 한국아세아반공연맹을 통해 반공 공보 활동을 강조했다. 1962년 자유센터 유치를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구 정계 인사들을 주비위원회 등에 임명하면서 반공 활동 강조와 정치 인사 포섭을 시도했다. 1963년 대선 당시 붉어진 사상논쟁에서도 군부는 반공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한국아세아반공연맹을 한국반공연맹으로 개칭했다. 박정희 정권은 민간단체인 한국반공연맹이 합법적으로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국반공연맹법』을 제정했다. 『한국반공연맹법』은 국가가 민간단체를 법적으로 관변단체화 시킨 최초의 사례였다. 법적근거를 통해 한국반공연맹은 1970년대까지 박정희 정권의 여러 반공 활동을 대행하고 정치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Park Chung-hee s military regime attempt to secure a political position during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Based on the records left by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and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it was reviewed that the Park Chung-hee military sought to secure a political posi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not individual figures in the Park Chung-hee military regime.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military regime dismantled existing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to create favorable public opinion on the activities of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disbanded existing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through a decree on May 23. After that, in June, a new social organization registration law was created to control social organizations and prevent political positions from being put forward.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abolished the registration system for social organizations during the Jang Myun government.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used the permit system in the registration of social organizations, which was similar to the Military regime Decree No. 55 used during the Lee Syngman governmet. The military regime put forward the reasons for the turmoil of social groups and the elimination of corruption in the past, but the intention to control public opinion and prevent political actions and remarks by social groups was stronger. The military regime sought to gain time to expand their political position by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political parties, politicians, and social organizations that had strong political influence before the transfer of civil affairs. The military regime tried to strengthen the Korea Asian People’s Anti-Communist Federation in an attempt to secure a political position. As part of the strengthening of the Korea Asian People’s Anti-Communist Federation, the board of directors was reorganized and political figures were involved. The military regime tried to include political figures from the former political circles within anti-communist activities through reorganiza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It was intended to emphasize the anti-communist activities of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and to simultaneously show that recognized political figures are also supporting the projects of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This was contrary to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s defining former political figures as social evils. During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the military regime emphasized anti-communist activities through the Korea Asian People’s Anti-Communist Federation. In 1962, he promoted the attraction of the Freedom Center and appointed former political figures to the main committee, emphasizing anti-communist activities and attempting to embrace political figures. Even in the ideological debate that turned red during the 1963 presidential election, the military regime renamed the Korea Asian People’s Anti-Communist Federation to the Korean Anti-Communist Federation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anti-Communist. The Park Chung-hee regime enacted the Korea Anti-Communist Federation Act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the private organization, the Korea Anti-Communist Federation, to legally receive financial support from the state. The Korea Anti-Communist Federation Act』 wa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state legally organized private organizations. Through legal grounds, the Korea Anti-Communist Federation acted on behalf of various anti-Communist activities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until the 1970s and represented a political position.

      • KCI등재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 제안

        오하은(Oh Ha-eun) 한글학회 2016 한글 Vol.- No.311

        본고는 다문화 사회를 이루는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정책의 중 ․ 장기 방향 정립 및 계획과 추진을 위한 제언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은 과거에 비해 학습자 대상이 교포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사람들로 그 범위가 넓어졌다. 하지만 여전히 다문화 사회 한국어교육 정책은 과거의 체계에 머물러 있다. 학습자 대상이 다양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존의 정책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대상에 맞춘 적절한 정책의 개선을 위해 본고는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사용 실태, 언어교육 실태 등 그들의 실제적 삶과 연관된 정확한 자료의 축적과 연구가 필요하다. 새로운 다문화 사회 구성원들의 실태와 수요를 조사하여 그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현재 이행되고 있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조사한 결과 정부의 각 부처 간 통합이 필요하고, 통합된 정책 하에 효율적인 예산 활용과 체계적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해외의 언어교육 정책 사례를 참조할 수 있다. 독일의 사례에서는 무조건적인 동화가 아닌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았다. 적절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이민자들로 하여금 그 교육에 참여해야 할 적당한 의무와 정당한 권리를 부여하는 일 또한 필요하다. 호주의 사례에서는 언어교육 정책에서 영어뿐만 아니라 이민자들의 부모가 보유한 모국어를 교육시키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는 미래 사회에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선 이민국가의 선행적 정책 및 다양한 사례를 참조할 때 중요한 것은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니라 비판적인 자세로 각 나라의 사례를 다각적으로 검토한 후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에 대한 실태와 수요를 조사하고, 한국어교육 정책의 현황에 대해 충분히 파악한 후 해외의 성공적인 사례를 적절히 수용했을 때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은 올바른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무조건적인 동화가 아닌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통합을 모색하고, 이민자들로 하여금 본인의 문화를 간직한 채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게끔 만드는 보다 발전된 한국어교육 정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한국감리교회의 주춧돌을 놓은 아펜젤러 선교사: 아펜젤러 한국선교 130주년을 기념하며

        김칠성(Chil-Sung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올해 2015년은 헨리 게어할드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 1858-1902)의 한국선교 13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 에서 그의 활동은 당시 다른 선교사들과 비교해 볼 때(예를 들어 언더우드 의 31년 사역, 1885-1916) 비록 17년(1885-1902)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졌지만, 아펜젤러는 한국감리교회의 주춧돌을 놓았을 뿐만 아니라 한국 개신교의 발전과 한국 근대화를 위해 크게 기여하였다. 이 글에서 필자는 아펜젤러의 삶과 사역을 주로 다루었는데, 그의 생애는 두 개의 특성으로, 그리고 그의 사역은 총 일곱 개의 특성들로 설명하였다. 우선 아펜젤러는 중생을 경험한 후 감리교인이 되었고, 그의 아버지는 아펜젤러가 장로교 목사가 되기를 원했지만 그는 감리교 선교사가 되었다. 한편, 아펜젤러는 초기 한국에 온 개신교 선교사들 중의 한사람으 로서 선교 초기 미국과 한국 정부의 조언을 수용했던 착한 사람이었다. 아펜젤러는 쌀(rice) 혹은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이 아닌 진정한 기독교 인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사역했다. 물론 여전히 논쟁적이기는 하지 만, 아펜젤러는 한국에서 교회를 세운 초기 설립자들 중의 한 사람이었 다. 또한 그는 한국의 근대화와 기독교 교육의 발전을 위해 공헌했던 교육가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 한국에 거주하던 선교사들을 포함 대부 분의 외국인들을 이끌었던 유능한 지도자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점은 아펜젤러가 계몽운동가와 독립운동가로서 한국의 근대화, 민주화, 그리고 독립을 위해 기여했다는 점이다. 요컨대, 아펜젤러는 영적인 회심을 경험했던 진정한 기독교인이었 다. 그리고 당시 외국인들, 한국인들과 사회적으로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던 착한 사람이었다. 게다가 그는 수용과 저항의 때를 분별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즉 그는 한국 사람들이 복음을 들을만한 준비가 될 때까지 미국과 한국 정부의 지시를 받아들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일본과 같은 강대국들의 한국 점령을 암묵적으로 허락하거나 고종이 근대민주국가로의 변화에 대해 거부했을 때는 미국과 한국정부 에 당당히 저항하였다. 그러므로 아펜젤러의 한국선교 130주년을 기념할 때, 한국의 모든 개신교회들은 반드시 그의 열정적인 영성, 따뜻한 사회성, 냉철한 분별력에 관해 반드시 재고해야만 한다. The year of 2015 is the 130th anniversary of Henry Gerhard Appenzeller’s missions in Korea. Even though he spent his short time(17 years) in Korea from his arrival of 1885 to his miserable death of 1902 in comparing to other mission pioneers in the early time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e.g., Underwood’s 31 years from 1885 to 1916), Appenzeller, who was the cornerston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greatly contributed for the development of all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 In this paper, the writer mainly deals with Appenzeller’s life and work by highlighting his two characters about his life and steven characteristics about his work in Korea. In terms of his life, firstly, after experiencing spiritual rebirth he became a real Methodist believer, and then, Appenzeller became a Methodist missionary, although his father wanted him to be a Presbyterian minister. On the other hand, Appenzeller was one of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and a good person who followed the guidance of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n government. Appenzeller purposed to gain real Christians instead of rice or nominal Christians. Even if it is still controversial, Appenzeller was one of the first church founders in Korea. Also, he was not only a good educator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ization and of Christian education, but also a competent leader for almost all foreigners including all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at his time. Last but by no means least, as an enlightener and independentista Appenzeller contributed for Korea’s modernization, democracy, and independence. In short, Appenzeller was a real Christian who experienced spiritual conversion, and a good social person having a good relationship with both foreigners and Koreans. Moreover, Appenzeller could discern the time of acceptance and of resistance. That is, he was following the direction of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until the Korean people were ready to listen to the Gospel. Nevertheless, when the United States allowed the imperial nations(e,g. Japan) to occupy Korea in silence, and the Korean King(Kojong) refused the request of the modern democracy in Korea, Appenzeller resisted the two(the United States and Korean government). Therefore, in celebrating the 130th anniversary of Appenzeller’s missions in Korea, all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must reconsider the passionate spirituality, warm sociality, and cool-headed discernment of Appenzeller.

      • KCI등재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한국철학관’과 내셔널리즘

        김미영(Kim Miye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현재 한국철학계에서는 다카하시의 철학관을 두 측면에서 평가한다. 한편으로는 식민사관으로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적 의미의 전통철학 연구의 개척자로 평가한다. 이 양대 평가는 모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과정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에 걸쳐 나타나는 그의 한국철학관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그의 한국철학관 형성과정과 국가사상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1910년대에는 한국이 중국사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향모색의 과정에서 조선의 고유문자나 조선의 고유문학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1920년대에는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의 일본어로의 대체를 강조하며, 한국철학사에서 조선어에 의한 창작활동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유학사 연구의 시발점을 1910년대에는 신라시대로부터 시작하나, 1920년대에는 철학으로서의 유학이라는 측면에서 조선성리학 구명에 중점을 두며 고려말부터 시작하고 있다. 또한 1920년대에는 유학을 철학적 측면으로 다루며 조선성리학에 집중하고, 한국인의 일본에의 동화를 위한 종교정책의 일환으로 불교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반면, 1930년대에 접어들면 조선유학의 특징을 종교성에 두며, 한국인에게 종교적 교화라는 측면에서 불교보다 유학이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그는 더 이상 불교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한국유교의 종교성을 구명하는 데 집중한다. 따라서 그는 중국이 근세 쇠퇴한 원인이나 조선이 멸망한 원인을 유교에서 찾으려는 시도를 부정하면서, 조선이 500년간 유지될 수 있었던 힘을 유교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한국철학관의 변화는 그의 전통철학 연구대상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20세기 철학사와 국가사상간의 관계를 읽어볼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철학사상이 국가사상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가의 문제는 20세기 전개된 철학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가능하게 될 것이다. Takahas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is evaluated from two aspects by Korean philosophers. One is criticized by Colonialism, and the other is evaluated from the standpoint that he was the scholar studying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by modern systems of study. These two aspects are related with the course of colonial regime of Japanese imperialism. So, I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and the nationalism, laying stress on the change of his viewpoint on it in 1910's, 1920's, and 1930's. In 1910's, he didn't exclude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 or literature as a way out of Korean Chinese Thought in this time. But in 1920's, he as an assimilationist, stressing the substitution of Japanese for Korean, tri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Korean philosophy in Korean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ccordingly, in 1910's, he pu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confucian history in Shilla, but in 1920's, in the end of Koryo. Also, in 1920's, he focused on Chu Zi's learning of Chosun, emphasizing the confucianism as a philosophical idea, and on Korean Buddhism as a part of a religion policy for the Korean assimilation to Japan. But, in 1930's, he emphasized Chosun confucianism as a religion, not studying the Korean Buddhism any more, but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nfucianism as a religion was more suitable for Korean. This change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led to the transition of object of his study and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and the nationalism. Therefore, in order for philosophy to overcome nationalism, I think we have to have critical review on his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 KCI등재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 반영된 한국전쟁과 한국의 이미지

        최성은(Choi Sun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2

        세계사에 유래 없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낳은 한국전쟁은 폴란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에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표면적인 이유는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홍보하는데 있어 한국전쟁만큼 극적인 이슈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작품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해보면, 폴란드인들이 '한국'에 대해 갖고 있는 각별한 관심과 우호적인 감정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에 발표된 사회주의리얼리즘 계열의 폴란드 소설 가운데, '한국전쟁'을 테마로 한 4권의 책 -『소년 연락병 김애조』(1951), 『다시 찾은 어린 시절의 집』(1953), 『나이팅게일의 무리』(1954), 『어둠 속의 광채』(1956)를 분석 텍스트로 설정하여, 작품 속에 반영된 한국의 이미지와 한국 전쟁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적인 현상은 대부분의 작품들이 청소년 독자의 사상적 개조를 목적으로 씌어졌다는 점이다. 하지만 『소년 연락병 김애조』와 『나이팅게일의 무리』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정치 이데올로기에 입각해서 작위적으로 만들어진 영웅적인 어린이 주인공상(象)은 독자들에게 보편적인 공감과 감흥을 불러일으키는데 실패했다. 오히려 지나치게 미화된 주인공의 모습에서 어린이 특유의 순수함을 상실한 채 너무 일찍 철이 들어버린 그로테스크한 면모가 부각됨으로써 당초의 집필 목적이었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토착화 보다는 반전(反戰)과 평화의 메시지를 역설적으로 강조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반면에 1950년대 폴란드에서 교육받은 북한 전쟁고아들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다시 찾은 어린 시절의 집』이나 북한에 파견된 폴란드 적십자사 의료봉사단의 활약상을 그린 『어둠 속의 광채』의 경우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널리 알려지지 못했던 구체적인 사건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문학'이라는 틀 속에 감동적으로 담아냈고, 그 과정에서 인류 보편의 휴머니즘적 가치를 일깨움으로써 작품 저변에 깔려 있는 정치 선동적 목적의식과는 별개로 기록적ㆍ미학적 가치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1950년대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당시 작가들이 한국을 역사의 질곡 속에 가혹한 운명을 짊어진 불행한 약소국, 그리고 기아와 빈곤으로 얼룩진 비극의 영토로 형상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같은 민족끼리 총부리를 겨누어야만 했던 참혹한 한국의 현실에서 외세의 침략과 학살로 일그러진 조국 폴란드의 쓰라린 과거를 떠올리며 동병상련(同病相憐)의 우호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The Korean War was the one of the theme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Polish Socialist Realism Proses. The representative books include Weronika Tropaczyńska-Ogarkowa's A Little Liaison Kim E-Cho (Mały łącznik Kim E-Cho)(1951), Marian Brandys' The Home of Regained Childhood (Dom odzyskanego dzieciństwa)(1953), Marian Leon Bielicki's The Nightingale's Group (Grupa słowika)(1954) and Andrzej Braun's The Light in the Darkness (Blask Ciemności)(1956). Polish Socialist Realism novels about the Korean War show that most of the pieces were written to convert adolescent readers to socialism. However, as you can see in A Little Liaison Kim E-Cho or The Nightingale's Group, the young heroic characters, who were created on political ideologies, failed to draw universal sympathy and to inspire readers. The young characters that are overly beautified stressed the grotesqueness of children, who act like a grown-up with no childhood innocence, and ended up emphasizing the message about antiwar and world peace rather than the socialism propaganda they were supposed to tell. On the other hand, The Home of Regained Childhood, which describes North Korean war orphans, who were trained in Poland in the 1950s, or The Light in the Darkness, which explains the activities of the medical volunteer team of the Polish Red Cross that was dispatched to North Korea, captured the historical meaning of specific events in the framework of 'literature'. They also could gain value as archives and art, regardless of the political propagation that lies underneath. In these works, Korea id depicted as the unfortunate weak country that should point a gun to the same nation and the tragic land that is full of starvation and poverty. In addition, they thoroughly attributed the bale for Korean War to USA, and they defined USA as the enemy that Poland should join efforts together with Korea and defeat. Even if they commit the error of biased historical recognition, the strong solidarity with Korea appears in Polish Socialist Realism Proses. This is due to the historical similarity between Korea and Poland. Historically, Korea and Poland have been continuously invaded by neighboring countries, and especially during World War II, both of them had to experience the tragedy to lose their sovereignty. Although Korea and Poland had no direct exchange each other in 1950's. Polish writer showed the brotherhood and same feeling to Korean people. In addition, we can find their will to model Korean reality in 1950's, which is historically very similar to Poland, and then calmly examine Polish present and future.

      • Korean-American Diaspora Households

        Soohee Kim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2

        지속되는 한류의 위세로 한국정부와 한국어교육 학계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인기상승을 구가하고 있다. 특히 미국 LA 지역은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증가 추세에 있고, 미국 현대어문학협회 2009년 통계 보고에 따르면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수도 계속 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세계화의 목적달성에 근접했지만,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는 연구 대상에서 뒷전이 되어 각 가정 내에서 한국어가 사라지고 있는 현실조차 도외시되고 있다. 국차원에서 이중어 구사자를 양성하고자 하는 미 정부와 협력, 이십여 년 전부터 미 학계에서 ‘계승어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계승어 소실을 당연시하는 교육정책 및 이중언어 사용자를 냉대하는 사회의 전반적 분위기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이민 자녀가 소수민족, 언어 차별을 내재화하여 가정 내에서도 부모와 한국어 사용하기를 거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본고에서는 이민 자녀가 건강한 정체성을 가 지고 부모와 소통하며 능력 있는 이중어 구사자로 미국 사회의 일원이될 수 있도록, 영어에 능숙하지 않은 부모는 자녀를 위해 이민 초기부터 구체적인 가족 언어계획을 준비하고, 영어에 능숙한 부모도 가정을 ‘언어의 보금자리’로 지정해 자녀에게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를 되찾아줄 방법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한글학교는 부차적인 교육기관으로서 그 기능을 다 해야 하고, 가정이 한국어 계승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더불어, 이민 부모가 자신의 언어를 자녀에게 수월히 계승해주기 위해서는 한국정부가 주도하는 전적인 교육계몽이 있어야 한다. 한국 내에서부터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수용적이고 고무적인 내용을 교과과정에 포함해 한국민을 교육하는 한편 미국 이민자들에게 이중언어 자녀육성에 대한 교육 정보를 널리 전파해야 계승어로서의 한국어가 소생할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