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이후 간행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과정과 문법 내용 연구

        주현희,채영희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5 No.-

        1880년대 개화기부터 1945년 해방되기까지 일본인에게 한국어 교육을 하기 위해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일본인의 한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간행된 학습서를 시대별로 나누어 그 간행 양상을 먼저 살펴보고 그 중 문법 학습서를 중심으로 문법 내용의 성립 양상을 고찰하였다. 1880년대 이전까지는 단어나 문장, 간단한 회화문 제시 등의 발음 교육 중심의 학습서 간행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1905년을 기점으로 한국어 문 법 체계 및 품사를 학습 내용으로 다룬 학습서의 간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문법 학습 내용을 다룬 학습서 간행이 증가하게 된 요인으로는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 거류민의 증가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 하게 된 것, 일본인의 조선어 및 외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한 언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 행된 것, 서양 언어학이 도입된 것 등으로 보았다. 한국어 학습서는 단순한 어휘나 문장을 나열하는 내용 구성 방식의 회화 학습서에서 시작하여 점차 문법 체계의 정립 등 언어학적 방법론의 도입 에 따라 체계화된 문법 내용을 다룬 학습서로 변화,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및 교육이라는 관점의 변화가 한국어 학습서 편찬 및 문법 내용 심화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보았다. 또 한 한국어 학습서는 시대적인 정치적 상황과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수요 에 따라 학습서의 구성과 내용이 변화되어 온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메이지(明治)기 한국어 학습서의 연구 현황

        진남택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본 논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간행된 85종의 한국어 학습서의 목록을 제시하고 연구 현황을 개관하었다. 또한 가나 음주 표기의 해석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어 학습서 사이의 영향 관계 등을 각각의 한국어 학습서의 본문을 대조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학습서의 한일 대역문은 그 자체로 양언어의 문법 및 어휘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한글이나 가나(仮名)로 상대방 언어를 전사한 부분은 음성・음운론적인 연구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한국어 학습서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전에는 문헌의 서지학적인 정보나 저자를 소개하는 논문이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한국어 학습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앞으로 각각의 한국어 학습서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축적되고 한일 대역문을 코퍼스화하면 음운, 어휘, 문법, 방언, 외래어표기법 등의 언어사적 연구 자료로서도 큰 가치를 지닐 것이며 에도 시대의 조선자료와 함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85 types of Korean study materials which were published during the Meiji period are introduced and the status of their corresponding research was surveyed. In addition, the issue of interpreting Kana sound notations is brought to ligh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study materials was observed by comparing each text in the materials. Within Korean-Japanese parallel texts, the Korean study material has significance as the basic material for both grammar and lexicon research in and of themselves. They are also significant in the transcription of other language into Korean or Kana and can be utilized as material for phonetic and phonological research. Former research on Korean study materials were centered on papers which introduced literature,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authors during the 1990s. However, diverse research on Korean study materials had begun to bloom in the 2000s. The analysis of each of the Korean study materials, accumulated research, and the creation of the Korean-Japanese parallel text corpus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value as linguistic research material. This includes such research as phonological changes, lexicon, grammar, vernacular, and loanword orthography as well as nabling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along with Chosun era materials during the Edo period.

      • KCI등재

        근현대 서양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총체적 접근과 분석 - 한국어 인식의 차원에서 구체화에 이르기까지 -

        고경민 ( Ko¸ Kyoung-min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이 연구는 근현대 서양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통시적 연구를 목적으로 근현대 한국어 학습서 편찬 과정을 ‘인식-이해-구체화’로 살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근현대(근대계몽기-일제강점기) 시기 서양인 대상으로 간행된 한국어 관련 학술 저널과 학습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서양인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근현대 한국어 학습서를 편찬한 서양인 연구자들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과정, 그리고 저자의 한국어 이해가 구체화되는 과정을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은 단순히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목록화 작업과 구축된 DB를 기반으로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고려해 통시적으로 자료를 해석하고 기술하는 일이다. 근현대 서양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내용적인 분석이 아닌 저자의 의도와 한국어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학습서의 변화를 살핀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라 하겠다.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examine a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Western people from modern times to contemporary times by securing the original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categorizing and cataloging these data for a holistic approach of Western researchers to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key point of this study is to diachronically analyze and describe relevant textbooks in a sociocultural context, based on the catalogued works and constructed DB, not merel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Forming an academic foundation through a complete review of the historical data collected, and a systematic analysis· interpretation is also important in this study. This study can reveal the genealogical relations of the data made in modern times an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way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data, creation and extinction of the data, their roles of the times and the influence of the data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Especi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to explore sociocultural values of the data by describing overal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for Western people in a consistent way, based on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modern times an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개화기 일본 간행 한국어 학습서 〈獨學 韓語大成 全〉에 대한 일고찰

        박기영(Park, Kee-Yo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6 서울학연구 Vol.- No.64

        본고는 1905년 일본에서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인 〈獨學 韓語大成 全〉에 대해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그 체재와 한국어 학습서로서의 특징을 기술하고, 이 학습서의 한국어가 보여 주는 개화기 한국어 자료로서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한국어 학습서로서〈獨學 韓語大成〉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저자인 伊藤伊吉의 한국어 습득 경험 및 주요 거주 지역과 〈獨學 韓語大成〉의 한국어가 갖는 상관성에 대해 검토하고 한글 표기와 가타가나 표기가 보여주는 개화기 한국어 발음의 특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한국어 학습서로서 〈獨學 韓語大成〉이 보여주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편 ‘文字語法及連語’에서는 조사, 어미와 더불어 의존명사와 결합된 문법항목도 제시해 주고 있으며, 어간과 어미를 분리하여 표기하는 방식을 고안하여, 어간에 다른 어미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해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2편 ‘會話’에서는 주로 한국어 문장에 대한 일본어 대역 문장의 제시 방식을 검토하였는데, 한국어 학습뿐만 아니라 일본어 학습에도 이 학습서가 사용될 수 있도록 일본어 대역 문장을 의역과 직역을 함께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일본어 대역 문장의 제시 방식과 제2편 회화에 등장하는 문장의 유사성을 근거로 伊藤伊吉이 당시의 한국어 학습서 가운데 〈日韓通話〉를 참고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獨學 韓語大成〉의 한국어를 검토하기 위해 우선 저자인 伊藤伊吉의 한국어가 함경남도 원산 지역의 방언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그의 생애와 경력을 바탕으로 추론해 보고 실제 자료의 검토를 통해 그 지역의 방언이 반영되어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獨學 韓語大成〉의 한국어는 저자 伊藤伊吉이 자연스럽게 습득한 원산 지역의 방언을 반영하면서도 경성 지역의 어휘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에서 경성말이 우선되어야 함을 의식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장에 대한 기술과 가타가나 표기의 검토를 통해 이 시기의 음장이 운소로서 기능하고 있었으며 보상적 장모음화를 보여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시기의 한국어 학습서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서지적인 검토에 치중된 면이 없지 않았다. 기존의 서지적인 검토에 대한 확인과 아울러 개화기 한국어 자료로서의 한국어 학습서에 대한 검토가 앞으로의 연구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Dokhak Haneodaeseong Jeon(獨學 韓語大成 全)”(1905),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learner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organization of the book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ean in the textbook. This paper raises two key points. First, This Korean Textbook shows impressve description about verb conjugation which other Korean textbook at same period did not show. Second, korean sentences and conversation of this material are translated both literally and freely. It means this book is not only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but also Japanese textbook for Korean people. This material also give us two important facts about features of Korean language. First, the writer of “Dokhak Haneodaeseong Jeon(獨學 韓語大成 全)” had lived at Wonsan in Hamgyeong province, so Korean language of this book reflected on Hamgyeong dialect. But the writer did not presented only dialetal vocabulary, he always presented standard vocabulary which was used at Gyongseong(京城). Second, the writer of this book described phonologial length of korean language., and we found this charateristics of vowel length with Katagana descripon of this book. It seems to reflects pronunciation of Modern Period’s Korean which we could not get from other materials at that period.

      • KCI등재

        개화기 다언어(多言語) 학습서와 근대 한일 양국어

        李康民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4 No.-

        본 연구는 개화기의 일본에서 간행된 13종의 다언어(多言語) 학습서를 조사 분석하여 이들 학습서가 가지는 언어자료로서의 성격을 구명하고자 계획된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다언어 학습서란 일ㆍ한ㆍ청과 같은 3언어, 또는 일ㆍ한ㆍ청ㆍ러시아와 같은 4언어 대조 학습서를 지칭하는 것으로, 전자의 경우는 주로 청일전쟁이 발발한 1894년에, 후자의 경우는 주로 러일전쟁이 발발한 1904년에 간행되었다는 시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조사의 결과, 이들 학습서에 보이는 일본어는 도쿄어가 형성되어 간 메이지(明治)기의 과도기적인 언어현상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서의 간행 지역에 따라 지역성과 관련된 언어현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들 학습서에서 한국어를 가타카나(片仮名)로 기록하고 있는 점은 한국어 음운사 연구를 위한 자료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이들 학습서에 보이는 가나 표기를 통하여 한국어 이중모음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들 학습서에 보이는 한국어에는 한국어의 어휘사 또는 표현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언어현상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to analyze the 13 types of multi-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time of Korea's enlightenment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extbooks as linguistic materials. Here, a multi-language textbook refers to the comparison of textbooks in terms of either the three languages of Korean/Japanese/Chinese or the four languages of Korean / Japanese / Chinese / Russian, in which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have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ing published mainl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that occurred in 1894 an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that occurred in 1904,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Japanese used in these textbooks contains transitional language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 Meiji period as the Japanese is built on the specific form of the Japanese language used in Tokyo.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observe language phenomena relat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fferent regions where the textbooks were published.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Korean in these textbooks was recorded in Katakana draws attention because it has referential value for studying the historical phonology of Korean. In particular, I believe the Kana notation seen in these textbooks can provide us with information relevant to the changes in Korean diphthongs. Apart from this, the study showed that the Korean used in these textbooks contains significant language phenomena that can be utilized to study the history of lexicon and the history of articulation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후보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서양인에 의해 개발된 4가지 학습서를 중심으로

        김가연,김효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3

        이 연구는 20세기 초 서양인에 의해 개발된 한국어 학습서를 조사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세기 초 출판된 한국어 학습서 중에서 예문이나 회화문이 포함된 4종의 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 한국어 학습서의 전체적인 구성 및 단원 구성 같은 형식적인 측면과 함께 편찬 배경 및 목적, 단원의 중심 내용, 예문의 유형, 예문 간의 의미 연결, 예문의 내용 등과 같은 내용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서의 전체 구성 및 단원 구성이 예문 또는 문법 항목을 제시하는 고립적이고 단순한 구성에서 여러 주제와 기능이 통합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고, 학습서의 예문이 문장 단위에서 담화 단위로 나아가고 있었다. 또한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는 점진적으로 청각구두 교수법을 수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20세기 초에도 회화 중심의 학습서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들 학습서는 19세기 말의 학습서와 1960년대 학습서의 과도기적 성격을 갖지만 20세기 초 이후 발간된 학습서의 토대가 되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xtbooks for learning Korean written by westerner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Four different textbooks which include sample sentences and conversational dialogu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format (i.e. textbook structure and chapter organization) and content (i.e. background information and purpose of publication, lesson content, types and meaning of example sentences) as time progressed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ing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e and isolated organization of the book and chapters became more complex and systematic with integrated topics and functions. Additionally, example sentences also began to appear in a discourse level and in pattern drills along with Audiolingual Method. These findings prove that Korean learning textbooks which focused on conversation practice existed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se textbooks have significance for Korean textbooks of the following generation as they have transitional features of the textbooks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textbooks of the 1960s.

      • KCI등재

        근현대 일본인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총체적 접근과 분석

        고경민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1 No.-

        이 연구는 근현대 일본인 대상으로 편찬된 한국어 학습서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근대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학습서의 변천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서의 편찬 배경과 시대적 상황과 같은 외적인 요인과 학습서의 목적 및 단원 구성과 같은 교육 내적인 요인을 함께 살펴볼 것이다. 학습서의 분석은 구축된 DB를 바탕으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 과정을 통해 근대와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특성과 교재의 편찬 목적, 배경 등을 분명히 밝히고, 해당 시기 교재의 특징을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실증적 자료와 재해석된 내용을 토대로 근대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편찬된 일본인 대상의 한국어 학습서의 흐름을 파악하고, 변화를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서 한 두 권의 분석이 아닌 통시적인 관점에서 학습서를 살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아직 정확한 규모나 내용을 알 수 없는 근대와 일제강점기 일본인 대상의 한국어 학습서의 규모와 편찬 상황은 물론 교육 내용 등을 총체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learning materials from modern times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analyz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compiled for modern-present Japanese people,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is study, external factors like compilation backgrounds of learning materials and situations of the times and internal factors like purposes of learn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of units are examined as well. Learning materials are analyz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ose times, based on the constructed DB. It is anticipated that this process would help in clarifying traits of modern times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compilation purposes of teaching materials, and backgrounds and in grasping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aterials of the times. It was also considered that it wa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eam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Japanese people compiled from modern times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read the change, based on the empirical data and re-interpreted information. This requires a process of investigating learning materials, from a diachronic viewpoint, not merely analyzing one or two learning materials. It is supposed that this process may facilitate a holistic approach to the scale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Japanese people, compilation situation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modern times a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at have not been found accurately, yet.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를 통해 본 한국어 어휘 교육 –서양인 저술 한국어 학습서를 중심으로–

        박새암(Park, SaeAm)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 연구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간행된 서양인 저술 한국어 학습서의 분석을 통해 초기 한국어교육사의 한 단면으로 당시의 한국어 어휘 교육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시기에 출판된 학습서의 어휘 교육 내용을 어휘 제시 방식과 어휘 연습 방식으로 살펴본 결과 이 시기 학습서에 나타난 어휘 제시 방식은 문장이나 어휘의 대역을 통한 의미 제시방식, 어휘의 어원과 형태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 주제별, 사용 목적별 어휘 목록 제시 방식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어휘 연습 방식은 이 시기 한국어 학습서에는 거의 나타나지는 않아 이 시기 한국어교육에서 ‘어휘’는 명시적인 교육의 대상이라기보다는 학습자 스스로가 알아서 학습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Language School’에서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20세기 초에 출판된 언더우드의 Everyday Korean(1921)과 사우어의 Korean for Beginners(1925)에 나타난 주제별 어휘 목록의 제시나 어휘 학습을 위한 구체적 지시사항은 한국어교육이 개인적 학습에서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교육으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어휘 역시 개인적으로 학습해야 할 대상에서 체계적인 관리와 학습이 필요한 교육의 대상으로 인식의 전환이 나타난 사례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as a part of the history of early Korea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published i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The contents of vocabul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tudy book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ere reviewed in terms of vocabulary presentation and vocabulary practice.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that appeared in Korean study books during this period: a method of presenting meaning through a range of sentences or vocabulary, a method of presenting information on the origin and form of a vocabulary, and a method of presenting vocabulary lists by subject and purpose. Vocabulary practice methods rarely appear in Korean language study books during this period, so it could be seen tha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vocabulary’ was perceived as an object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had to learn rather than as an object of explicit education. However, through a list of vocabulary by subject in Underwood’s Everyday Korean (1921) or specific instructions for vocabulary learning in Sauer’s Korean for Beginners (1925),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in personal learning. As education changes, vocabulary can be confirmed as an example of a shift in perception from an object to be learned individually to an object of education that requires systematic management and learning.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일본 간행 한국어 학습서를 통해 본 한국어 발음 교육 - 한글 표기에 대응하는 가나 표기를 중심으로 -

        김준수(Kim, Junsoo),안기경(An, Kigyeong),문경진(Moon, Kyoungjin),박기영(Park, Keeyoung)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고는 개화기에 일본에서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들을 통해 당시 한국어 발음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화기 한국어 학습서들 가운데 한글 표기와 가나 표기가 병기된 한국어 학습서를 주된 자료로 삼되, 한국어 발음에 관한 음성적 · 음운론적 기술이 있는 학습서를 참고하여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의 음운 및 음운 규칙 학습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자음 학습의 경우, 『韓語會話』(1904)에서는 한국어의 평음 · 경음 · 격음을 가나로 표기할 때 별도의 반탁점과 첨자를 활용하여 구별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음운 규칙과 관련해서는 한글 표기에 음운변동이 반영되어 있지 않지만 가나 표기에는 음운변동이 반영된 경우를 통해 학습자들이 귀납적으로 한국어의 음운 규칙을 학습했음을 알 수 있었다. 모음 학습의 경우, 일본어는 한국어보다 적은 수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본어에 존재하지 않는 모음의 경우는 조음위치상 가까운 일본어의 모음을 나타내는 가나에 대응시켰다. 이 경우 하나의 가나 표기에 대응하는 한국어 모음이 여러 개 있었기에 해당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성적 · 음운론적 설명을 덧붙인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was presented and learned through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attern in which Japanese learners learned phonological rules of the Korean by dividing into three types of notation related to phonological phenomena, centering on the Korean textbooks with both Korean alphabet notation and Kana notation. First, with regard to consonants, it was investigated how the Korean lenis,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pronunciation patterns, which is not found in the Japanese consonant system, is presented in the Korean textbooks. For example, in 『Haneohoehwa』(1904), separate symbols (˚, ˋ) were used to mark the three Korean sounds - the lenis,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 in Kana notation, which are not in the Japanese consonant system. Second, with the phonological changes of consonants, it was considered that learners were able to inductively learn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through the type (ii), in which the phonological changes were not reflected in the Korean alphabet notation but the phonological changes were reflected in the Kana notation. Finally, with regard to vowel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how to present short vowels in Korean, which are not found in the Japanese vowel system, in the Korean textbooks. There are only 5 single vowels in Japanese, but there are up to 10 single vowels in Korean, so it was difficult for Japanese learners to learn the Korean vowel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carefully reviewed how individual vowels of Korean are presented to learners in the Korean textbooks. Korean vowels that do not exist in Japanese were matched to Kana notation, which represents a Japanese vowel near the articulation position with the Korean vowels. In this case, additionally a phonetic and phonological explanation was presented because there are several Korean vowels corresponding to one Kana notation.

      • KCI등재

        왜학서에 대한 한국어학적 연구의 회고와 전망

        허인영 국어사학회 2022 국어사연구 Vol.- No.34

        Waehaksŏ refers to Japanese language study books compiled by those related to the Sayŏgwon, a foreign language study institution in the Chosŏn Dynasty. Korean language research on Japanese-related sources has focused on the Waehaksŏ, especially the large volume of conversational texts in the Chŏphae Sinŏ. Since the late 1990s, Korean language study books and records remaining in Japan have been discovered and reported to the academia, and since the 2000s, late modern Korean-Japanese language study books have also begun to be the subject of research. However, full-scale Korean language research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Japan,” it is necessary to conduct Korean language research not only on Japanese studies books from the Chosŏn period, but also on late modern Korean-Japanese language study books and Korean language-related records. In addition, while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related sources, translations and annotations of important sources such as Chŏphae Sinŏ will be made in order to increase the depth of the research. Meanwhile, as has been attempted recently,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various fields such as language education, literature, cultural history, and social history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using sources containing Korean languag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Japan. For this purpose, close collaboration with not only Japanese language majors but also with majors in various fields is essential. 왜학서는 일본 관련 한국어사 자료 가운데 조선시대의 통역관 양성 기관인 사역원 관련자가 편찬한 일본어 학습서를 가리킨다. 이제까지의 일본 관련 자료의 한국어학적 연구는 왜학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가장 양이 많고 대화문으로 이루어진 捷解新語 에 그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에 남아 있는 한국어 학습서 및 한국어 관련 기록들이 점차 더 발굴되어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로는 근대의 한국어․일본어 학습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본격적인 한국어학적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일본과 관련된 한국어사 자료’라는 관점에서 조선시대의 왜학서뿐만 아니라 근대의 한국어․일본어 학습서와 한국어 관련 기록을 한국어학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련 자료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연구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捷解新語 를 비롯한 중요한 자료들의 역주와 함께 한국어/일본어 학습서 자료의 DB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최근 시도되고 있듯이 일본과 관련된 한국어사 자료가 담고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언어교육․문학․문화사․사회사 등 다양한 분야와의 간학문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어학 전공자는 물론, 다양한 분야 전공자와의 긴밀한 협업이 필수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