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통제, 학업가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목표몰입의 관계

        권대훈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2

        Goal commitment implies the intention to extend their effort toward goal attainment, persistence in pursuing that goal over time, and an unwillingness to lower or abandon that goal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in achieving goals. For a successful college life, students must be committed to their academic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control, academic value,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and goal commitment. Three hundred and twenty college students filled out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Perceived Academic Control Scale, Academic Value Scale, and Goal Commitmen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control and academic valu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ositive emotions and goal commitment,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s. Second, positive emo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oal commitment, but negative emotion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oal commitment. Third,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academic control to goal commitment. Fourth,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academic value to go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foster college students’ goal commitment, we should help them perceive they can control academic activities and outcomes, give high value on academic activities and outcomes, and experience more positive emotions than negative emotions. 목표몰입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에 당면할 경우에도 포기하지 않고 원래 목표를 꾸준하게 추구하는 것을 뜻한다. 대학생들이 성공적으로 대학생활을 영위하려면 학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몰입해야 한다.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통제, 학업가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목표몰입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 320명에게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학업통제 척도, 학업가치 척도, 목표몰입 척도를 실시했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통제 및 학업가치는 긍정정서 및 목표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정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정서는 목표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부정정서는 목표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는 학업통제 가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부분매개했다. 넷째,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는 학업가치가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부분매개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목표몰입을 높이려면 대학생들이 학업활동 및 결과를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고 지각하고, 학업활동 및 결과에 가치를 부여하며, 긍정정서를 많이 경험하고 부정정서를 적게 경험하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학업정서 연구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함의 탐색

        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제안된 학업정서의 개념이 학업상담에 주는 의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여러 학문분야에서 논의되었던 학업관련 정서의 이론적 논의와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경험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정서 연구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업관련 정서의 이론적 논의로는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 현상에 관한 관심의 출발점인 귀인이론, 학업정서의 개념을 제안하고 그 작용과정을 밝힌 통제-가치 이론, 동기이론에서 다루어지던 정서 요인을 결합한 성취목표-정서 모델을 선정해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경험적 연구 가운데, Pekrun의 학업정서 개념에 입각해 수행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정서 경험에 관한 연구, 학업소진, 시험불안, 외상사건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 학업적 정서조절 구인에 관한 연구 등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문제의 파악, 상담목표의 설정, 개입의 측면에서 학업정서 연구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관련한 후속연구의 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academic emotion for the practice of academic counseling which was proposed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motion in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f academic achievement-related emotions across various disciplines and the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en, implications for academic counseling practice were explored based on the contents.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related emotion include the attribution theory which initiates the discussion of emotions in academic achievement, the control-value theory which suggests the concept of academic emotion, and the achievement goal-emotion model which combines emotional factors that are dealt in academic motivation. And then among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research on the academic emotional experiences of Korean students carried out based on Pekrun's academic emotion, academic burnout, test anxiety, academic failure as traumatic experience,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ere reviewed. Finally, implications for academic counseling in terms of problem identification, setting of counseling goals,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학업정서조절 프로그램 개발

        허소현,양용칠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학습상황에서의 정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서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부정적 정서는 학업성취 뿐만 아니라 학습기술, 학습동기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부정적 정서를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학업정서조절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학업정서조절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프로그램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중학생들이 학업상황에서 부정적 정서를 경험했을 때 이를 적절히 통제하고 조절하여 학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업정서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수설계모형 중 가장 대표적인 ADDIE모형에 기반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정서’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약 45%로 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학업정서조절의 구성요소를 인지전략(정서의 인식과 수용, 능동적 사고, 긍정적 재평가)과 행동전략(목표지향행동, 지지추구)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교수전략과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단계를 ‘학업정서와 학업정서조절의 이해, 학업 정서조절전략, 일반화를 위한 연습’으로 구성하였다. 각 장별로는 Gagne의 교수사태를 기반으로 각 장별 단계를 ‘주의집중, 학습목표, 자료제시, 연습, 정리’로 구성하였고 스스로 자신의 학업정서조절능력을 진단해 볼 수 있는 자기진단지(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총 8장의 학업정서조절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 KCI등재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 효과검증

        심효진(Hyojin Shim),김정섭(JungSub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하는 P대학 학사경고자로 직전학기 성적이 2회 이상, 평점 1.8 이하에 해당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분반씩 4개의 집단에 참여한 최종 52명(실험 26명, 통제 26명)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에는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학업적 정서조절과 관련된 내용을 제공하지 않았다. 결과 학업적 정서조절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학업적 정서조절의 4개 하위요인인 정서의 자각, 목표일치 행동,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 정서조절 전략의 접근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성찰문 분석결과에서 학업정서의 변화, 수업태도의 변화, 목표에 따른 행동 변화 및 학업에 대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참여자들이 학업적 정서조절 방법을 프로그램 참여 이전 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은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특히,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경고자는 자신의 정서를 자각하고, 학업상황에 대한 적절한 목표와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를 수행하였다. Objectives The program based on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was applied to academic probation student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Methods Academic emotional control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confirm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COVA of 52 academic probation students(26 experiments, 26 controls), academic emotion control of academic probation stud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The four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emotion awareness, goal-matching behavior,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 and approach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ll showed positive effects. By analyzing the self-reflection statements of academic probation students, specific effects could be confirmed. In the results of the self-reflection analysis, there were changes in academic emotions, changes in class attitude, changes in behavior according to goals, and positive changes in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s The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learning experts to improve the academic emotion control of academic probation students. Through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it was possible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f the academic probation. In particular, through this program, academic probation students were aware of their emotions and performed a positive reevaluation of their emotions and goals appropriate to their academic situation.

      • KCI등재

        학업적 열등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권선경(權宣慶),이지연(李之連),장진이(張眞伊)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학업적 열등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에 따라 어떠한 자연발생적인 군집이 형성되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군집 간에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저열등감 고효능감-정서조절 집단, 중열등감 저효능감-정서조절 집단, 고열등감 중효능감-정서조절 집단 등 3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각 군집별로 학업 스트레스를 살핀 결과 저열등감 고효능감-정서조절 집단이 가장 낮았고, 중열등감 저효능감-정서조절 집단, 고열등감 중효능감-정서조절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업성취도를 살핀 결과, 저열등감 고효능감-정서조절 집단, 고열등감 중효능감-정서조절 집단, 중열등감 저효능감-정서조절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적 열등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등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집단이 있을 수 있고, 집단별로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수준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학업 문제를 호소할 경우 어떠한 하위집단에 속하는지에 대한 평가와 이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natural groupings of people in terms of academic inferior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433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cluster of academic inferior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as divided into such sub-group as low inferiority-high efficacy and emotional regulation, medium inferiority-low efficacy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high inferiority-medium efficacy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se groups. Particularily results showed students in low inferiority-high efficacy and emotional regulation group experienced high level of academic stress and performed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Mor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안경광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세진,예기훈,홍경희 대한시과학회 2016 대한시과학회지 Vol.18 No.1

        목 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파악하고 학업정서의 분석을 통해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정서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3년제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 192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학업스트레스는 고위험집단( >130점), 잠재위험집단(80~129점), 건강집단(<80점)으로 분 류하여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 과: 학업스트레스 중 시험스트레스가 3.05, 공부스트레스 2.78, 수업스트레스 2.69, 그리고 성적스트 레스 2.61순 이였으며, 그 중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학업정서에서는 부정정서 중 지 루함이 3.18, 분노 2.61, 불안 3.11을, 그리고 긍정정서 중 즐거움이 2.87, 희망 3.22, 긍지 3.25를 각각 나타 내었다. 그 중 부정정서에서는 지루함이, 긍정정서에서는 긍지가 각각 가장 높은 학업정서를 나타내었다. 결 론: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지루함과 긍지에서 가장 높은 학업정서 수치를 나타내었다. 학업스트레스 수준 중 고위험 집단에서는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부정정서에서는 지 루함, 분노, 그리고 불안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그리고 긍정정서에서는 희망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 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학생일수록 부정정서 수치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어 눈높이에 맞는 대학생활 지도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ademic stress of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academic stress on the academic emo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ir academic emotions. Method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92 copies of a survey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motions conducted with students enrolled in a three-year course of the Dept. of Optometry. For academic stres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high-risk group (>130 points), a potential-risk group(80-129 points) and a health group(< 80 points)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academic stress, and statistical software, SPSS18.0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f academic stress, test stress was 3.05; study stress, 2.78; class stress, 2.69; and school record stress, 2.61. Of them, test stres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negative emotions in academic emotions, boredom was 3.18; anger, 2.61; and anxiety, 3.11 while of positive emotions, pleasure was 2.87; hope, 3.22; and pride, 3.25. Boredom showed the highest academic emotion of negative emotions while pride showed the highest academic emotion of positive emotions. Conclusions: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had the highest test stress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academic emotion in boredom and pride. The high-risk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est stress in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and the highest value of boredom, anger and anxiety in negative emotions while it showed the highest value of hope in positive emotion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the higher their negative emotion became, so it is judged that guidance and interest in college life at their eye level would be needed.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현(Park Ji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영향 관계에서 남녀 성별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생 414명 중, 응답이 불충분한 21명을 제외한 393명의 설문 응답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라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정서 전체와 진로성숙도 전체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정서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업정서 전체와 진로성숙도 전체는 학교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학업정서 전체, 학업정서 하위요인의 일부(지루함, 분노, 불안), 진로성숙도 전체,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의 일부(준비성)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학업정서의 즐거움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 전체, 진로성숙도 전체,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일부(확신성, 준비성)는 학교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 전체, 학업정서의 하위요인 일부(즐거움, 희망, 긍지), 진로성숙도 전체, 진로성숙도의 확신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로성숙도의 독립성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는 학교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별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생활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emotion and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life satisfaction by gender and to derive unique, innovative, and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school-life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393 high school students after exclud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21 students, which were insufficient, from 414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This study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 23.0. t-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ender on maj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der on academic emotion, career maturity, and school-life satisfaction. Results The overall academic emo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career maturity of them. However, th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and those of career matur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cademic emotion and career matur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hool-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perceived overall academic emotion, som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i.e., boredom, anger, and anxiety), overall career maturity, and som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preparedness) higher than 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perceived the joy of academic emotion and school-life satisfaction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overall academic emotion, overall career maturity, and som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i.e., certainty and preparedness) affected school-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overall academic emotion, som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overall career maturity, and certainty of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school-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independence of career maturity influenced school-life satisfaction nega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emotion and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school-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were different between gender in some cases. This study discussed methods and limitations for improving school-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김정아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the domain of adolescents’ emo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nge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ffer essenti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olicy insights. First, academic enthusiasm, as a positive emotion, decreased over time, while academic helplessness, as a negative emotion, consistently increased. Second, by applying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to compare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etween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the study revealed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several factors have similar impacts on the initial levels and rates of change in academic enthusiasm for both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Specifically, relational factors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exacerbati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Fourth, along with school-related factors, family and individual factors als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cademic emotions. Last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itial values in addressing the issue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It emphasizes the need for multifacet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to ensure that academic emotions are not determined solely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s.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교육 양극화 문제가 학생의 정서적 발달 영역에서도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KCYPS 2018) 제1~4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집단 잠재성장모형(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업정서 중 긍정정서에 해당하는 학업 열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부정정서인 학업 무기력은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바, 이는 현행의 학교교육에 대한 반성과 비판적 검토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둘째,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상위권 학생들과 하위권 학생들의 학업 열의 및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를 비교한 결과, 상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높아지고 하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낮아지면서 격차가 심화되는 양상과 더불어, 하위권의 학업 무기력이 점점 높아지면서 상위권과의 격차가 커지는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학업 열의의 초깃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 가정요인, 개인요인은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 간에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업정서의 수준과 변화 양상이 달라지며, 학교요인 중 특히 관계적 요인(교우관계 및 교사관계)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학교요인 외에도 학업정서 발달에는 가정요인과 개인요인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 열의에는 가정의 경제 수준, 학생의 자아존중감, 구체적 진로결정 여부가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 무기력에는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있어 초깃값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학업정서가 부정적인 수준(낮은 학업 열의, 높은 학업 무기력)에서 고착되지 않도록, 전인적 교육의 관점에서 학업정서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다각도의 교육적・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학업정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이정민(Lee, Jeongmin),고은지(Ko, Eu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학업정서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선정된 변인인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도와 학업정서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및 교수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KCI에 게재된 17편의 학업정서 관련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정서는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도, 성취목표지향성과 각각 양(+)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부정정서는 학업성취도와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학교 급을 중재변인으로 설정하여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관련변인과의 효과크 기를 분석한 결과, 긍정정서는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도 각각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고, 부정정서는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정서와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을 통해 정서적 경험의 가치를 확인하고 연구 및 교수전략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articles of academic emotions and find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role of academic emotions. The 17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KCI journals were chosen and analyzed by meta-analysis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motion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Negative emotion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by setting the school level as an intervention variable, the positive emotion was significant in the group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negative emotion was significant in the group of self-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paper.

      • KCI등재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의 매개효과

        김연정,장현아 한국교육치료학회 2020 교육치료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1,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측정모형 검증을 통해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 학업스트레스, 학업정서는 정적상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 학업정서와 학습몰입은 학업정서의 하위분류에 따라 반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학업스트레스(기대비교상황)가 매개하였고 부모학업성취압력은 학업스트레스(정서신체반응, 기대비교상황)와 학업정서 중 긍정정서(희망, 즐거움)에 이중 매개되어 학습몰입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과 제언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mo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learning flow among children and youth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23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collect data,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main variable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learning flow,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motion, 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motion, and between academic emotion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the sub-classification of academic emotion. Second, academic stress (expected comparative situ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learning flow, an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dual mediated the academic stress (emotional body response, expected comparative situation) and positive emotion (hope, pleasure) among academic emotions, showing the learning flow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