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업스트레스,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습몰입,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인 관계는 어떠하며, 학습몰입과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은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문계 고등학교 4개교를 표집하였으며 남자는 304명, 여자는 214명 전체 518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업낙관성 검사, 학습몰입검사, 학업스트레스 검사이고 학업 성취도는 2013학년도 1학기말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낙관성은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있지만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도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업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낙관성의 잠재집단을 분석한 결과 학업낙관성 변인들은 2개의 잠재집단으로 나타나 하나는 높은 학업낙관성 집단으로, 다른 하나는 낮은 학업낙관성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학업낙관성 잠재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몰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optimism, learning flow,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518 high school students comprised of 304 boys and 214 girl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tudent`s academic optimism, learning flow, and learning stress. Academic achievement were summative evaluation us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3. The research model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optimism, learning flow,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as good in the model fits. Academic optimism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cademic stress. Learning flow positively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flow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nalysis of the latent classes of academic optimism 2 latent groups were revealed, which were named as ``high academic optimism group`` and ``low academic optimism group``. Latent groups of academic optimism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s of latent groups of academic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창훈,조영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bility and academic stress among adolescents. To this end, a survey on self-regulation ability, academic stress and optimism was carried out with 321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ptimism and self-regulation mode that is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While Volitional inhibition mode that is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Second, when considering self-regulation mode and optimism, optimism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stress, while volitional inhibition mode and optimism had a significant effect when volitional inhibition mood and optimism were considered. Finally, the optimism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mode and academic stress. Namely, Adolescents with low self-regulation mode were found less stressed when they are highly optimistic rather than when they are less optimistic. While Adolescents with high self-regulation mode were found less stressed when they are little optimistic rather than when they are highly optimistic. These results suggests that in counselling, enhancing optimism in adolescents with low self-regulation mode can help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While high optimism with high self-regulation mode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321명에게 자기조절능력, 학업스트레스 및 낙관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양식 및 낙관성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를, 의지적 억제양식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조절양식과 낙관성을 함께 고려했을 때는 낙관성이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의지적 억제양식과 낙관성을 함께 고려했을 때는 의지적 억제양식과 낙관성이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조절양식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자기조절양식이 낮은 청소년들은 낙관성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학업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반면 자기조절양식이 높은 청소년들은 낙관성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학업스트레스를 적게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자기조절양식이 부족할지라도 낙관성을 높여준다면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기조절양식과 낙관성이 모두 높은 것이 학업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낙관성이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의 매개효과

        유계환,최연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o prevent the increasing number of adolescents from dropping out of school as the school year goes up, and to help them achieve smooth academic performance and adapt to school. To this end, it was to verify optimism, friendship,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relation to academic self-concept. A total of 543 students (2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245 middle school students, 282 boys, and 261 girls)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study found that optimism, friendship,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he academic self-concept all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Optimism w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self-concept. Also Optimis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riendship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hese affected friend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self-concept. It confirmed that friendship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ere partial mediating effected by optimism in influencing the academic self-concept. These studi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indicate the need for a program in school for adolescent optimism, as their optimism affects academic self-concept as well as friend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was discussed in other factors affecting the academic self-concept and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grade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청소년의 학업중도포기를 예방하기 위한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여, 원활한 학업수행 및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낙관성, 학업자아개념 간의 관계에서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543명(초등학생 297명, 중학생 246명, 남학생 282명, 여학생 261명)이었다. 연구결과 낙관성,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업자아개념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낙관성은 학업자아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낙관성은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런 영향을 받은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는 학업자아개념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통해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는 낙관성이 학업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청소년들의 낙관성은 교우관계나 교사와의 관계 뿐 아니라 학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에, 청소년기의 낙관성을 위한 학교 안에서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업자아개념을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과 성별, 연령, 학년 급에 따른 차이에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과 인지, 동기, 정서 변인들의 예측효과 분석

        김영숙 ( Kim Young-suk ),조한익 ( Cho Han-i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과 인지, 동기 및 정서 변인들이 학업낙관성 잠재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9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남학생은 403명, 여학생은 331명, 총 734명이다.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을 살펴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학업낙관성, 국어, 수학교과 성적이며,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성취정서 등이다. 학생용 설문지와 교사용 설문지는 2013학년도 11월에 배부하여 12월 말에 수거하였으며 학업성취도 결과는 C도교육청의 교육연구정보원에서 11월말에 실시한 도학력평가의 국어, 수학 교과 점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은 3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잠재집단 1은 교사신뢰와 가족의 학업지지를 바탕으로 한 학업효능감형으로, 잠재집단 2는 가족의 학업지지를 바탕으로 한 학업효능감형으로, 잠재집단 3은 낮은 학업효능감형으로 명명하였다. 이 세 집단에서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잠재집단 1이며, 잠재집단 2, 잠재집단 3의 순서로 학업성취도가 낮게 나타났다. 잠재집단 1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숙달목표, 수행접근, 수행회피, 자기결정성, 즐거움, 지루함, 불안감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2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자기결정성,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3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잠재집단 3을 참조변인으로 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잠재집단 1과 잠재집단 2는 잠재집단 3에 비해서 자기결정성이 높고 즐거움과 불안감 정서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동기, 정서 변인들의 예측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각 집단 별로 차별적인 교육적 처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latent classes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academic optimism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 variables on mixed-regression latent groups. The subjects were 403 male and 331 female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cademic optimism, cognitive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and achievement emotions. A mix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ree latent groups were appropriate. Latent group 1 was named as academic efficacy type based on teacher trust and family academic support, Group 2 was named as academic efficacy based on family academic support, while latent group 3 was named as low academic efficacy.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self-determination, pleasure, boredom, and anxiety were the factors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in latent group 1. Self-determination and pleasure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in latent group 2. There were no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latent group 3.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using latent group 3 as a reference revealed that latent group 1 and 2 had higher self-determination and lower pleasure than latent group 3. Based on these studies, researchers discussed the relevance of previous studies, their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 KCI등재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김나래,마림,김경아,이동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 total of 250 middle school students (men=107, women=141) responded to the survey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optimism,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optimism,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attitude was found from a test of mediation with regression analysis.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analysis verifi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optimism interacting with social support on academic self-efficacy; whereas,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interacting with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elf-efficac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as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낙관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250명(남 109명, 여 141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을 측정하였고, SPSS 18.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낙관성,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회귀분석을 사용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낙관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낙관성과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하여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SPSS Macro를 통해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낙관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낙관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을 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참가자의 학교적응유연성과 학업낙관성이 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호용,민솔비,김용은,김준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influence of school adaptability and academic optimism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nt. Method: For this, 229 people are selected from regions Gwangju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3.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is used. Results: First, sub-factors(attitudes toward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attachment) of school adapt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ub-factors(behavior, emotion)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Second, sub-factors(attitudes toward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attachment) of school adapt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ub-factors(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of academic self-efficacy. Third, sub-factors(academic emphasis at hom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optimism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ub-factors(behavior, emotion, task level preference)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Fourth, sub-factors(academic emphasis at home, student trust in teacher,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optimism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ub-factors(preferred difficulty,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of academic self-efficacy.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college students adjust to their school life through practical classes in liberal arts and sports at universities and form the right values and beliefs from experience of failure based on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studies. 본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참가자의 학교적응유연성과 학업낙관성이 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소재 대학교 교양체육 실기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목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29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dow Ver.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참가자의 학교적응유연성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참가자의 학교적응유연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참가자의 학업낙관성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참가자의 학업낙관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정서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조규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정서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시 소재 Y중학교 중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45명의 자료를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업낙관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정서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의 단계선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정서, 학습몰입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중학생의 성취정서, 학업낙관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순으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습몰입 향상을 증대시키기 위한 교육적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

        여태철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5 초등상담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아동의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조절효 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19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76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낙관성, 자기결정성동기 및 학교생활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변인들간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아동의 학업스트 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 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자기결정성동기의 하위요인인 외 적 원인과 부과된 원인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 다른 변인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관성, 자기결정성 하위요인인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 원인 및 학교생활적응과 그 하위요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아동의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의의,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기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optimism and self-determin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476 5th and 6th graders from 19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For this research, children's academic stress scale, optimism scale, self-determination scale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administer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children's academic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However, children's academic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Children's optimism, identified/integrat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econdly, the result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s optimism and self-determination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

        브레인짐 학교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기 중학생의 낙관성과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옥희 ( Kim Ok H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는 브레인짐 학교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기학생들의 낙관성과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브레인짐 26동작과 밸런스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적이고 경험적인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학업중단 위기를 경험하는 남자 중학생 12명이다. 측정도구는 낙관성과 학업동기 검사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낙관성과 학업동기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브레인짐 학교프로그램은 학업중단 위기중학생의 낙관성을 높이고 학업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Brain Gym School Program on academic motivation and optimism of the at-risk youth. The program was designed for 8 sessions and consists of movement-based and empirical activities incorporated with 26 Brain Gym movements and group action balanc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questionnaires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were 12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classified as at-risk students. The measuring tools were questionnaires for optimism and academic motiv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optimism and academic motivation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safe to say that the Brain Gym School Program helps at-risk youth with their optimism and academic motiv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행복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 및 낙관성의 효과

        명수정(Myeong, Su-Jeong),강승호(Kang, Seung-h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 학업 성취가 중학생의 낙관성과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낙관성이 사회적 지지, 학업 성취와 행복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그리고 행복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강원도에 위치한 7개 중학교의 2학년 학생들을 지역별, 성별을 고려하여 임의 표집한 74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중학생의 행복결정 요인에 대한 가설적 인과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LISREL 8.54를 이용하여 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부모 지지, 친구 지지)는 행복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교사 지지는 행복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 성취는 행복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부모 지지, 친구 지지)와 학업 성취는 모두 낙관성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학생의 낙관성은 행복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낙관성의 행복에 대한 표준화 경로계수는 .70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생의 낙관성은 사회적 지지, 학업 성취, 행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보였다. 여섯째, 중학생의 행복전체 변량에 대한 사회적 지지, 학업 성취 및 낙관성의 총 설명변량은 81%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cademic achievement, and optimism on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The survey was made by 748 students who were randomly sampled in second_year students of 7 middle schools in the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with regard to region and sex.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upport(parents support, friends support) had a significantly and directly positive effect on their happines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ad not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their happiness. Third, both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ly and directly positive effect on their optimism. Forth,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had a significantly and directly positive effect on their happiness. The standardization path coefficient of their optimism on their happiness was .70. Fifth,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showed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social support,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Finally, the total explanation variance of their social support, academic achievement and optimism on their happiness was 81 perc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