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학습자와 면대면 학습자 간 동기조절전략 사용이 인지적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동호(Kim, Dongho),윤헌철(Yun, Heoncheo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Motivational regulation has been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in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Despite the importance of motivational regulation in learning, little was known about motivational regulation process moderated by contextual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learning environments (online learning vs. face-to-face learning) and academic levels affect the use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xtent of which the individual strategies of motivation regulation influence using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A total of 141 students who enrolled in ‘Instructional Methods and Technology’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an unnamed 4-year public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n onlin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70 face-to-face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nd 71 online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results of two-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showed that their learning environments and academic level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ifferentiating the use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ou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different sets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onsistently predicted the levels of using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motivational regul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cognitive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appropriate instructional design effort and motivational support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to ensure a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조절전략 사용에 있어서 학습 환경(맥락적 요인: 온라인 학습과 전통적 면대면 학습)과 학년별 수준(개인적 요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동기조절전략 사용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G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동일한 교직 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141명(2019년 2학기 면대면 학습자 70명과 2020년 1학기 온라인 학습자 71명)을 대상으로 해당 학기 말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 환경과 학년별 수준에 따른 동기조절전략 사용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동기조절전략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자의 학습 환경과 학년 수준에 따른 동기조절전략 사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자는 면대면 학습자에 비해‘상황흥미증진’, ‘숙달자기지시’,‘수행회피 자기지시’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학년일수록‘수행접근 자기지시’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동기조절전략은 인지적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동기조절전략들이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지만,‘수행접근 자기지시’전략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전략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과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동기조절전략 사용과 동기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우디아라비아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정연희(Jung, Y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이 연구는 국내의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들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A대학 사우디 학습자 27명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의 양상을 조사한 결과 부과된 조절, 외적 조절, 통합된 조절, 확인된 조절, 내적 조절, 무동기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 중에서도 자기 결정성이 낮은 외적 조절과 부과된 조절 유형의 평균이 다른 동기 유형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우디 학습자들이 내재적 동기보다는 외재적 동기에 의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기결정성이 높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나타낸다. 사우디 학습자들과 같이 대부분 대학 입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 학습자들과 비교해 볼 때, 중국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외재적 동기 유형 중에서도 자기 결정성이 높은 통합된 조절과 확인된 조절 유형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 사우디 학습자들의 자기결정성 증진의 필요성을 반증하고 있다. 외적 조절이 높게 나타난 것은 학습자들이 모두 사우디 정부 장학금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라는 점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난 부과된 조절은 아랍문화권에서 체면과 명예를 중요시하는 문화적 배경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부과된 조절이 사우디 학습자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이들의 한국어 학습이 심리적으로 이중성을 가지고 있어서, 확인/통합된 조절과 내적 조절로 전환 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따라서 사우디 학생들의 교수-학습에 이 부과된 조절 전략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이들의 한국어 학습이 내적 동기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부과된 조절 유형의 특성에 주목하여 아랍문화권에 나타난 특성인 체면을 중시하고 집단의 명예를 중요시하는 문화적 배경을 수업 현장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Saudi Arabian students who learn Korean language,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The study conducted surveys on 27 Saudi Arabian students at a Korean language center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their motivation. 97 Chinese students as a control group also responded to the same survey.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23 and some meaningful results are derived;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prevail for Saudi Arabian students, which means their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learning is not strong. Second, the scholarship can affect to their high external regulation figure and highest level of introjected regulation seems to be associated with Arabic culture values ones face and family’s honor. Third, compared with Chinese students, having the same object of Korean language study-matriculation as Saudi Arabian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Saudi Arabian students have lower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urvey suggests that they need to notice an introjected regulation to promote Saudi Arabian students’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의 종단매개효과

        장희선(Heesun Ch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중학교 1학년 학생(4차)부터, 중2(5차, 2015년), 중3(6차, 2016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측정된 4,7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변인들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학습전략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소 추세를 보였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와 학습전략이 매개하는 경로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전략, 자기효능감 초기값이 학업성취 초기값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내재적조절동기는 부적영향을 주었다. 학업성취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변화율(정적 영향)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업성취 초기값의 관계,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습전략 초기값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초기값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초기값, 변화율과 학습전략의 변화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관계 궤적을 밝힘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using GELS(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4, 5,374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exception of self-efficiency, intrinsic modulator, learning strategy and potential growth analysis for academic achievement, all variable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over tim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the path model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regulator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strategy and self-efficacy statical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internal motivation gave a negative effect. The most important that affecte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performance was the rate of change in self-efficiency which had a positive effect.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of in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the rate of change of self-effic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eaching methods by brightening the trajectory of self-efficienc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온라인 학습자의 동기조절전략 사용 군집유형이 인지학습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윤헌철,오선아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1

        본 연구는 Schwinger, Steinmayr, 그리고 Spinath(2009)가 제시한 8요인 동기조절전략의 사용 정도에 따라 대 학생 온라인 학습자들이 어떠한 군집유형을 드러내는지 살펴보고, 각 군집유형 간에 인지학습과 학습몰입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광역시 소재 4년제 C대학교와 G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39명을 대 상으로 동기조절전략의 사용 유형 탐색을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1: ‘고빈도 동기조절집단’, 군집2: ‘중빈도 동기조절집단’, 군집3: ‘저빈도 동기조절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군집유형이 인지학습전략(시연, 정 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과 학습몰입(행동적 몰입, 정서적 몰입, 인지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가지 군집유형에 따른 인지학습전략 사용과 학습몰입에 있어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빈도 동기조절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가장 적극적으로 인지학습전략을 사용하며, 학습몰입의 정도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 발, 촉진, 조절하기 위한 교수설계와 동기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line learners’ clustering profiles according to the use of eight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developed by Schwinger, Steinmayr, and Spinath(2009)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engagement between their clus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139 students enrolled in two 4-year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city. Through cluster analysis for motivational regulation profiles, three clusters(cluster 1: high profile motivational regulation group, cluster 2: medium profile motivational regulation group, cluster 3: low profile motivational regulation group)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cognitive learning strategies(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and critical thinking) and three types of learning engagement(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The post hoc tests showed that the high profile motivational regulation group most actively used 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and was most engaged in learning than any other motivational regulation groups. This study provides crucial insight in designing appropriate instruction and learning support for enhancing learners’ motivational regulation.

      • KCI등재후보

        지방대학 전업주부 대학생의 내·외재적 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전남 동부권 대학을 중심으로

        김대명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ampus-life satisfaction of housewife college students in regional university. The data in this study are collected through survey for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self-regulated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by 500 students in 6 universities located in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the study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are assessed as an appropriate model for experimental data. In case of the route model compromised of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s were giving significant effect to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campus-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extrinsic motivation for life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urthermore intrinsic motivation has bigge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as used as a parameter.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parameter effects by Sobel.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were giving relevant effects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s a parameter for campus-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Self-regulation became a parameter for satisfaction.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borne by the self-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lead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explains 62% of self-regulation and both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together with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explains 78% of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life. So this study proves that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to housewife university student's study pattern. Moreover through the interaction of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uggests the need to search for various ways to increase campus-life satisfaction of housewife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대학 전업주부 대학생의 내·외재적 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전남 동부권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및 전문대학 6개교에서 500명을 대상으로 내·외재적 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대학생활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내·외재적 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 모형이 경험적 자료에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표준화 회귀계수로 구성한 경로 모형은 내·외재적 동기가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내재적 동기가 외재적 동기보다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컸으며 또한, 내재적 동기가 외재적 동기보다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그리고, Sobel의 매개 효과 검증 결과, 내·외재적 동기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내·외재적 동기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을 62% 설명해 주고 있으며, 내·외재적 동기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대학생활 만족도를 78% 설명해 주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내·외재적 동기가 지방대학 전업주부 대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통한 학습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 주었으며, 또한 내·외재적 동기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여주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

        박진선,김정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is students’ academic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burnou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has a moderating eff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rd, the achievement goal of performance-approach goal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Four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ffect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academic burnout may vary depending on students'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this respect, the study has discussed limitations and the needs to find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increas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performance-approach goal that can control the academic burnout of students. - 연구배경 및 목적많은 고등학생들에게 학업은 미래와 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에게 학업은 주요 활동으로 심리적으로 하나의 업무로 규정된다(Schaufeli & Taris, 2005). 이로 인해, 고등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좌절감 회의감을 느낄 수 있으며 지속되면 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이영복, 2009; Gan, Shang & Zhang, 2007; McCarthy, Pretty & Catano, 1990; 문화진, 2017). 더욱이 우리나라는 소진을 경험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학업소진이 중요한 타인과 조성된 특정 환경에 의해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소진을 더 느끼게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이은영, 2014; 백미숙, 2011; 윤희정, 2016; 차영남, 2006; 권예지, 2016), 부모가 자녀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면 자녀들의 다양한 학업동기변인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상우, 2010; Soenens & Vansteenkiste, 2005; Grolnick & Ryan, 1989; 김아영, 2008).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가 갖는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확인을 통해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가 학업소진에 도움이 되는 학습 방안을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연구방법 및 범위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5개 고등학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총 487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84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484부의 질문 중 무작위 응답을 했거나 하나 이상의 척도에 응답하지 않은 47부를 제외한 총 437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자료로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학업성적의 집단별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소진, 자기조절학습동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è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자율성지지, 자기조절학습동기, 학업소진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조절변인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단순회귀선의 기울기 검증(Aiken & West, 1991)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첫째, 각 변인들이 성별과 학업성적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살펴본 결과 학업소진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좀 더 많이 느끼며 학업성적이 하위권이라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많이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성취목표지향성도 마찬가지로 하위권이라고 보고한 학생들이 많이 느끼고 있었다. 반대로 자기조절학습동기는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자기조절학습동기로 인해 상위권학생들이 학업소진이 다른 학업성적 집단에 비해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등...

      • KCI등재

        ARCS와 자기조절에 기반을 둔 글쓰기코칭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덕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that can improve motivation for college students taking liberal arts courses. To this end, we first implemented a self-controlled learning coaching class to see how coaching learning affects a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and analyzed the students ' study flow. He also conducted coaching based on Keller's theory of motivation. He then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coaching of writing based on Keller's motivation theory and self-control abilities on learning motivations.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for H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writing coaching classes on learning immersion by university students found that all of the four subcomponents except for satisfaction were found in improving learning immersion. Second, the coaching classes using self-organization have an impact on learning immersion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e ability to self-control shows a static correlation with learning immersion. Third,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lso a high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immersion and structural relationship. Thus, learning immers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s, and learning immersion has been shown to be high. As shown in the above study, writing coaching classes based on learning motivations and self-control ab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s by using a medium of learning immer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in order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and to be able to enjoy learning itself, learners need to be more self-activated, and to be able to coach themselv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과목 중 글쓰기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는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기조절 학습코칭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 코칭수업을 구안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몰입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켈러의 동기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코칭수업을 구완하였다. 그런 다음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고 켈러의 동기이론과 자기조절능력을 기반으로 한 글쓰기 코칭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전에 소재하고 있는 H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활용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켈러의 학습동기 이론을 활용한 글쓰기 코칭수업이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4가지 하위요인 중 만족감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은 모두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변화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을 활용한 글쓰기 코칭수업이 대학생의 학습몰입 간의 영향 분석 결과, 자기조절능력은 학습몰입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과 학습동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역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습몰입은 학습동기에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학습몰입이 높으면 학습동기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토대로 학습동기와 자기조절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글쓰기 코칭수업은 대학생의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학습에 몰입하게 하려면 학습자대상 동기를 기반으로 하는 코칭이 필요하며, 자기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는코칭을 통해 자율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도록 교수자의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학습자중심교수, 내·외재적 조절동기 및 학습전략의 종단적 구조관계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중심교수, 내재적 조절동기, 외재적 조절동기가 학습전략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의 4차∼6차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변화에 따른 학습자중심교수, 내재적 조절동기, 학습전략의 모든 변인은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나, 외재적 조절동기와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잠재성장분석결과, 중학생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전략은 점차 높아지지만, 이를 제외하고, 모든 변인은 시간에 따른 감소추세를 보여주었다. 셋째, 다변량잠재분석결과, 학습전략 초기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재적 조절동기 초기값이고, 학습자중심교수 초기값, 외재적 조절동기 초기값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습전략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내재적 조절동기 변화율이었으며, 학습자중심교수 초기값과 함께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학습자중심교수에서 학습전략에 이르는 경로에서 내재적 조절동기 변화율과 초기값이 가장 강력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전략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학습자중심교수와 내․외재적 동기의 차별적 영향을 확인하여 학습자중심교수의 실천적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earner-centered teaching,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affect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s middle school students grow. In 2014,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through third years, 4,710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extrinsic motiva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each other, but the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insic motiv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t was found that learning strategies gradually increased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but other variables then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ange rate in learning strategies was the change rate in intrinsic motivation. Fourth, the inherent dynamic change rate and the initial value on the path from learner-centered teaching to a learning strategy were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mediating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to enhance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

        방희원(Bang, Hui-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8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에 대한 설 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취동기 수준을 구분하기 위해 성취동기 총점을 기준으로 상,하 수준을 각 50%로 범주화한다음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몰입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몰입이 낮다. 둘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업적 정서조절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낮다. 셋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전략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전략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전략이 낮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을 학습상황에 맞게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데 중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성취동기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를 위한 학습-상담-진로-취업의 연계프로그램 등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863 undergraduate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e study.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Learning Flow Scal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cale, Learning Strategy Scale were used. To distinguish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4.0 program, categorizing the upper and lower levels into 50% of each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flow. Seco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differ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ivation level of achievement, the high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e low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low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on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strategy.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control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tegrated and systematic programs such as learning-counseling-career-employment linkage for learners.

      • KCI등재

        자기결정성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차이

        서은희,김은경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four clusters with different motivational profiles. 278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academ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were classified into highly autonomous motivation group (i.e., high autonomous, low controlled), highly controlled motivation group (i.e., low autonomous, high controlled), weak motivation group (i.e., low autonomous, low controlled), and strong motivation group (i.e., high autonomous, high controll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used. This study show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the highly controlled motivation group and the weak motivation group.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the highly autonomous motivation group with the strong motivation group, except for test anxie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ly autonomous motivation group and highly controlled motivation group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rong motivation group and the weak motivation group. The result implies that the level of autonomous motivation in motivation profile matters in self regulated learn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무선 표집한 3개 대학의 학생 278명에게 자기결정성 학업동기와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에 따라 연구대상을 높은 자율성 동기집단(높은 자율성과 낮은 통제성), 강한 동기집단(높은 자율성과 높은 통제성), 높은 통제성 동기집단(낮은 자율성과 높은 통제성), 약한 동기집단(낮은 자율성과 낮은 통제성)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통제성 동기집단과 약한 동기집단 간의 자기조절학습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험불안을 제외하고 높은 자율성 동기집단과 강한 동기집단 간의 자기조절학습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높은 자율성 동기집단과 높은 통제성 동기집단 간의 자기조절학습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강한 동기집단과 약한 동기집단 간의 자기조절학습은 부분적으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통제성 동기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자율성 동기가 높은 동기프로파일이 자기조절학습에 있어서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