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사회의 감정구조와 미학적 대응 양상 : 2020년에 출판된 팬데믹 소설 앤솔로지를 중심으로

        신진숙(Shin Ji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이 논문은 코로나(COVID-19) 팬데믹 사회에 대한 문학의 미학적 대응 방식이 무엇인지 한국과 미국의 팬데믹이야기(소설)를 엮은 앤솔로지들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팬데믹 상황에서 생산된 소설작품들은 대부분 짧고 단순한플롯이 주를 이룬다. 이 때문에 팬데믹 이야기는 사회에 대한 종합적으로 성찰 할 수 있는 안정적인 내러티브를제시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하는 한계도 드러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팬데믹 이야기들은 팬데믹 사회의 정동(affects)과 감정을 즉각적인 방식으로 증언하고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팬데믹 사회의 감정구조를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시각을 제공해 준다. 이 논문은 팬데믹 이야기가 재현한 팬데믹 사회의 감정들을 다음 네 가지주제로 분석하려고 한다. 첫째, 전염병에 대한 공포의 감정의 전염, 둘째, 팬데믹으로 심화한 불안정성(precarity) 사회의 개인의 삶, 셋째, 인류 멸망의 상상력, 마지막으로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과 희망의 서사 등을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이러한 논의를 통해 팬데믹 사회에서 구성되고 있는 미학적-정동적(aesthetic-affective) 실천과 정치의 가능성을 사유해보려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responses of writers to the COVID-19 pandemic society, focusing on Korean and American pandemic stories (novels) anthologies. Most of the novels produced during the pandemic are short stories with an immediate and simple plot. Because of this, the pandemic stories have some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develop into a comprehensive and stable reflective representations. But nevertheless, the pandemic stories also make the pandemic situatio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social reality that has existed before. In other words, the writers pay attention to how social problems that existed before the pandemic, such as immobility, instability, and the impossibility of solidarity, deepen in a pandemic situation. Rather, it visualizes the collective affects that have been present but have not been represented through the pandemic. On the one hand, this approach entails a sense of crisis for an uncertain and unstable future. This is one axis that constitutes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anxiety, and anger in the novel. But at the same time, the writers try to connect this imagination of disaster with narratives of hope for alternative lives and other possibility spaces. In conclus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ethics and politics of a post-pandemic society posed by these pandemic narratives.

      • KCI등재

        지금-여기 팬데믹 리얼리즘 - 계간지 발표 소설 톺아보기

        김효숙(Hyo Suk Kim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This paper grants the name of ‘pandemic realism’ to the works that embodie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It compares and analyzes novels with the motif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2010s and novels with the same motif in the 2020s to clarif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andemic realism. Target works of the analysis have the pandemic-responsive grammar of the viewpoint of ‘representation’ and initiatively embodies the social impact of the infectious disease. These narration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make us look at society with literature. jus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urrent state of the recent perception-collis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young and old generations of this society. It contains expectations for change, questioning the solid values of the previous era. This paper analyzes the texts of the Pandemic System from the following viewpoints: Above all, they are literary records of the still remaining customs for care and the request for the supplementation of the systematical gap. Then, it is possible to see rightly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emporary family community, club (membership) community, and the single elderly household as well as the modern village community. At the moment, when the Pandemic is still in anomie, the subjects who suffer are not human beings, but just they are in a series of pandemic syndrom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viewpoint that pandemic realism should be the creations containing contemporary uniqueness and futuristic value. 이 글은 COVID-19 팬데믹의 파장을 형상화한 작품에 ‘팬데믹리얼리즘’이라는 명칭을 부여한다. 2010년대 전후의 감염병 모티프 소설과 2020년대의 그것을 비교분석하여 팬데믹리얼리즘의 특수성을 규명한다. 분석대상작품은, 팬데믹대응문법이 ‘재현’이라는 관점으로 감염병의 사회적 파장을 선도적으로 형상화한다. 이 서사들은 문학으로 사회를 바라보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최근 우리 사회의 청년세대와 전통세대간 인식충돌과 갈등의 현주소를 픽션 안으로 수평이동한 것이다. 이전시대의 견고한 가치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변화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다. 팬데믹체제의 텍스트를 다음 같은 관점에서 살폈다. 돌봄과 관련하여 여전한 관습과 제도적 공백에 대한 보완을 요청하는 문학적 기록물이라는 측면이다. 그렇게함으로써 근대의 마을공동체는 물론, 현대의 가족공동체·동아리(동호인)공동체·노년단독가구의 현실태를 적시할 수 있다. 팬데믹이 여전히 아노미상태인 지금, 아픈 주체는 인간만이 아니며, 팬데믹증후군의 연쇄 안에 인간이 있을 뿐이다. 때문에 팬데믹리얼리즘은 당대적 특수성과 미래가치를 포괄하는 창안물이어야 한다는 논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팬데믹 상황의 종교적 도덕성에 대한 진화인지적 시론

        구형찬 ( Koo Hyung Ch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비평 Vol.40 No.40

        팬데믹 상황에서 방역수칙과 종교적 규범이 충돌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이에 종교인들의 이기심과 부도덕성을 비난하는 여론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에 낡은 질문이 소환된다. “종교는 사람을 과연 더 도덕적이게 하는가?” 본고는 진화된 마음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 질문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재검토한다. 구체적인 과제는 종교와 도덕성의 관계를 논할 때 발생하는 몇 가지 개념적 혼란을 정리하고, 종교와 도덕의 진화인지적 기반에 대한 선행연구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발전시켜, 팬데믹 상황에서 종종 발생하는 ‘종교적 도덕성’ 이슈를 분석하기 위해 도덕기반이론, 인지종교학 이론, 행동면역체계 등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가설적인 설명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덕기반이론(Moral Foundations Theory, MFT)에 따르면, 도덕 판단은 서로 다른 진화적 적응문제에 기초한 다섯 가지 심리기제들에 의해 발생한다. 인지종교학(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CSR) 이론의 ‘표준모델’은 우리가 ‘종교’라는 범주로 대상화하는 다양한 현상들은 인간종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적응들의 부수적인 효과라고 주장한다. 도덕기반이론과 인지종교학 이론은 도덕과 종교의 진화인지적 토대를 분석 가능한 복수의 하위 단위로 분해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행동면역체계는 감염이나 오염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을 회피하게 해주는 일종의 경보장치이며, 그 효과는 감정의 영역에서 역겨움으로 나타나고 행동의 영역에서는 회피 행동으로 나타난다. 팬데믹 상황에서는 행동면역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인종, 지역, 출신, 종교, 성적 지향 등에 대한 차별과 배제가 강화되기 쉽다. 본고는 위의 두 이론과 행동면역체계가 동시에 고려되는 종교적 도덕성의 설명모델을 구상해 보았다. 이 작업은 종교와 도덕의 구성요소들을 실증적인 연구가 축적돼온 과학적 분석의 단위로 적절히 세분화했다는 점에서 맥케이(McKay)와 화이트하우스(Whitehouse)의 연구를 발전적으로 계승한 측면이 있으며, 행동면역체계를 팬데믹상황의 인지생태학적 요인으로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새로움이 있다. In pandemic situations, we often see conflicts between quarantine and religious norms. As a result, public opinion is formed to criticize the selfishness and immorality of religious people. Thus, an old question is summoned: “Does religion ever make people more moral?” This article reviews the problems inherent in this ques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evolved mind. Specifically, it outlines some conceptual confusion that arises when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orality; critically develops the perspectives of prior researches on the evolutionary and cognitive foundations of religion and morality; and proposes a hypothetical explanatory model that includes considerations of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the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theories, and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to analyze religious morality issues in pandemic situations. According to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moral judgment is caused by five psychological mechanisms based on different evolutionary adaptation problems. The standard model of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theory maintains that the various phenomena we target into the category ‘religion’ are the byproducts of various adaptations i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human species. MFT and CSR’s theor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break down and present the evolutionary cognitive foundation of morality and religion into multiple analytical subunits.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is a form of alerting device that avoids potentially infectious or contaminated objects, and its effects appear as disgust in the domain of emotion and as avoidance in the domain of action. In the Pandemic situation,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is excessively activated, which makes it easy to strengthen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race, region, origin, religion, and sexual orientation. This paper envisioned an explanatory model of religious morality in which the above two theories and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are considered simultaneously. This work is a developmental succession of McKay and Whitehouse’s research in that it properly subdivides the components of religion and morality into scientific analytic units wher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accumulated. The study also has theoretical novelty in that it incorporates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into the model as a cognitive ecological factor of the Pandemic situation.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과 SDGs에서 한국 지자체의 역할과 대응 체계

        오종택(Jongtaek Oh),전광호(Kwang Ho Chun)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1 국제정치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사태를 극복하고 뉴 노멀 시대로 진입하기 위해 재난관리의 주체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책임을 UN SDGs의 틀속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사태의 극복은 한 국가 또는 개인의 힘으로는 달성할 수 없기에 상호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조하는 UN SDGs는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촉발된 근원적인 구조적 및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자 기준이다. 이러한 SDGs의 실제 시행주체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과 역할은 사회적 불평등 완화, 자연생태계보존, 다자협력 추진 등의 정책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이야말로 코로나 팬데믹을 극복하고 뉴 노멀시대로 진입하기 위한 선결조건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middle of COVID-19 Pandemic by using the norm of dsasiter managemnet. To overcome COVID-19 pandemic cannot be achieved by a single state or a man himself. UN SDGs which emphasiz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lution for human crisis by cooperating among global actors is a useful tool and barometer to cope with these fundamental and structural problems. Furthermore, regarding local governments as a leading force and institution for SDGs to ease social inequality, to protect environments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Thus, this research proposes these primary efforts by local governments is a prerequisite coping with COVID-19 Pandemic and driving into the ‘New Normal’ era.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혐오와 차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역사적 현상과 동인(動因) -

        정채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集 Vol.27 No.1

        Tracing the history of the epidemic, we can find historical phenomena in which hatred towards ‘Others’ and discriminatory perceptions simultaneously occurred and spread. In the context of the pandemic, anxiety and fear of infectious diseases are extended to prejudice, stigmatization, or marginalization against vulnerable groups. As ‘history repeats itsel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ndemic and hatred is being found even in the era of COVID-19, and issues of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related to ‘pandemic hatred’ are being raised in many societies. This not only leads to harmful consequences for certain individuals or groups, bu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gal regulation preventing and controlling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the law should not be ignorant of this correlation, and should devise active ways to prevent ‘a pandemic of hate’ that can appear throughout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provide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discussions in history, philosophy, and social psychology on the epistemological motives or drivers of pandemic hatred. This article first attempts to derive and describe the historical scenes in which hate was sparked during the pandemic as follows: i) the Epidemic enchantment and social stigma found in the 14th-century European society during the black death; ii) an ethnocentric perspective on cholera in the 19th-century colonial era; iii) stigma associated with HIV/AIDS and political rhetoric in the 20th-century. Furthermore, the article discusses and analyses the drivers of pandemic hatred on several dimensions as follows: i) the moralization of diseases and moral condemnation of the infected; ii) ‘viruses as Others’ and xenophobia; iii) the politicization of the epidemic and the potential hatred towards socially vulnerable groups, and then applies the discussion to the recent COVID-19 situations. Moreover, the article further explains the correlation between pandemic and hate by accepting the concepts of ‘disaster resilience’ and ‘disaster vulnerability’ to suggest that the pandemic crisis may provide a positive opportunity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post-pandemic society. 전염병의 역사를 거슬러 추적해보면 팬데믹이라는 시대상황적 맥락에서 타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적 인식이 동시적으로 발생ㆍ확산했던 역사적 현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전염병에 대한 불안 및 공포가 사회적 약자 및 취약 집단에 대한 편견 및 선입견, 사회적 낙인, 소외화, 그리고 차별적 대우로 연장된 현상들을 전염병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과 같이, 팬데믹과 타자화 및 혐오의 상관성은 오늘날 코로나19의 상황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 혐오와 관련된 인권 및 사회적 정의의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특정 개인 및 집단에게 유해한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법과 정책에 있어서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곧, 법은 팬데믹과 혐오의 문제에 대해 몰이해적이어서는 안 되며,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혐오의 팬데믹’을 방지하기 위한 섬세한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팬데믹 사회에서 촉발되는 혐오의 현상과 그 배후에 있는 인식론적 동기 혹은 동인에 대한 역사학, 철학, 사회심리학 등에서의 논의를 총체적으로 수용하여 고찰하는, 기초법에서의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 글은 먼저 팬데믹의 상황에서 혐오가 가시적으로 드러난 역사적 장면들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 서술한다: i) 14세기 페스트가 창궐한 유럽 사회의 주술화된 전염병과 사회적 낙인; ii) 19세기 식민지에서 발생한 콜레라와 자민족중심주의; iii) 20세기 에이즈 바이러스와 성소수자의 성적 일탈을 관련지었던 정치적 수사. 다음으로 혐오의 동인으로서 전염병에 대한 논의를 i) 전염병의 도덕화와 감염자에 대한 도덕적 비난; ii) 전염병의 타자화와 이방인혐오증; iii) 전염병의 정치화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잠재적 혐오와 같이 몇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하고, 최근의 코로나19 상황에 적용 및 대입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재난학의 복원력 및 취약성 개념을 수용하여 감염병예방법에 대한 간략한 논평을 제시한 후, 팬데믹이라는 재난의 상황을 포스트-재난공동체의 사회통합을 위한 긍정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하면서 논의를 맺는다.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먼, 바이러스, 취약성

        노대원(Noh, Dae-won),황임경(Hwang, Im-kyung)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코로나19 팬데믹은 포스트휴먼 시대를 가속화한다. 첫째, 인류세적 위기 속에서 팬데믹의 근본 원인에 대한 생태적 인식은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과 탈-인간중심주의(post-anthropocentrism)를 확산시켰다. 둘째, 팬데믹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포스트휴먼-이즘(posthuman-ism)’으로서, 인공지능과 의료기술에 대한 기대가 고조된다. 셋째, 학계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와 초학제적 연구를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휴먼 대학으로 변모한다. 또한, 신종 바이러스, 기후 변화 등 전 지구적인 위기 속에서 ‘취약성’(vulnerability)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한다. 인간의 존재론적 취약성은 물론, 사회구조로 인한 다양한 취약성의 조건들이 비판적으로 성찰되어야 한다. 기술 발전과 인간 향상(human enhancement)에 대한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취약성을 비롯하여 인간의 다양한 취약성은 제거될 수 없다. 그보다는 상황적 취약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취약성이 연대와 사회적 상호 의존의 윤리로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 포스트휴머니즘 생태학(posthumanist ecology)은 인간 역시 생태계의 한 구성원임을 강조한다. 인간-동물-환경의 건강을 아우르는 원헬스(one health)도 포스트휴먼 과학의 중요한 사례이다. 그러나 팬데믹에 대한 성찰에는 탈인간중심주의적(post-anthropocentric) 생태론에 더해 사회정치적 조건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팬데믹은 생태계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자본주의의 문제이고, 생물학적, 의학적 현상이면서 동시에 사회정치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포칼립스 SF와 인류세 서사는 이 시대의 위기를 사실적으로 재현한다. 팬데믹-포스트휴먼의 시대에 취약성을 공유하는 인간과 비-인간 환경의 연대는 전 지구적으로, 행성의 윤리로 확장되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해체한다. 이러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윤리는 새로운 희망의 서사를 만들어나갈 것이다. The COVID-19 pandemic accelerates the posthuman era. First, the ecological thought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pandemic in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spread “post-humanism” and post-anthropocentrism. Second, as “posthuman-ism”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pandemic, expecta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dical technology are heightened. Third, universities are transformed into posthum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features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and trans-disciplinary research. In addition, “vulnerability” emerges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mid global crises such as novel viruses and climate change. The conditions of various vulnerabilities due to social structure, as well as human existential vulnerabilities, should be critically reflected. Despite expectations of transhumanism for technological advances and human enhancement, various human vulnerabilities, including physical vulnerabilities, cannot be eliminated. Rather, it should improve the conditions of situational vulnerabilities and allow them to move toward the ethics of solidari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Posthumanist ecology emphasizes that humans are also a member of the ecosystem. ‘One Health’ that encompasses the health of humans, animals and environments is also an important example of posthuman science. However, in reflection on the pandemic, the recognition of socio-political conditions is needed in addition to post-anthropocentric ecological theory. Pandemic is not just ecosystem problem, but also capitalist probl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biomedical phenomenon and a socio-political problem as well. Apocalyptic science fictions and Anthropocene narratives realistically reproduce the crisis of this era. In the era of the pandemic-posthuman, the solidarity of human and non-human environments that share vulnerabilities globally, extends to the ethics of the planet, and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is critical posthumanist ethic will create a narrative of new hope.

      • KCI등재

        팬데믹시대 증가하는 로맨스스캠과 몸캠피싱 : 국내외 동향 및 대응방안

        정태진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4

        팬데믹시대에 급속히 증가하는 로맨스스캠과 몸캠피싱은 디지털통신기술의 장점을 이용하여 물리적, 지리적 공간을 초월하여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도 실시간으로 접 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테크놀로지 발전으로 스마트폰으로도 어디서든지 영상통화 가 가능하다. 범죄자들은 이런 기술을 통해 그들의 영역을 사이버공간에서 더 확장하고 있고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여 금전을 갈취하는 인터넷사기범죄들을 서슴지 않고 저 지른다. 로맨스스캠과 몸캠피싱이 대표적인 인터넷사기범죄로 팬데믹시대에 주목받고 있다. 이 두 범죄는 피해자들의 금전만을 노린 것이 아니라 피해자들의 심리적인 감수 성까지도 훼손하여 상처를 입힌다. 범죄자들은 자신들을 사회적으로 아주 최고의 스펙 을 겸비한 누가봐도 배우자감으로 이상형으로 보이게 꾸민 후에 피해자들에게 접근한 다. 그리고 피해자들이 호감을 보이고 대화에 응하면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상대방을 속 여서 금전을 요구한다. 최근 들어서는 코로나감염으로 인한 격리 등을 핑계로 금전을 요구하는 사례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몸캠피싱 범죄자들은 피해자들의 은밀한 감성을 자극하여 피해자가 자신의 민감한 이미지나 영상을 노출하게 한 후에 이를 획득하여 협박에 이용한다. 사회적으로 잃을 것이 많은 피해자일수록 범죄자의 요구에 따라 금전을 지불 할 수 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사회관계망등을 통해 이미지나 영상 을 공개하거나 해킹으로 습득한 피해자 지인들의 연락처로 발송한다고 협박한다. 외국 에서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피해자들도 있었다. 특히나 이 두 범죄가 가진 중요성은 국 제범죄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는 점이다. 왜나햐면, 범죄자들이 대부분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필리핀, 루마니아, 모로코, 중국 등에 거점을 둔 국제범죄조직이기 때문이 다. 이들은 콜센터 형식의 사무실을 운영하면서 전세계를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고 있으 며 최근에는 한국에 잠입하여 범행을 저지르다 국정원과 경찰의 공조로 검거되었다. 이 렇게 우리나라가 국제범죄조직의 활동무대가 된 점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크다. 그 러므로 앞으로 로맨스스캠과 몸캠피싱에 대한 국제범죄차원의 국가적인 대응책 마련과 형사사법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During the pandemic, romance scams and sextortion have rapidly increased worldwide. The use of advantageous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es transcending physical and geographic spaces to contact the pers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lobe.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use video-calling without any restrictions. Criminals use this technology to expand their boundaries and stimulate the emotions of potential victims in order to steal their money. Romance scams and sextortion not only harm victims’ psychological sensitivity but also defraud them for money. Criminals decorate themselves as ideal partners who have the best conditions to date or marry, and subsequently reach out to potential victims. When potential victims express some interest in them, criminals begin to deceive them and eventually ask for money. Recently, covid-19 confinement has become a good reason to ask for money from the potential victims. Sextortionist stimulates the secretive emotion of potential victims to obtain their naked images and use them for blackmail by threatening to publish images online. There is no option to avoid their threats if the potential victim is a socially well-known person. Illegally obtained images and videos will be disseminated to acquaintances of the victim’s list. Some victims commit suicide in other nations. The importance of these crimes is to respond to them from the transnational crime perspective because those criminals are stationed in Nigeria, Liberia, the Philippines, Romania, Morocco, China. Criminals have operated call-center style offices to carry out romance scams and sextor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IS and Police crackdown on the recently infiltrated African criminal organization shows us a lot of implications. Therefore, romance scams and sextortion must be responded to from the transnational crime perspective and further criminal justice studies are necessary.

      • KCI등재

        팬데믹[코로나19]에 대처하는 『주역(周易)』의 방도 ―의리적 인문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조희영 ( Cho Hie-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주역』은 우환의식에서 비롯된 책이다. 따라서 지금 인류가 겪는 우환[팬데믹: pandemic]의 극복 방도를 『주역』에서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본 글은 그 방도가 무엇인지를 의리적 인문학적인 관점과 함께 공동체에 제시되는 범용성도 감안하여 작성되었다. 먼저 우환과 우환의식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는 우환을 합리적 두려움이나 도덕이 행해지지 않는 근심으로 보았고, 우환의식은 이를 극복하려는 자발적 주체적 책임의식이라 했다. 그러나 이런 기준은 너무 이상적이고, 현실적인 ‘중간 우환’과 ‘중간 우환의식’을 무시한 것이라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행한 우환 대처법인 ‘삼진구덕괘’의 분석 등을 통한 방도를 택하지 않고, 『주역』 가운데 8개의 난괘와 호괘, 반대괘 등의 괘체[卦象], 괘사, 단전, 대상전을 통해 의리적 관점의 우환 대처법을 파악했다. 그 결과 3가지를 추출했다. 첫째 덕, 둘째 자존감, 셋째 배려심이 그것이다. 덕에는 미래변화 대처력이 포함되고, 자존감은 겸손에서 나오며, 배려심에는 자연에 대한 배려와 비대면 사회에 대한 배려와 자기 배려가 포함된다. 이는 재난에 대처하는 1차 대응요법은 아니지만 사람의 언행과 사상 및 사회공동체에 영향을 주는 2차 해법인 인문학적인 방도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수적인 방법인 시초점이 재난 대처법으로 유효한지를 따져보았다. 개인이 재난에 대처하는 방법을 문점(問占)하여 나온 결과를 자신의 행동에 참고는 할 수 있으나, 어느 특정인의 점의 결과를 재난의 방도로 통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봤다. I-ching (周易) is a book that comes from a human being’s anxiety (憂患). Therefore, it is natural to find a way to overcome humanity’s anxiety (憂患)[pandemic] in I-ching (周易). This article is written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ity presented to the community from a humanities point of view of what the method is. A prior study viewed anxiety as a concern where rational fear or morality is not performed, and called it a voluntary sense of self-responsibility to overcome it. However, he said that such standards were too idealistic and realistic to ignore ‘middle anxiety (中間 憂患)’ that needed to be adjusted. Existing studies have shown ‘philosophical treatment (哲學治療)’ methods, drawing attention. I did not choose to use the analysis of the ‘Samjin Gudeokgwae (三陳九德卦)’ method, which was conducted in the previous study, but sought ways to cope with disasters through eight difficult, favorable and opposite trigrams. As it is now a major disaster targeting humanity, I thought that it would be better to analyze the trigrams rather than the change of hyo (爻), so through gwaemyeong (卦名), gwaesa (卦辭), we grasped the way of dealing with the evils and the logic of disaster response. As a result, three were extracted. First virtue (德), second self-esteem (自尊感), and third consideration (配慮心). Virtue includes coping with future changes, self-esteem comes from humility (謙遜), and consideration includes consideration for nature and consideration for the non-face-to-face society (비대면 사회) and Self consideration (자기 배려). This is not the primary response to disasters, but it was seen as a secondary solution that affected people’s words and actions and thoughts. I examined whether predicting the future (divination: 占) is effective as a disaster response method. Although individuals can refer to their actions as a result of predicting how to cope with a disaster, there is a problem in applying the results of a certain person’s divination as a method of this disaster.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과 공공성, 그리고 한국교회

        김상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이 글은 코로나19 국면 속에서 드러난 한국교회의 위기를 공공성의 관점에서 살피 고 있다. 적지 않은 한국교회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재난을 죄와 심판 등 의 교리적 관점으로 단순하게 판단하고 섣부른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태도를 보여주었 다. 정부의 방역지침이나 과학적 근거에 따른 위생, 보건, 의료 체계들을 신앙의 이름 으로 무시하거나, 정부의 비대면 예배에 대한 권고 조치를 교회를 핍박하는 것으로 편협하게 받아들였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 는 데 도움이 되질 않으며 오히려 교회를 비상식적이고 이기적인 집단으로 여기게 한 다. 과거 자기희생과 섬김의 자세로 한국 사회 발전에 이바지 해왔던 한국교회가 이 제는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된 슬픈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이런 맥락 속에서 이 글은 코로나19 위기를 국내 상황에 집중하여 한국교회의 모 습이 어떠했는지 살피고 있다. 특별히 사회적 재난의 상황 때마다 지나치게 단순하고 교리적인 신학적 입장만을 강조하여 타자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존 파이퍼와 톰 라이트를 중심으로 상이한 신학적 견해를 살핀다. 또한 주요 집단감염지였던 대구/경북 지역의 신천지교회와 서울/수도권 지역의 사랑제일교 회를 사례를 통하여 사회적 재난 위기 속에서 한국교회의 공적 역할의 필요성을 제안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사회적 재난’의 의미를 살피고, 이어 재난에 대 한 두 가지 기독교적 해석에 대한 논의를 다룬 후, 마지막으로 한국교회의 나아갈 방 향을 ‘공공성’의 관점에서 성찰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of Korean churches in the Covid-19 Pandemic crisis from a public theology perspective. Not a few Korean churches have shown an attitude to simply judge the crisis of "Covid-19 Pandemic" from a doctrinal perspective such as sin and judgment and to offer naive and hasty solutions to such complex problem of suffering as social disaster. The government's quarantine guidelines based on science and medical systems were ignored in the name of faith, or the government's recommendations for online (non-face-to-face) worship service were taken as persecuting the church. This approach is not conduciv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but rather makes the church regard it as an irrational and selfish group. In the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focus the Covid-19 crisis on the domestic situation to see what the Korean church looked like, and further to consider the public role of the Korean church. To this end, this paper considers the meaning of “social disaster,” then examines Christian interpretations of social disaster comparing theologians such as John Piper and Tom Wright, and finally, suggests the role of the Korean church toward common good in the context.

      • KCI등재

        ‘사드사태’부터 ‘코로나 팬데믹’에 이르는 시기 생성된 동아시아 한류의 변화와 그 문화공간적 함의

        강진석 중국학연구회 2020 중국학연구 Vol.- No.94

        2020 we are living in a “New Normal” environment. It is a “social distancing” and “untact” environment due to the Corona 19 pandemic, and it is also an environment of a political cooldown that has recently formed in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is new normal environment, the Korean Wave is experiencing a new leap forward. A global platform based on “Over The Top Service (OTT)” provided a new emergency exit to the Korean Wave in the home of individual users. The national shock caused by the deployment of THAAD, unexpected emergencies in the “Home Culture”, atrophy due to hate emotions, and the creation of a new exit through a virtual space are well telling of the breathtaking steps surrounding the “Korean Wave” in East Asia today.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not only the new exit of the Korean Wave, but also a new cultural space created by the Korean Wave during the New Normal period in East Asia, where confrontation and hatred persist for a long time. Amid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build another level of peace zone and tolerance zone that can relieve the fatigue zone in East Asia and reflect on the hate space, the Korean Wave in Japan Presenting us an experimental model. 2020년, 우리는 ‘뉴 노멀(New Normal)’의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언텍트(untact)’ 환경이고, 또한 최근 한중일 삼국에 형성된 정치적 냉각기라는 환경이다. 이 뉴 노멀의 환경 속에서 한류는 새로운 비약을 경험하고 있다.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불리는 ‘OTT(Over The Top Service)’ 기반의 글로벌 플랫폼은 개인 사용자(user)의 안방에서 한류에게 새로운 비상의 출로를 제공했다. 사드배치로 인한 국가적 충격과 예상치 못한 ‘안방’에서의 비상, 혐한정서로 인한 위축과 가상공간을 통한 새출구의 생성 등은 오늘날 동아시아 ‘한류’를 둘러싼 숨 가쁜 행보를 잘 말해주고 있다. 2020년 6월,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은 일본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하였고, 그 밖에 인도, 대만, 태국, 싱가폴, 필리핀 등지에서도 한국드라마가 넷플릭스 시청률 TOP10에 다수 편이 오를 정도로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비단 한류의 새로운 출로가 아니라, 대립과 혐오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동아시아 뉴 노멀 시기에 한류로 인해 생성된 새로운 문화공간이다. 냉각기와 언텍트 시기에 생성된 신문화공간이 과연 동아시아 피로지대를 완화하고 증오공간을 반성하는 또 다른 차원의 평화지대와 똘레랑스존의 구축이 가능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문제의식 속에서, 일본 내 한류는 하나의 실험적 모델을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