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大日本婦人會 朝鮮本部)의 결성과 활동(1942~45년)

        박윤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7 한국문화연구 Vol.13 No.-

        본고는 1942년 3월 14일 결성된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大日本婦人會朝鮮本部)를 통해 전시체제기 총독부의 부인정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징병제 실시 이후 활발하였던 총독부의 부인정책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단체가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일제는 이 시기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를 통해 조선여성에게 일본여성과 같이전쟁에 자신의 아들, 남편을 보내고, 후방에서 부인의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총후부인상(銃後婦人像)을 제시하였다. 일제가 조선여성들에게 총후부인상을 제시하였던 표면적 이유는 일본여성과의 동화정책이었지만 그 목적은 조선여성의노동력 동원, 공출을 위한 것이었다. 즉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는 총독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일제의 여성동원정책을 직접적으로 시행했던 것이다. 그동원규모 또한 전국적인 것으로 조선여성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일본의 패망 위기인 1945년 6월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는 해산되고, 조선여성전부는 조선 전체를 군대화 시키려 하였던 국민의용대(國民義勇隊)에 편입되었다. 이는 전쟁 막바지의 상황에서 조선여성들을 설득하기 위해 동화정책을 추진할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강력한 동원정책만을 추구한 결과였다. 다시 말해 대일본부인회 조선본부는 일제의 필요성에 의해 결성되었다가 일제가 필요성을느끼지 못하자 해산된 것처럼 일제의 의도를 그대로 담아내고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d policies toward Korean women of the Japanese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period between 1942 and 1945 bystudying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JapaneseWomen’s Society(大日本婦人會朝鮮本部, KBJWS) which the Japanese women'sgroup organized on March 14th, 1942. KBJWS was chosen for this study for thefollowing reason that the period during which KBJWS operated (1942~1945)followed the time when the conscription system was decided to be enforcedafterwards, May 1942. During that period, policies of the Government-Generaltoward Korean housewives were developed most vigorously. KBJWS worked asfollowing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General. Firstly, the assimilation policy operated by KBJWS was not a complete unityof Korean women with Japanese women but was, in fact, a discriminationagainst Korean women. KBJWS made propaganda that Korean women couldtruly become Japanese women as long as they become “militaristic mothers” and“Madam in the rear guard”(銃後婦人) as producers just like Japanese women. However, in fact, Korean women were not treated equally as Japanese womenbut were exploited only as labor forces. Secondly, the primary objective of KBJWS was to mobilize Koreanhousewives as labor forces, which was facilitated by opening nurseries andmaking labor patriotic squad(勤勞報國隊), agricultural driving squad(農業推進隊).Its mobilization method was to secure “Chong-hoe”(町會), the smallest unit inthe administration as its sphere of influence. Thereby KBJWS was able tomobilize patriotic units through “Chong-hoe”(町會). Finally, KBJWS aimed to control the living of Korean women and delivery(供出),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wide campaigns. Also KBJWS nurturedleaders to oblige Korean women to follow Japanese lifestyles, which wasconsidered to have made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women’s livesdespite their resistance. However, KBJWS was dissolved at the end of the war in June 1945 and thenwas incorporated into National Civilian Army(國民義勇隊). This clearly revealsthe change of the Government-General’s policy toward Korean women.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KBJWS is that it was a sole nationwideorganization directed by Japanese women with an intention of mobilizing andcontroling the entire Korean women.

      • KCI등재

        ‘현모양처’의 상징, 신사임당

        홍양희(Hong, Yang-Hee)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2

        이 논문은 식민지시기 신사임당이 재현되는 방식과 그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신사임당 담론에 작동하는 젠더 정치학을 고찰하였다. 러일전쟁 후부터 식민지시기에 이르는 근 40여 년간 신사임당은 무려 3번에 걸쳐 이미지 변신을 한다. 먼저 여성교육의 필요를 강변하기 위해 이율곡의 어머니로서 자녀교육을 잘한 ‘교육받은 여성’으로 의미화 되기 시작하였다. 이어 1930년대에는 근대 비판, 전통에 대한 향수, 신여성 혐오 등 일련의 정치학이 작동되는 과정 속에서 ‘현모양처’가 ‘전통’으로 재구성되고,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의 대표적 여성이 되어갔다. 나아가 식민지 말기 신사임당은 ‘군국의 어머니’, ‘총후부인’의 이미지로 소비되기 시작하였다. 현모양처라는 젠더 모델이 처음부터 국가 / 민족의 여성 젠더에 대한 호명으로부터 출발하였다는 점에서 이의 식민주의적 전유는 처음부터 예정된 길이기도 했다. 결국 신사임당에 대한 담론적 재현은 당대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연동되고 있었으며, 이는 여성들에게 젠더 역할을 강화하는 정치학이었다. 신사임당은 국가/민족 및 사회가 여성 젠더를 호명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한 인물이 어떻게 다르게 재현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인물이었다. 더욱이 식민지시기 신사임당 담론은 ‘신여성’에 대한 혐오의 시선과 동전의 양면을 이루며 여성들에게 현모양처라는 젠더 역할을 강화하였다. 신여성 담론은 이후 1950년대 ‘아프레걸’ / ‘자유부인’ 담론, 그리고 현대의 ‘된장녀’ 담론으로 이어지며 지속적으로 여성의 성별 역할분담을 강화하고 섹슈얼리티를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gender politics operating on Shin, Saimdang discourses through searching for variability of representation on her. The Image of Saimdang had undergone the transformation three times for about forty years from 1905 to 1945. Firstly, She was called the ‘educated woman’ who well trained her children at home as Lee, Yulgok’s mother in order to argu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women. Secondly, Saimdang encountered the discourses on ‘a wise mother and good wife’ and was invented as a traditional and ideal woman, that is a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1930s. There were historical contexts regarding the critiques of western modernity, nostalgic moods of past, and disgust of so-called ‘new woman’. Lastly, She was spent as the symbol of ‘militaristic mother’ and ‘woman in the rear ground’(銃後婦人). It was naturally colonialistic appropriation which stems from national demanding of women. These discoursive representations of Shin, Saimdang were connected with political context at that time and Those were the politics reinforcing gender roles. In short, the images of Shin, Saimdang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national or colonialist demanding. Futhermore, Shin, Saimdang dicourses together with ‘new women’ discourses have reinforced gender identities in colonial Korea. In particular, the discourses on ‘new women’ continued to ‘après-girl’ or ‘Madame Freedom’ dicourses in 1950s and ‘Doenjang girls’[soy bean paste girls] dicourses in contemporary days.

      • KCI등재

        『新時代』와 총후부인, 일제 강점기 여성이라는 좌표 ―모윤숙의 발표작을 중심으로

        최민지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1

        일제 강점기 후기는 문학적 암흑기로 명명될 만큼 조선문학의 존재 자체가 위협을 받는 특수한 상황이었다. 다수의 매체가 강제 폐간의 길로 들어서야만 했고, 문학의 존속을 위해서는 일본어로 된 작품을 게재하는 동시에 그들의 지배담론에 동조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는 다수의 문인이 친일 성향의 작품을 남기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그 특징을 단적으로 드러낸 매체로 대중종합지 『新時代』가 존재한다. 그들은 지배담론에 동조를 통해 출판업계 대부분이 용지난을 겪는 상황에도 단 한 호의 결호 없이 발행을 이어간 바 있다. 그러나 자신들의 타자화를 극복하는 동시에 여성의 타자화를 주도하는, 제국주의 담론의 메커니즘을 무반성적으로 반복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그들은 ‘신여성’의 존재를 소거하고 ‘총후부인’의 삶을 지도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일조하였다. 해당 매체를 통해 당대 대표적 신여성으로 일컬어지던 모윤숙 역시 작품을 발표하였다. 모윤숙이 친일로 훼절한 원인은, 일본의 체제에 동조하는 것으로 여전히 제한적으로만 허락된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확장하려던 의도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그가 동조한 총후부인의 삶은 자신의 정체성이었던 신여성의 전형과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하는 것이었고, 결과적으로 이례적 절필에 이르는 내적 갈등을 보이게 된다. 본고는 이에 접근함으로써 첫째, 친일 관련 문제에 대한 다각도적 규명을 시도한다. 둘째, 그러한 시대적 맥락 아래 여성 주체의 구성 방식에 대한 의미와 한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지점들을 문학사적 의미망 안에서 더욱 유효한 것으로 의미화시켜보고자 한다.

      • KCI등재

        1930, 4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난 의학상식 : 『家庭之友』 · 『半島の光』을 중심으로

        이병례 역사학연구소 2018 역사연구 Vol.- No.35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process of medical knowledge centered onthe magazine Gajeongjiu. Gajeongjiu is a government sources magazine and apopular magazine for rural women. The medical common sense published in thismagazine shows a fragment of medical common sense spreaded to rural women inthe late 1930s. In reviewing the medical common sense published in Gajeongjiu, twocharacteristic facts were approached. First, though Gajeongjiu is promoting a women magazine, this magazine isindifferent to women own disease and health. The medical common sense inGajeongjiu was faithfully to respond to the discourse of the ‘Women in the rearground’. The focus was on the role as a housewife to raise the soldiers and workersrather than the women themselves, to manage hygiene and health of the family. Inthe contemporary magazine New Home or Woman, a medical common sensebecame an opportunity to evoke a woman's own body. But, the body of the womanwas forgotten during the war, and only public common sense that supported ‘thewar and the nation’ was distributed. Second, the medical knowledge had been faithfully to respond to the dominantideology of colonial power. The medical knowledge shown in Gajeongjiu is usedas a channel to faithfully convey the intention and value of the colonial power. Themedical knowledge is used not only to describe or treat illness and disease, but alsoto regenerate and reinforce existing social structures and social values. In theGajeongjiu, it mainly served social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rather thanindividual diseases, and it faithfully served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nation’. Inparticular, it served as a role of promoting the war mobilization system by projectingthe war discourse to medical knowledge. In this process, some medical intellectualsembodied the ideology of colonial power, especially the discourse of the ‘Great EastWar’, and projected it into their medical knowledge. 이 연구는 잡지 『가정지우』를 중심으로 의학지식의 유통과정을 살펴보았다. 『가정지우』는 농촌여성을 대상으로 한 관변잡지이면서 대중지이다. 이 잡지 속에 게재된 의학상식은 1930년대 말 농촌여성에게 전파된 의학상식의 일단을 보여준다. 『가정지우』에 게재된 의학상식을 검토한 결과 두 가지 특징적인 사실에 접근하였다. 첫째는 『가정지우』가 여성지를 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자신의 질병, 건강에대해서는 무관심하다는 점이다. 『가정지우』에 실린 의학상식은 ‘총후부인’ 담론에충실히 부응하는 것이었다. 여성 자신보다는 장병과 노동자를 길러낼 주부로써 가정의 위생과 건강을 관리하는 역할에 초점이 두어졌다. 동시대 잡지인 『신가정』이나 『여성』에서 의학상식은 여성 자신의 신체를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전시에 여성의 신체는 잊혀졌고 ‘전쟁과 국가’를 지탱하는 공적인 상식만이 유통되었다. 둘째는 의학지식이 식민권력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충실히 부응해갔다는 점이다. 『가정지우』에 나타난 의학지식은 식민권력의 의도와 가치를 충실히 전달하는 통로로 활용되고 있다. 의학지식은 질환과 질병을 단순히 기술하거나 치료하는 것만이아니고, 현존하는 사회구조와 사회적 가치를 재생, 강화하는데 이용된다. 『가정지우』에서는 개인 질병 보다는 전염병 등 사회적 질병을 주로 다룸으로써 ‘국가’를 유지보존하는 것에 충실히 복무하였고 특히 전쟁 담론을 의학지식에 투영하여 전쟁 동원체제를 선전하는 역할로 기능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의학지식인들은 식민권력의 이데올로기, 특히 ‘대동아전쟁’의 담론을 스스로 체화하고 자신들의 의학지식속에 투영하였다.

      • KCI등재

        일제 말기 관변잡지 『가정지우(家庭の友)』 (1936. 12~1941. 03)와 `새로운 부인(婦人)`

        문영주 ( Mun Young Joo ) 역사문제연구소 2007 역사문제연구 Vol.- No.17

        『Friend in the house(家庭の友)』, which is the object of examination in this article, was a magazine published by the Joseon Financial Association Alliance, which was one the most prominent organizations that had ties to the Japanese authorities, to be read by female housekeepers in agricultural regions. This magazine was published mainly under the purpose of reorganizing the normal lives in agricultural families into a new format of living which will facilitate wartime mobilization of human workforce from local regions. The colonial authorities needed to absorb the private realm of agricultural families of the Joseon people into not only the official range of mobilization for war preparations, but also into the official perimeters of a `colonized state`. The publication of 『Friend in the house(家庭の友)』 was part of those efforts. The magazine served as a medium of conveying modern knowledge, and the circulation of that magazine functioned as a wartime mobilization mechanism in colonized agricultural regions. 『Friend in the house(家庭の友)』 also suggested a new image for `female housekeepers`. Female housekeepers who were required to accept this new model, were supposed to absorb the official sentiment(the `State` sentiment) of sacrificing oneself to serve the bigger interest(`滅私奉公`), and to efficiently utilize the modern information to the best of their abilities in wartime situations(`銃後婦人`). The images of Japanese females who were supposedly dedicating themselves to the state, were presented as role models to the colonized Joseon`s females.

      • KCI등재

        배우 김소영론 -: 스캔들 메이커, ‘인민’과 ‘국민’ 사이의 여배우

        전지니 한국극예술학회 2012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6

        This thesis aims to examine actress Kim So-young's movies and political behavior, who was the star after the introduction of talkie. Actually, she was never a wise mother and good wife both in her movies and real life, and she was between ‘Nation' and 'People' after national liberation. She was unseated from propaganda film because of her scandal and her career as an actress came to an end by finally choosing a third country instead of the South or the North. Kim So-young jumped to stardom by showing the beauty of a woman of the Joseon Dynasty, and she gained public favor when she performed the role of a fallen woman in <Kukkyung(國境)>(1938). But her image was damaged due to her triangular scandal with Choi In-gyu and Jo Taek-won. She wanted to play the part of a mother rather than a student girl or a young lady, but she wasn't able to perform the part of a wise mother and good wife since she was just viewed as a fallen woman during the war regime. After national liberation, she supported left wing's ideology, but she showed she was in favor of the right wing by appearing in promotional film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and police when the left lost its influence. Afterwards, she went to the United States with the help of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and she tried to become an actress there, but just lived an ordinary life as one of American citizens because that's not possible to do. In a word, Kim So-young's identity before and after national liberation couldn't be checked completely, and her career as an actress remained incomplete forever. It could be inferred from her incomplete career that what an actress who failed to show the image of a wise mother and good wif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nation and even took an unclear ideological attitude finally became. 본고는 토키 도입 이후 가장 주목받았던 스타였지만 영화와 실생활을 막론하고 ‘현모양처’상과 거리를 두었던, 또한 해방 이후에는 인민과 국민의 경계에 있었던 여배우 김소영의 영화와 삶을 짚어 보려 한다. 사생활이 반듯하지 못해 프로파간다의 주변으로 밀려났으며, 종국에는 남과 북이 아닌 제3국을 택하면서 중단된 김소영의 필모그래피를 조명하고, 이를 통해 해방 전후 여배우들이 수행해야 했던 공적 역할을 살펴 볼 것이다. 김소영은 <심청>(1937)에서 조선적인 미를 구현해 스타덤에 올랐고, 타락한 여자를 연기한 <국경>(1939)을 통해 호평 받지만, 최인규, 조택원과의 삼각 스캔들로 인해 이미지 실추를 경함한다. 김소영은 여학생이나 처녀보다는 어머니 역을 원했지만, 전시동원체제 하에서 타락한 이미지로 고착되면서 선전영화의 총후여성을 연기하기가 수월하지 않았고, 자연스럽게 프로파간다의 주변으로 밀려나게 된다. 해방 후 김소영은 조선영화동맹과 조선영화협단의 핵심 멤버로 활약하며 인민임을 증명하지만, 좌익 세력이 위축되자 군정경찰 홍보 영화에 출연함으로써 국민임을 과시한다. 이후 미군정의 도움으로 도미(渡美)한 후 그곳에서 영화 활동을 모색하지만, 이 역시 여의치 않자 미국 시민으로 평범한 삶을 살았다. 결국 해방 전후를 불문하고 김소영의 신원 증명은 불완전하게 끝나버렸고, 여배우로서의 커리어도 미완으로 남게 됐다. 일제 말 선전영화의 꽃이었고 해방 후 남과 북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던 2세대 여배우들과 달리, 김소영이 멈춰버린 어정쩡한 상태는 국가 전환기에 현모양처 이미지를 구축하지 못했으며 이념 성향까지 불분명한 배우가 도달할 수밖에 없었던 종착점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중일전쟁기의 『조선시보』 -‘가정’ ‘여성’ ‘아이’ 그리고 ‘전쟁’ 담론을 중심으로-

        오성숙 ( Oh Sungsook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8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중일전쟁기를 계기로 변화하는 『조선시보』의 담론을 ‘가정’ ‘여성’ ‘아이’ 그리고 ‘전쟁’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1936년부터 본격적으로 경성, 부산을 중심으로 신문, 잡지미디어에서 ‘여성’ 독자를 상정한 담론이 형성되어 ‘여성’의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움직임 가운데 『조선시보』의 4면 「가정과 부인」은 일본여성들의 계몽과 자각을 촉구하는 가운데 미디어를 통한 식민지 지배와 제국주의를 확장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이었다. 『조선시보』는 내지 일본의 미디어와 외지 경성의 미디어와의 담론을 공유하면서, 제국과 식민지 정책에 보조를 맞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연계하여, 총후지킴이로서의 ‘총후부인’, 제2국민이자 총후의 소시민으로 불린 ‘총후아이들’에 대한 담론 편성은 중일전쟁기 식민지의 일본여성과 아이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작용하고 있었다. 내지 제국 일본과 외지 식민지의 일본여성들은 전쟁에 참전에 준하는 명칭 ‘총후부인’으로 명명되면서 남편이 부재한 ‘가정’과 ‘아이’의 교육을 전적으로 책임지며 전쟁을 지탱하는 동력을 제공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discourses in Chosunsibo changing after the Second Sino-Japanese war period, focusing on the key words, “family,” “women,” “children” and “war.” Discourses presuming “women” readers began being formed in the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Gyeongseong and Busan in earnest since 1936. “Family and Housewife” on Page 4 of Chosunsibo was part of the movement to expand colonial rule and imperialism through the media while encouraging the enlightenment and awareness of Japanese women. It was found out that Chosunsibo kept pace with the policies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ies, sharing discourses of the media in the inland area Japan and the media of the overseas territory, Gyeongseong. In connection to this, the formation of discourses on “women at the home front” as the guards of the home front” and “children at the home front,” called the second-class people and the petit bourgeois at the home front worked for changing the perceptions of Japanese women and children in the colon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period. It was noted that as Japanese women in the inland area imperial Japan and the overseas territories, colonies were named “women at the home front,” a name applied to a person taking part in a war, they provided the power to support the war, exclusively responsible for “children” education and “family” where the husband was absent.

      • KCI등재

        친일영화에 새겨진 친일담론의 양상과 ‘국민통합’ 이데올로기 연구

        조혜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8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as a distinctive phase. For it’s the period engaged with the films which began to be produced just after they had been introduced and flown into Korea under the condition of suffering identity crisis being suppressed by a strong magnetic force like Japanese Colonialism. Especially, entering the en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appearance of the so called, ‘Pro-Japanese film’ occurred the most argumentative discourse in Korean film history. Although the pro-Japanese films are named for various terms such as ‘government-patronized film’, ‘film propagating Japanese militarism’, ‘nation-governing film’ according to the producing body and producing intention, and implicative ideology, they hold the messages in essence of amicable and cooperative with Japanese Colonialism and even to defend and spread it. So that they could erase(Chosun)nation willingly accepting the state(namely Japan). In this study, an internal logic of a discourse on pro-Japanese aspect and ‘national integration’ ideology is considered based on three pro-Japanese films still left such as 「Military Train」, 「Volunteer」, 「Straits of Chosun 」. In 「Military Train」(1938), there exists an emphasis that people of Korean peninsular should willingly join the China and Japan War to successfully win the war, and a paradox to accept the Japan as the guardian who would bring in peace to the Orient. The periodic background of the 「Volunteer」(1941) is just before the start of 「Special order for Chosun to volunteer for military service」in 1938 asserting that the true ‘unification of Japan and Chosun’ would be realized by the Chosun youths to volunteer for military service. 「Straits of Chosun」(1943) is the film made in commemoration of conscription system for Chosun youths in 1943, a story of which is about a wife of a volunteer became a Chonghu Buin offering labor without taking care herself while waiting her husband in the battle line focussing a sublime of the ‘blood and sweat’ for the nation. The pro-Japanese films spread the messages that the natural law for the Chosun people is to abolish the nation and select the state by setting up the Chosun people adapting themselves to and assimilating with colonial policy. The logic the films focuss is that being the people of the state is the true unification of Japan and Chosun. So many Chosun intellectuals began to accept the assert being overawed by Japanese power overrunning Chinese continent. The pro-Japanese films were the products of such symptom. 한국영화사에서 일제강점기는 독특한 위상을 가진다. 일제강점기는 영화가 전래ㆍ유입된 이후 한국에서 영화가 제작되는 시기와 맞물리고, 일제식민통치의 강력한 자장 속에 한국영화가 정체성의 고민을 드러내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특히 강점 말기로 접어들며 이른바 ‘친일영화’의 출현은 한국영화사에서 가장 논쟁적인 담론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친일영화는 제작주체와 제작의도, 내포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에 따라 ‘어용영화’, ‘군국주의 선전영화’, ‘국책영화’ 등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고 있지만, 그 본질은 일제의 식민정책에 우호적이고 협조적이며 나아가 이를 옹호하고 전파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럼으로써 (조선)민족을 지우고 (일본이라는) 국가를 기꺼이 받아들인다. 이 연구는 현재 남아 있는 친일영화중 「군용열차」, 「지원병」, 「조선해협」등 3편의 영화를 토대로 친일담론의 양상과 ‘국민통합’ 이데올로기의 내적 논리를 고찰하고 있다. 「군용열차」는 중일전쟁의 성공적인 수행에 반도인들도 기꺼이 나서야 함을 강조하며, 일본을 동양평화의 수호자로 받아들일 것을 역설한다. 지원병은 1938년 「육군특별지원병령」이 시행되기 직전을 영화적 배경으로 하여 조선청년이 지원병이 되는 것이야말로 ‘내선일체’의 진정한 실현이라고 주장한다. 「조선해협」은 1943년 조선인 징병제 실시를 기념하여 제작한 영화로서, 지원병이 되어 전선으로 떠나간 남편과 그를 기다리며 ‘총후부인’이 되어 몸을 돌보지 않고 노동력을 제공하는 아내의 모습을 통해 국가를 위한 ‘피와 땀’의 고귀함을 강조한다. 친일영화는 일제의 식민정책에 순응하고 동화되는 조선인을 설정함으로써 민족을 폐기하고 국가를 선택하는 것이 순리라는 메시지를 유포한다. 국가의 국민이 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내선일체라는 논리이다. 중국대륙을 유린하는 일본의 힘에 압도되어 적지 않은 조선 지식인들이 이 논리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친일영화는 그러한 징후의 산물이었다.

      • KCI등재후보

        재생, 일시정지

        손이레 대중서사학회 2007 대중서사연구 Vol.- No.18

        식민지 시기 여성을 둘러싼 서사는 역사적 국면에 따라 그 모습을 바꾸었다. 20년대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여배우/여성들의 죽음을 다룬 기사는 당대에 유행하던 신파 서사와 유사한 측면을 보여준다. 이는 죽음이라는 치명적인 순간과여배우라는 전시적 속성을 지닌 어트랙션을 서사적인 방식으로 봉합하여 식민 지에서의 근대가 지체되고 있다는 서사 서술자들의 인식을 드러낸다. 이런 서사는 30년대에 들어서면 좌절에 대한 인식이라기보다는 서사 속 여성에 대한 공격으로 바뀌게 된다. 일본 제국의 지리를 식민지의 자본이 확장할 수 있는 시장으로 파악하는 등, 소위 ‘근대’가 손에 잡힐 수 있는 무언가로 전환되면서, 신파적 여성상은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이다. 신파적 여성상을 배치하고서도 결국 거기에 커다란 역할을 부여하지 않는 <군용열차>처럼 영화 속 여성의 자리는 비워진다. 이 빈자리에 이제 총후부인의 이야기가 들어오게 된다. <조선해 협>은 총동원 체제 하 총후에 남겨진 여성들의 삶을 다루는 영화로, 이 여성들의 ‘일본인 되기’가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준다. 영화 속 여성들은 끈질기게 분투하면서 총후부인 정체성을 직접 몸으로 새기는 신체적 실천을 보여주지만, 끝내그녀들의 일본인 되기는 매끄럽게 이루어지지는 못한다. 이 글은 이러한 역사적국면들을 여성과 서사를 둘러싼 하나의 별자리로서 그려보려는 시도이다. 역사적 국면에 따라 모양을 바꾸어 온 여성의 서사적 재현은 결국 근대라는 욕망 속에서 반복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서사의 재생을 일시정지하는 주체들의 실천은 이러한 서사적 지배가 균질하게 작동한 것은 아니었음을보여준다.

      • KCI등재

        가정상비약, 총후보국(銃後報國)과 사적 간호의 확대

        류수연 ( Ryu Suyu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1

        This thesis considers the process by which the medical common sense in the home, represented by the “home medicine”, has become a necessary education of the modern family. Through this, it paid attention to the political and social desires of imperialism.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 pharmaceutical commercialism, the problem of medicine has become a common sense and culture required for women. However, it was the expansion of Japanese colonial war that had a bigger influence on this. Under the slogan of patriotism in the rear[銃後報國], public health has only been turned into values for war, and its absence has been left to private nursing. The concept of women in the rear, which appeared in the late 1930s, means that the ideal of the modern family has changed to serve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Nation. It essentially implies responsibility for the upbringing of a healthy body that will lead to the 'empire' and the stable development of 'capital' that sustains that emp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at the common sense of medicine required for housewives as liberal arts is in contact with Japanese colonialism. This will be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control and desire of the empire involved in the modern house symbolized by the swee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