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증상이 있는 담낭 담석증 환자의 접근법; 총담관 담석의 위험도에 따라서

        문성훈 ( Sung-hoon Moon )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2

        우리나라에서 담석증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고 있는데 담석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초음파가 기본적인 검사이다. 담낭 담석이 진단되면 총담관 담석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치료 접근법을 결정해야 하는데 총담관 담석의 위험도는 다음의 인자들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한다: 임상적인 담관염; 고빌리루빈혈증; 총담관의 직경(6 mm 초과); 간기능 검사의 이상; 55세 이상의 나이. 총담관 담석이 없거나 위험도가 낮은 경우 담낭 담석은 복강경 담낭절제술로 치료한다. 총담관 담석의 위험도가 중간 정도일 때는 초음파 내시경이나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을 이용하여 검사한다. 총담관 담석의 위험도가 높다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을 바로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지만, 개별 환자의 상태 및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서 초음파 내시경 등을 먼저 시행할 수도 있다. 총담관담석이 있는 경우 내시경적 괄약근절개술 후 총담관 담석을 제거하고 이후 담낭 담석은 복강경 담낭절제술로 치료한다.

      • KCI등재

        진행성 위암과 동시에 발생한 총담관 원발성 소세포암종 1예

        권용대,김창덕,김용식,진윤태,전훈재,엄순호,유호상,채양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5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occasionally occu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is extremely rare in common bile duct (CBD). Moreover, synchronous advanced gastric cancer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medical literature. We herein report on a case of synchronous primary cancer in the CBD and stomach. A 51-year-old male was admitted because of painless jaundice. Abdominal CT and ERCP showed an exophytic mass that obscured the mid-CBD and there was also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In addition, a large ulcerofungating mass was seen at the lesser curvature of the mid-body on gastrofiberscopy. The biopsy specimen obtained from ulcer was confirmed to b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Explorative laparotomy was performed to remove CBD mass and gastrectomy, however, the surgery was stopped after just biopsy because of the invasion of tumor to the portal vein and difficulty in diseection. Small cell carcinoma was diagnosed from the surgical biopsy specimen by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 tumor cells were strongly positive for neuroendocrine markers such as CD56 and synaptophysin. The patient received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and cisplatin. 원발성 소세포암종은 위장관에서 발견되는 예가 종종 있으나 총담관에서 드물게 발견되며, 위암과 동반된 경우는 현재까지 보고된 예가 없었다. 저자들은 진행성 위암과 동반된 원발성 총담관 소세포암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환자는 51세 남자로 통증이 동반되지 않은 황달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복부전산화 단층촬영과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에서 중부 총담관을 폐쇄시키며 간내담관을 확장시키는 돌출병소가 관찰되었고, 위내시경에서 위체부의 소만부위에 궤양이 관찰되었으며 조직검사에서 샘암종으로 진단되었다. 총담관종괴와 위암절제를 위해 시험적 개복술을 시행하였으나 육안소견에서 간문맥 침범이 있었고 주변 임파선과 박리가 어려워 절제할 수 없었다. 수술 중 채취된 총담관 조직은 면역화학 조직검사에서 CD56과 synaptophysin의 신경내분비 표지자에 양성반응을 보여 소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현재 irinotecan, cisplatin으로 항암치료 중이다.

      • KCI등재후보

        총담관내 거대 담석과 카테터로 유발된 주췌관 압박에 의한 급성 췌장염

        최영민 ( Young Min Choi ),정승욱 ( Seung Uk Jeong ),이화영 ( Hwa Young Lee ),장회수 ( Hoe Soo Jang ),최은광 ( Eun Kwang Choi ) 대한췌담도학회 2017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2 No.2

        급성 췌장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췌장의 염증성 질환으로 담도질환에 대한 내시경 시술이나 영상의학적 시술에 의해서 유발되기도 한다. 담도 시술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췌장염은 담도에 대한 조작보다는 바터팽대부를 절개 또는 확장시키거나 바터팽대부를 통과시켜 스텐트 혹은 도관을 거치하면서 유발되는 췌관의 압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터팽대부에 대한 조작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췌장염 발생의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고 더하여 경피경관담도경 시술을 위한 도관 삽입 후에 췌장염이 발생한 경우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본 증례에서는 3 cm 가량의 거대 총담관 담석들에 의해 발생된 담도염에 대해 경피경관담도경 시술을 준비하는 과정 중 총담관에 도관을 삽입한 이후 급성 췌장염이 발생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원위부 총담관 내부에 삽입된 도관으로 인해 거대 총담관 담석이 췌장두부를 압박하였고 이로 인한 주췌관의 가역적인 폐색이 유발되어 급성 췌장염이 발병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pancreatitis is occasionally caused by endoscopic treatments or radiologic interventions of the pancreatobiliary tract. However, no reports indicate that acute pancreatitis resulted from the insertion of a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PTCS) catheter in the common bile duct (CBD). A 65-year-old woman visited our hospital with acute cholangitis due to about 3 cm-sized CBD stones. We planned to perform PTCS because of the large stones and altered anatomy (Billroth II). The patient was discharged after tract dilatation and insertion of a PTCS catheter in the distal CBD without manipulations of Ampulla of Vater (AOV). However, she visited the emergency room due to acute pancreatitis at three days after discharge.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upstream dilation of the main pancreatic duct following the compressed area of a large stone and catheter. Thus, we report a case that presented with acute pancreatitis induced by insertion of a PTCS catheter without manipulations of AOV.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7;22(2):87-91

      • KCI등재

        내시경적 제거가 어려운 총담관의 다발성 거대 결석에서 다수의 담도 스텐트와 경구 UDCA 병합치료

        이태훈,박상흠,심윤숙,이세환,정일권,김홍수,김선주,이창균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3

        Background/Aims: Large common bile duct (CBD) stones accompanied by risk factors can be difficult to extract using conventional techniqu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icacy of combination therapy using multiple double pigtail stents and ursodeoxycholic acid (UDCA). Methods: A total of 895 patients underwent the attempted removal of CBD stones. Multiple double pigtail stents (7 Fr or 10 Fr) were inserted into the CBD over a guidewire. The stents remained in place until endoscopic removal during a second attempt. All patients received oral UDCA (600 mg/day) during the follow-up. Results: In 21 patients (2.34%), complete clearance was not achiev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Large, multiple stones, the presence of periampullary diverticulum, stricture of the distal CBD, and severe cardiopulmonary disease were observed as limiting factors for the successful removal of CBD stones. Complete endoscopic clearance was achieved in 12 patients (57.1%),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stone size (mean 4.60±2.45 mm, p=0.002). The mean duration of stenting and administration of medicine was 73.9 days. There was no immediate complication related to the procedure.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combination therapy using pigtail stents and UDCA may be an easy and effective method for removal of difficult CBD stones. 목적: 다발성 거대결석이나 유두부주위 게실, 담관원위부 협착, Billroth II 위아전절제수술 등으로 인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총담관 결석 제거가 어려운 환자에서 담도 스텐트는 결석 크기를 감소시켜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이에 결석 제거에 실패한 환자에서 여러 개의 담도 스텐트를 삽입하고 UDCA를 복용시킨 후 결석 제거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9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총담관 결석으로 내원한 총 895명의 환자 중 통상적인 방법으로 내시경적 제거에 실패한 환자 21명(2.34%)을 대상으로 하였다. ERCP는 십이지장경(TJF 240; Olympus, Japan)을 이용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7 Fr double pigtail이나 Amsterdam 스텐트를 2∼3개 삽입 후 UDCA (600 mg/day)를 복용시켰다. 추적 관찰은 1∼3개월 간격으로 외래에서 관찰 하면서 총담관 결석을 제거하였다. 결과: 전체 21명 환자의 평균 연령은 73.8세(38∼88세)로 남자가 9명이었다. 결석 제거가 어려운 이유로 20 mm 이상의 거대결석 11예, 10 mm 이상이고 3개 이상인 다발성 결석 10예, 유두부주위 게실 5예, 담관원위부 협착 3예, 중증의 심폐질환 8예가 있었다. 12예에서 2개, 8예에서 3개의 담도 스텐트를 삽입하였고, 내시경적 완전 제거가 가능한 예는 모두 12예(57.1%)로 결석 크기는 최대 직경 평균 17.65±4.20 mm에서 13.04±3.16 mm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평균 4.60±2.45 mm, p=0.002), 결석 제거까지의 평균 담도 스텐트 유치 및 UDCA 복용기간은 평균 73.9±35.3일이었다. 시술과 연관된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으나 추적 관찰 중 담도염으로 인한 스텐트 교체 3예(평균 162.33±75.83일), 자연이탈 1예가 있었고, 동반된 간내 담석으로 외과적 수술을 시행한 2예가 있었다. 결석 제거를 거부한 3예와 스텐트 교체한 3예는 현재 합병증 없이 추적관찰 중이다. 결론: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석 제거에 실패한 환자에서 여러 개의 담도 스텐트 삽입 후 경구 UDCA 복용은 시술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결석의 크기를 감소시켜 제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상 환자수가 적고 비교 연구가 되지 않아 장기적인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전암성 병변을 지닌 총담관의 이소성 병변

        강민규 ( Min Kyu Kang ),김국현 ( Kook Hyun Kim ),김태년 ( Tae Nyeun Kim ) 대한췌담도학회 2018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3 No.1

        43세 남자 환자가 3일 간의 상복부 통증으로 본원에 입원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담도에 공기가 차있는 양상이 관찰되었으며 내시경역행성담췌관조영술에서 십이지장 기형을 동반한 바터 팽대부와 이소성 총담관 개구부가 나타났다. 담즙감압을 위해 바터 팽대부의 상부 언덕 부위에 있는 이소성 총담관 개구부를 통해 플라스틱 스텐트를 삽입하여 증상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퇴원 2주 후에 황달의 악화로 재입원하였다. 플라스틱 스텐트 제거 후 이전 스텐트 삽입부 주위의 발적, 궤양이 관찰되어 생검을 시행하였다. 생검상 고도 이형성이 진단되었으며 휘플 수술을 받았다. 내시경적 생검은 이소성 총담관 개구부 및 주위 점막 이상을 지닌 환자에서 권장된다. A 43-year-old 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via emergency room with epigastric pain for 3 days.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pneumobilia in the biliary tree.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showed an atypical location of ampulla of Vater (AOV) with duodenal deformity. The plastic stent was placed through the fistular opening at the upper mound of AOV for biliary decompression. He was rehospitalized due to aggravation of jaundice two weeks later. The previous stent was changed into the nasobiliary catheter and biopsy was done around the ectopic opening. He underwent Whipple’s operation due to the high grade dysplasia on biopsy. This is the report of aberrant opening of the common bile duct (CBD) into the duodenal bulb with precancerous conditions. Therefore, endoscopic biopsy i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mucosal abnormality around the ectopic opening of the CBD.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8;23(1):32-35

      • KCI등재후보

        금속스텐트 삽입술로 호전된 총담관의 자연 천공

        양동훈 ( Dong Hoon Yang ),박상욱 ( Sang Wook Park ),문형철 ( Hyeung Chul Moon ),유경완 ( Kyoung Wan You ),은서준 ( Seo Joon Eun ),문승기 ( Seung Ki Moon ),박철민 ( Choel Min Bak ),조신형 ( Shin Hyoung Jo ) 대한췌담도학회 2016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1 No.4

        총담관의 자발적 천공은 흔하지 않으며, 이에 대해 충분한 연구와 경험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저자들은 원인을 알 수없는 복통과 난치성 복수를 호소하는 환자에서 총담관의 자발적 천공을 진단하고,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을 통한 완전피막형 자가팽창형 금속스텐트의 삽입술과 보존적 치료를 통하여 치료에 성공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Perforation of the biliary tree mostly results from injury to the bile duct during surgery or procedures such a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spontaneous bile duct perforation is rare in adults. As the clinical picture varie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ontaneous biliary peritonitis is difficult. A 52-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intractable ascites. He already experienced severe abdominal pain 2 months ago and underwent percutaneous pigtail drainage for the ascites at nearby hospital. ERCP showed large filling defect with leakage of contrast media from the mid common bile duct (CBD) into the peritoneal cavity. We performed endoscopic sphincterotomy and extracted CBD stones with basket and balloon catheter. Then fully covered self expandable metal stent was placed in CBD. After the procedure, the symptom was improved and the amount of pigtail drainage from abdominal cavity was dramatically decreased. 6 weeks later, removing the metal stent, there was no more leakage of contrast media into peritoneal cavity.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spontaneous bile leakage which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placement of metal stent.

      • KCI등재후보

        총담관에서 발생한 혈관육종 1예

        이준엽 ( Joonyub Lee ),문윤권 ( Yoon Gwon Mun ),장상언 ( Sang Eon Jang ),김대중 ( Dae Jung Kim ),유영욱 ( Young Wook Yoo ),이종률 ( Jong Riul Lee ),전호욱 ( Howook Jeon ),음상훈 ( Sang Hoon Eum ) 대한췌담도학회 2016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1 No.2

        혈관육종은 연부조직에서 기원하는 매우 드문 종양인데 간담도계에서 발생하는 혈관육종은 더욱 드물다. 혈관육종은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진단도 어렵기 때문에 발견 당시 이미 병기가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예후도 나쁘다. 저자들은 우측 상복부 통증으로 내원하여 총담관 혈관육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다. 총담관에서 기원한 혈관육종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giosarcoma is a very rare form of neoplasm derived from soft tissue. It is reported even more rarely in hepatobiliary system. Because of its nonspecific symptoms and difficulty in diagnosis, angiosarcoma is often presented in a progressed state and often results in poor prognosis. To our best knowledge, there has been no report regarding angiosarcoma in common bile duct worldwide. We report a case of 77-year-old-woman presented with right upper abdominal pain diagnosed as angiosarcoma in common bile duct.

      • KCI등재

        간외 담관에서 발생한 유암종 1예

        윤재승,정우철,원용성,정주원,김진동,이정록,백창렬,이강문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6 No.2

        담도계에 발생한 유암종은 드물어 위장관계에서 발생하는 유암종의 0.2∼2%를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 담낭이나 Vater 팽대부에서 발생한다. 특히 간외 담도에서 발생하는 유암종은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상복부 불쾌감을 호소하는 43세 남자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원위부 총담관의 종괴를 발견하였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을 실시하여 원위부 총담관에 1.5 cm 크기의 둥근 음영 결손이 있었고 총담관과 간내 담관이 확장되어 있었다. 7 F의 겸자를 이용하여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고, 현미경 소견에서 유암종이 의심되었다. 위유문부 보존적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분화도가 좋은 악성 유암종으로 진단하였다.

      • KCI등재

        담도염과 십이지장 궤양으로 발현된 십이지장 구부로개구한 총담관 1예

        조명진,오미나,백훈기,조기성,강지훈,이영재,김지웅,조진웅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6

        일반적으로 총담관은 십이지장 제2부의 내측에 위치한 주유두로 개구하지만, 십이지장의 제2부 이외의 부위인 십이지장 구부, 위유문관, 십이지장 제4부를 포함해 다양한 위치로 개구할 수 있으며, 십이지장 구부로의 이상개구는 매우 드문 예이다. 저자들은 우상복부 동통과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급성 담관염과 재발성 십이지장 궤양으로 발현된 십이지장 구부로 이상 개구한 총담관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