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 간 관계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교직경력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최권(Choi Kwon),도승이(Do Seung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사효능감은 집단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을 모두 알아보았고 직무환경, 교사효능감, 교수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경력별로 차이를 나타낸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따라 교직경력별로 집단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담임 또는 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41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분석으로 다중집단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경력(10년 이하), 중경력(11-20년), 고경력(21년 이상) 교사 모두 직무환경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었다. 반면 저경력교사와 중경력교사는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고, 고경력교사에서는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만 유의하였다. 둘째, 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인과관계에서 세 집단 모두 경로계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직경력별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경력교사 경로계수의 크기는 저경력교사나 고경력교사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교사의 직무환경이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인과관계에서 교직경력별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세 집단 모두 경로계수는 효과가 있었지만, 저경력교사와 고경력교사 경로계수의 크기는 중경력교사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교사의 직무환경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인과관계에서 세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저경력교사의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중경력교사와 고경력교사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eaching caree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anging path coefficients in analyzing the effect of teachers' work environment on teaching effectiveness in mediation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16 elementary homeroom and subject teachers nationwide. Analysis result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oderation effect in path from teachers' work environment to teaching effectiveness. Path coefficients of all three groups were not significa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according to teaching careers. Path coefficient of mid-career(11-20 years) teachers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both short-career teachers(less than 10 years) and high-career teachers(over 21 years). Second, there was a moderation effect in path from teachers' work environment to collective teacher efficacy. Path coefficients of all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according to teaching careers. Path coefficient of both short-career teachers and high-career teachers were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mid-career teacher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ths from teachers' work environment to personal teacher efficacy between three groups. Path coefficient of short-career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at of mid-career teachers and high-career teachers were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es of relationships and structures among teachers' work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effectivenes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among models where teaching career were moderators.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work environment has indirect effect on teaching effectiveness through mediation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Third, it dealt with work environment as a compound of physical, social-psychological, and structural factors. Fourth, it investigated relationships of teaching effectiveness with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s well as personal teacher efficac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eacher efficacy which have a continuous and consistent effect on teaching effectiveness.

      • KCI등재

        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비교 분석

        김석우(Kim suk woo),이신영(Lee sin young),장재혁(Chang jae hyuck),황석현(Hwang seok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형 혁신학교인 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으로 구분해서 비교⋅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B광역시 소재 부산 다행복학교 6개교, 일반 중학교 6개교의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1일부터 3월15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뒤, 총 237명의 설문결과를 기반으로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고, t-검증을 통해 변인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부산 다행복학교 교사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다행복학교 교사의 개인적 효능감이 일반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 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교사효능감에서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이 부산 다행복학교 교사가 일반 중학교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다행복학교 근무경력에 따른 개인적⋅집단적 교사효능감은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교수과제분석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1~3년 미만의 교사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3년 이상 교사 집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산형 혁신학교인 부산 다행복학교 교사의 개인적⋅집단적 교사효능감을 높여 교사의 효능감의 상승이 교육의 수요자인 혁신학교 학생들의 행복한 교육, 성장하는 교육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학교혁신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at Busan Dahappiness School and General Middle School, which are Busan-type innovative schools, by dividing them into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80 teachers from 6 schools in Busan and 6 general middle schools in B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1 to March 15, 2021, followed by technical statistic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based on a total of 237 survey results, and t-verification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Results A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at Busan Multi-Happiness School and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Therefore, the personal efficacy of teachers in multi-happiness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in personal teacher efficacy,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nfidence were higher in teachers at Busan Happy School than in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analysis of self-regulation efficacy, confidence, and teaching tasks among the sub-variables in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 of multi-happiness school. In detail, the teacher group under 1 to 3 year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teacher group over 3 years was relatively low. Conclusion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school innovation so that the increase in teacher efficacy can consist of happy education and growing education for innovation school students, who are consumers of education.

      • KCI우수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 간 관계에서 개인,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성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최권,도승이 한국교육학회 2017 敎育學硏究 Vol.55 No.1

        이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교사효능감은 집단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을 모두 알아보았고 직무환경, 교사효능감, 교수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성별로 집단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담임 또는 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 416명이고, 자료 분석으로 다중집단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으나,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남교사 경로계수의 크기는 여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교사의 직무환경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여교사의 경로계수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남교사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anging path coefficients in analyzing the effect of teachers' work environment on teaching effectiveness in mediation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16 elementary homeroom and subject teachers nationwide. Analysis result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cording to gender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job condition on teaching effectiveness showed no significance. But the indirect effect is significan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teacher efficiency and personal teacher efficiency. Second, there was a moderation effect in the path from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o personal teacher 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der, and the path coefficient of male teacher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ths from teachers' work environment to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the paths from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o teaching effectiveness between two groups. Path coefficient of female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at of male teachers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Examin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Collective Efficacy for a Public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 An Application to Sexual Violence Prevention

        Bumsub Jin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1

        독립된 객체와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은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예방을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우선, 개인적 차원에서 이 연구는 건강정보 추구행동에 미치는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요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집단적 차원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성폭력 예방 지지 의도가 집단적 효능감에 의해 증대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실시된 온라인 설문(N = 270) 결과, 개인의 태도, 그리고 인식된 행위 통제가 성폭력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정보 추구 의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의도는 다시 실제 행동을 이끌어냈다. 그뿐만 아니라, 집단적 효능감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신뢰를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지지 행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정보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며, 집단적 효능감이 지역사회에서 성폭력 예방을 위해 촉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헬스 캠페인 실무자 및 정책입안자들은 이러한 공중 보건 이슈를 위한 효과적인 캠페인 메시지와 정책을 계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communication behaviors of human beings as independent objects and social animal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multilateral perspective. This study approached sexual violence prevention from two perspectives. From an individual level, the study tested the effects of the primary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From a collective level, it examined whether collective efficacy can increase individuals’ intention to support sexual violence prevention with other community members. Korean citizens (N = 270) participated in a Web survey. Results found that individuals’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intent to seek information about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treatment, which, in turn, led to their actual behavior. Moreover, collective 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support even after controlling trust toward other community members. These results suggest factors that can affect individual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nd imply that collective efficacy should be facilitated for sexual violence prevention in community. Health campaign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will be able to develop effective campaign messages and policies for this public health issue.

      • KCI등재
      • KCI등재

        觀光開發에 대한 地域住民의 集團行動 特性과 役割 - 濟州道 猊來洞 地域을 事例로 -

        강태원,김진,고동완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residents' collective action against a tourism development plan in the rural community of Yere, Jeju. The residents of the region experienced collective actions against government plan of sewage treatment plant development and holiday resort development during the 1990s and 2000s. Data were collected from exhaustive in-depth interviews with thirty residents of Yere, Jeju in 2009. Results showed that the collective actions of the residents played four important roles in their community. First, residents' collective actions contributed to preserving and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Secondly, the residents' efforts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ctions enriched collective efficacy of each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s a whole. Results also showed that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actions, residents' attachment to the community was also formed Finally, the collective actions also made a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see-sights.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을 지역사회론적 입장에서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주도 예래동 지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지역 언론보도, 문헌자료 등 및 30명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이 가지는 특성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은 외부의 강압에 의해 지역사회의 변화가 예상될 때 발생하며, 집단행동의 형태와 강도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응하며 발전과 진화의 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으며, 크게 네 개의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은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보전하고 강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집단행동의 참여효과로써 개인적ㆍ집단적 효능감이 증진되었다. 셋째, 집단행동을 통해 지역애착심이 향상되었다. 예래동의 주민들은 자손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사회․문화적인 환경을 지키고자 하는 ‘지역 애착심’과 지역사회를 더욱 발전시켜 자손들에게 물려주고 싶어 하는 ‘지역 애착심’이 동시에 나타냈다. 넷째, 집단행동은 자연환경 및 경관을 보전하는데 기여하였다. 무분별한 관광개발로 인하여 예래동의 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결과, 지역주민 스스로 「예래환경연구회」를 조직하여 활발하게 환경보전과 환경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이러한 집단행동은 주변 환경에 대한 보전과 감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있어서 집단행동은 통상적으로 묘사되는 부정적 영향보다는 의사결정 과정에 지역주민의 집단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과격한 시위보다는 지역사회와 협력의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집단행동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이윤식,이효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실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총 100개 학교에 1,260부의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교과지도, 생활지도, 대인관계가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집단적 교사효능감도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변인에 대해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조직건강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고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수업전문성에 대한 학교조직건강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교사몰입 간 관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박정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ctive teacher efficacy, self-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It was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d any firsthand impact on teacher commitment and whether the former exercised any secondhand influence on the latter through self-teacher efficacy. This study is ultimately mean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self-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was investigated, and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as well. And path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elements. As a result, it's found that collective teacher efficacy exerted an influence on self-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ffected teacher commitment through the positive mediating variable of self-teacher efficacy. And the influence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s larger than that of self-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교사몰입의 관계에 있어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가지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몰입 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연구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세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경로계수를 통해 비교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모두 교사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교사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정적인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사몰입에 대한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 조직 전체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강조하고 협동적 학교 풍토를 통해 그러한 자신감이 교사 개개인에게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교사 몰입을 높이고 이를 통해 교육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 KCI등재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협력 간 구조적 관계

        권순형,김도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 협력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관련 변인 간 적실성 있는 시 사점을 살피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의 문헌 고찰을 토대로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피고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 협력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조적 관계 탐색을 위한 측정도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관련 변인에 대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표집은 강원 도에 근무하는 초·중등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무작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무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292부(92.69%)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활 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분석되었다. 자료의 왜도와 첨도 분포 결과를 살펴보면 분석결과, 왜도는 -.591~.293, 첨도는 -.549~1.165로 나타나 왜도 절대값 3미만 , 첨도 절대값 7미만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절대적합도 지수 73.468(df=23, =.000), RMR=.019, GFI=.950, AGFI=.902, RMSEA=.080으로 나타났으며, 증분적합도 지수 NFI=.929, TLI=.921, 1CFI=.949로 나타났으 며 모형의 적합도 수준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내용에 터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협력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교사 협력을 매개하여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성공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의 분석

        이미순 ( Mi Soo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1

        본 연구는 융합교육과정 관련 교수효능감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URL 주소를 전달한 후 설문에 응답하도록 요청하였다. 199명의 교사가 성공지능 교수효능감(Teaching for Successful Intelligence, TSI, 2003b)과 집단적 교수효능감(Collective Teacher Efficacy Scale, CES, 2000)에 응답하였으며, 교사의 ‘학생 지도경력’을 공변량으로 설정한 후, 융합교육과정 연수와 수업적용 여부에 따른 교사의 성공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학생 지도경력’(공변량)에 따른 성공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융합교육과정 연수 유무 역시 성공지능 교수효능감 및 집단적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의 융합교육과정 수업적용 여부의 영향은 유의하여, 융합교육과정을 수업에 적용해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창의적 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융합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for teaching efficacy by teachers`` trai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STEAM after controling for teaching years. A total of 199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teaching years(covariance) did not impact on teaching efficacy i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fter controling for teaching yea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i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by teachers`` training for STEAM.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eaching experiences for STEAM on teaching efficacy in creative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eachers applying STEAM into their teachings perceived their teaching efficacy in creative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more positive than teachers not applying STEAM into their teaching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or directions) in planning for STEAM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