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선택동기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공·사 비교 연구 :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아,민경률,이서경,박성민 한국행정연구원 2013 韓國行政硏究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이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동기 구조를 규명하고, 다양한 차원의 직업선택동기의 선행 및 결과요인들을 여러 가지 동기이론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직업선택 단계에서의 입직동기가 조직사회화 과정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조절변수인 개인-직무 적합성의 관점에서 3개년도(2009년, 2010년, 2011년)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분석하였다. 특히, 직업선택동기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력 규명에 있어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을 구분하여 검증함으로써 직무만족 향상에 있어 세 가지 차원의 직업선택동기의 상대적 중요성을 조직 유형별로 비교 분석 하였다. 이에 직업선택동기의 선행변수로서 개인환경요인을, 직업선택동기의 조절변수로서 개인-직무 적합성, 결과변수로서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연구 모형을 토대로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간의 차이 검증을 위한 t-test, 연도별 사회화 효과 검증을 위한 f-test 및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공공조직 및 민간조직에 근무하는 근로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통해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등의 3가지 차원의 직업선택동기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 유의한 효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공조직 및 민간조직 근로자들의 직무만족 향상에 있어 3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직업선택동기의 상대적 중요성 검증을 통해 두 조직 간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개인-직무 적합성이 조직사회화 요인으로서 중요한 조절 변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사·조직 관리 및 성과 관리적 시각에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 욕구체계의 시각을 통해 직업선택동기를 구성함으로써 연구의 외적타당성을 확보하고,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을 구분하여 직업선택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규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화 효과 및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함으로써 내적타당성을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및 다양성 관리 측면에서 관리적 중요성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김경아(Kyounga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1, 2, 3학년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유효한 264명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활용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직업가치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업가치관은 고려하지 않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 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함께 투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가치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직업가치관은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가치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검증한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관(적성, 성취감, 능력)은 내재적 동기(적성, 흥미, 재능, 미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진로탐색 활동을 향상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진로결정과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충족 될 때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은 학생들의 개인특성 및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교육과 지원의 방향을 다각화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학생들의 능동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직업가치관을 확립하고 진로 확신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7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university, of which 26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maj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cuupational values. Second, the total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without considering ocuupational value, and as a resul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cuupational value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by inputting both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 value did not.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bootstrap verifica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ocuupational value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job value, it was foun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ttitude, achievement, ability) mediates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attitude, interest, talent, and futur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can make specific career decisions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actions by improving career 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re satisfied,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lead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Therefore, people in charge of the university field need to diversify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ocuupational value and increase career confidence for students'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rom the lower grades of university.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중소기업 선택동기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영,강순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밀레니얼 신입사원들의 직업부적응 원인에 대해 대졸 청년층의 중소기업 선택동기는 개인의 성장가능성, 대기업과 차별적인 직무경험 폭과 깊이 등 성장욕구인 반면, 자발적 이직사유는 임금복지수준의 불만족으로 생계욕구 불만족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하고, ERG 욕구 이론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직장 선택동기와 직업적응 간에 현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가 어 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고자 기존 문헌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하고, 이를 기초로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GOMS)자료를 가지고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선택동기는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와 직업적응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는데 특히 생계욕구로 직장을 선택한 경우, 관계욕구나 성장욕구로 선택한 집단보다 직장만 족도와 업무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장선택동기와 욕구만족도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성장동기로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이직의도가 1.241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 장에서 생계욕구 만족도가 한 단계 상승하면 이직가능성이 1.293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만족도가 한 단계 상승하면 이직가능성은 .828배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만족도가 한 단계 증가할수록 이직을 준비하는 경우, 이직사유는 성장욕구인 경우가 1.394 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선택동기와 직업적응 관계에서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장욕구 충족을 위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직장에서의 관계욕구 만족도와 성장욕구 만족도는 정적 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생계욕구 만족도는 부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관계욕구 충족을 위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직장에서 관계욕구 만족도가 높으면 직장만족도와 업무만족도도 높아졌 다. 생계욕구 동기로 입사한 집단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 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 선택동기가 충족될수록 직장만족도 및 업무만족도가 높 아진다는 결과는 중소기업 취업의사가 있는 대졸 청년층이 중소기업 입사를 통해 무엇을 충족시키려고 하는지 입사기대의 명확성을 높일 필요성을 보여준다. 둘째, 중소기업에 입사하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장기근속에 대한 유인책으로 금전적 보상보다는 성장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motivation of young college graduates to choos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r reasons of non-adaptation to their jobs was to focus on the phenomenon of dissatisfaction with their livelihood due to dissatisfaction with wage welfare levels, while the reason for voluntary turnover was to be revealed through ERG desire theory. To find out how the level of desire satisfaction in the current workplace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and job adaptation affect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xisting literature was preceded and, based on this,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GOMS data.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choos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ir desire for work and job adaptation, especially when choosing a job as their desire for livelihood, their job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were the lowest than those who chose them as their desire for relationship or growth.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mpact of workplace choice motivation and desire alone on job preparation, the degree of turnover was 1.241 times higher when join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 a growth engine. Third, the possibility of turnover increased by 1.293 times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to live in the workplace increased by one notch. Fourth, the possibility of turnover decreased by 828 times when the work satisfaction level increased by one notch.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reason for turnover increases 1.394 times as much as job satisfaction increases by one level, and the reason for turnover increases by 1.394 times. Fifth, if you look a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desire family in the workplace in the context of workplace choice motivation and job adaptation, the following are: In the case of joining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to satisfy the desire for grow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relationship and the desire for growth in the workplace showed a static mediated effect,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living showed an amulet mediated effect. In the case of joining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to satisfy the desire for relations, i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relations is high at work,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has also increased. The group that joined the company on the motive of their desire for a liv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motivated the SMEs are to be selecte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level, indicating the need to increase the clarity of job expectations for young college graduates who are willing to work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measures to meet the desire for growth rather than monetary compensation as an inducement for the long-term servi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join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KCI등재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이명희,아영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청소년상담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s' satisfaction on the influence of majors of maj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career choice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Busan, and analyzed 196 cop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ajors' motivation influenced majors' satisfaction, but motivation to select majors did not affect majors' satisfaction. Second,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selecting majors influenced the interest aptitude, job economics, and job prospects among the sub factors of career choice, and external motivation to select majors influenced all of the sub - factors of career choice: interest aptitude, major consensus, job economy, and career prospects. Third,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 - factors of career choice.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majors were found in relation to intrinsic majors selection motivation, interest aptitude, major consensus, and career prospects. However, it did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choice factors. In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the method of intervention in career choice was presented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majors and majors'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196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로는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직업선택의 하위요인 중 흥미적성, 직업경제성, 직업장래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직업선택의 모든 하위요인 즉, 흥미적성, 전공일치성, 직업경제성과 직업장래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전공만족도는 직업선택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흥미적성, 전공일치성, 직업장래성과의 관계에서 나타났으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 관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도를 통해 직업선택에서의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신옥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7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Major Selection Motiv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 Service on Internal Work Value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study method was to conduct a online survey research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 Service.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n 1 and Jun 22, 2020, and 221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AMOS 23.0,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jor Selection Motive was divided into Personal Selection Motive and Social Selection Motiv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showed that Personal Selection Motive has effect on Internal Work Value accordingly. Second, Social Selection Motive has effects Internal Work Value. Third, Internal Work Value has effects Behavior. The finding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Major Selection Motive, Internal Work Valu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academic researchers. This research has several implications such as Major Selection Motive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enhance Internal Work Value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공선택동기를 개인적 선택동기와 사회적 선택동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6월 1일부터 2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충북 지역의 4년제 대학의 항공서비스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21개의 유효한 설문을 수집했으며, SPSS 20.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의 세부요인 중 개인적 전공선택동기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의 세부요인 중 사회적 선택동기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셋째,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선택동기가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높이고, 취업준비행동을 적극적으로 하게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항공사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외향성 및 개방성이 직업선택동기에 미치는 영향: 자기향상동기의 조절효과

        장아름,변국도,이지현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 지망생들의 성격특성이 객실 승무원으로 지원하게 되는 직업선택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지원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BIG 5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개방성’이 항공사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직업선택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향상동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항공사 객실 승무원 지망생을 대상으로 1차와 2차에 걸쳐 종단적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110개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외향적 성격은 직업선택 내재적동기와 외재적동기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자기향상동기가 외향성과 직업선택동기와의 관계를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자기향상동기가 높을수록, 외향성과 직업선택동기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개방적 성격은 직업선택 내재적동기와 외재적동기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더불어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자기향상동기가 높을수록, 개방적 성격과 직업선택 외재적동기의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항공사 및 객실 승무원 교육기관들이 적절한 대상자를 선발하고 교육하며 활용 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객실 승무원 지망생들은 자신의 성격특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해보고 객실 승무원이 되기 위한 준비과정에서, 본인의 직업선택 방향성을 확인하고 동기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some personality traits are the main motivation factors for job selection motive of flight attendant applicants, and to explore factors that can strengthen such the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nhancement motivation on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on job selection motive, focusing on ‘extroversion’ and ‘openness’ among the BIG 5 personality traits. 110 data were collected from a longitudinal survey of flight attendant applicants in the first and second rounds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oversion of flight attendant applica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election motive. In addition,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enhancement mo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oversion and job selection motive. Specifically, we found that flight attendant aspirants with high self-enhancement motive had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troversion and job selection motive. The openness of flight attendant applicants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flight attendants’ self-enhancement motive was only significant for openness and extrinsic job selection motive. Therefore, flight attendant’s self-enhancement motive reinforc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and extrinsic job selection mo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airlines and flight attendant training academies to select and train appropriate candidates. It is also expected that aspiring flight attendants will be able to objectively identify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develop their motivation in preparation for becoming a flight attendant.

      • KCI등재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경우 -

        오은영,김강식 한국질서경제학회 2018 질서경제저널 Vol.21 No.4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influence of major selection motive on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areer selection in case of airline service major students in universities. For this, we conducted survey for students who are majoring airline service in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20.0.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both personal and social motive of one’s major sele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 individual motive influences the major selection motive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hile the social motive doesn’t affect them substantially. Third, the more satisfied they are with their major, the much influence they get regard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at is the result consistent with that of the prior various studies and confirms the importance of students’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ndividual motives affects the satisfaction about their majo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election more than the social motives. University students eventually understand they themselves have to do their best to select the right career and more. Through this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students can b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areer selection motiv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major and career, while the department can find the means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and enhance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provide the academic and practical materials to operate the department effectively and hopefully help raise employment rate.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자신의 전공만족,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서 각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조사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조사는 설문지방법을 활용하여 경기도 소재 대학의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전공선택동기 가운데 개인적 동기만이 취업준비행동과 직업선택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전공만족은 취업준비행동과 직업선택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실증조사의 결과는 전공 선택에 있어서 특히 개인적 동기가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공만족이 취업준비행동과 직업선택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학생 차원에서는 개인적 동기에 따른 전공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고, 또 학교 차원에서는 전공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 모색이 요청된다.

      • KCI등재

        군사학전공 대학생의 공공봉사동기, 직업선택 동기, 전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김덕기(Tuck Key Kim),박효선(Hyo-Sun Park)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2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군사학전공 대학생의 공공봉사동기 및 직업선택 동기와 전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공공봉사동기와 직업선택의 내재적・외재적 동기의 전공만족에 대한 관계를 살펴본 후 공공봉사동기와 내재적・외재적 동기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 군사학과 및 전문대학 부사관과 6개교의 군사학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총 35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봉사동기와 전공만족은 긍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직업선택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전공만족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의하였다. 셋째, 공공봉사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긍정적 관계로 유의한 반면, 외재적 동기와는 무관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는 공공봉사동기가 직무태도 뿐 아니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도 긍정적 유의관계를 가짐을 규명하여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또한 공공봉사동기와 내재적 동기의 차이점 및 긍정적 유의관계를 설명함으로써 학문적 개념을 보완하였다. 더불어 외재적 동기가 전공의 특성에 따라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긍정적 유의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여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choice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ilitar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choice on major satisfaction was examined, and then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by sampling from six universities and colleges. A total of 35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ervice motivation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Second, it was noted tha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of job sel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Third,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significant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rinsic motivation, but there is no influence with ex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study by clarifying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a variable that can affect not only job attitudes but also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cademic concept was supplemented by explaining the difference and positive significance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xtrinsic motivation can affect the major satisfaction of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and the necessity for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자격증취득동기와 직업가치관 및 직업선택의 관계

        김보름 ( Kim Bo-reum ),김지태 ( Kim Ji-ta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2

        요사이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증제도가 국가자격증제도로 도입됨에 따라 일반체육 관련 지도자들은 또 다른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계기가 더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직업군인 `장애인스포츠지도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자격증 취득동기, 직업가치관, 직업선택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연구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4개 권역(수도권, 충청, 전라, 경상)의 연수 참가자 총 360부의 자료를 추출한 후,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20부를 제외한 총 340부의 자료를 본 조사의 유의표본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자격증 취득동기는 직업가치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자격증 취득동기는 직업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직업가치관은 직업선택에 유의한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측정된 연구결과들은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증제도가 추구하여야 할 방향과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직업적 가치를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Nowadays, the certificate for adapted sports instructor was adopted to the national licensing system, providing broader jon opportunities for general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job variables of `adapted sports instructor`, is therefore magn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ivation for the certificate acquisition, job values, and job decision of the adapted sports instructor. For the analysis the trainees of adapted sports instructor program of four regions(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of 2016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Among the 360 survey results, 20 observations with partial omissions or unfaithful results were excluded, and the total of 340 observations were selected as purposive samples.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with SPSS 22.0 programs, and the findings were acquired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certification acquisition of adapted sports instructors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one`s job values. Second, the motivation for certification acquisition of adapted sports instructors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job decision. Thirdly, the job values of adapted sports instructor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job decis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n the study will be able to not only provide the foundation in regard to the future direction of adapted sports instructor license, but also assist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values of the instructor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 차이 연구 -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심으로 -

        이미경 ( Lee Mi-kyong ),한의진 ( Han Eui-jin ),황보명 ( Hwang Bo-myu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6 Tourism Research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 양상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표본은 광주 및 전남 소재 4년제, 4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총 282명의 응답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타당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안정적인 장래’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남성은 ‘능력 발휘’를 여성은 ‘일의 보람’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남녀 모두 정서적 동기를 환경적 동기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년과 대학에서는 직업선택 동기 중 환경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선택 동기를 실증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을 통해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진로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To this end, the aspects of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ere examined to ver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amples for the empirical study were selected from among those university students in four 4-year colleg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Responses from a total of 282 stu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validity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t-tests, and ANOVA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garded ‘stable future’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apability displa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and ‘rewarding experience from work’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n additi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hown to regard emotional motive to be more important than environmental motive. Second, as for differences in vocational motiv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were not significant whil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and universities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In the present study, overall vocational motives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not students of certain departments,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detail with a view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