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 나타난 향유의 환상과 궁지, 그리고 남성 가부장중심주의

        정진만(Jeong, Jin-Ma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현대정신분석 Vol.23 No.2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서 상실의 견딜 수 없는 현실로부터 도피해 환상에 의존하는 병약한 블랜치와 대조적으로, 스탠리는 의문의 여지없이 강건한 현실주의자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이 글은 향유를 다루는 데 있어서 스탠리가 블랜치보다 크거나 같은 환상을 품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새로운 해석은 우리가 주이상스(향유)에 대한 라캉의 개념을 염두에 둘 때 가능하다. 라캉에게 있어서 주이상스는 상징계 안에서 주체의 지위를 떠맡는 대가로 금지된 것으로서 실재계에서는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다. 충만하고 완벽한 주이상스는 불가능한데도 불구하고, 역설적이게도 주체는 장애물만 제거하면 그것에 도달할 수 있는 것처럼 위장하기 위해 그 주이상스에 대한 장애물(금지)을 고안해 낸다. 따라서 장애물은 주이상스에 접근하는 데 필수적이게 된다. 여기에 주이상스의 환상과 궁지가 존재하며,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스탠리가 그런 점을 예시하고 있다. 스탠리는 블랜치(주이상스와 남성 지배에 대한 장애물)를 자신의 남성중심적, 가부장적 영역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블랜치의 달갑지 않은 개입으로 인해 잃게 된 것으로서 스텔라와의 결혼관계에서의 이전의 주이상스를 되찾을 수 있다는 환상에 빠진다. 이런 라캉적 접근은 나약한 블랜치가 패배하고 스탠리의 강건한 마초적 세계가 다시 안정을 되찾는다는 윌리엄스의 사회진화론적 재현이 향유에 대한 대중의 환상에 호소하는 사회-심리적 전략을 통해 남성 가부장중심주의를 떠받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In Tennessee Williams’s A Streetcar Named Desire, Stanley has been unquestionably accepted as a sturdy realist, as opposed to invalid Blanche who resorts to fantasy escaping from the insufferable reality of loss. However, this essay argues that, in his treatment of enjoyment, Stanley has fantasy either more than or as much as she has. This new interpretation is possible when we are reminded of Lacan’s notion of jouissance (enjoyment). For Lacan, jouissance, banned at the price of one’s assuming the subject’s position in the symbolic, is initially impossible in the real. Notwithstanding the impossibility of a full and perfect jouissance, paradoxically one elaborates an obstacle (prohibition) to jouissance so as to believe it as reachable if only one removes the obstacle. Thus, an obstacle becomes prerequisite to access jouissance. Here lie the fantasy and stalemate of jouissance, and Stanley in A Streetcar Named Desire exemplifies them: He fantasizes that he can recover his former jouissance in his marital relationship with Stella that is lost by Blanche’s unwelcome intervention, if only he gets rid of Blanche—an obstacle to jouissance and male dominance—out of his male-centered patriarchal territory. Such a Lacanian approach to the text would illuminate that Williams’s Social Darwinist representations of fragile Blanche’s defeat and the re-stabilization of Stanley’s robust macho world sustain male patriarchism through the socio-psychological strategy appealing to the public’s fantasy of enjoyment.

      • KCI등재

        D. H. 로렌스의 종교적 의식 탐험과 주이상스 심리

        조일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3

        로렌스 문학에서 특별히 주목을 끄는 것 중의 하나가 종교성과 성의 공존이다. 그러한 양상은 애매하고, 불확정적이며, 회피적인 양가성이 나타난다. 성과 종교성의 공존성과 양가성에 주목하고 이것을 라깡의 정신분석학의 ‘주이상스’ 와 연결하여 여행기 산속의 십자가 , 단편소설 말을 타고 떠난 여인 의 성격 과 의미를 고찰한다. 전자는 십자가에 못 박혀 죽어가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젊은 성자의 ‘피와 살’의 해체로 인한 생명의 열정과 에로틱한 관능이 투사된다. 후자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신과 종교에 대해 강렬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백인 여주인공이 산속에 있는 인디언족의 오지 마을로 찾아가서 그들의 신과 종교에 귀의하고 태양신에게 몸이 제물로 봉헌되는 인신공희가 재현된다. 두 작품은 인신제물을 모티프로 하며, 성적 관능성과 성스러운 종교성이 투사된다.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작중인물들은 양가적 감정, 즉 고통, 두려움, 공포와 이에 상반되는 성스러움, 성적 관능, 황홀감이 혼융되어서 주이상스의 전형적인 주체로서 몸을 보여준다. One of special distinguished features in D. H. Lawrence’s literature is the coexistence of sexuality and religiosity. Aspects of those features are ambiguous, undetermined, and evasive and show ambivalence. This article is interested in coexistence of sexuality and religiosity and its ambivalence, and intend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those aspects in Lawrence’s travel essay, “The Crucifix across the Mountains” and his short fiction, “The Woman Who Rode Away,” based on Lacanian jouissance. The former reflects life passion and erotic sensuality from the deconstruction of flesh and blood of dying Jesus Christ on the crucifix. The latter represents human sacrifice of the protagonist who rides away from her home to an American Indian mountain village to seek God of Indians and dedicate her body to their God Sun. Both writings are based on the motif of mystic human sacrifice, and reflect erotic sensuality and holy religiosity. The characters show bodies in jouissance and are typical subjects of jouissance, with ambivalent emotions of both pain, fear, terror and holiness, sensuality, ecstasy.

      • KCI등재

        잉여 쾌락으로서 주이상스(Jouissance)

        남경아 ( Kyung Ah Na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주이상스(Jouissance)는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정신분석학 이론 내에서 가장 독창적이고도 매력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국내 및 해외 연구 문헌에서 그것의 개념 자체에 관한 상세한 논의를 찾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라캉 혹은 정신분석학 등을 핵심어로 다루는 여러 문헌들 속에서 주이상스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언급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사실상 대부분의 언급들은 ‘정의하기 어려운’이라는 술어로써 그 시도를 마무리하고 있다. 필자는 라캉의 이론 내에서 주이상스라는 용어를 쾌와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신경증적 증상들의 치료와 관련된 기술(description)에서 반드시 이해되어야 하는 개념 중 하나로서 파악한다. 이에, 본고는 일차적으로 주이상스의 개념 분석을 목적한다. 이는 인간의 쾌가 어떻게 산출될 수 있는지를 구조적으로 해명하는 부수적 효과 또한 드러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Jouissance is the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attention-getting concept in the theory of Lacan (Jacques Lacan, 1901~1981). However, it is not easy for us to find the detailed discussion for its concept itself in both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Instead, it is not hard for us to meet the references regarding the Jouissance; most of them refer it as the one which is ‘hard to define’. I regard the Jouissance as the concept associated with matter of the pleasure, and I also grasp it as the one of the essential concept for th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neurotic symptom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In this contex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Jouissance. I expect this study could also explain how our mental pleasure is produced in the structural aspect.

      • KCI등재

        칸트의 숭고 너머

        남경아(Nam, Kyung-Ah)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7 No.3

        라캉에게 있어 환상의 주체란 그 스스로 죽음충동을 통해 상징계 한계 너머로 도약하는 능동자이다. 라캉은 그 스스로 죽음을 불사하고 상징적 한계 속에 예속되지 않는 자유를 추구하는 환상의 주체에게서 숭고의 미를 발견한다. 라캉이 숭고의 미를 발견한 지점은 주체가 불쾌에서 전환된 쾌, 혹은 불쾌를 동반한 쾌라고 정의 가능한 “주이상스”(Jouissance) 로 진입한 상태이다. 그와 같은 라캉의 주이상스 개념은 묘하게도 우리에게 칸트 철학의 숭고미 개념을 환기시킨다. 이에 필자는 불쾌, 쾌, 부정성 그리고 불가능성 등의 관점에서 칸트의 숭고미와 라캉의 주이상스 개념 사이의 구조적 유사와 동시에 차이를 해명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고는 라캉적 주체의 죽음충동과 그 이후 경험하게 되는 주이상스의 흔적을 칸트의 부정적 현시와 숭고의 경험에서 추적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subject of the fantasy in Lacan plays an active role to leap the Symbolic by ‘death drive’. Lacan finds the sublime in the such subject of the fantasy who is willing to head for the (symbolic) death by himself and seeks a liberty without being subject to the limitation of the Symbolic. The right point that Lacan finds the sublime is when the subject experiences the Jouissance, called the pleasure refreshed from unpleasure in its general definition. Meanwhile, the general concept of the Jouissance makes us to arouse the concept, sublime in Kant. So, I intend to explain structurally the several concepts such as unpleasure, pleasure, impossibility, negativity, and so on in this paper; those are the main concepts related to both the Kantian sublime and the Lacanian Jouissance. In summar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death drive’ of Lacanian subject and the Jouissance under the negative presentation and the sublime in Kant.

      • KCI등재

        욕망과 주이상스 사이: 라캉의 『안티고네』 읽기와 카타르시스의 윤리

        양석원(SeokwonYa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7 비평과이론 Vol.22 No.1

        이 글은 라캉이 『안티고네』 해석에서 강조하는 안티고네의 아름다움에 주목하여 관객이 경험하는 카타르시스의 윤리적 차원을 규명한다. 라캉은 안티고네의 이미지를 텅 빈 실린더의 표면에 나타나는 왜상에 비유하며, 이 이미지가 실재의 공백과의 관계를 통해 순화된다고 해석한다. 안티고네의 아름다운 이미지가 아테(Até)를 넘어 무대 뒤로 사라지는 지점에서 욕망은 분열된다. 안티고네의 욕망은 한계를 넘어 실재와 주이상스로 향하지만, 관객의 욕망은 안티고네의 아름다운 광채의 눈멀게 하는 효과를 통해 실재의 심연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공포와 연민의 감정으로부터 정화된다. 윤리의 주체로서의 안티고네는 실재/주이상스의 윤리를 예증하지만, 안티고네가 대상으로 등장하는 연극 『안티고네』는 관객이 실재/주이상스로부터 적절한 거리를 찾는 욕망의 윤리를 예증한다. 라캉은 한편으로 욕망에 따라 행동했는가를 기준으로 영웅과 일반인을 구분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 구분을 엄격히 유지하지 않으며 일반인도 정신분석적 윤리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관객에 미치는 영감의 효과에 대한 플라톤의 논의를 언급하여 욕망의 실현 뿐 아니라 욕망의 정화에도 윤리적 차원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This essay explores tragic catharsis as a dimension of the Lacanian ethics of psychoanalysis. Analogizing the Theban tragedy that displays Antigone’s splendid image to an anamorphosis spread out on the surface of a cylinder whose center is empty, Jacques Lacan suggests that Antigone’s image is purified from its imaginary aspect by its linkage with the void of the real. Antigone’s beautiful image, however, is not simply a spectacular passage to the real. At the limit where she transgresses Até and disappears behind the stage, Antigone protects the spectators from the abysmal real through the blinding effect of her dazzling splendor. While Antigone’s desire continues to go beyond the limit, the spectators’ desire rebounds from it, purged from the emotional grip of glimpsing the fateful consequences of her transgression. As the transgressive subject, Antigone the heroine illustrates the ethics of the real. Antigone, the play in which she appears as the object of cathartic experience, exemplifies the ethics of desire because the audience can share the intensity of heroic transgression without being destroyed by its catastrophic consequences, thereby maintaining their desire at a proper distance from the play and its heroine. On the one hand, Lacan differentiates a hero who realizes his desire from an ordinary man who betrays or compromises it, privileging the former as ethical subject. On the other hand, however, he blurs this difference with the suggestion that there is an ethical dimension in the purification of desire as well as in the realization of it, in the spectators as well as in the hero.

      • KCI등재

        영화의 스펙터클과 추의 미학

        김형래(Kim Hyung-R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영화의 스펙터클과 그것이 왜 추인지 그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추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다룬다. 특히 움베르토 에코, 칼 로젠크란츠, M.S. 까간의 ‘추의 미학’을 통해 추가 상대적인 개념이며, 실재와 이상의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부정확성의 결과라는 결론을 도출한다. 이러한 개념에 근거하여 본고는 영화의 추를 ‘재현의 추’, ‘형식의 추’, ‘스펙터클의 추’로 나누어 분석한다. 재현의 추에서는 물리적 세계의 그로테스크한 왜곡과 비틀림의 예로 표현주의 영화와 초현실주의 영화를 소개한다. 형식의 추에서는 영화가 본질적으로 기술매체이며, 활동사진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암흑지대를 내재하고 있고, 영화를 예술 매체로 승화시킨 편집과 몽타주 기법을 활용한다는 사실을 통해 영화의 본질적 추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그리고 본고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로서 스펙터클의 추가 무엇인지를 다룬다. 영화의 스펙터클은 거대 자본과 최신 기술의 결합체로서, 그것은 오늘날 자연과 신을 대체하는 숭고의 대상으로 간주되며 동시에 관객으로 하여금 그 매혹적 속성을 통해 그것을 끊임없이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라캉적 주이상스(향략)의 대상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이 스펙터클의 주이상스는 영화의 서사를 억압하고 물신적 대상으로 작용함으로써 관객에게 무조건 ‘즐겨라’라고 하는 외설적 명령으로 다가온다. 이것이 바로 스펙터클의 외설성인데, 동시에 이것이 추인 것은 스펙터클이 그 외설적 명령 뒤에 우리가 모면할 수 없는, 혹은 거의 불가항력적인 ‘자본의 명령’을 은폐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plains how and why the spectacle of a film can be regarded as ugliness. At first, it treats the general definition of ugliness. It introduces the aesthetics of ugliness, which Umberto Eco, Karl Rosenkranz and Moissej Kagan stand for. Through this, it can be induced that the ugliness is a relative concept and results from the discordance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and the incorrectness of a shape. Grounded on this defin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ugliness of the representation, the ugliness of the film form and the ugliness of the filmic spectacle. It introduces an expressionist film Das Kabinet des Dr. Caligari and a surrealist film Un Chien Andalou as the examples of the ugliness of the representation. It explains also what is essentially the ugliness concerning with the film form, as it shows that the film is intrinsically the technical medium, that the dark zone between a frame and a frame is inherent in the moving pictures, and that the film uses the edit and the montage as the essential techniques of the film art, which give rise to the distortion of a shape. In addition, it deals also with the ugliness of the spectacle as the most important theme of this study. Today, the spectacle of the film can be regarded as a complex of the great capital and the new technology and then as the sublime object, which substitutes the nature and the God. And it makes the spectators consume it ceaselessly through its stark amazement, and therefore it can be the object of the Lacanian jouissance. But it works like the unconditional, obscene command: ‘Enjoy!’, as it plays the roll of a fetish and represses the narrative. In conclusion, this can be seen as the obscenity of the spectacle and at the same time as ugliness, because the filmic spectacle conceals behind the obscene command, in particular the command of the capital, which seems to be for us unavoidable and irresistable.

      • KCI등재

        서정주『화사집』에 나타난 광기 연구 - 주이상스와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

        박한라 ( Park Han-ra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87

        본고는 서정주 『화사집』에 나타난 광기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금기의 위반과 주이상스’에서는 금기를 넘어서려는 화자와 금기를 넘어선 화자와의 대조를 통해 화자가 ‘짐승’으로 전이되는 양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금기를 넘어선 화자는 인간에서 ‘짐승’이 되는 환상적 주체를 통해 주이상스로 진입한다. ‘층위의 해체와 트라우마’에서는 층위의 해체를 유발하는 트라우마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외상 경험으로 인해 상징막이 찢겨지고 그것으로 인해 자아가 현실과 환상의 사이에서 교란 상태를 겪는 트라우마적 상황은 『화사집』에서 ‘문둥이’가 ‘우는’ 이미지로 등장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층위가 해체되는 지점은 화자 속에 억압된 타자와의 공존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존에 의한 광기는 오히려 상처를 통해 상처를 알아가고 회복하는 역설적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트라우마로 인한 광기는 오히려 화자가 살아가는 방식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dness in Seo Jung-ju's 『hwasajib』. In taboo violations and Ju Sang Sangs,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of the speaker to the beast by contrasting the speaker who tried to overcome the taboo and the speaker who exceeded the taboo. The talker who goes beyond the taboo enters Ju Sang's through a fantastic subject who becomes a beast in humans. In Deconstruction and Trauma of Layer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rauma that causes disintegration of layers. The traumatic situation in which the traumatic experience is torn up and the ego becomes a disturbanc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s closely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the 'mound' as a 'crying' image in The Storybook. In addition, the point where the layer is dismantled forms coexistence with the suppressed batter in the speaker. The madness of such coexistence can be understood as a paradoxical process of recognizing and recovering wounds through wounds. Therefore, the madness caused by trauma is rather the way the speaker lives.

      • KCI등재

        박탈된 주체의 증환과 주이상스 <당신 얼굴 앞에서>

        한귀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홍상수의 <당신 얼굴 앞에서>는 <밤의 해변에서 혼자> 이후에 나타난 박탈된 주체의 서사에, <강변호텔>에서 보인 죽음충동 서사가 통합되면서 궁극적으로는 팬데믹에서의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당신 얼굴 앞에서>에 나타난 취약하고 박탈된 주체가 어떤 방식으로 타자와 관계 맺으며 증환의 주체로서 주이상스를 향유하게 되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인공 상옥은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 이것은 그녀가 박탈됨의 상황에 처했음을 의미한다. 이 박탈됨은 주체의 궁핍을 불러온다. 이 때문에 더 이상 상징계적 욕망과 환상의 추구가 무의미해진다. 그녀는 치료를 포기하고 살아있을 때 할 수 있는 것, 도울 수 있는 것을 하려고 마음먹는다. 자신의 박탈됨을 수용하고 생의 시간에 타자를 지향하려는 의도를 갖는 것이다. 상옥은 자신의 ‘얼굴 앞’ 타자에게 말걸기를 시도하지만, 동생 정옥, 감독 재원뿐만 아니라 조카나 옛집에서 만난 소녀와의 관계에서도 이 말걸기에 성공하지는 못한다. 역설적으로 이 때문에 말걸기는 중단되지 않고 상옥의 주체화로 이어진다. 상옥의 주체화는 환상을 가로지르며 실재를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소녀와의 관계에서 말걸기는 상옥의 기도를 중단시킨다. 기도는 대타자를 향한 메시지이고 상징계의 틈을 메우는 환상이다. 비록 상옥의 기도가 대타자와의 동일화나 상징계적 욕망에 강박된 것이 아니라 감사의 담론이라 할지라도 그 기도는 부재하는 대타자를 상정한 환상이었기에 실재를 지향하는 상옥과는 모순되는 것이었다. 이 모순을 극복하게 한 것이 소녀를 향한 말걸기였고 이것은 재원과의 만남에도 이어진다. 이 만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상옥의 블라우스에 묻은 ‘얼룩’이다. 이것은 실재계적인 응시로서의 ‘얼룩(stain)’의 기능을 함으로써 상옥은 응시와 시선이 일치되는, 즉 실재계적 징후를 감지하는 주체로 변모한다. 감독의 음성메시지를 듣고 난 후의 그녀의 웃음은 그녀가 박탈됨에서 나아가 자기 박탈, 혹은 박탈-되기의 주체이자 주이상스의 주체임을 나타낸다. 그녀가 동생 정옥의 손 위에 자기 손을 올리고, 더 가까이 가서 “정옥아, 무슨 꿈을 꾸니?”라고 묻는 것은 타자를 향한 아름답고 고통스러운 말걸기이자 그녀가 자신의 증환과 동일시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팬데믹은 인류를 박탈의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당신 얼굴 앞에서>는 박탈된 주체가 향유할 수 있는 증환을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팬데믹 상황에서 동시대인이 지향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Hong Sang-soo's In Front of Your Face ultimately shows insight into the pandemic by integrating the narrative of the dispossessed subject that appeared after <On the Beach at Night Alone> and the death-drive narrative shown in <Hotel by the Ri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vulnerable and dispossessed subject in In Front of Your Face relates to others and ultimately has jouissance as a subject of sinthome. The main character, Sang-ok, has been sentenced to a limited time. This meant that she was in a situation to be dispossessed. And it leads to the deprivation of the subject. She decides to give up her treatment and try to do what she can and help with while she is still alive. This is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accept her own deprivation and to turn others in the time of her life. Sang-ok tries to talk to address ‘in front of her own face’. She is unsuccessful in address with her sister Jeong-ok, a film director, as well as her relationship with her nephew or the girl she met at her old house. However, because of this, her conversation is not stopped and paradoxically leads to Sang-ok's subjectivization. Sang-ok's sbjectivization appears to traverse her fantasy and gaze the Real. In particular, address with a girl stops Sang-ok's prayer. Prayer is a message to the Other and is a fantasy that fills the gap in the Symbolic. Although Sang-ok's prayer was a discourse of gratitude rather than being suppressed by identification with the Other or the Symbolic desire, his prayer was an fantasy premised on the absence of the Other, so it was contradictory to Sang-ok's pursuit of the Real. It was the address with that girl that made her overcome this contradiction, and this continues with her meeting with film director Jae-won. The ‘stain’ on Sang-ok’s blou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meeting. As this stain functions as a 'stain' as gazing of the Real, Sang-ok transforms into a subject whose eye and gaze coincide, that is, a subject that detects symptom of the Real. Her laughter after listening to her director's voice message indicates that she is the subject of becoming dispossessed and jouissance with pain. When she puts her hand on her sister Jeong-ok's and asks, “What are you dreaming of?” is her beautiful and painful address towards other, revealing that she is identifying with her own sinthome. The pandemic is driving humanity into a state of being dispossessed. In Front of Your Face raises the question of what contemporaries should value in a pandemic situation in that it shows the sinthome that a dispossessed subject should have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 KCI등재

        토니 모리슨의 『파라다이스』에 나타난 여성성의 윤리와 타자의 주이상스

        전보미(Bomi Jeon) 한국아메리카학회 2021 美國學論集 Vol.53 No.2

        This article analyzes Toni Morrison s Paradise through Lacanian psychoanalytic lens to examine how the marginalized experience of a female community introduces an alternative vision to the totalitarian law in Ruby, an isolated all-black town. Despite its initial attempt to recreate an African American Utopia, Ruby is marked by its ultimate failure to move beyond racism since its ideal of paradise is actually built on the exclusion of different skin colors and gender identities. Meanwhile, it is the novel s representation of a motley group of women living in a deserted convent that suggests a possible paradise regained. As the women search for their true femininity through affirming their bodily existence and singular way of enjoyment, they establish a unique culture that respects universal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I argue that their attempts to create an ethics of female desire are profoundly social and cannot be reduced to mere private morality as they offer a radical redefinition of “living together” against the masculine side that has often been associated with sexual differences of essentialism.

      • KCI등재

        김훈 소설에서의 음식의 문제 - 장편 역사소설을 대상으로

        김주언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This paper studies the food discourse, shown in these novels, regarding three historical novels “Song of the Sword”, “Song of Strings” and “Fortress on Mt. Namhan” by Kim Hoon. This study judges that it is worth to research the food appeared continuously even though the aspect of food discoursing in the development of narration. Kim Hoon’s novel tries to start something new story not only correct the ideology a little, accustomed to us, but break up with it completely. The food is an important axis of possibility of new story. The food is on, far away from our idealistic desire in the historical novel, but on the lower materialism. The food as the lower material has no various color of need and desire. However, it has mingled feelings of insult and jouissance in food as the primary and basic body’s need. The food of insult would rather close to the food of disillusion. Nevertheless, the food of jouissance, not corrupted, has the power to affirm the world to the contents of a meal. The destiny of the food is completed as night soil not extension of jouissance. The food and night soil has logical relationship as the input and output. This lower materials try to insult “the higher’ ideology and overturn of its own intrinsic value. That’s all, however. The food and night soil are not made a mystery as the lower material. It only becomes part of nature. 이 연구는 김훈의 『칼의 노래』, 『현의 노래』, 『남한산성』을 대상으로 이 소설들에 나타난 음식 담론을 고찰한다. 이 장편 역사소설들의 서사 전개에서 음식이 담론화되는 양상도 흥미롭지만, 일정한 변별적 자질로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음식 문제는 탐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판단이다. 일단 김훈의 역사소설에서 음식은 우리의 이상주의적 열망과는 거리가 먼 ‘낮은 유물론’의 자리에 놓여 있다. 음식 같은 물적 조건이 전경화되면서 문명사의 위엄을 떠받치는 이데올로기 따위는 설 자리가 없어진다. 이것은 단지 피상적인 이데올로기 비판의 문제가 아니라 발본적인 부정의 문제이다. ‘낮은 물질’로서의 음식은 전쟁소설에서 욕구와 욕망의 다채로운 빛깔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가장 일차적이고도 근원적인 몸의 욕구로서의 음식에도 모욕과 주이상스가 교차한다. 모욕의 음식은 차라리 환멸의 먹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되지 않는 주이상스의 음식은 세계 내용을 다름 아닌 먹거리의 내용으로 긍정하는 힘을 가진 것이다. 김훈 소설에서 음식의 운명은 주이상스의 확대가 아니라 분뇨의 문제로 완성된다. 음식과 분뇨라는 이 낮은 물질들은 그 자체가 지닌 고유한 가치로 ‘높음’의 이데올로기를 모욕하고 전복시키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