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집행 오류의 유형에 관한 연구

        오성덕(Oh, Seong-deok),조현구(Cho, HyunKoo),이철주(Lee, Cheouljoo),심광호(Sim, Kwang-ho) 한국정치정보학회 2015 정치정보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부 및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정책집행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 및 결함 즉, 오류(errors)의 유형을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의 감사결과들에서 탐색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그러한 집행오류에 대한 정책적 및 제도적 대응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관련 연구들로부터 정부 정책의 집행 오류로서 정책집행 체계(집행내용의 불명확성 및 비일관적 체계, 집행절차의 미이행 및 형식적 적용, 왜곡된 의사전달체계), 정책집행 주체(집행주체의 소극적 의욕 및 태도, 자기조직 중심의 관료규범), 정책집행 자원(불필요한 예산지출 및 부채증가, 부적절한 인사남용, 불충분하고 비신뢰적인 정보공유, 법규에의 불일치), 정책집행 행태(비협조 및 합의·조정의 어려움, 의도적인 집행의 지연·연기, 정책목표 및 수단의 임의변경, 부집행, 불응) 등 4개 분야에 14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정책집행의 오류의 틀을 바탕으로 2003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10년간 실시된 감사원 감사 중 특정감사와 성과감사의 결과보고서 중 150개의 보고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공공정책에서 이러한 집행오류의 유형이 도출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집행과정에서 정책집행의 체제, 주체, 자원, 행태 분야의 집행오류 유형 14개가 정책분야에 곳곳에서 만연하여 발생하고 있어 정책형성 후 실질적 집행과정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10년간의 기간 동안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 1개당 평균 20개의 집행오류가 중복하여 발생하고 있었고 이 중 정책집행 자원분야에서 집행오류 즉, 불필요한 예산지출 및 부채증가, 부적절한 인사남용, 불충분하고 신뢰성이 낮은 정보의 공유, 법규에의 불합치와 관련된 문제점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특히 ‘법규에의 불일치’에 해당하는 집행오류가 전체 집행오류(2,873개)중 가장 높은 비율인 36.4%를 차지하는 등 모든 정책분야의 집행에서 가장 폭넓게 발생하고 있어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기본적인 법제의 준수를 벗어나는 행태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노무현 정부(2003년 3월~2008년 2월)와 이명박 정부(2008년 3월~2013년 2월)로 나누어 시도한 내용분석 결과, 정권의 성격과는 상관없이 모든 집행오류의 유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두 정권 모두에서도 ‘법규에의 불일치’가 역시 가장 심각한 집행상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노무현정부에선 비협조 문제가, 이명박 정부에서는 집행절차의 미준수 문제로 정책성과의 달성을 어렵게 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Recognizing tha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efects and flaws, defined as “implementation errors” in this study, in the implementation phase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public policies and programs, this study explored to derive the types of such errors, which have negatively influenced the South Korea’s public polic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public audit result reports that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BAI) have issued. From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each of which has partly dealt with some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of public policies, this study developed an implementation error type framework, which represents the typology of errors occurred in the 4 aspects: the system, subject, resources, and behavior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Based on the framework of implementation errors, employing an empirical method of “content analysis” on the BAI’s 150 audit result reports, which were produced during the 10 year period from 2003 to 2013, the study finds that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policy implementation has partaken of all the features of implementation errors. First, all 14 types of implementation errors in the aspects of system, subject, resources, behavior have been ubiquitous and widespread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reby putting a serious impediment in the way of smooth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Second, there were average 20 implementation errors per audit report during the 10 year period, the gravest ones of which were unnecessary budget expenditure or debt increasement, inappropriate abuses of personnel practices, sharing of insufficient and unreliable information/data, non-compliance with the laws/regulations in the aspect of implementation resources. Third, the type of error which occurred most widely across all the policy areas is the “non-compliance with the laws/regulations,” as the error type makes up 36.4%,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total 2,873 errors. This means that alleviating or removing non-compliance with the laws/regulations in effective ways should be the top priority of government branches and public agencies in South Korea. Finally, the two separate content analyses on both the Roh administration(2003~2008) and the Lee administration(2008~2013) show that all the types of implementation errors have occurred in the public sector, regardless of the political regime.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es show an interest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gimes: the “lack of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ublic agencies” was relatively a major obstacle to smooth policy implementation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while “nonfulfillment of due process” might produce major difficulties in achieving public agencies’ performance objectives under the Lee administration.

      • KCI등재

        대입제도 정책문제 정의의 타당성 분석

        안선회(An, SunHoi)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정부가 추진한 대입정책을 중심으로 정책문제 정의의 인과구조를 도출하여 그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타당성이 미흡한 ‘틀린 정책문제 정의’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무현정부와 이명박정부의 대입정책문제 정의 는 정확성도 부족하고, 자신의 대입정책의 정책목표를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론적인’ 정책문제 정의가 나타나고, 근본적인 문제와 현상적인 문제의 중요성을 바꾸어 규정하는 ‘정책문제의 전환(轉換)’이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두 정부의 대입제도 정책문제 정의는 정확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은, 즉 타당성이 미흡한 정책문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대입제도에 대한 이러 한 ‘틀린’ 정책문제 정의가 나타난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적 요인이었다. 여기에 인간요인 즉 교육정책결정자의 이념과 사고 및 편견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으로는 인간 개개인의 사고의 한계가 사회 속에서 집단적 편견과 집단이해관계를 통해 더욱 확대, 강화되었다.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좀 더 타당한 정책문제정의를 위한 방안으로, 여론 수렴과 사회적 합의에 근거한 정치적인 개선노력, 개인과 집단의 사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교육학계의 학문적인 노력, 정책문제 정의 요건의 보완 적용, 그리고 주권자인 국민의 주인의식과 참여의식의 확산과 실현을 제언 하였다. This study, by reasoning the causal structure of defining the educational policy problem, aims to analyze the validity of college admission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Also, th is study examined the cause of ‘wrong definition of the policy problem’ which lacks t he validity. The problem definition of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that of Lee Myung-bak administration on the collegead mission policy was analyzed as follows. It lacks the accuracy; showed the ‘teleological’ policy problem definition to justify their own objective of college admission policy; and showed ‘policy problem transition’ which defines the importance of the fundamental problem and phenomenon problem in reverse in common. In conclusion, the policy problem definition of two administrations could be said to lack the validity with being neither accurate nor desirable.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driver of t his wrong definition of the policy problem was political factor. Besides, human f actor, in other words, educational policy decision makers' ideology and prejudice also affected it. Socially, the limit of individual thoughts had been expanded and strengthened through collective prejudice and group interests. Based on the research, t he following suggestions for defining policy problem with the better validity has been made; efforts for political improvement based on public opinion and social consensus; efforts to overcome the limit of individual and group thinking ; academic efforts from education academia; applying the complemented requirement for policy problem definition; and expanding and realizing the ownership and participation of the nation with sovereignty.

      • KCI등재

        오류보고가 보수주의 정책에 미치는 영향

        마희영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 of report of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 and conservatism. When there are errors in financial information that had been declared by a firm, reliability as an important qualitative characteristic of financial information can be damaged. Thus, those who use the financial information in decision making change their prediction on corporate values, lower trust in financial information, and set a low value on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n this context, the firm having errors attempts to enhanc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s a measure to recover damaged trust on financial information, which would be expressed as intensification of conservatism, for conservatism enhance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s a method of accounting that mitigates asymmetry in information and reduces agency cost. The model presented in Ball and Shivakumar(2005, 2006) that is developed most recently is used to measure conservatism. They defined conservatism to be how rapid economic loss, unfavorable news for a firm, is reflected into accounting income when compared to economic gain, favorable news for a firm, measuring conservatism by using accruals and cash flow for operation. When compared to the degrees of conservatism between three years before error reporting and three years after error reporting, economic loss than economic gain was reflected into accounting income more timely after reporting of error correction, indicating conservatism was intensified. In addition, among methods of accounting on error correction, conservative accounting consistently increased in case of restatement or of large amount of error value.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irm of error intensifies conservative accounting because reliability in financial information is damaged more as significance or severeness of errors is enhanced more. Final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titles of accounts available of conservative accounting are consistent with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tensification of conservatism can recover reliability in financial reporting and enhanc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s well as improvement in corporate governance such as changes in the board of directors or outside directors as corporate measure to offset negative economic effects including share price sliding or increase in cost of capital caused by error reporting after notification of error correction. 본 연구는 오류보고로 기업의 회계정책이 변화하는지에 관해 보수주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과거 재무정보에 오류가 있음이 드러나면 재무정보의 중요한 질적 특성 중 신뢰성이 손상될 것이고, 정보이용자들은 기업 가치에 관한 예측 등을 변경하고 재무정보에 대한 믿음이 낮아져 재무보고의 질을 낮게 평가할 것이다. 이에 따라 오류를 보고한 기업은 손상된 재무정보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재무정보의 질을 높이려고 할 것이고 이는 보수적인 회계처리의 강화로 나타날 것이다. 보수주의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하고 대리인비용을 감소시키는 회계처리 방법으로 재무보고의 질이 높기 때문이다. 보수주의 측정은 최근에 개발된 Ball and Shivakumar(2005, 2006)의 모형을 이용한다. 이들은 경제적 이익에 비해 경제적 손실이 회계이익에 빨리 반영되는 정도를 보수주의로 정의하였으며, 발생액과 영업현금으로 보수주의를 측정하였다. 오류보고 이전과 이후 3년의 보수주의 정도를 비교한 결과 오류수정 보고이후에 경제적 손실을 경제적 이익보다 회계이익에 더 빨리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오류수정에 관한 회계처리방법 중 재작성하는 경우와 오류금액이 큰 경우에 일관되게 보수적인 회계처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류의 중대성이나 심각성이 클수록 재무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손상이 크기 때문에 오류기업이 보수주의를 강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오류보고로 인한 주가하락이나 자본비용의 증가와 같은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하기 위한 기업의 대응방안으로, 경영진이나 사외이사의 교체와 같은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함께 보수주의를 강화하는 것이 재무보고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재무정보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원정책 프로그램에서 지원조건의 작동 메커니즘 : 1종 오류 / 2종 오류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이혁우 한국행정연구원 2009 韓國行政硏究 Vol.18 No.2

        본 논문은 지원정책 프로그램에서 지원조건이 작동되는 독특한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이런 메커니즘이 유발되는 원인을 지원주체와 수혜집단의 유인구조에 입각해 분석한 것이다. 지원정책 프로그램에서 지원조건은 1종 오류, 즉 수혜를 받을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원대상집단에 포함되는 문제와 2종 오류, 즉 수혜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혜대상에서 배제되는 대상적확성의 문제를 유발시킨다. 지원정책 프로그램에서 이런 문제가 나타나는 이유는 수혜집단의 기회주의적 행위를 지원주체가 완벽히 파악할 수 없으며, 수혜집단의 다양성에 비해 지원조건은 언제나 획일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문제에 대해 위험기피적인 지원주체는 1종 오류에 대응하기 위해 수혜집단에 추가적인 비용을 유발시키는 지원조건의 조정을, 2종 오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혜의 범위를 점점 확대 시키는 지원조건의 조정을 취하게 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이런 지원정책 프로그램에서 지원조건의 작동 메커니즘을 구직급여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입증해 내고 있다.

      • KCI등재

        과학기술 국가연구개발의 감사결과에서 나타나는 정책오류 현상의 원인적 양태와 그 토대에 대한 연구: ‘연구행정관료제’와 ‘연구조직체’ 간의 부조화 및 모순적 관계를 중심으로

        심광호,박의서,이철주 국회입법조사처 2024 입법과 정책 Vol.16 No.1

        이 연구는 기초과학연구원에 대한 공공감사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국가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과 그것을 지원하는 관료행정 모두에서 발생하는 ‘정책오류(policy error)’ 현상을 규명하고, 나아가 정책오류 양태 발생의 직접적 주요 원인 요소들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원인들의 발생을 모태하고 있는 근간적 토대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오류들의 원인들과 그 근간적 토대들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문제의 경우, 국가연구기관에서 연구지원을 담당하는 ‘연구행정관료제’의 획일적이고 견고한 통제의 속성과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조직체’의 자율적이고 느슨한 연계적 성격의 충돌로 나타나는 부조화 현상이 깊게 내재화되어왔다는 것을 탐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충돌적 부조화 현상은 정책오류들의 직접적 발생 원인들인 ‘조직의 관리 규범과 절차를 연구자들이 제대로 인식하지 않는 소홀적 태도와 그것들을 무시하는 관행’, ‘감사지적을 피하거나 보상이 없다는 핑계로 관리 규범 등의 미준수를 방임하거나 약한 통제를 하는 행정관료제의 모순적 행태’, 그리고 ‘일을 최소한도로만 하려는 소극주의와 정해진 규정대로 수행하지 않는 형식주의 행태’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그러한 충돌적 부조화 현상은 다른 저변의 문제들인 ‘성과달성의 압력부담과 성과역설로 인해 실제 연구성과가 달성되지 않는 현상’, ‘법규에 치중하는 합법성감사로 인해 연구개발의 성과를 분석하거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 ‘연구성과를 지원해주지 못하거나 그러한 지원의 동기부여가 되지 못하는 인적자원관리’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analysis discovered the primary factors that may directly cause such policy errors and then could infer the foundations that were fundamentally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of the primary causes. From the deep interpretation of policy error, this study detected the most core problem in the aspect of the causes and fundamental foundations of policy error. It is the very phenomenon of disharmony and contradiction that has been deeply internalized between ‘Research Administration Bureaucracy’, which performs a uniform and solid control in order to support R&D, and ‘Research Organization’, which has an autonomous and loosely connected character in conducting R&D directly, withi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ion called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The phenomenon of disharmony and contradiction was directly and/or indirectly related to the primary causal factors of policy errors, such as ‘researcher's negligence of perception and traditional practic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norms and procedures’, ‘administrative bureaucracy's contradictory behavior that neglects or weakly controls non-compliance with management norms in order to avoid audit and under the pretext of no compensation’, and ‘passivism and formalism behavior.’ In addition, the phenomenon of disharmony and contradiction has been also found to influence the occurrence of another underlying problems, such as ‘failure to achieve research results due to pressure to achiev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paradox,’ ‘limitations of compliance audit that cannot analyze the performance of R&D or suggest alternative of related problem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where the composition and use of human resources does not properly support R&D performance or where motivation for such support is not sufficiently given.’ As the phenomenon of disharmony and contradiction is directly and/or indirectly related to the primary causal factors and underlying foundations of policy errors, a variety of policy errors was inferred to occur in the process of research support and R&D as well.

      • KCI등재

        행위공동체 내의 언어·사회·문화: 국내외 사례를 통한 영어간판의 오류분석과 사회·문화적 양상

        이영화(Younghw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국내외 도시 지역 영어간판의 언어적 오류를 살펴보고, 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공동체의 언어·사회·문화적 양상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 수집으로 국내 5개 도시와 프랑스 파리 지역의 영어간판을 촬영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영어간판의 39.2%가 오류를 포함한 반면 파리 시내 영어간판의 오류 비율은 24.7%였다. 국내에서는 명동 지역이 영어간판은 물론 오류도 가장 많은 반면, 파리에서는 에펠탑을 중심으로 한 7구역에서 영어간판이 가장 많았고, 오류는 마레지역 3, 4구역이 가장 높았다. 업종과 관련, 국내에서는 주류, 음식, 의류 순으로 간판 오류가 많은 반면, 프랑스에서는 의류, 음식, 문화 순으로 오류 비율이 높아 두 나라간 차이를 보였다. 국내와 프랑스 공히 의미, 형태, 통사 요소의 순으로 오류를 보였다. 국내나 프랑스 모두 옥외광고물 언어에 관한 규정이 존재하고 있으나 제대로 지켜지고 않고 있었다. 따라서 영어간판 사용이 필요 불가결한 글로벌 시대에서 조화로운 영어간판 문화의 정착을 위해선 보다 실제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anguage·society·cultural aspects in a community, examining and comparing linguistic errors of English signboards (ES) at home and abroad. The data comprised the ES in 5 cities, Korea and in Paris, France.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rrors of the ES in Korea reached to 39.2%, whereas those in Paris contained 24.7%. In Korea, ES and errors were the most in Myeong-dong area. In Paris, the most ES were in the area of Eiffel Tower, but the most linguistic errors appeared at the 3, 4 districts of Marais. Those errors belonged to most in the business of drink, food, and clothes in turn in Korea, while this was the case in the field of clothes, food, and culture in Paris. The frequent errors were classified into semantic, morphologic, and syntactic aspects in turn. The regulations on signboards of foreign languages existed but were not abided by in the both countries. Thus, more practical and reasonable devices and polic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more harmonious atmosphere of the ES.

      • KCI등재

        공공감사의 반복지적사항에 대한 유형화와 원인 해소의 탐색

        심광호(Sim, Kwang-Ho),이철주(Lee, Cheoul-J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서울지역과 서울시민에게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서울시 지방공기업인 서울시설공단의 자체감사결과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하여 먼저, 감사대상 사업과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지적되는 감사사항의 유형화를 시도하였으며, 또한 반복되는 감사지적사항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정책오류(policy eror)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해당 공기업이 2016년-2018년 사이에 실시한 62건의 자체감사에서 지적한 감사사항들을 분석한 결과, ‘시설관리 운영체계 미흡’, ‘근무규정 미준수’, ‘회계예산처리 부적절’ 등 3 가지 반복지적의 유형을 규명할 수 있었다. 또한 그러한 반복 지적사항의 원인이 되는 정책오류의 경우 정책설계 부문에서는 ‘불충분하거나 잘못된 자원 확보’와 ‘비인과적 정책설계’, 정책집행 부문에서는 ‘법규의 미준수 및 불일치’ 와 ‘집행절차의 미이행 및 형식적 적용’, 정책결과 부문에서는 ‘개선ž시정조치 및 환류의 미흡’이라는 오류 유형이확인되었다. 이러한 자체감사의 반복지적 및 정책오류 유형들은 모두 서울시설공단의 관리체계의 비전문성과 직원들의 낮은 공공성 수준으로 인해 서울지역사회와 서울시민에 대한 공공서비스의 예산 낭비와 품질 저하를 가져올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들로 파악된다. 따라서 반복되는 감사지적사항과 관련된 정책오류의 해소를 위해서 체계적인제도적 개선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to analyze the self-audit results of the Seoul Facilities Corporation, a local public enterprise affiliated with Seoul Metropolitan City, which directly provides public services to Seoul resident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classification of repetitive audit comments related to the detailed projects subject to audit, and then identify ‘policy errors’ that are presumed to be the causal factors of repetitive audit comments. Using the data of 62 self-audits conducted between 2016 and 2018,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types of repetitive audits comments: ‘insufficient facility management operating system , ‘non-compliance of work regulation , ‘inadequate accounting budget processing . Also, key policy errors were detected at the all stages of the policy cycle in the Corporation. All of these types of repetitive audit comment and policy errors are serious problems that can lead to both budget waste and quality deterioration of public services to the Seoul citizens due to the un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 and the low publicity of employees in the Corporation. Therefore, several institutional improvement proposals were proposed to resolve the policy errors related to these classified repetitive audit comments.

      •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정책방향 재고

        김천영 ( Kim Cheon-young ) 한국정책연구원 2008 한국정책논집 Vol.8 No.-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의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의 정책방향을 통하여 국가균형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의 접근논리를 통하여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관계를 개념관계, 목표관계, 추진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아울러 이러한 기준을 갖고 노무현정부의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정책방향에서 나타나는 오류가능성을 개념의 혼선, 목표의 혼선, 추진주체의 혼선, 추진체계의 혼선을 중심으로 진단하고 그것이 주는 교훈을 살펴본다. 그 결과 지방분권을 통하여 국가균형발전에 이르는 정책방향을 설정해야 하고, 이를 정부간 관계의 틀 속에서 실천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logical base for sustainable national even development through policy orientation of local decentralization and national even development in Rho’s participatory government. For this, investigating logic of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even development, relations of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even development are established in forms of concept relation, objective relation, operation relation. With these criteria, error possibilities of Rho’s policy orientation of local decentralization and national even development are reviewed centered around conceptual confusion, objective confusion, operational confusion, and some lessons are suggested Accordingly, sustainable national even development must be practiced through local decentralization in the framework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 KCI등재

        정책문제의 정의 -현상학적 접근-

        사공영호 ( Yungho Sakong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4

        이 연구는 정책문제의 정의란 어떤 종류의 작업인지, 문제정의의 본성으로 인하여 잘못을 범할 가능성은 없는지를 설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가 출발점으로 삼고 있는 대전제는 정책문제 정의는 인간의 의식이 수행하는 작업이며, 따라서 정책문제의 정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려면 문제를 정의하는 우리 자신의 사고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책문제를 정의하는 것은 현상학에서 말하는 의식의 지향적인 구성적 인식의 일종이다. 부분적이고 파편적인 감각자료로부터 나 자신이 가진 지식과 경험, 이론과 가치를 준거의 틀로 삼아 지향적, 초월적으로 문제를 구성해낸다. 이 과정에서 의식은 감각자료 자체에는 주어져 있지 않는 어떤 문제를 구성해 내게 되며, 바로 이런 특성으로 인하여 ``틀린`` 문제 정의의 위험이 발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문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현상학에서 말하는 소위 ``자연적 태도``를 취함으로써 자신의 ``주관적인 구성물``을 ``객관적인 서술``로 오해하고, 부분적 선택에 근거한 편견적 이해를 외부세계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로 오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추상적인 이념형을 마치 실제존재(real being)인 것처럼 오해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자신이 수립한 문제가 자신의 이론과 가치관의 산물이라는 것을 잘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구성원들이 인지하는 문제와 연구자들이 인지하는 문제가 괴리되고, 연구자들간의 문제정의 역시 서로 충돌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문제정의가 틀리게 이루어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문제를 정의하는 우리 자신의 의식을 반성해 볼 수 있는 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문제를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이론, 개념, 가치관, 선지식 등을 배제하고 나의 의식에 주어지고 있는 감각 자료 자체, 상황에 관한 자료 자체를 돌이켜 보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현상의 해석이나 사회적 실제의 수립에서 우리 의식의 지향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데는 제도철학적인 관점에서 의식의 역할을 검토하는 것도 유익하다. 사회구성원들이 집단지향적인 가치와 규범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도 공통된 문제정의의 기준과 해결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유익하다.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nature of building policy problem. Policy problem is an outcome of subjectively operating human conscious. To understand the constructive nature of policy problem setting, it is a pre-requisite to understand how human consciousness works to build the problem. To build a policy problem is to construct something abstract intentionally, according to phenomenology which has been exploring human consciousness. The consciousness plays the role to construct a problem intentionally from a piece of fragmental meaningless sense data to a recognized meaningful something. In this construction process, human consciousness mobilizes its own subjective knowledge, theory, experience and values to interpret sense data. By this construction process, policy problem is transcendently created. As the results of construction process, this problem can’t be observed at sense data itself. The problem of ‘wrong’ definition is deeply related with this construction procedure. Researchers who are approaching the problem with ‘natural attitude (Husserl)’ are ignorant that the problems they think they defined objectively are actually the outcome of subjective transcendental construction by their consciousness. Under ‘natural attitude’, researchers take ‘subjective constructs’ to ‘objective describes’, ‘prejudiced partial interpretation’ to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whole world. ‘Abstractive ideal types’ may be taken to ‘real concrete being’. As they don’t recognize that the problem is the outcome of their subjective construction which can be justified by their own value and prejudic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cause of conflicts are their prejudiced theory and value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change attitudes toward perceived results. To reflect the role of consciousness is also required to avoid wrong definition. To reflect his or her attitude, it is useful to go back to sense data itself by bracketing theory, concepts, values, pre-knowledge which are used to construct policy problem. By suspending judgement by theory and pre-knowledge, researchers come to have a small chance to see how their consciousness constructs policy problem from meaningless sense data. It is also recommendable to examine the works philosophy of institutions (ex, Searle, Anscombe) which explore human intentionality to explain social reality to understand the constructive role of consciousness.

      • KCI등재

        민사집행절차상 배당오류에 의한 배당종료 후 부당이득반환청구권 연구 — 대법원 2019. 7. 18. 선고 2014다206983 전원합의체 판결을 계기로 —

        김관호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1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7 No.-

        민사집행절차에서 배당이의를 하지 않은 채권자가 배당절차 종료 후 배당결과에 오류가 있었음을 이유로 다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가? 이문제에 관하여 현재 대부분의 민사집행 실무가들은 ‘배당종료 후에도 부당이득반환청구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동안 필자도 확정된 배당표에 오류가 있어도 절차적 문제는 당사자의 실체적 권리관계에까지 영향을미치지는 않으므로 과소배당에 의해 손실을 입은 배당채권자는 배당종료 후에도 부당이득반환청구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서 배당오류를 바로 잡는 것이민사집행의 정의관념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믿어왔다. 하지만 대법원 2019. 7. 18. 선고 2014다206983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과 소수의견의 대립을 접한 후부터는 이러한 기존의 판례와 실무에 대하여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절차법과 실체법의 우열관계가 문제의 핵심이었다. 실체법이 절차법에 우선함은 기본원리이지만 추상적인 원칙이고 개인법적 법률관계에서의 논의이므로 이 쟁점에서 문제해결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뿐다수당사자간의 배당관계라는 단체법적 법률관계 문제에서 실체법과 절차법의 우열관계만으로 결론까지 도출함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이 문제는 침해부당이득의 성립이라는 실체법리 위에서 단체법상 법률관계에서의 절차비용 문제를 고려하여 법정책적 판단, 즉 이익형량을 해야 해결이 가능한문제라고 생각한다. 실체법은 절차법에 우선하기 때문에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실체법적 법리에 따라 논의되어야 하며 현재의 판례와 , 통설인 부당이득 유형론에 따를때 침해부당이득은 권리자에게 배타적 이익이 존재해야 인정된다. 그 결과, 배당에 참가한 저당권자 등 담보물권자와 일반채권자는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성부 문제에서 달리 취급되어야 한다. 즉 배타적 권리인 담보물권이침해되었을 경우에는 침해부당이득이 성립하나, 상대적 권리인 일반채권이침해되었을 경우에는 침해부당이득이 성립하지 않는다. 일반채권자에게도 담보물권자와 같은 배타적 권리성, 즉 물권성을 인정하려면 물권법정주의에 의해 법률상 근거가 있어야 한다. 우리 민사집행법의모법 중 하나인 독일법제에서도 물권법정주의 관점에서 일반채권자에게 압류 이후 물권성을 인정하는 법률상 근거를 두고 있고, 그 결과 일반채권자라도 압류 이후에는 물권자로 취급된다는 논리적 연장선상에서 배당종료 이후에도 부당이득반환청구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법률상 근거 없이 판례의 해석에 의하여 일반채권자도 배당요구 종기 전 배당요구를하였다는 점만을 이유로 물권자의 지위를 당연히 취득하는 것으로 간주하고있어 문제가 있다. 배당오류에 대한 부당이득 성부 문제에 관하여 기존 대법원 판례는 실체법이 절차법에 우선한다는 원칙은 일관성 있게 적용해 왔지만, 그 논리적연장선상에 있는 배타적 권리성 유무에 따른 침해부당이득의 성부 차이에대하여는 침묵하여 왔다. 필자는 이것을 대법원 판례가 우리의 민사집행 법제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법정책적 결단을 해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거의 법정책적 결단이 지금 시점에서도 여전히 합리적인지는다시 생각해보아야 한다. 실체법리인 침해부당이득 법리에 의할 때 담보물권자와 일반채권자를 구분하여 취급하는 이분설이 타당함에도, 우리 ... Is it possible for a creditor(an applicant for distribution) who did not raise objection to his or her substantively wrongful dividends awarded by the auction court on the distribution date in the civil enforcement distribution procedure to have still a claim for return of wrongful gain(unjust enrichment) after the confirmation of his or her dividends on the grounds that there was substantial unfairness on the confirmed distribution schedule? In previous discussions, the superiority between procedural law and substantive law was main issue. As it is clear that the role of procedural law is the realization of substantive right, the superiority of substantive law over procedural law can be a starting point for approaching this issu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reaching a conclusion only with this superiority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laws. In the end, I insist that this problem can be solved only by legal policy decision-making of the court considering procedural transaction costs from the law-economical perspective of a collective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general theory and precedents, this kind of unjust enrichment caused by other person’s infringement is similiar with tort. Therefore, the requirments of unjust enrichment of this kind are satisfied only when the creditor who had an exclusive right for his or her original dividends such as a holder of the collective security(keun-mortgage) or a mortgage received dividends less than what the auction court should have awarded to him or her during the auction proceedings. However, the creditor who merely acquired a right to demand claims without any exclusive rights in the substantive law and submitted claim statements asking for dividends in auction procedural law can not satisfy the requirement of unjust enrichment in this case. Even in civil enforcement procedure, it shall not be permitted to acknowledge that an creditor without any exclusive rights can be regarded as the exclusive right holder acquiring a kind of mortgage. Because i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law to specify the real right (jus in rem) which prohibits the creation of new systems. Although it is reasonable to treat exclusive security right holders and general creditor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s on the unjust enrichment, our Civil Enforcement Code and legal systems are in a special situation where it is impossible to follow such dichotomy. The main cause of this situation is the enactment of various special laws which were made without systematic consideration of the order of the substantive rights. Due to this chaos, ‘the circulatory relationship of dividends' occurred in the distribution procedure and violates the essential contents of a mortgage, the exclusive right. Therefore, the dichotomy could no longer be used as a standard for civil enforcement distribution procedure. As a result, we face an alternative situation in which we have to choose between the affirmative theory and the negative one regarding the right to claim for return of wrongful gain(unjust enrichment). Even though both of them do not perfectly conform to the legal principles on the unjust enrichment in the substantive law. Thus, this situation can be solved only by legal policy decision-making of the court considering procedural transaction costs from the law-economical perspective of a collective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