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연구개발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엄익천 ( Ik Cheon Um ),김종범 ( Jong Bum Kim ),조경호 ( Kyung Ho Cho ),최진식 ( Jin Sik Choi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4

        최근 급속히 늘어난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지출규모에 비해 그 성과가 제대로 창출되고 있는가에 관한 투자효율성의 이슈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연구개발 예산의 지출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실증분석해서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적정규모에 관한 경험적 분석모형의 수립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점증모형과 정책결정요인론을 통합한 연구모형에 따라 1970년~2009년까지 40년간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해서 1인당 정부연구개발예산과 정부연구개발예산 비중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정치적 요인인 대통령의 정책의지와 점증요인은 1인당 정부연구개발예산과 정부연구개발예산 비중에서 공통된 결정요인이었다. 경제적 요인인 물가상승률은 1인당 정부연구개발예산만에 긍정적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하지만 민간연구개발투자와 국민총생산은 1인당 정부연구개발예산과 정부연구개발예산 비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오히려 정부연구개발예산은 국내총생산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민간연구 개발투자와 보완효과가 발생해서 국내총생산 증가에 간접적으로 기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의 경우 그동안 대통령의 정책의지가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반영되어 공급자 중심으로 정부연구개발예산의 투자규모가 꾸준히 확대되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수요 지향적인 정부연구개발예산의 배분체계를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중장기 재정소요 전망을 통해 그 적정 지출규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투자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have been constant debates on whether or not the size of R&D budget expenditure affects the results. This study aims at uncovering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size of R&D budget expenditure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experimental models on the appropriate size of R&D budget. Based on the integration model of the incremental model and the policy-making determinant model, this study focuses on determinants of R&D budgets per person and weight of R&D budgets in the national budget from 1970 to 2009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ident’s will as political factor and the incremental factor were the common determinants of the R&D budget per person and the weight of R&D budget. Second, the price rate increased only the R&D budgets per person. Third, the private R&D investment and GNP did not have direct impacts on the R&D budgets per person and the weight of R&D budget. These results imply that president’s will has been stronger determinant of the R&D budget than other factors. The size of financial investment in R&D has been expanded from the investor’s aspect.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nancial system to allocate R&D budgets according to the demand.

      • KCI등재

        『老子』 ‘正’, ‘奇’의 부가 의미 고찰

        이소동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6

        ‘正’ is used in several meanings in 『LAOZI(老子)』. ‘正’ originally means ‘punish’, and is often seen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 but since then it is mainly used as a derivation meaning of ‘get right’, ‘comfort’, ‘stabilize’, and ‘politics’. In『LAOZI(老子)』, besides this derivation meaning, there is also an additional meaning of the textual character of『LAOZI(老子)』. The meanings of the seven ‘正’ characters in『LAOZI(老子)』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olitics 正善治(Chapter8) 2) Absolute righteousness, truth 淸靜爲天下正(Chapter5)/ 我好靜而民自正(Chapter57) /正言若反(Chapter75) 3) Relative righteousness, truth 以正治國(Chapter57)/ 其無正(Chapter58)/ 正復爲奇(Chapter58) ‘正’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政’, except that there are two main categories: absolute ‘正’ and relative ‘正’. The former is ‘正’ at the angle of TAO(道), meaning ‘淸靜’, ‘無爲’. The latter refers to various laws, regulations, etc., which were made to be truth in the temporal angle. The latter is the act of ‘有爲’, which causes side effects, ‘奇’. It appears in the oppositional structure of ‘正’ and ‘奇’. ‘奇’ appears four times in 『LAOZI(老子)』. Appears alone or in a confrontation with ‘正’, both do not deviate much from its original meaning. The additional meaning in the opposition structure is a side effect of ‘正’, which can be seen as a social evil caused by the act of ‘有爲’ such as various laws and norms, and the remedies for it. ‘正’은 『老子』에서 몇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正’은 본래 ‘정벌하다’의 의미로, 갑골문에서 자주 보이지만, 그 이후로는 주로 ‘바로잡다’, ‘평정하다’, ‘안정시키다’, ‘정치’ 등의 파생의미로 사용된다. 『老子』에서는 이러한 파생의미 외에, 『老子』의 텍스트 특성이 가지는 부가의미도 존재한다. 『老子』에 출현하는 7개의 ‘正’자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가. 정사① 正善治 정치함에 ‘治’하기를 잘하고 (8장) 나. 절대적인 바름, 진리: ‘淸靜’, ‘無爲’, ① 淸靜爲天下正 맑고 고요함 이것이 세상의 바름이다(45장) ② 我好靜而民自正 내가 ‘靜’을 좋아하니 백성이 절로 ‘正’하고(57장) ③ 正言若反 진실된 말은 거꾸로 한 말 같다.(78장) 다. 상대적인 바름, 진리: 옳다고 여기는 것(법칙, 규율 등) ① 以正治國(이기용병) ‘正’으로 나라를 다스리고(57장) ② 其無正 아마도 ‘無正’일 것이다.(58장) ③ 正復爲奇 ‘正’이 변하여 ‘奇’가 되고 (58장) ‘正’은 ‘政’과 혼용되므로, 이것을 제외하면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절대적인 ‘正’과 상대적인 ‘正’인데, 전자는 도의 각도에서의 ‘正’으로, ‘淸靜’, ‘無爲’를 의미하며, 후자는 현세의 각도에서의 ‘正’으로 진리로 여겨 만들어 놓은 각종 법칙, 규정 등을 의미한다. 후자는 ‘有爲’의 행위로 그에 따른 부작용인 ‘奇’가 생겨나니, ‘正’과 ‘奇’의 대립구조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 ‘奇’는 『老子』에서 4회 출현한다. 단독으로 출현하거나 ‘正’과의 대립구조에서 출현하는데, 모두 그 본의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대립구조에 보이는 부가의미는 ‘正’에 대한 부작용으로, 각종 법률, 규범 등의 ‘有爲’ 행위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악과 그에 대한 미봉책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소나기>에 나타난 ‘정서’ 표현 교육 방안

        조수진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언어와 문화, 문학성을 통합하는 문학 본연의 속성 인 ‘정서’에 주목해 문학텍스트를 통한 ‘정서’ 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은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을 교육하는 목표와 관련해 외국어로서의 문학교육모델인Carter & Long이 언어 모델, 문화 모델, 개인성장 모델로 제시한 개별 교육 방안을 문학 본연의 ‘정서’로 통합하여 언어와 문화, 문학성의 통합 교육의 가능성을 제기한 부분이다. 2장은 문학에서 ‘정서’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문학 작품에서 정서 표현이 독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논의 하였다. 그 작업으로 3장에서는 단편 소설 <소나기>를 텍스트로 선정해작품에 나타난 ‘비’에 대한 배경적 정 서와 인물을 통해 작품 전체에 나타나는 정서를 분석했다. 4장은 중국인 학습자가 표현한 ‘비’에 대한 개념적 은유와 이성 간에 느끼는 인물의 감정변화에 대한 독자의 정서 표현 양상이다. 중국인 학습자들의 정서 표현 결과를 바탕으로 5장에서는 정서를 표현하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thesis are to establish directions of literature teaching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consider possibilities of ‘emotionalteaching’ through literary texts while focusing on ‘emotions’ the very attributeof literature that would combine a language, culture and literary value to eachother. In Chapter 1, regarding literary teaching in the Korean languageeducation, individual teaching methods that have been proposed as thelanguage model, culture model and personal growth model by Carter & Longa foreign language literary education model were combined with the ‘emotion’the literary nature which, in return, suggested teaching possibilities with alanguage, culture and literary value combined. In Chapter 2, theoreticalbackgrounds of the ‘emotion’ in literature were examined while emotionalreaction of foreign literature learners was discussed, which would take placewhen emotional expressions in literary works are delivered to the readers. Inorder to proceed with the emotional acceptance investigation of the foreignliterature learners, a short novel Sonaki was selected as a text to be studiedin Chapter 3. By looking into background emotions about ‘rain’ as well ascharacters, the chapter analyzed the emotion that is found throughout thework. Chapter 4 looked into conceptual metaphors that Chinese learners haveused to describe ‘rain’ while the emotional expression patterns of the readerabout changes in the characters’ emotions that would be felt between a manand a woman were examined. Chapter 5 searched teaching methods to describethe emotion.

      • KCI등재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정윤경,박보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4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retrospecte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developmental correlate of their off-spring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ese ends, 547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aries including EEQ, AEQ, and retrospected SEFQ of their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ly correlated to their retrospection of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hen they retrospect that their mother's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 was high, their positive and intimate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 and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When they report that their mother' expression is low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they were also low i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nd most high in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요인으로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서 표현성, 정서표현양가성과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 정도는 자녀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관련을 맺음이 드러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표현이 높을수록 자녀의 친밀 정서와 긍정적 정서의 표현 수준은 높고 정서표현양가성은 낮았다.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 표현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정서 표현 수준은 낮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고된 어머니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표현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구별된 네 군집(긍정상-부정하, 긍정상-부정중간, 긍정하-부정하, 긍정하-부정상) 간의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긍정이 높은 두 집단의 자녀들이 긍정이 낮은 두 집단보다 낮은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긍정적, 친밀 정서 표현을 나타냈다.

      • KCI등재

        정도 부사와 중첩식 형용사의 공기(共起) 관계에 대한 계량적 연구

        윤애경 한국중문학회 2021 中國文學硏究 Vol.0 No.82

        많은 언어학자들이 중국어의 중첩식 형용사는 그 자체에 양을 나타내는 정도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정도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가 없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중국어에서는 정도 부사가 중첩식 형용사를 수식하는 예문들이 종종 발견되곤 한다. 정도 부사 중에서는 ‘有点(儿)’이 가장 잘 중첩식 형용사와 결합하며 그 다음이 ‘太’이다. 중첩식 형용사 중에서는 ABB식 형용사가 가장 쉽게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다. 중첩식 형용사가 정도 부사와 공기한다는 것은 중첩식 형용사가 본래 지니고 있었던 정도의 의미가 약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중첩식 형용사가 지녔던 정도 의미의 약화는 ABB식 형용사로부터 시작하여 AA식과 AABB식 형용사로 확장되고 그 다음에 기타 유형의 중첩식 형용사로 확장되고 있다. 같은 유형의 중첩식 형용사 가운데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정도 의미의 약화가 빨라지고 따라서 정도 부사와 더 잘 공기한다. ‘정도 부사+중첩식 형용사’ 구조에 들어갈 수 있는 정도 부사는 화자의 주관적 색채가 뚜렷한 것에서 덜 뚜렷한 것으로, 절대적 정도 부사에서 상대적 정도 부사로 확장이 이루어진다. Many linguists say that Chinese adjective reduplications can not be modified by degree adverbs because they have implied the meaning of the degree to indicate quantity in themselves. However, in Chinese currently used, examples of degree adverbs modifying adjective reduplications are often found. Among degree adverbs, “youdian(er)” is best combined with adjective reduplications, followed by “tai”. Among adjective reduplications, ABB-type adjectives are most easily modified by degree adverbs. The fact that adjective reduplications and degree adverbs co-occur frequently means that the meaning of the degree that the adjective reduplications originally held has weakened. And the weakening of the meaning of the degree that these adjective reduplications had started with ABB-type adjectives, then expanded to AA-type adjectives and AABB-type adjectives, and then extended to other types of adjective reduplications. Among adjective reduplications of the same typ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use, the faster the meaning of the degree is weakened, and thus the easier it is modified by degree adverbs. The degree adverbs that can enter the structure of “degree adverb + adjective reduplication” are extended from having a clear subjectivity to having a less distinct subjectivity of a speaker, and from absolute degree adverbs to relative degree adverbs.

      • KCI등재

        브랜드에 대한 정(情) 척도 개발 및 구조분석

        김성규,이희옥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논집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로 알려져 있는 정(情)의 개념을 확장하여 브랜드에 대한 정의 척도를 개발하고, 그 구조를 파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정에 대한 연구들과는 달리 심층인터뷰, 설문조사와 같은 사회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브랜드에 대한 정은 다정다감, 허물없음, 우리성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브랜드 정의 선행변수는 유용성, 접촉성, 항상성으로 구분되었으며, 결과변수로는 이성적 판단방해, 정서적 안정성, 애호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브랜드 정의 차원은 다정다감 7항목, 허물없음 2항목, 우리성 4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브랜드 정의 선행변수는 유용성 5항목, 항상성 4항목으로, 브랜드 정의 결과변수는 이성적 판단방해 8항목, 정서적 안정성 7항목, 애호도 4항목으로 구성되어 총 41항목으로 이루어진 브랜드 정의 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향후 단순한 감성마케팅이 아닌 한국인 정서에 맞는 정 마케팅을 실시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of “Jeong-toward-the-brand”(Jb hereafter) by examining and extending the concept and construct of “Jeong,” which is known as a unique Korean trait. In comparison to the past research on “Jeong,” the present study is distinguished by using sociological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Jb is characterized by the subdimensions of sentimentality, unceremoniousness and ourness, that the cause variables of the Jb are composed of usefulness, brand contact, and constancy, and that the effect variables of the Jb are of the disruption of rational judgment, emotional stability, and patronage (affinity). In sum, the scale of Jb has been developed: the Jb is constructed by total 41 items--13 items in the dimension of the Jb (7 in sentimentality, 2 in unceremoniousness, and 4 in ourness), 13 items in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Jb (5 in usefulness, and 4 in constancy), and 19 items in the effect variables of the Jb (8 in the disruption of rational judgment, 7 in emotional stability, and 4 in patronage). The scale of Jb will contribute to the execution of Jeong marketing, instead of mere sentimental one, proper to Korean senti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정행사와 서호계념회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6 No.-

        여산 혜원의 정토결사는 동아시아 불교의 유구한 역사에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된다. 본고는 중국 항저우의 서호지방을 중심으로 10-13세기까지 일어난 정토결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0세기 성상(省常)은 여산 혜원의 가풍을 흠모하여, ‘정행사(淨行社)’라 는 결사를 결성하고, 『낙방문류』 등의 문헌에 연사(蓮社)의 조사(祖師)로 기록되었다. 그런데, 성상은 아미타불 염불이나, 정토경전을 독송하지 않았 다. 혈서(血書)로 『화엄경』 「정행품」을 사경하고, 인쇄하여 보시하는 등, 외 적으로는 정토수행이라기 보다는 화엄행자적 성격이 강하다. 하지만, 선도 가 『관무량수경』 을 전거로 하여 설한 정토왕생의 삼복(三福)을 근거하면, 정행사의 의의는 삼복 가운데, 행복(行福)을 실천한 정토수행인 것이다. 성상의 정행사를 후대의 문헌에는 ‘서호결사(西湖結社)’라고 하는데, 이 는 정행사 수행법의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서호결사는 정행사 대표였던 문정공단(文正公旦)의 증손인 왕고(王古)에 의해서 칭명염불과 방생을 겸 한 수행으로 전개된다. 또한, 왕충(王衷)도 서호결사를 하였는데, 방생에 대한 기록은 없고, 『아미타경』 독송과 칭명염불의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것 이 왕고의 서호결사와 다른 점이다. 한편, 서호지방에는 서호결사와는 다른 ‘서호계념회(西湖繫念會)’에 대한 기록이 전하는데, 이는 불상(佛像)을 계념의 대상으로 한 정토수행이다. ‘계념’은 ‘생각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한다.’는 의미인데, 육준(陸浚)이 정토 왕생의 인(因)으로 불상, 즉 붓다를 계념의 대상으로 한, 경전의 전거는 『비화경』 과 『불설관무량수불경』 등에서 찾을 수 있다. 12세기 후반에 일어난 고려의 수선사와 백련결사는 중국 서호지방의 정 토결사와 거의 동시대이다. 이 시대에 있었던 양국의 결사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에 기대하여 본다. Yeosan's Jeongtogyeolsa unfold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ime and region in the long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m. This study examines the Jeongtogyeolsa that occurred from the 10th to the 13th century, focusing on the West Lake region of Hangzhou, China. In the 10th century, Seongsang admired the family style of Yeosan Hyewon, formed an association movement called 'Jeonghaengsa', and was recorded as Josa (Patriarch, 祖師) of Yeonsa (蓮社) in the literature such as “Lèbāngwénlèi”.(樂邦文類) However, Seongsang did not recite the Amitabha Buddha or Pure Land Sutras. He conducted Sangyeong (transcribing the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of “Avatamska Sutra” “Jeonghaengpun”(淨行品) as a writing in blood (血書), and printed and donated it, and externally, he has a strong Hwaeomhaengja character rather than the Pure Land Practice. However, based on the Sanfu (三福) of Pure Land Rebirth, which was preached by Seondo based on the authority of 'Amitayurdhyana Sutra', the significance of Jeonghaengsa is that it is a Pure Land Practice that practiced Happiness (行福) among Sanfu. Seongsang's Jeonghaengsa is referred to as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n later literature, which suggests a change in the method of performing Jeonghaengsa.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s developed by Wanggo, the great‐grandson of Munjeonggong, who was the representative of Jeonghaengsa, as a practice that combines Chingmyeongyeombul (Buddha and bodhisattvas name chanting) and life‐releasing. In addition, Wangchung also participated in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but there is no record of life‐releasing, and it differs from Wanggo's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n that the number of “Amitâbha Sūtra” recitations and Chingmyeongyeombul is fixed. Meanwhile, a record of the West Lake Gyenyeomhoe Associ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s reported in the West Lake region, and it the Pure Land Practice with the Buddha statue (佛像) as the object of Gyenyeom. ‘Gyenyeom’ means ‘concentrating one’s thoughts on one object’, and the reliable authority of sutras that Yukjun made the Buddha statue, that is, the Buddha as the object of Gyenyeom as the cause (因) of Pure Land Rebirth, can be found in 'Karunapundarika‐sutra' and 'Amitayurdhyana Sutra', etc. Suseonsa temple and Baekryeon association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Goryeo in the late 12th century, is almost contemporary with Jeongtogyeolsa in the West Lake region in China.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fu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of the association mov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era.

      •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디자인 주요 특성

        류시천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 2003 조형미술논문집 Vol.3 No.-

        정보디자인 원리는 1970년대의 출판디자인을 포함한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비롯되었으나 리차드 솔워먼(Richard Saul Wurman)이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디자인과 그것의 실질적인 적용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면서부터 현재와 같이 정보디자인 멀티미디어디자인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멀티미디어디자인상에서 정보디자인 개념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이렇다 할만한 연주가 부족한 실정이며, 경우에 따라선 과거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정의되었던 정보의 재현 및 시각화라는 측면으로 대단히 협의적 관점에서 정보디자인을 조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과거의 전통적 정보디자인과 대비되는 상대적 관점으로 현재의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디자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디자인 특성은 '정보의 질', '사용자 지식확장', '메시지 전달과 처리', '컨텍스트와 컨텐트', '통합적 환경'의 크게 5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에는 인터페이스디자인, 상호작용디자인, 경험디자인과 같은 정보디자인 인접분야와의 상호 의존적 또는 배타적 특설에 대한 담론이 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정서 어휘 활용 프로그램 개발

        김주연(Kim, Ju-y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1

        정서 혹은 정서 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서 지능을 규명하려는 노력과 구성 요인을 밝히는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활용 자료들에 대한 연구들은 적은 편이어서 학생들의 정서 교육과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정서 어휘를 활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서 교육 프로그램의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고, 향후 다양한 주제 영역으로 확장되어 갈 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서 교육을 위한 구체적 적용 주제 영역으로 '정서 어휘'를 설정하고, 초등학생의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정서 어휘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정서 및 정서 어휘 관련 문헌 분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및 초등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읽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저ㆍ중ㆍ고학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텍스트 목록 30권을 선정하고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정서 어휘 활용 프로그램의 목표와 모형, 그리고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저ㆍ중ㆍ고학년 각각 한 차시에 해당하는 실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As it takes more interests in Emotions(or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days, it is made much attempt from different fields of studies to define w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and how Emotional Intelligence is constructed. However,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o apply to the education of Emotions and enhanc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for students because there are a little research about materials for stud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et on the development of model program for emotional education by using emotional vocabulary. Whe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pplied to different domains of different studies, it can be suggested new educational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of students' emotions and enhanc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Firstly, I set up the thematic domain by using emotional vocabulary for emotional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and after that, I tried to develop the program for enhancement of emotional inteligence of elementary students. I analyzed data on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for reading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o develop the program for education of emotions and analyze many reference books about emotions or emotional vocabulary. Based on this trial to make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I suggested the list of text which can be applied to the whole grades of elementary students. Also, I tried develop the program for enhancement of emotional inteligence of elementary students and set the puepose of practical use of this program. Finally I suggested each sets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er, the middle and the high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통합

        고미숙(Ko Mi 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교육에서 정(情) 윤리와 정의(justice) 윤리가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 및 방향을 탐구해 보는 것이다. 정있는 인간은 정의롭지 못하고, 정의로운 인간은 정이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정의로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이 배제될 것이 아니라 정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정 관계의 상대방에 대한 유대감과 애착은 자발적으로 상대방의 복지를 추구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는 것이 정있는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는 생각 하에서,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기 위한 방향을 탐구하였다. 첫째, 정 윤리와 정의 윤리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둘째,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분리에 대한 문제점은 무엇이고, 통합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셋째,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기 위한 원리는 무엇인가? 정 윤리와 정의 윤리는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윤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서로를 필요로 한다.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통합의 원리는 좋은 삶의 추구이다. 좋은 삶은 다른 존재와 더불어 행복하게 잘 사는 삶이고, 정 윤리나 정의 윤리 역시 이러한 삶을 추구하는 방향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매개짓는 연결고리로서 정서, 특히 도덕적 정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for integration between the ethic of Cheong(情) and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erson with Cheong is unjust and the person with justice has no Cheong. But we need Cheong for just society. People within Cheong-relation pursue others well-being spontaneous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an integration between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For more details, first,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of the perspective of incompatibility with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and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between them? Third, what is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Cheong and justice are not contrary to each other but need each other.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s the pursuit of the good life. The good life is the life of well-being with others. I suggest the role of emotion, particularly moral emotion as the connecting link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