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계획 평가

        김진아(Kim, Jin Ah),윤순진(Yun, Sun-Jin)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2012년에 수립 완료된 16개 광역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평가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기후변화 적응계획을 개선해 나가는 데 무엇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가이드라인 분석,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목표수립, 현황조사, 의사결정, 실행 및 평가의 4단계별 총 17개 적응계획 요소들과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각각의 적응계획을 평가하였다. 또한 계획수립과정 참여자와 계획수립 방식을 분석하여 적응계획 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평가결과 17개 계획 요소들 중 `기후인자 평가`, 목표설정`, `실행`은 16개 지자체에서 전반적으로 잘 수행되었고, `의사소통과 지원활동`, `모니터링/평가/검토` 요소는 가장 미흡하게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계획요소에 대해 평가기준을 완벽하게 충족시킨 지자체는 없었으며, 16개 지자체는 총점의 26~71% 구간에 위치하였다. 추가적으로 계획 요소의 충실성을 평가한 결과 경기도,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가 상위 4분위에 들었는데 이 지자체들은 계획수립과정에 이해당사자 참여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지자체들과 일치하였다. 이는 적응계획 수립이 이해당사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기초로 할 때 적응계획의 내용 또한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향후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 시 계획이행 과정에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수립된 적응계획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보다 충실하게 보완되어야 할 요소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s improvements require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based on analysis of the climate adaptation countermeasure implementation plans of 16 regional local governments. The plans are analyz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new assessment framework, which builds upon guidelines addressed by previous studies and the advice of climate adaptation experts.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four tiers and 17 planning elements and includes operational definitions and evaluation criteria. The roles of processes and participants are also examined to shed further light on the adaptation plans. The results show all regional local governments to have generally performed well in `climate factor evaluation, `implementation` and `goal setting,` while the areas of weaker performance were `communication and support for resource use,` while the areas of weaker performance were `communication and support for resource use` and `monitoring/evaluation/review.` There was no regional local government which completely satisfied every evaluation criterion; the majority scored 26~71%. Interestingly, the top performing governments (Gyeonggi, Ulsan, Daegu, and Gyeongbuk) all rank highly in terms of active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planning processes. This implies that active participation of diverse stakeholders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adaptation plans can produce improved plans with appropriate planning elements.

      • 최빈국 지역정부의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을 위한 기술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장훈 ( Hoon Chang ),송영일 ( Young-il Song ),심창섭,문지원,이명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6 No.-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로 인한 영향과 피해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선진국보다는 최빈국이 기후변화에 의한 위험에 더욱 취약함에 따라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는 최빈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저감을 위하여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을 권고하였다. 유엔개발계획, 유엔기후변화협약 등의 국제기구 혹은 몇몇 국가에서는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최빈국의 적응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적응계획의 수립은 저조한 상황이다. 2010년 COP16에서부터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을 권고하였으나 48개 최빈국 중 현재까지 다섯 국가에서만 적응계획 수립을 완료하였다. 한편 유엔자본 개발기금5)에서는 최빈국 지자체의 기후변화적응 능력 향상을 위해 LoCAL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KEI는 국내에서의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 노하우를 토대로 동 프로젝트에 기술적 측면의 지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KEI 지원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빈국 지역정부의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최빈국 중 하나인 부탄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가이드라인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국내외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 관련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절차별 방법이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부탄 및 캄보디아와 같은 일부 최빈국을 방문하여 현지 조사를 통해 가이드라인의 개발 방향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의 절차는 국내 기초지자체의 계획 수립 절차를 참고하였고, 절차별 과학적인 평가 방법은 필요한 자료의 유무나 질을 고려하여 정성적 또는 정량적 측면의 방법을 총 8단계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지역의 일반 현황과 기후변화 현황을 분석하고, RCP 시나리오 기반의 기후변화 전망을 분석하여 향후 기온이나 강수량이 기후변화로 인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해당사자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적응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판단하고, 과거 구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및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방안을 제안 하였다. 취약성 평가는 수행 여건에 따라 정량적, 정성적 방법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리스크는 3회에 걸친 전문가 설문을 통해 정성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종합적인 평가 결과를 기존의 최빈국 개발사업(investment menu)과 비교하여 적응계획 이행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을 선정하고, 체계적인 평가 및 모니터링 전략을 구축하는 등 전반적인 적응계획 수립 및 이행에 걸친 방안을 제안하였다. Due to accelerated climate change, its impacts and devastations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developing countries are mo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UNFCCC recommended the development of a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in order to reduce their exposure to risks derived by climate change. Since COP 16, 2010, developing countries were encouraged to establish National Adaptation Plans(NAPs). Including UNDP and UNFCCC, many organizations proposed guidelines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NAPs. yet only 5 out of 49 countries have officially submitted them. Meanwhile, UNCDF has been supporting the developing countries to foster their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ies through LoCAL projects, while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has been providing technical elements for the projects. In alignment to such activities, this research have employed the guideline for the formation of the adaptation plans for local governments in Bhutan as a pilot program. The guideline is comprised by the study of various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ning guidelines and its attributes of each procedures. As case studies, field missions were carried out in Bhutan and Cambodia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In regards of the process on composing the National Adaptation Plans, this research referred to the Korean national adaptation plans of the local govern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availability and quality of statistical information, the scientific procedures has been comprised in eight qualitative and qualitative step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gion`s general circumstances, climatic factors and RCP based scenario examinations, this research presents how to estimate the shift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ltered by climate change. Moreover it raises the necessity of the need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o be prioritized through stakeholders and added on to the accumulated data and reviewed in the aspects of climate change disasters. For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may be applied and the risk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by three stages of expert surveys. The outcome derived by such methodologies will be assessed with prior LDC investment menus and considered when selecting the priority projects for initiating the adaptation plans.

      • KCI등재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기준에 관한 연구 -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륙숙이,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 배경 및 목적) 산업화 과정은 도시 환경의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 도시화로 인한 환경적, 사회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인류는 도시개발방식을 재고하고 전환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는 현대 도시 계획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도시의 사례를 분석하고, 현대 도시 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생태적 적응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의 도시 사례를 중점으로 분석한 후 미래의 공간적 적합성에 대한 제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2004년부터 2024년까지 학위 논문, 학술 논문, 단행본 등 학술 분야의 현대 도시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둘째, 현대 도시 계획의 원칙과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셋째, 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중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소를 추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 발전성, 도시 거주성의 5가지 공간 구성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중국 지속가능발전지수 체계(CSDIS)를 활용한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ble development of china(2023)》에서 종합순위 1위의 중국 도시 사례 항저우(인구가 가장 많은 5개 구역)를 선정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앞서 분석을 통해 도출한 5개의 공간 요소를 심층 분석을 위한 분석 항목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대상이 되는 도시 사례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부합하는 것이 분명하다. 현대 도시 계획에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얻은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발전성, 도시 거주성 측면에서 이들 도시가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인 것으로 확인됐다. (결론)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도시 환경 공간설계는 자연생태계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쾌적하고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여 오늘날의 환경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계획 및 관리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has significantly declined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prompting the need to address the resultant environmental and social pressures. Consequently, humanity has entered a critical phase of rethinking and transforming urban development methods. In this contex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s have emerged as the cornerstone of modern urban planning.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a case study of Chinese cities that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sound ecologically adaptive technologies,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uture spatial design strategies aimed at fostering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environments. (Method) First, the analysis was based on research on modern urban planning and eco-friendly adaptive environmental space design requirements in academic fields, such as theses and books, from 2004 to 2024. Second, through prior research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Third, ecological adaptability, importan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elements in modern urban planning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we analyzed five spatial components of eco-friendly adaptable environmental space design in modern urban plann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livability. Fourth, the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 (2023) was used to select Hangzhou (the five most populous districts in Hangzhou), which ranked first in China's comprehensive score, as the analysis target; the five spatial elements obtained from the previous analysis were analysis projects as an in-depth analysis. The five spatial elements derived through the previous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items for in-depth analysis. (Results) Analysis of the research benchmarks in the design of ecologically adaptive urban spaces in modern city planning showed that these areas exhibi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cological adaptability,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ility, and urban livability. (Conclusion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ctively addressing public participation needs. Therefore, future urban environmental space design should not only aim to respect and protect natural ecosystems, but also strive to create comfortable and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s that effectively address today's pressing environmental space issues. Moreover, adopting scientific and rat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methods is essential to ensure the long-term success and resilience of these urban spaces.

      • KCI등재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오은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1 university students (127 male and 194 female students) in capital area. The data were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ng Model(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a research model and a competition model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accident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 in which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mediated partly, was appropr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bsequent research were suggested. 연구배경 및 목적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의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학생 시기는 직업인으로의 전환을 준비해야 하므로 직업선택뿐만 아니라 직업세계 적응에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다. 현대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대학생들도 이에 발맞춰 적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게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해 직업 세계는 불안정하고 복잡해졌고 따라서 개인의 진로도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평생직장의 개념은 많이 희미해졌고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관리를 통해 불확실하고 다양화된 직업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부각되고 있다(황현덕 외, 2012). 실제로 불안정과 미래의 직업 세계에 적응을 위해서는 끊임없이 스스로 자신을 계발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진로적응성이란 미래 직업세계로의 원만한 전환하기 위해 예측 가능한 과제에 대한 준비뿐만 아니라 미래 직업 세계에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을 고찰해 본 결과,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중 중요 변인 하나로 계획된 우연기술을 들 수 있다. 계획된 우연기술은 Krumboltz(1996)의 사회학습이론의 우연이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중요변인으로, 계획된 우연기술은 최근의 예측하기 어려운 현실의 사회변화와 직업 세계 변화에 따른 진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관심을 받는 변인이다.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다른 하나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들 수 있는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란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의 개념에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하여 Hackett& Betz(1981)가 진로결정과 관련된 과업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연구방법 및 범위대상 : 수도권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설문지는 330부를 배포하였고 부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319부의 자료를 사용함방법 :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량 및 신뢰도 검증 및 상관분석 실시함.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 - 연구결과첫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는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비서전공 대학생의 소명의식이 진로적응성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

        한주원 한국비서학회 201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r college students in secretarial majo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lling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e examined whether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professors had a moder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cretary major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and 190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validated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ll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career adaptability and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ling a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controlled by the professor's support.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high teaching support had a greater effect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an the low group. Based on the above findings, educational strategies to promote career calling and to develop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o cope with uncertain future situations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successful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adaptation to the future work world. 본 연구에서는 비서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 및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고자 한다. 대학생의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매개하여 진로적응성과 대학생활적응에 연결되는 관계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소명의식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관계에서 사회적 변인인 부모나 교수의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수도권 지역의 비서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19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변인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변인간 관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대학생활적응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명의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명의식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관계를 교수지지가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수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전략을 모색하고 불확실한 미래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계획된 우연기술을 개발시킨다면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은 물론 미래 직업세계에 대한 진로적응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군인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대인관계와 진로계획에 미치는 효과

        유형식,한상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2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into adjustment group, resilience group, maladjustment group, and vulnerable group soldiers in adolescen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s of stresses and depressions, and to confirm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inter personal relationship and career planning. The subjects are 600 cases of soldier served in the Korean Army. Measuring tools are “Stress Scale,” “Depression Scale,” “Personal relationships Scale,” “Career plans Scale.” For data analysis, ANOVAs(one-way, two-way) are applied. The main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score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of resilience group i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e resilience be to be effective in personal relationship. Second, score of the career plans of resilience group i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e resilience be to be effective in the career plans. Third, each score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and of the career plans between the adjustment type groups and levels of education shows meaningful interactions. The resilience group is higher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in the career plans in educated groups than lower educated groups, but in lower educated groups, the resilience group is relatively higher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in the career plans than comparative group. Forth, each score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and of the career plans between the adjustment type groups and rank shows meaningful interactions. The resilience group is higher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in the career plans in higher rank groups than lower rank groups, but in lower rank groups, the resilience group is relatively higher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in the career plans than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confirm that resilience of soldiers in adolescents has influence on the personal relationships and career plans.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which supports soldiers, especially for those in maladjustment and vulnerable group to become resilience soldiers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군인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적응집단(완전적응, 적응유연, 부적응, 취약) 간 대인관계와 진로계획 득점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적응유연성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군인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학력 및 계급 각각의 상호작용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 지역(수도권, 강원, 충청, 경상)의 육군부대에 복무 중인 병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이대식(2013)이 사용한 스트레스 척도와 고성원(2013)의 우울척도, 고현종(2012)이 사용한 대인관계 척도와 김미희(2002)의 진로계획 척도이다. 스트레스와 우울 각각의 평균득점 상위 30%와 하위 30%를 기준으로 이를 조합하여 4개의 적응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들 집단 간 대인관계와 진로계획의 평균차를 검증하고, 이와 더불어 학력 및 계급과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과 사후개별검증(Scheffe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유연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대인관계 득점과 진로계획 득점 모두 의미 있게 더 높다. 따라서 적응유연성은 군인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진로계획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적응집단과 학력 간에 대인관계 및 진로계획 득점은 의미 있는 주효과와 상호작용이 있다. 특히 상호작용 분석결과 적응유연 집단은 대학재학 및 졸업 집단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집단과 계급 간에 의미 있는 주효과와 상호작용이 있다. 특히 적응유연 집단의 경우 이병과 일병 계급집단에서 대인관계와 진로계획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응유연성은 완전적응이나 취약성, 부적응보다 군인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진로계획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며, 대학재학 및 졸업 집단과 이병과 일병 집단에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군인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은 병영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보호요인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처치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Feasibility and Efficacy of Adaptive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Planning according to Tumor Volume Change in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박재원,강민규,예지원,Park, Jae Won,Kang, Min Kyu,Yea, Ji Woon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2

        이 연구는 조기 폐암의 정위방사선치료에서 육안적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GTV) 변화에 따른 적응방사선치료(ART)의 효과 및 가능성을 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영남대학교 의료원에서 정위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2개의 종양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위방사선치료는 2주에 걸쳐 48 혹은 60 Gy를 4회에 나누어 조사하는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종양체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매 콘빔시티마다 육안적종양체적에 대한 윤곽선 그리기를 시행하였다. 그 다음 첫 번째 콘빔시티에 기준 치료계획으로 사용할 세기조절방사선치료 계획을 시행하였다. 적응방사선치료 계획을 하기 위해, 2, 3, 4번째 콘빔시티에 기준 치료계획과 동일한 빔 각도와 제약을 적용하여 각각 재 최적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적응방사선치료 계획은 기준치료계획을 각각의 콘빔시티에 복사하여 생성한 비적응방사선치료 계획과 비교되었다. 평균 육안적종양체적은 10.7 cc였다. 평균 종양체적 변화는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콘빔시티에서 각각 -1.5%, 7.3%, 25.1%였으며 세 번째 이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하지만 두 번째 콘빔시티에서는 9개의 종양 체적이 증가하였다. 적응방사선치료 계획을 시행하였을 때, 폐에서 $V_{20\;Gy}$, $D_{1500\;cc}$, $D_{1000\;c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흉벽에 대한 $V_{30\;Gy}$와 $V_{32\;Gy}$ 역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두 번째 콘빔시티의 종양체적이 증가한 환자들에서, 기준치료 계획에 비해 적응치료방사선치료 계획을 시행하지 않았을 때, 계획용 표적체적에 대한 선량 범위 변수 중 $D_{min}$은 8.3% 감소한 반면 (p=0.021), 적응방사선치료계획을 시행한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적응방사선치료 계획을 함으로서 표적 선량 커버는 개선시키면서 손상위험장기에 대한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콘빔시티를 이용한 적응방사선치료 방법은 조기 폐암의 정위방사선치료에서 고려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icacy and feasibility of adaptive radiotherapy according to tumor volume change (TVC) in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using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 Twenty-two lesions previously treated with SBRT were selected. SBRT was usually performed with a total dose of 48 Gy or 60 Gy in four fractions with an interval of three to four days between treatments. For evaluation of TVC, gross tumor volume (GTV) was contoured on eac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 used for image guidance.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planning was performed in the first CBCT (CBCT1) using a baseline plan. For ART planning (ART), re-optimization was performed at $2^{nd}$, $3^{rd}$, and $4^{th}$ CBCTs (CBCT2, CBCT3, and CBCT4) using the same angle and constraint used for the baseline plan. The ART plan was compared with the non-ART plan, which generated copying of the baseline plan to other CBCTs. Average GTV volume was 10.7 cc. Average TVC was -1.5%, 7.3%, and -25.1% in CBCT2, CBCT3, and CBCT4 and the TVC after CBCT3 was significant (p<0.05). However, the nine lesions were increased GTV in CBCT2. In the ART plan, $V_{20\;Gy}$, $D_{1500\;cc}$, and $D_{1000\;cc}$ of lun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V_{30\;Gy}$ and $V_{32\;Gy}$ of the chest wall were also decreased (p<0.05). While D min of planning target volume (PTV) decreased by 8.3% in the non-ART plan of CBCT2 compared with the baseline plan in lesions with increased tumor size (p=0.021), PTV coverage was not compromised in the ART plan. Based on this result, use of the ART plan may improve target coverage and OAR saving. Thus ART using CBCT should be considered in early stage NSCLC with SBRT.

      • 자연재해 위험 완화를 위한 국가적응계획: 국내외 동향

        명수정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자연재해로 인한 각종 피해가 대형화 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일상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기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그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는 2010년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 ‘컨쿤 적응틀’의 마련에 동의하여 국가 차원의 국가적응계획의 수립과 손실과 피해에 대한 프로그램, 그리고 적응위원회를 구축하기로 하여 그간 관련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손실과 피해는 제19차 당사국총회에서 바르샤바 국제적 메커니즘 구축에 동의, executive committee의 구축 등 기후변화와 관련된 각종 손실과 피해를 다루는 국제적인 틀을 구축하기 위한 협상이 진행 중이다. OECD 가입국가를 비롯한 상당수의 선진국들은 국가기후변화 적응전략을 수립하고 국가기후변화 적응계획을 수립 혹은 이행 중에 있다.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는 기후변화에 특히 취약하며 적응역량이 부족한 최빈개도국을 중심으로 Global Support Program을 통해 국가적응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 영향의 확산과 적응의 시급성에 따라 2010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국가적응대책(‘11~’15)을 수립, 이행하여 왔으며 현재 제2차 국가적응대책(‘15~’20)의 수립을 위한 준비가 진행 중이다. 또한, 지역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에 따라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적응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국가적응계획 수립을 기초지자체로도 확산 중에 있다. 적응계획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적응이 필요한 모든 부문을 중심으로 중장기적인 관점의 적응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자연재해 관련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재해 관련 적응계획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앞으로 기후변화가 더욱 심화될 것에 대비하여 자연재해 부문의 적응계획을 기존의 자연재해 대응 정책과 연계하여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인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추진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관련 피해를 최소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계획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남교민(Nam, Kyo Min),노윤정(Ro, Yun Jeong),김민영(Kim, Min Young),김동희(Kim, Dong Hee),송지훈(Song, Ji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이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용인 소재 4년제 대학생 345명에게 2020년 10월 28일~11월 30일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61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했다.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1.0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확인했다. 그리고 연구모형에 따른 변수 간 실증분석을 위해 Hayes(2017)가 제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계획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의 5가지 하위 요인별 매개효과 분석 실시한 결과 정서적 적응을 제외한 학업적 적응, 신체적 적응, 사회적 적응 그리고 대학 만족도 요인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중단계획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습몰입이 대학생활적응을 매개하여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심리자본의 높고 낮은 수준에 따라 다른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계획의 부적 관계를 대학생활적응이 매개한다는 것과 학습자의 특질인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활 변화의 영향을 고려해 학교차원의 학업중단계획을 관리할 수 있는 학생의 학업적, 심리적 적응을 위한 통합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Learning flow, and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A survey of 345 university students in Yongin was conducted and 161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through SPSS 21.0 and AMOS 21.0. PROCESS Macro presented by Hayes (2017)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ollege life adap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between learning flow and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for each sub-factor was also confirm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oes not appear.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found significan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we not only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but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students.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for the college to give integrated assistance for academic and emotional adjustment of students to prevent dropout planning considering the changes in college life through the impact of COVID-19.

      • KCI등재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성, 진로관여행동의 매개효과와 취업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재혁,홍혜영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college stud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an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occupational engagement job-seeking anxiety.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343 people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3rd and 4th yea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the moderating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as that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job-seek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and revealed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agreement for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possibility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was confirmed.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need for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individual needs.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integrative aspect by applying the employment anxiety to the career adjustment model targeting the 3rd and 4th year university students who can perceive job-seeking anxiety relatively high.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적응모형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적응성, 진로관여행동의 매개효과와 취업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 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34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이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삶의 만족 사이를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의 매개효과에 대한 취업불안의 조절효과는 계획된 우연기술과 취업불안의 상호작용항이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대해 계획된 우연기술의 향상과 진로적응성 그리고 진로관여행동의 중요함을 확인하여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진로적응모형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개인이 필요로 하는 차원에 맞추어 진로상담의 개입이 필요함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상대적으로 취업불안을 높게 지각할 수 있는 대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취업불안을 진로적응모형에 적용하여 통합적인 측면을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