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과대학 조기임상경험의 성찰일지 내용 분석

        박시운,채수진,이상엽,한기준,원영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5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medical students’ engagement of pre-clerkship early clinical experience and their implications based on reflective journals. The subjects were 60 third-year students who had taken the early clinical experience course offered by the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tudents had to complete and submit a reflective journal at the end of the course. This study used the reflective journals students submitted as analysis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Elo and Kyngäs’ inductive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a total of 127 unique significant keywords and statements were extracted. These statements generated 11 formulated sub-categories and five theme categories. Five main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understanding of patients,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other occupations, understanding of the hospital system, and motivation to learn. Students understood patients’ perspectives on diseases and improved their ability to empathize; they gained confidence in communication and clinical skills; they became more positive toward the underprivileged; and their interest in the medical system grew. The results suggest that early clinical experience can be applied as one beneficial educational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in the pre-clerkship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 전(pre-clerkship)에 병원에서 임상을 경험한 의과대학생들의 성찰일지를분석하여 조기임상경험의 의미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는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1학년에서 시행한 임상실습 전 조기임상경험 프로그램을 수강한 60명 학생들의 성찰일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찰일지 내용은 Elo와 Kyngäs의 귀납적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찰일지에나타난 의미 있는 키워드와 문장은 총 127개였으며, 범주화 형성을 통해 11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환자에 대한 이해, 전문직업성의 이해, 타직종의 이해, 병원시스템 이해, 학습동기 등 5개의주범주를 도출하였다. 조기임상경험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들은 질병에 대한 환자의 관점을 이해하고공감능력이 향상되며, 의사소통과 임상적 기술에 자신감을 갖게 되며, 소외 계층에 대한 보다 전향적인자세를 갖게 되었으며, 의료체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학습 성과를 얻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기임상경험이 임상실습 전 교육과정에 있는 의과대학생들을 위한 유익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 경험: 현상학적 연구

        곽수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고 있는 환자안전사고의 의미와 경험의 구조를 규명함으로써 이 경험의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D시 1개 대학의 간호학과 재학생 중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 4학년 학생들로서 임상실습에서 환자안전사고를경험한 학생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로 선정하였다. 면담에 사용된 주 질문은 “간호학생으로서 임상실습 중 경험한 환자안전사고는 어떠하였습니까?”였다.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Colaizzi가 제시한 7단계 절차를 따랐다. 결과 원자료에서 추출한 주요 진술은 총 162개였다. 주요 진술 중 내용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진술로 의미를 구성한 결과 86개의의미를 구성할 수 있었다. 이들 의미로부터는 일반적인 의미를 도출하여 참여자의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 경험을 나타내는 18개주제로 구성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의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 경험은 ‘총제적 점검이 필요함’, ‘역량이 부족함’, ‘예방이 절실함’ 의 3개의 범주와 이에 속한 9개의 주제모음 및 18개의 주제로 규명할 수 있었다. 결론 참여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는 조직의 환자안전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 경험은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간호학생부터 단계적인 역량강화, 조직의 보고학습시스템 정착, 환자안전과 관련된 총체적 점검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의 경험

        김미화,송미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남자 간호대학생의 임상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임상 실습의 의미와 본 질을 이해하고 남자 간호대학생의 임상 실습이 진로설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함이 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H대학교 간호학과 재학 중인 남학생으로 임상 실습 경험이 있는 3학년 3명과 4학년 남 학생 3명을 눈덩이 표집으로 선정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의미 있는 진술을 분석하여 남자 간호학생들의 임상 실습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로 구분되며, 6개의 주제, 14개의 의미 있는 진술로 도출되었다. 이는 ‘병동실습에서 경험한 부정적인 간호이미지’, ‘감당해야 할 스스로의 짊’, ‘특수파트 실 습경험에서 찾은 간호의 매력’으로 남자 간호학생들은 남자 간호대학생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경험했으며, 그로 인해 직업에 대한 갈등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간호사의 전문성을 확인하고 배움의 즐거움을 찾 아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남자 간호학생들의 임상 실습 경험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또한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과 임상 실습 적응에 대한 상담과 지도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남자 간호학생의 졸업 후 진로결정 상담에서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clinical practice by examining the clinical experience of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nd to obtain basic data on how male nurses influence the career setting in clinical practice. to b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male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H University, and three snowmen were selected as 3rd grade students and 3rd grade male students who had clinical practice, and analyzed meaningful statements according to Colaizzi data analys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The finding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ith six themes and 14 meaningful statements. The male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negative nursing image experienced in ward practice', 'the burden of self to be handled', and 'the charm of nursing found in the special part training experience'. Conflict and confusion over the profession were causing. However, among them, the professionalism of the nurses was confirmed and the pleasure of learning was foun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holistic view of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male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useful for counseling and guidance on academic adaptation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of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counseling career decision after graduation of male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 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송효숙(Hyo-Suk Song),임소희(So-Hee L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첫 성인간호학 임상실습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적응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여 기술하기 위해 Clo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U시 일개 대학의 재학 중인 3학년 간호 대학생 중 내·외과병동에서 실습한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의 첫 성인임상실습 경험은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실습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2) 다양한 임상상황 경험, 3) 실습을 통한 지식의 확장, 4) 간호에 대한 의미 이해 결론: 간호 대학생들은 임상실습에서 두려움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임상실습에 적응해가며 그 의미를 찾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간호 대학생들이 경험하게 되는 임상실습이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 위하여 멘토링, 상담 등 다양한 성공적인 적응 프로그램이나 전략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rst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adaptation. Method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applying Cloaizzi 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rs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30 students who were practicing in the 3rd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U city.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proces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was derived from 4 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are: 1) vague fear about clinical practice, 2) experience of various clinical situations, 3) extension of knowledge through clinical practice and 4)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nursing Conclusions: Therefore, nursing students started with fear in clinical practice, but they gradually find their meaning by adapting to clinical practice. A variety of successful adaptation programs and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for mentoring and counseling in order for clinical training to be effective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화상 병동 실습경험을 중심으로

        송미숙,제경성,이숙연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화상 병동 임상 실습경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대상은 C군에 소재한 1개 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이며 2019학년도 1학기에 진행된 임상 실습 기간 화상 병동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54명이 제출한 성찰 일지였다. 제출된 자료는 Hsieh & Shannon(2005)의 질적 연구 분석 방법 중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은 화상 병동 임상 실습 과정 동안 “더 큰 걱정”, “화상 병동과 직면하기”, “친해지면서 생기는 것들”, “화상 환자 간호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 경험”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의 화상 병동 임상 실습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화상 병동 임상 실습 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간호대학생의 화상 병동 임상 실습에 관한 양적 연구 및 다양한 분석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 burn ward. The subject of analysis of this study is 3rd grade nursing students at the college located in C district and a reflection journal submitted by 54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practice of burn war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9. The submit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raditional content analysis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by Hsieh & Shannon (2005). The study found that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greater concern”, “facing the burn ward”, “what happens when getting closer”, “experience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burn patient care”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at the burn w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an understanding of student’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burn war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linical practice process in the burn ward, and suggest quantitative research on clinical practice of burn ward of nursing students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various methods of analysis.

      • KCI등재

        남자 간호대학생에 임상실습의 경험

        김미화,송미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inical experience of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clinical practice and to obtain basic data on how male nurses influence the career setting in clinical practice. It i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male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H University, and three snowmen were selected as three snowmen. Male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being male nursing students, resulting in conflict and confusion about their jobs. However, among them, the nurses' professionalism was confirmed and they were looking for the joy of learning,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uggest a holistic perspective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male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useful for counseling and guidance of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academic adaptation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남자간호대학생의 임상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임상실습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남자학생간호사가 임상에서 실습이 진로설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H대학교 간호학과 재학 중인 남학생으로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학년 3명과 4학년 남학생 3명을 눈덩이 표집으로 선정되었다. 남자간호학생들은 남자간호학생이라는 이유로 차별 당함을 경험했으며, 그로 인해 직업에 대한 갈등과 혼란이 일으키고 있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간호사의 전문성을 확인하고 배움의 즐거움을 찾아가고 있었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남자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경험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남자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과 임상실습적응에 대한 상담과 지도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남자간호학생의 졸업 후 진로결정 상담에서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간호 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이영주 ( Yeongju Lee ),최보현 ( Bohyun Choi ),안수민 ( Soomin 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간호학과의 임상실습은 습득한 이론적 지식의 실제 적용하는 것이며 전문직 간호사가 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이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정이 될 수 있도록 간호교육의 근거 자료를 얻고자 간호학생이 처음으로 경험한 임상실습의 의미와 내용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은 간호학과 3학년 학생 3명에게 구조화된 질문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녹취와 현장노트 내용을 3명의 연구자가 기술 분석하였다. 처음으로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들은 임상실습의 힘듦, 학교 교육과 실습 교육의 차이, 자신에 대해 알아감, 임상 실습의 즐거움, 임상 실습을 통한 변화, 교육의 변화 필요성, 임상 실습의 의미를 경험하였다고 진술하였다. 이런 결과는 임상실습이 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실제적인 간호의 업무를 경험하고 전문직 간호사가 되기 위해 두려움 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실습교육이 변화해야함을 시사한다. The clinical practice is to apply science of nursing knowledge in real field, and it is mandatory to become a professional nurse. This study’s aim is to modify clinical practices better by scrutinizing and getting junior nursing student’s feelings and meanings after completing the first clinical practice. In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ree students with structured questions, and three researchers analyzed the recording and field notes. Students sta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of clinical practice,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and practical education, the fun of clinical practice, changes themself by clinical practice, needs to change education system, and the meaning of clinical practi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eeds to encourage confidence instead of concern on students, then clinical practice would be real valuable to actual experiences not just books.

      • KCI등재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은경,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4

        목적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임상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어려움에 대한 적응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0~11개월의 임상경험이 있는 5명의 아동작업치료사들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주로 이용하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의 수집 및 대상자의 면담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이용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하였고,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겪는 임상 경험에 관하여 14개의 중심의미와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는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을 경험하였다.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의 중심의미에는 아동작업치료의 선택, 기대, 역할이 포함되었고, 능력 부족의중심의미에는 치료에 대한 불확실성 및 자신감 부족이 있었다.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의 중심의미에는 조직체계에 대한 만족과 불만, 대인관계의 어려움, 그리고 직무에 대한 만족과 불만이 포함되었다. 교육에 대한 열망의 중심의미에는 학교 교육, 교육에 대한 지각, 교육방법이 포함되었으며 적응 전략의 중심의미에는 개인생활, 치료와 조직의 적응 전략이 있었다. 결론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은 임상에서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의 경험을 겪었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아동작업치료사로써의 역할에 부응하고, 소속기관에 적응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기관장이나 선임 치료사들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과정의 개편 및 기관의 제도적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간호대학생의 웹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포함한 임상 실습 경험

        김경숙,박지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포함한 임상 실습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과 임상 실습 경험을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에 의한 심충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2개의 구성요소와 7개의 주제 묶음, 18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구성요소로, 임상 실습은 4개의 주제 묶음으로 ‘팬데믹 상황에서의 불안한 실습의 출발’, ’다양한 사례에 의한 직접 경험‘, 미래 간호사로서 준비하는 훈련 기회’, ‘ 수행의 부담감 및 제한적 경험’이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은 3개 의 주제 묶음으로 ‘미완성의 간호실습’, ‘가상공간에서의 임상 간호에 대한 간접경험’, ‘통합 실습 모델의 요구’로 분류되었다. 간호교육과정에서 임상 실습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 학생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간호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관찰 위주의 임상 실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실습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웹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포함한 혼합 실습 모델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cluding web-based simulation practice, in the context of the corona pandemic era. As for the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on the experience of web-based simulation practice and subsequent clinical practice and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ontents of the two interview group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2 components, 7 topic groups, and 18 topics. The first component, the clinical practice, was divided into four topic groups: 'The anxious start of practice in a pandemic situation', 'Direct experience through various cases', 'Training opportunities to prepare as a future nurse', and 'The burden of performance and limited experience'. The second component, the web-based simulation practice, was divided into three topic groups: 'Unfinished nursing practice', 'Indirect experience of clinical nursing in virtual space', and 'Requirement of an integrated practice model'. Clinical practic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 nursing that students can perform in the field is very limited. Therefore,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observation-oriented clinical practice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pract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hybrid education model including web-based simulation practic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인 중환자실 임상실습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손연정(Son, Youn-Jung),송효숙(Song, Hyo Suk),원미화(Won, Mi Hwa),임소희(Lim, So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인 중환자실 임상실습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탐색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참여자는 S시 일개 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6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하여 개방형 자기보고서식 성찰일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2003)의 내용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성인 중환자실 임상실습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32개의 주제, 14개의 주제모음, 6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6개의 범주는 ‘다양한 임상상황 경험’, ‘배움을 통한 성취감’, ‘실습에 대한 아쉬움’, ‘전문화된 간호에 대한 자긍심’, ‘미래 간호사 역할에 대한 두려움’, ‘중환자실 근무환경에 대한 양가감정’ 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론교육과 연계성을 강화하여 임상실습의 질을 높이며, 추후 임상실습운영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and structure regard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in an adult intensive care uni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5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November 2015 and an open self - report form reflection journal was prepar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ere retrieved through nursing student’s daily clinical log includ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on their clinical experience.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Krippendorff’s(2003)’s content analysis. In present study, we found that 6 categories, 14 subjects, and 32 subjects regarding clinical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intensive care units. Six categories are, ‘Experience of various clinical situation’,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Regret for practice’, ‘Pride in specialized nursing’, ‘Fear of future nurse role’, and ‘Ambivalence about working environment of intensive care unit’. It is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by strengthening linkag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for critical care nursing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evidence based practice and critic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