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시민의식에 따른 유이시민교육 요구도 분석
윤갑정(Gabjung Yoon), 손환희(Hwanhee Son)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시민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시대․사회적 맥락 속에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시민의식 수준에 따른 유아시민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산 및 경상도에 거주하는 2-5세 유아의 부모 226명으로부터 4개 변인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으로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검증, Borich 공식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시민의식 수준에 따라 유아시민교육이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얼마나 중요하게 그리고 얼마나 잘 실행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시민교육 내용 영역에 대해 Borich 요구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산출한 결과 자타 문화 이해, 인간의 존엄성, 합리적 의사결정, 공익과 공공선, 합의 도출 과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 인간의 존엄성이 부모의 교육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시민교육 문항별 내용에 대해 Borich 요구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산출한 결과 인권이 가장 높은 순위인 반면, 규칙이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 최우선 순위로, 평등과 공정, 인권, 자율성, 사회 정의, 의견의 다양성 등이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시민의식에 따른 유아시민교육에 대한 Borich 요구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산출한 결과 시민의식 상위 집단에서 자타 문화 이해가 나타난 반면, 시민의식 하위 집단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 최우선 순위로, 시민의식 상․하위 집단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평등과 공정, 인권과 자율성이 포함된 인간의 존엄성을 우선순위로 고려한 교육내용과 가정과 교육기관이 함께 실행하는 유아시민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arents’ needs in citizenship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arental citizenship in social contexts with a high need for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from 226 parents of young children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A SPSS 21.0, paired t-test, Borich reques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ve categories and 17 cont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t and practice levels. 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Borich request scale,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wa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rational decision making, public interest(s) and common good, and the mutual agreement process. The highest parental need for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human dignity. Second, the highest priority regar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using the Borich request scale was human dignity, and the lowest priority was rules. The order of priority of parents’ needs for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equality and justice, human dignity, autonomy, social justice, and diversity of opinion. Third, 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Borich request scale, the high citizenship and low citizenship groups respectively perceive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human dignity as a priority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first priority need was human dignity among all parent groups, regardless of the citizenship level.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content about human dignity should include justice, equality, human rights, and autonomy. Additionally, family-preschool cooperative practice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ere discussed.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시민의식과 유아교육공동체 역량과의 관계: 시민교육 중요도와 실천도의 이중매개효과
노진형,정계숙,손환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시민의식과 유아교육공동체 역량과의 관계에서 시민교육의 중요도와 실천도의 이중매개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부산 및 경상도에 거주하는 2-5세 유아의 부모 226명을 대상으로 4개의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으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과 Process macro 4.0을 활용한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시민의식, 유아교육공동체 역량, 시민교육 중요도와 실천도 간에 모두 보통 이상의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시민의식은 시민교육 중요도와 실천도의 이중매개역할을 통해 유아교육공동체 역량에 영향을 미치며, 시민교육 실천도를 통한 단순 매개 경로의 효과가 시민교육 중요도를 포함한 이중매개경로의 효과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시민교육 중요도의 단순 매개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시점에 부모역량 강화를 위해 부모 시민의식과 함께 가정에서 실천하는 유아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부모교육과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이 민주시민교육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
손환희(Son, Hwan-Hee),노진형(Noh, Jin-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민주시민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총 275명을 대상으로 시민의식 척도와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척도, 민주시민교육 실행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시민의식, 첫째,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과 민주시민교육 실행도를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재, 유아교사의 시민의식은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과는 .52~.56, 민주시민교육 실행 요인과는 .33~.42, 그리고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과 민주시민교육 실행 요인 간에는 .34~.57 범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민주시민교육 실행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의 설명력은 33%이며, 특히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 중에서 동반자 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하위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민주시민교육 역량 증진을 위해 교사가 갖는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하는 교사의 실천행동이 중요함을 알게 해주었으며, 구성원 간의 따뜻하고 긍정적인 관계가 강조되는 교육공동체 구축을 지원하는 교사 민주시민교육 및 유아교육기관 컨설팅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n implemen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scales for checking three factor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ree factors at a higher level than normal. Second, the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of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ory power of teachers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n the degre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ation was 33%.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ub-factors for the performance of the partner role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for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is, implications were provided o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each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consulting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 teacher s capacity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예비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 요구도 분석
김은나(Kim Eun Na),임영심(Lim Young 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세계시민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구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8년 6월에 D와 C시에 소재한 3,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 인 예비유아교사 456명을 대상으로 세계시민의식의 4개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설문조사하였으며, 2018년 8월에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요구분석에서의 우선순위결정방안에 따라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심층면담은 전사하여 개방코딩 후 심층코딩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세계시민의식의 지식영역은 교육요구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계시민의식의 기술과 태도영역은 전 학년에 걸쳐 골고루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권에 대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교육 요구도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세계시민의식의 실천의지영역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육요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는 세계시민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식과 기술 중심의 교육보다는 능동적 시민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실천 중심의 가치교육으로서의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Global Citizenship by grade level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roviding the dire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which is validate global citizenship. The subjects are 45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Early Child Education at 3,4 year college, university located in D and C city and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as analyzed with systematic procedure to set priority of needs based upon the paired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and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by in-depth coding after open co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area of the global citizenship s consciousness decreases as the grade goes up. Second, technology and attitudes area of the global citizenship was found to be evenly required throughout the entire grade level. Third, the needs on willing to act as a global citizen increase as the grade goes up. Fourth, an early childhood teacher was positively aware of the need for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and they prefer a program based on practice-oriented value education.
김은나(Kim, Eun-Na),임영심(Lim, Young-S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모형을 개발하고, 예비적용과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통해 적합성을 검증받아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세계시민교육 모형의 효과검증을 위해 A광역시에 소재한 S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1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같은 학교 예비유아교사 46명과 동일지역에 위치한 Y대학 예비유아교사 45명은 각각 비교집단 1,2로 선정하였다. 처치의 경우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계시민교육 모형과 유인물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모형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1에서 15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총 132명의 예비유아교사에 대한 세계시민의식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 중다공변량분석(one-way M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세계시민교육 모형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ode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verify its effects through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a teaching model was draf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focus-group interview.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pre-application and process of validation for compatibility in order to develop final model.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eveloped curriculum, 132 3rd yea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S 3-year college located in A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41 in an experimental group, 46 in a compare group #1, and 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Y college located in the same city in a compare group #2. As for the treat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sing handouts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veloped from this study were performed i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e group #1 for 15 weeks. Pre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all 13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one-Way MANCOVA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program to examine differences among these groups. The findings show tha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positive effects on pre-service teachers’ global citizenship.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상옥,손은령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implication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developing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 total of 32 participants,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mparison group for pre- and post-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were tested, and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for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has the potential to cultivate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Also, it is expected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so that teachers can plan and operat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for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본 연구는 유아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개발하고 교육적 효과와 시사점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시 유아교육기관 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5명 총 32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세계시민의식을 검사하고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세계시민의식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계획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세계시민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변화과정
김은나 ( Kim Eun-na ),임영심 ( Lim Young-s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orming process and changing aspect of the global citizenship acume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4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The course consisted of fifteen weeks.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various data from classroom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global citizenship course were able to develop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bsequently they aptly reflected their awareness of global citizenship in their practice of teaching profession, as they progressed into the care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apply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예비유아교사의 시민의식이 민주시민교육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희영,이지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4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patterns of civic awareness and teaching proficiency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onnection between civic awareness and teaching proficiency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226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 3-year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ivic awareness and teaching proficiency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marginally higher compared to the average level.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ivic awareness and teaching proficiency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urthermore, the relative impact of teaching proficiency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n civic awarenes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consciousness of rights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among the sub-variables of civic awareness.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e civic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capacity to teac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it is a characteristic and direction of action as a democratic citizen.
문화예술 기반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민주시민의식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시영,남기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학논집 Vol.28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e and arts on young children’s democratic citizen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From October to December 2019, 38 five-year-old children (1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mparative group) from two kindergarten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13th class program,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between-group differenc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e and arts,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an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al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score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respect for others,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 spirit of complian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self-perception, self-regulation, and control of other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however, but the perception of oth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s indicates that an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e and arts has an educational effect on young children’s democratic citizen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refore, this study hold significance as it supports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by showing the significance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using culture and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