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성호 ( Sung Ho Kwon ),박선희 ( Sun Hee Park ),유숙영 ( Sook Young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우선, 창의성 및 미디어 교육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창의성 정의와 요인을 찾아내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 방법은 미디어에 노출, 미디어 작품 감상, 미디어 내용 분석, 미디어 제작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학습활동으로 언어 및 신체 표현, 그리기, 만들기, 역할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는 유치원 교사 2인이 참여하였다.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는, 서울 S유치원 6~7세 유아 16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즐겨보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주제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유아의 관심 주제에 따른 교수자료와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적용과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7세 20명에게 적용하여 관찰 결과에 따라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제로 구성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은 각각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특성들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들이 직접 미디어 제작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dia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we derived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and analyz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learners. Second, we derived design principles of a media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reativity based on eigh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a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based on the designed framework. The framework of this program is focused on drawing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that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lready have. The factors can be extracted when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re exposed to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and movement in the media. And children learn to appreciate media works, discuss their thought with friends, and produce thei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ccording to the diverse features of media that more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based o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hird, the media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ir own media.

      • KCI등재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STEAM 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문명화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는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융합인재교육(STEAM)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문헌 및 자료수집, 현장조사를 통하 여 유아의 자유놀이에 STEAM기반 스마트 앱을 활용하기 위한 내용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에 개발된 ‘Free Play’ 앱을 설치하고 자유놀이 시작, 중간, 종료 단계에서 유아의 놀이에 대해 교사와 유아가 상호작용하는 교수전략이다. 이러한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핵심인 자유놀이 시간에 교사와 유아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전략이자 공학 과 교육이 융합된 발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추후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앱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는 단초 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using smart apps that supports free play of children based on STEAM education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ntents for using smart apps based on STEAM education for children's free play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d data collection and field surveys in related fields, and a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is. This program is a teaching strategy in which teachers and children interact at the start, middle, and end of free play using the ‘Free Play’ app installed on a smartphone.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sing smart apps that support children's free pla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improves the self-regulation of children. This study is a teaching strategy to support both teachers and children during free play time, the co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ed and applied the program with the idea of convergence of engineering and education, and hopes that it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revitalizing education using smart apps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윤갑정(Yoon, Gab-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1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연수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국내 요구도 조사와 미국 현지조사가 실시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수프로그램의 틀과 구성방향을 도출하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최종 다문화 유아교사연수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수프로그램의 목적은 다문화 역량있는 교사의 다문화교실 만들기로,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다문화 역량강화, 문제해결력 증진 및 실천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을 하위목표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다문화교실 만들기를 위한 여섯 가지 학습주제로 나누어졌으며 이에 대한 여섯 가지 학습문제는 문제중심학습방법을 통해 실시하고 평가는 교사, 유아, 학부모, 기관장의 평가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실 만들기를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이후 교사연수프로그램 운영과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for developing mode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researches in the USA and Korea. The program frame and guidelines were established by analysis of researches in the USA and Korea. Finally, the program model of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as developed after experts group discussion. The program model was as follows: At first, the program goal was making the multicultural classroom by teacher with multicultural competency. Second, the objectives were multicultural empowerment of teacher, enhancement of problem-solving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for practice. Third, the contents are consisted of six learning topics and they were implemented by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Forth,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apply multiple assessment method by teacher, children, parents and director. The program model was for supporting of making the multicultural classroom and it gave some implication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pre-service teacher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유아 나라사랑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유은정,정희정 한국보훈학회 2014 한국보훈논총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of early childhood patriotism education program availab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fter the objectives of education was set up based on rec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selected as well. A program model wa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and Taba(1962)'s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nd Yoo Sun-young(2014)'s process of development and Ha Mi-kyung(2014)'s process of development were all combined with some modifications to finalize a process of development: literature analysis, survey on the state and needs, program construction, expert consultation and final development of program model. An early childhood patriotism education program model was developed in the above-mentioned process. The educational object of this model was to provide patriotism education for preschoolers to foster their spirit of love for the nation, and it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emes: education about national symbol, history, traditional culture, national unification/security, national identity, great Korean people, national pride and practice of love for the nation. According to the semest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ll the education is conducted in the form of a systemized yearly program 16 times in total, twice each in March, April, May, June, September, October, November and December.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cooperative learning by theme- based projects, edutainment-aided learning, hands-on learning by paying a visit to local community and home-assisted learning by task assignment are introduced, and the selec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websites, local community and picture books related to the selected themes. Finally, a qualitative evaluation is implemented to find out the level of changes in preschoolers' spirit of love for the natio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ir works, interview videos, reflective journal and home assignments are all collected for analysis.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patriotism education and attempted to develop a program model. 본 연구는 향후 미래를 짊어질 유아들이 국가에 대한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아 나라사랑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 유아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토대로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과정으로 프로그램의 모형을 구성하고, Taba(1962)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절차와 유선영(2014), 허미경(2014)의 개발절차를 결합·수정하여 문헌고찰, 현황 및 요구조사, 프로그램 구성, 전문가 협의, 프로그램 모형 최종 개발의 과정을 확립하였다. 개발된 유아 나라사랑교육 프로그램 모형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나라사랑 교육을 통해 유아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함양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국가상징 교육, 역사 교육, 전통문화 교육, 통일안보 교육, 국가정체성 교육, 국가위인 교육, 민족 자긍심 교육, 국가사랑 실천의 주제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교육내용은 유아교육기관의 학기와 연계되어 3, 4, 5, 6, 9, 10, 11, 12월에 각 2회씩 총 16회의 체계적인 연간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② 교수-학습방법의 경우 교수-학습과정에는 주제 중심의 프로젝트를 통한 협동학습, 에듀테인먼트 활용학습, 지역사회탐방을 통한 체험학습, 과제부여를 통한 가정연계학습이 포함되고, 교수-학습자료로는 인터넷 홈페이지, 지역사회, 주제관련 그림책이 포함된다. ③ 본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유아들의 나라사랑 정신 함양에 있어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적 평가로서 유아들의 작품, 인터뷰 녹화 영상, 반성적 저널, 가정에 부여된 과제 모두를 수집하여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모형개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프로그램 모형 적용에 따른 교육운영의 효율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교사효능감을 중심으로

        강혜경(Kang, Hye-Kyeong),문혁준(Mun, Hyuk-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11월 18일∼12월 5일까지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 요구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2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 요구도는 주 1회, 의사소통과 감정 소진 및 감정 치유에 관한 교육 내용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은 의사소통과 감정 소진 및 감정 치유의 교육 내용과 주 2회의 8주, 총 16회기로 구성하였다. 구성한 교육프로그램은 아동학과및 유아교육학 관련 총 4인의 전문가에게 검증받았으며, Tyler(1949)의 합리적 모형을 참고하여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 평가의 4단계로 개발하였다. 2020년 1월 2일∼3월 6일까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1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SPSS 23을 이용하여 윌콕슨의 대비된 쌍의 부호 순위 사전-사후 z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10명은 교육프로그램 참여 이후 의사결정 참여 효능감, 교수효능감, 지역기관 연계 효능감, 가정연계 학습 환경 조성 효능감 모두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이후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 면담을 실시한 결과, 더욱 향상된 수준의 지식과 방법을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는 인식의 형성과 반성적 사고의 함양과 자아성찰, 자기계발의 계기, 협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은 더욱 전문성 높은 교사로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 교육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사회적 역량의 함양과 반성적 사고를 증진해 더욱 성숙한 교수자로 변화시킨 의미 있는 교육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developed social capital education programs and verified their effectivenes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of infant teachers. From Nov. 18 to Dec. 5, 2019, a survey was conducted on 324 infant teachers working a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to identify the demand for social capital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of conducting technical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3, the demand for social capital education programs was once a week, with the demand for communication, emotional exhaustion and emotional healing. The social capital education progra m consists of 16 sessions, eight times a week,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emotional exhaustion, and emotional healing.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social capital education program has been verified by a total of four infant and infant education experts. From January 2 to March 6, 2020, the social capital education program was verified for 10 infant teachers in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social capital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of Wilcoxon s post z-testing of contrasting code ranking pairs using SPS 23, all ten experimental groups have improved to a considerable level, including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teaching efficacy, local institutional linkage efficacy, and effectiveness, after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실태조사

        박은주(Park eun ju),노명희(Roh myo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여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생태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 생태유아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 하는데 있다. 본 조사의 설문지는 2018년 1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23일까지 M시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이 중 172부를 회수하여 93% 의 회수율을 보였다.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생태유아교 육으로 방향전환을 해야 한다는데 대체적으로 동의하는 편이었다.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방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이 많은 경향이었다. 둘째, 생태유아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모든 문항에서 비교적 높았다. 셋째,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하기 위한 선결요건으로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과 유아교육기관 및 주변 환경 여건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타나는 경향이 었다. 넷째,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연수경험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았지 만,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주변 여건이 높은 편이었다. 전체적인 실시나 일부분만 실시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 앞으로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lutions to them by investigating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educa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ogram. Of 185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17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93% of collection rat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17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 city wa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eachers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to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awarded relatively high marks on most of the item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hird, the teachers answered prior-requisites to fulfill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the program, and the betterment of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Fourth,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dn t had training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y answered that the circumstances for the education is not equipped. There were more teachers who responded that their institutions implemented the education entirely or partially than those who answered that their institutions had never done it. Therefore, it means tha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a promising future.

      • KCI등재

        유아를 위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은님(Go Eun-N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에 기초한 유아 교회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프로그램 실행, 평가 및 수정, 보완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구성된 프로그램을 k교회 만 4, 5세 유아들 15명과 그의 부모들 15명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구성된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신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들과 유아들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구성 절차를 통해 완성된 유아를 위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목표는 첫째 하나님을 알아간다, 둘째 하나님을 경험한다, 셋째 하나님을 믿는다, 넷째 예수님의 십자가 구원을 알고 믿는다. 다섯째 예수님의 제자가 된다. 여섯째 긍정적 자아를 기른다, 일곱째 다른 사람을 존중한다이다. 교육내용은 성경 내용에 기초하여 8가지 주제로 선정, 구성되었다. 활동방법은 성경이야기와 관련된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성경이야기 듣기, 성경 암송, 기도, 찬양, 공동체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교육자는 유아교육전공자로 교회학교 유아교사 경험이 있는 자이며 운영대상은 교회에 소속된 만 4, 5세 유아들과 그 부모들이었으며, 활동시간은 매주 1회 9주간 총 9회 운영되어지고, 1회기 운영시간은 1시간 40분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program to manage a Christian Church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First, a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was then applied in the field. 15 young children(4 years and 5 years) and their parents(15) in K church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 results were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for children. All children and par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Christian Church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delineated as follows. The objectives had two main point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e," and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and m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ctivities were included in the program, such as Bible story telling, memorizing the words in the Bible, free play, prayer, worship, large group activities, and so on. Children who were involved in Sunday school and their patents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1 hour and 40 minutes every week for total of 9 sessions.

      • KCI등재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순환(Kim, Soon-hwan),정혜욱(Chung, Hoe-wook),김희영(Kim, Hee-young),김태영(Kim, Tae-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및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차시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소개 및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이론적 개념으로 구성되 었으며 이를 토대로 차시에서는 현장 적용을 위한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차시에서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실제에 대해 알아보고 차시에서는 가정과의 연계방법에 대해 탐색해 보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강의 토론 발표 협동학습 워크숍 및 동영상 시청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평가를 위해 저널쓰기 계획안 작성 브레인스토밍 역할극 등을 통해 학습자 간 교육내용을 재구성 및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를 위한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본 프로 그램을 통해 유아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유아 교사의 역량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nd the survey of the teachers’ needs on the program, which was conducted with 278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rogram is composed of five sessions. Sessions 1 and 2 include the introduction and th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ssions 3, 4 and 5 cover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teachers. In particular, sessions 3 and 4 deal with the integration of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 into Nuri Curriculum. Session 5 shows the ways to bring home as a partner of this program. In term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e use lectures, discussions, presentations, cooperative learning, workshops, and watching video clip. For the evaluation, we adopt self-checklists, role-plays, journals, lesson plans, brainstorming and individual feedback.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pecified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 expect this program would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running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윤갑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과 문화적 역량, 원격교육 교수학습모형에 대한 문헌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전문가 자문과 예비유아교사 대상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초안이 개발되었다. 1차 개발된 웹기반 프로그램은 인터넷 다음카페를 통해 개설하여 예비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예비적용을 실시한 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완성되었다. 최종 완성된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목적으로, 하위목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문화적 공감능력,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증진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K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예비유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총 12주 동안 다음카페에서 실시되었으며 동일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20명이 통제집단으로 선정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습주제별 강의동영상을 시청하고 토의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교육효능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비유아교사의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은 예비, 현직 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교육 효능감 증진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describes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web-based program for improvement cultur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I discussed experts and surveyed also demand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or web-based cultural competency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opened in Internet Daum Cafe site and 15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pilot application for 8 weeks. Finally, the web-based cultural competency program was complicated which goal of cultural competency improvement and objectives is includ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al empathy,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improvement. 28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at D university, K city joined the program in online website(http://cafe.daum.net/ccpt) for 12 weeks. The participants watched the online lectures and joined the discussion about main topic.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teachers' cultural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I used a pre-post two-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28 experimental group, 20 comparing group) and covariat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experimental group teachers' cultural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It implicated that the web-based cultural competency program could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for improvement of cultural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 KCI등재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기반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언진(Kim, Eon-Jin),김병희(Kim, By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이론적 기반을 둔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교육현장 적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S시에 소재한 J유치원과 C유치원 만 5세 37명을 대상으로(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8명) 2017년 7월 3일에서 9월 29일까지 12주 동안 24회에 걸쳐 실시하고 본 연구자가 제작하고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기반한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내용으로 도덕적 인지, 도덕적 감정, 도덕적 행동의 세 가지 하위 요인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가능하며 앞으로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기반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유아의 인성 함양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ildren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ckona’s theory of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and verify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in children education. For this, 37 children (19 in experimental group, 18 in comparative group) at 5 years of age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J kindergarten and C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of Gangwon Province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24 sessions from July 3rd to September 29th, 2017 (12 weeks) were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using a tool self-developed and modified for this study. The study found that the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ckona’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had a positive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 character, and more specifically, on the three sub-factors of moral knowing, moral feeling and moral action as well.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licable on practical fieldwork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is hoped that the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ckona’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can be actively carried out to promote the character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