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를 적용한 주택문화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주택문화관의 전시연출방법을 중심으로

        윤수미,박찬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1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가 급속도로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이로써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로 주거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주택문화에 다양한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기업들은 주택문화관을 선보이며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기술력 우위성을 부각시키는 등 과거의 역할과 기능에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주택문화관의 유비쿼터스 구현은 기술전시를 목적으로 한 미래주거공간의 나열식 체험으로 국한되어 나타나고 있다. 급변하는 디지털 문화의 흐름 속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극시키는 공간으로 기계와 인간,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주택문화관 자체의 유비쿼터스 구현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적용한 미래주택관을 통해 홈 네트워크 제공 서비스와 환경적 컨텍스를 중심으로 현 주택문화관의 전시연출에 대해 살펴보고 전시 연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유비쿼터스를 적용한 주택문화관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In Korea, a lot of apartment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to solve house shortage problem, and they have evolved. In accord with changing in life style, the perception of housing altered and diverse properties in housing culture appeared. Therefore, enterprises are showing housing culture gallery in order to express brand image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However, recently rising ubiquitous housing culture gallery materialization is limited to experiencing future living space aimed for technology exhibition. When we look closely at housing culture gallery exhibition production methods, they are exhibition productions limited to experience of guide.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examine current housing culture gallery exhibition production methods focusing on home network provision service and environmental context through future housing gallery applied with ubiquitous environment and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find a way for ubiquitous environment applied housing culture gallery by understanding problems in exhibition production.

      • KCI등재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50대와 60대의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류혜지(Hye Ji R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유비쿼터스 주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주택에는 다양한 디지털 계획 요소가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노인과 예비 노인들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하여 50대와 60대의 집단 간 선호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미래 주택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본적이고 필요한 연구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5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한 선호 특성과 두 집단 간의 선호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를 거쳐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0대와 60대는 모두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60대는 안전성의 욕구, 생리적 욕구, 자아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사회적 욕구의 순서로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50대는 60대와 다르게 사회적 욕구가 자아실현의 요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32가지의 항목을 전체적으로 보면 50대와 60대 모두 가스누출감지, 화재감지, 침입·도난방지 순서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60대는 주택규모, 50대는 컴퓨터 사용 수준에서 가장 큰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다. 반대로 선호도 차이가 가장 없는 것은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에서 60대는 성별이었고, 50대는 주택 형태였다. 본 연구 결과, 연령에 따라 선호 특성이 다르다는 것이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에서 디자인 요소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We live in an aging society, the ubiquitous housing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derly`s life. There were differences about the preference of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housing according to res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ference and to grasp the difference of the fifty and sixty about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fty and sixty have high preference of the planning elements in the ubiquitous housing. The preference of the sixty about the planning elements in the ubiquitous housing showed safety need, physiological need, esteem need, self-actualization need, belonging need in order within the Maslow`s need hierarchy. The preference of the fifty showed safety need, physiological need, esteem need, belonging need, self-actualization need in order. Second, Gas leak perception, fire perception, invasion-robbery prevention service were in order about the 32 planning elements of ubiquitous housing for the fifty and sixty. Third, they were the highest difference of the preference in the house size for the sixty and computer using level for the fifty.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of the preference in the gender for the sixty and house type for the fifty. Finally, it i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about the preference according to age. And it must consider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 and preference for the ubiquitous housing.

      • KCI등재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 요구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류혜지 ( Ryu Hye-hi ),이연숙 ( Lee Yeu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심층적인 주거 욕구에 기반한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 요소를 추출해 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근거이론적 접근 방법에 따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삶의 질과 주거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신체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의 순서로 파악되었다. 둘째, 머슬로우의 욕구 5단계 중에서 생리적 욕구가 가장 컸으며, 안전의 욕구, 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존경의 욕구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재 건강하고 배우자와 같이 사는 경우에는 지금 살고 있는 주택에서 거주하기를 원했고, 아프거나 혼자 살게 된다면 생활의 편의를 위한 다른 주거 형태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유비쿼터스 기술과 유비쿼터스 주택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 후에는 aging-in-place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주택이 좋다는 의견들이 대부분이었다. 다섯째, 근거이론에 따른 접근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유비쿼터스 주택에서 지원받고 싶은 서비스 항목을 머슬로우의 욕구 단계인 생리적 욕구, 안전성의 욕구, 사회적 욕구, 자아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에 따라 13개로 하위주제를 분류하고 66개의 서비스 아이템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서비스 요소는 유비쿼터스가 하나의 트렌드로 보편화될 미래 주택에 고령 소비자 요구를 배경 특성에 따라 더욱 정교하게 파악하여 시대에 적합하고 차별화된 주택 신상품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a range of aging-friendly ubiquitous home services based on need of the elderly. Research method employed was deep interview with elderly, possible aging-friendly ubiquitous services base on the need were search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life quality of elderly were health, economy and social relationship in order. The second, elderly had physiological needs, security needs, affiliation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esteem needs in order within the Maslow`s need hierarchy. The third, when elderly were healthy, they would like to live in their own houses. In case of, however, they are sick, elderly want to live in an alternative house. The fourth, after explanation about ubiquitous home, elderly would like to live ubiquitous home which could support the aging-in-place. The fifth, using ground theory approach, 15 categories and 70 special items of ubiquitous services were extracted and arranged according to 5 types of Maslow`s needs. This service can be used as a pool to more elaborately fined elderly need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and backgrounds to develop aging-friendly house products in more strategic way. In future society, where ubiquitous service will be a general, major design trend.

      • KCI등재

        생활 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공간별 선호 특성

        류혜지 ( Ryu Hye-j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주거환경 개발을 위하여 현대 노인의 생활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유비쿼터스 계획 요소 요구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현재 50대와 60대의 생활 유형은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8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모두 낮은 유형 8이 가장 많았고,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모두 높은 경우인 유형 1이 두 번째로 많았다. 둘째, 생활 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계획 요소 요구 순서를 파악한 결과, 침입 도난방지, 가스누출감지, 화재감지, 자동세탁, 건강 체크, 냉난방 조절, 지능형 욕조, 자동 청소, 지능형 운동기구, 가전기기 원격제어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공간별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 요구 순서를 파악한 결과, 거실에서는 환기 조절, 침실에서는 냉난방 조절, 부엌에서는 요리지원, 욕실에서는 높이조절 세면대, 현관에서는 침입 도난방지가 1순위를 차지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유형에 따라 유비쿼터스 주택에서의 공간별 계획 요소에 대한 요구 순서가 다름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를 개발할 때에는 거주자의 생활 유형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주거 디자인을 제안할 필요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preference about planning elements for aging-friendly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s review and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fifty and six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eight lifestyles according to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of surveyed people. Type 8 which was the lowest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peopl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percentage in eight lifestyle types. Second, the results of the demands on planning elements for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type were security, gas leakage perception, fire control, automatic washing, health check, air-conditioning control, intelligent bathtub, automatic cleaning, intelligent sport outfits, home instrument remote control as in order. Third, the results of the demands on planning elements for ubiquitous home in the living room, ventilation control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Air-conditioning control was found the most demand in the bedroom, cooking support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in the kitchen, height control washstand was found the most demand in the bathroom, security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in the entrance.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needs according to surveyed people`s lifestyle type. It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of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me and prepared with individualized strategies for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유비쿼터스 주택의 거주자 행위 기반 알고리즘 연구

        송정화(Song Jeong Hwa),오건수(Oh Kun Soo),최인호(Choi In Ho) 한국지적정보학회 200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인공지능기법 중 규칙기반추론, 사례기반추론, 패턴기반추론 개념을 이용하여 거주자의 행위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시스템화함으로써 거주자 행위 기반 유비쿼터스 주택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기본 틀로 행위와 공간 이동, 서비스 패턴을 조합한 라이프패턴의 개념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agent별 알고리즘을 통해 거주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 본 논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lgorithm of Ubiquitous House based on the huma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oncept of Life Pattern is proposed. 2) Rule-Based Reasoning, Case-Based Reasoning, and Pattern-Based Reasoning are use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3) the basic logic of each Agent’s algorithm is suggested.

      • 예비고령자의 유비쿼터스 주거시설 선호도 분석

        노영학(Young hak Noh),허련(Heo Ryou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1 한국전자통신학회 학회지 Vol.5 No.1

        예비고령층은 자녀와 가까운 도시의 독립된 공간에서 경제적 주도권을 가지고 고령자를 위한 전용주택에서 신변상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계획된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안에서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고령인 공동교류 공간을 선호하고 있으며, 고령친화주택과 융합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의 유비쿼터스 주택유형의 주거공간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Preliminary older the child, and near the city's independent space and economic leadership has for the elderly-only housing on the personal safety and health for the planned ubiquitous housing environment in the active and aggressive goryeongin common exchange space preferences, and elderly-friendly housing and Fused a variety of lifestyle ubiquitous housing type is necessary to develop the residential space.

      • 유비쿼터스 주택을 위한 센서기반 상황인지 추론 시스템 관한 연구

        이현수(Lee Hyun-Soo),이주현(Lee Ju-Hyun)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and Internet has changed the society and the economy activity with the human life style. Also, there are raising various changes at a hous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se changes, New concept at a housing environment is needed. This research is about the methods in making computers understand the situation in regards to interaction between House and Human. In this paper, house is the ubiquitous housing, as a future house, adopting ubiquitous computing presenting the interrelation of human and house. And the Sensor-based Context Aware Inference System is proposed to embody the ubiquitous housing.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systematize the context in the ubiquitous housing and suggest a theoretical basis to embody the ubiquitous housing interacting between the House and Human for residents' needs and personalized services. E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Sensor-based Context Aware Inference System using Pattern Driven Inference(PDI), Rule Driven Inference(RDI) and Case Driven Inference(CDI). Through these concepts, this research will suggest how to systematize, control and manage the context at home. In the end, it is expected to offer a theoretical basis to embody the intelligent house and apply an environment design communicating between the computers and human.

      • KCI등재

        단독주택 거주 노인의 주택개조 요구에 관한 연구

        하해화(Ha, Hae-hwa),권오정(Kwon, Oh-J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2

        Korea is a fast growing aging society. Growing older population causes various social issues and problems in many aspects. Housing issue is one of them and residential modifications for improving safety and independence for older residents are very important factor for Aging in Place. Under those social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idential modification demand by the elderly on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home services. Respondents were the residents those who were over 55 years old, were living in a singe detached house and were able to use a comput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n current situations and demands for residential modifications showed that respondents already made mean of 4.9 home modification items and wanted to make mean of 12.4 items out of 21 residential modification items. The results on demands for the ubiquitous home services was relatively high(mean 3.82). This study can be an important information which is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effective residential modifications for older population to help them ultimately safe, convenient, and independent living.

      • KCI등재

        우리나라 아파트건축에 있어서 유비쿼터스의 활용에 관한 연구

        남해경(Nam Hae-Kyeong),최현주(Choi Hyun-Ju),이웅구(Lee Woong-Gu)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practical use of ubiquitous equipment in the Apartment houses in Korea and propose its direction of future lives. To carry out this study the contents of advertisement of 5 daily newspapers those are published since 2003, apartment model houses that is built and the future housing exhibition hall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analysis are the those are related with ubiquitous, the techniques of them and the degree of those practical us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the advertisement that related with ubiquitous in apartment houses begins from 2004 in daily newspapers and they are increasing steadily. The contents of them are mainly building automation control system, the daily life service system, security service system. The ubiquitous system that equipped in the apartment model houses are automation control system, the daily life service system and etc. Those of the future house exhibition hall are the building automation control system, the daily life service system, the security system and etc. As this paper the ubiquitous system in our daily life, they are general in our daily life.

      • KCI등재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주택의 상호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한 연구

        이현수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10

        This paper presents notion of digital house, as a future house, emphasizing on developing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of digital house In this paper, digital house integrates physical smart house and virtual digital house adopting ubiquitous computing It discusses two different user interface physical space-based user interface and virtual space-based computer user interface To connect these interfaces, physical sensors and virtual sensors are considered E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uter user interface of digital house based on virtual reality model The main issues in computer user interface are ways of information display and control of architectural elements in house For visual presentation of house information, this paper uses two different color mappings positive color mapping and negative color mapping Implementation processes of interactive user interface are described Finally, this paper demonstrates the computer user Interface of virtual digital house through the example The example shows various interior images of digital house with color combinations obtained by color mapping corresponding to various temperature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potential of the digital house and concludes that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is an essential element for developing the digital house for the future 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