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유람의 유행에 따른 문화촉진 양상

        이상균 ( Sang Kyun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80 No.-

        국내의 경승을 유람하는 풍조는 조선중기 이후 급속하게 성행하여 주목되는 문화 현상으로 부각되었다. 유람은 단순히 산수를 완상(玩賞)하는 현상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문화현상을 촉진시켰다. 본 논문은 유람의 유행으로 인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문화촉진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유람의 유행은 유람기록의 양적증가를 가져 왔다. 유람자들은 유람내용을 기록으 로 남겨 향후 유람의 도구서가 될 수 있게 하였다. 문인들은 문예취향의 독서물로 애용하며 와유(臥遊)를 즐겼다. 평소 염원했던 유람을 이루면 기록으로 남겨두고 유람시의 감흥을 두고두고 느끼고자 했다. 전대부터 누적되어온 유람기록은 후대로 갈수록 유람을 더욱 유행시키는 전거(典據)가 되었고, 유람의 유행은 또 다시 많은 유람기록을 양산시켰다. 유람은 유람기록의 양산과 더불어 紀行寫景을 유행시켰다. 17세기 이후 유람의 붐이 조성되면서 유람기록의 작성과 함께 기행사경도 제작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산 수를 감상하고 즐기는 방식에 그림의 활용이 증가한 것이다. 기행사경도는 글이 표 현하지 못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화면(畵面)에 담아냄으로써 와유체험 도구로 수요가 증가 하였다. 유람을 기록하는 사경(寫景)의 방식이 글과 그림으로 함께 나타나게 되었다. 국내의 경승 곳곳에 현전하는 수많은 각자(刻字)들도 유람문화가 남겨놓은 문화적 산 물이었다. 경승에 각자하는 풍조는 조선시대 이전에도 있어왔으나 그리 유행하지 않았다. 국내 경승에 방대하게 남아있는 각자 대부분 조선중기 이후의 것이다. 조선후 기로 갈수록 유람자가 늘어남에 따라 경승지에 새긴 글씨들이 누적되어 이름난 장 소에는 일찍부터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글씨들이 빼곡히 새겨졌다. 유람지에 각자 하기 좋아하는 마니아들이 있을 정도로 각자가 유행하였다. 각자의 풍조는 조선중기부터 유람의 유행과 함께 더욱 성행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striking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and traveling at that time. The travel in the Joseon dynasty brings the increase of the record about traveling. Those who traveled around the nature remained the record about contents of traveling and it serves as a tool which can be referred, so many people referred it. Also it made many people use a book when they imagine traveling(臥遊). In order to remember the memory about traveling, they wrote the poem about traveling whenever they traveled around the country and wanted to feel the memory all the time. These records play a significant role in making travel popular and it makes the increase of recording. The popularity of traveling fosters painting touristic images(紀行寫景). Some noble tried to draw the picture while they were traveling. After 17C, drawing picture about traveling was increasing because people want to remember it instead of writing. Landscape is the most prefer thing among the noble because it was easily used for imagination. Some people was drawing the picture and writing the records. This is trend of after 17C among the noble. There are also so many sculpted worlds(刻字) in the country and it is still remaining. Each people remained artificial sculpted words while they were traveling. It had been remain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was not popular in that time. Most words in the country wer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countless sculpted words in the most popular sites and there were also mania in the specific site which was came from the mid-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시대 遊覽傳統에서의 人物名所 烏竹軒의 탄생

        이상균(Lee, Sang-Kyun)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1

        조선시대에 크게 유행했던 유람문화는 사대부들의 대표적 풍류였다. 사대부들은 유람에 나서면 유람지에 있는 명현의 자취를 찾아 답험하였다. 이것은 사대부 유람 속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한 전통이었다. 이러한 전통 속에서 당시 학파의 종장으로 추앙받던 이황 · 조식 · 이이 등의 인물과 관련된 장소인 청량산 · 지리산 · 오죽헌 등은 당대의 인물명소로 부각된다. 경상좌도의 청량산은 이황, 경상우도의 지리산은 조식이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었다. 그리고 이 곳을 중심으로 영남학파가 형성되었고, 영남사림들은 두 산을 성산으로 여겼다. 이에 비해 오죽헌은 이이가 태어나고 유년시절을 보낸 곳이긴 하였으나 그곳에 머물면서 후학을 양성하여 그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주류 학파가 형성된 곳은 아니었다. 오죽헌이 인물명소로 탄생하게 되는 데에는 청량산이나 지리산과는 다른 장소적 의미와 동기가 있었다. 오죽헌은 관동유람의 유행과 함께 인물명소로 지명도가 높아지기 시작한다. 관동지역의 금강산과 관동팔경의 수려한 경승은 사람들에게 동경의 대상이었고, 많은 이의 유람을 발행시켰다. 이러한 유람문화의 기조와 유람 중 명현의 유적 답험이라는 전통 속에서 유람객들이 관동유람 중 관동팔경의 하나인 경포대 지근거리에 있는 오죽헌을 방문하는 사례가 증가한다. 오죽헌 방문 성행의 실증적 사료는 오죽헌 방명록인 『심헌록』이다. 여기에 기록된 방문자들 면면에 오죽헌의 방문동기가 파악된다. 방문자 대다수는 봄과 가을 관동유람 중 오죽헌을 방문하였다. 방문추이를 보면 18~19세기 방문객이 가장 크게 증가한다. 이 시기는 조선시대 유람이 가장 성행하였고, 금강산과 관동팔경이 유람지로 각광 받았다. 오죽헌의 방문객 증가와 관동유람의 유행 시기는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심헌록』을 통해 오죽헌은 관동을 유람하는 많은 사람들의 방문과 함께 18세기에는 인물명소로 크게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정조가 오죽헌에 관심을 보였고, 이이의 유품에 어제어필 한 이후 강릉을 찾는 유람객들의 오죽헌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다. 사람들이 오죽헌을 찾는 근본적인 목적은 이이에 대한 추숭이었지만, 관동유람의 성행은 오죽헌 방문객 증가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했고, 유람객들로 인해 오죽헌은 세간에 더욱 알려지면서 인물명소로 재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실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심헌록』인 것이다. Travel which was famous in the Joseon Dynasty was taste for the arts of nobility. They searched trace of public figure in tourist attraction. This was a commonness tradition in their travel. In this tradition, Mt. Chungryang, Mt. Jiri, Ojukhen related public figure Lee-Hwang, Cho-shik, Yi-I who was reverenced the founder of school reliefed as Personal attractions. Lee-Hwang taught younger students in Mt Chungryang in Gyeonsang Provinces and Cho-shik taught younger students in the Mt Jiri. And Yeongnam academic groups was formed surrounding two mountains. Yongnam-Sarims(嶺南士林) thought it was a holy place. On the other hand, Ojukhun is the place where Yi-I was born and spent his infant period but the place is not the place where there was a big school like two mountains. Comparing two mountains, Ojukhun was born as personal attractions. The Ojukhun was famous for person attraction with the trend of trave Gwandong. Mt. Geumgang and Gwandong-palgyung’s picturesque scenary in Gwandong district was object of admiration and many people started to travel this place. In this tradition of searching the trace of public figure during the travel and the travel of keynote, the event of visiting Ojukhen near Gyeongpodae which was one of Gwandong-palgyungs(關東八景) is increasing. The positive historical records of visiting Ojukhen is Ojukhen visitor’s book (『尋軒錄』). Visitants in this book showed the reason why they came to Ojukhen. Most visitants visit Ojukhen during the travel of Gwandong. The development of visiting is very high during the 18~19C when was that the travel was the most famous and Mt Geumgang and Gwandong-palgyung has the spotlight of tourist attraction. The increasing of visitant of Ojukhen has the same way of the time of Gwandong’s traveling trend. Through Ojukhen visitor’s book, Ojukhen was reliefed as the personal attraction in the 18C with tourist’s frequent visiting. Specially, King Jeong-jo showed interest of Ojukhen and the interest of tourist’s visiting of Ojukhen was more high because King Jeong jo’s sent his writing with Yi-I’s keepsake. The fundamental object of searching Ojukhen is reverence of Yi-I, but the travel prevalence of Gwandong was the motive of increasing visitant of Ojukhen, Because of them, Ojukhen was reborn as a personal attractions.

      • KCI등재

        선인들의 산수유람에 나타난 사찰과 승려의 역할

        육재용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9

        The temple of Joseon Dynasty is a cultural heritage, an object of sightseeing, a space for tourists room and board, an accommodation for public officials travelling on official business. The temple played the part of an entertainment spot and the pleasure visitors carved their names on the structure of the temple as a token of remembrance. Moreover, the pleasure visitors appreciated surrounding landscape of a famous mountain during their stay at a temple and the poor reality of a temple made the administrators realize their responsibilities. The monk of Joseon Dynasty treated the sightseers at a temple and acted as a tour guide for them. The monk carried a palanquin(sedan chair) for tourists in a mountain and played a role of an entertainment assistant to provoke merriment for tourists. The monk carved the name of tourists on rock and sometimes told their fortune and became a cultural heritage commentator for them. Also, the monk confirmed an image of meditation, abstinence, and purification and had a coordinative relationship of exchanging poetry or debate with tourism gentry at the times. 조선시대의 사찰은 문화유산으로서 유람 대상 그 자체였으며, 유람객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공간이었고, 공무여행 중인 관리들에게는 숙박 장소를 제공하였다. 또한 사찰은 사대부 유람객들이 산수유람을 하다가 산중에 머물 때 조용히 독서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고, 때로는 유람객들의 유흥 장소 역할을 했으며, 유람객들의 이름을 새기는 제명처(題名處)로 사용되었다. 사찰은 유람 현지에서 와유관광(臥遊觀光)을 할 수 있는 장소 역할을 했고, 사찰 관련 연기(緣起)가 사대부 유람객들에게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며, 곤궁한 사찰의 현실은 위정자들에게 책임의식을 일깨워 주었다. 이어 승려는 사찰 내외에서 유람객들을 접대했고, 유람객들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했다. 승려는 유람객들의 남여(藍輿)를 메는 남여승(藍輿僧) 역할과 유람객들의 흥을 돋우는 유흥의 도우미 역할을 했다. 또한 승려는 유람객들의 이름을 바위에 새겨주었고, 때로는 유람객들에게 점을 쳐 주거나 문화관광해설사 역할을 했다. 승려는 위험한 지역 통과 시 유람객들에게 안전중시의식을 심어 주었고, 사대부들에게 유람 관련 정보를 전달하였다. 끝으로 승려는 유람객들에게 좌선(坐禪) 정진하는 승려의 참모습을 확인시켜 주었고, 유람객들과 시를 주고받거나 심도 있는 주제로 문답․토론을 하며 대등한 교유 관계를 맺기도 했다.

      • KCI등재

        朝鮮時代 遊覽을 통한 士大夫의 交遊樣相

        이상균(Lee, Sang-Kyun)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6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유람을 통해 교유했던 부류를 僧侶·門人·其他知人등 크게 3부류로 분류하여 그 교유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대부들이 주로 찾던 유람처는 산이었으므로, 가장 많이 만난 方外人은 승려였다. 유람 중 승려들의 많은 도움을 받았고, 유람기록에도 많은 승려의 이름이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대부들은 불교의식을 폄하하고 비판했다. 그러나 유람 중 승려를 만나 교유하기 좋아하는 사대부들도 있었다. 유람 중 作詩를 잘하는 승려를 만나면 서로 酬唱하며 교유하였다. 학식 있는 승려와는 儒?彿道에 대해 담론하며 학문적 견해를 나누기도 했다. 산중에서 면식 있는 승려를 만나면 매우 기뻐하며 소회를 나누었다. 유람은 괴리감을 가지기 쉬웠던 儒·佛者들 간의 소통과 교유를 이끌어 내는 문화행위 중 하나였다. 사대부들은 유람을 기회로 같은 學脈을 가지고 있는 지역 문인들을 만나기도 했다. 이는 淸凉山과 智異山유람자들의 교유관계에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조선시대 청량산과 지리산은 嶺南士林들이 가장 많이 찾는 산이었다. 청량산은 退溪李滉이, 지리산은 南冥曺植이 후학을 양성한 곳으로 이들 학맥의 발상지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영남사림들이 先學의 자취를 찾아 학문을 기리기 위해 자주 찾아 유람하고, 지역의 선후배 門徒들을 만나 교유했다. 이밖에 金剛山과 開城등의 장소도 사대부들이 유람을 위해 자주 찾던 곳이었다. 교유양상이 사승관계에 얽힌 학맥적 특징이 뚜렷하지 않지만, 이곳의 유람을 통해 많은 지인과 교유관계를 맺고 있다. 유람지에서 주로 벗들을 찾아보고, 유람의 큰 조력자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지방관들을 만나 교유하였다. 또한 지인이나 족친들과 유람을 계획하여 함께 동행하면서 회포를 풀며 親交를 더욱 돈독히 다졌다. 조선시대는 교통편이 편리하지 않았고, 통신수단이 부족하였다. 지인이나 族親들과의 교유는 주로 서신을 통해 이루어졌다. 유람은 평소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과 대면하여 소통하고, 교유하는 방편 중의 하나였다.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a social intercourse patterns of Sadaebu(士大夫) through their traveling. As for it, it seems to diverse activities but this thesis will divide three kinds of them such as monks, a teacher and pupil(門人), acquaintance(知人). Among them, Sadaebu meets monks many times because they almost travel to the mountain. When they go to the mountain, their aid is needed. Thus it is the dispensable relationship between Sadaebu and monks. According to Sadaebu’s documents, there are many Monk’s names. Most Sadaebu voiced their criticism about Buddhist’s ceremony and look down on them but some of them are in favor of meeting monks. When Sadaebu meet monks who write the poem very well, they get along with them by receiving and giving their poems(酬唱). Also when Sadaebu meet monks who have a special academic knowledge, they talk each other by giving their idea about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y are very delighted when meeting monks that they already knew and easily talk to them about their internal emotion. And Sadaebu encounters a district’s scholar in same school during this traveling. This is the special relations between them in the Mt.Chungryang (淸凉山) and Mt.Jiri(智異山). These mountains visited most of the Joseon dynasty, Youngnam-Sarims(嶺南士林). Mt.Chungryang the Toegye(退溪) Lee-Hwang (李滉) and Mt.Jiri the Nammyeong(南冥) Cho-Shik(曺植) is originated from the former and it is the cradle about that. Therefore the Youngnam-Sarims often travel the area in order to find out ancestor’s philosophy and admire them, even see their senior and junior scholars. In addition, the area such as Mt.Geumgang(金剛山), Gaeseong(開城) is the most memorable place for Sadaebu. Even if their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m is not evident, they get along each other by this traveling. During this traveling they can meet their acquaintance and the governor who can help their traveling. Moreover, they can be more familiarized with their relatives by planning to play with them. The main method to commute their relatives and friends is to write the letter because the transportation is ba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is lack of the communication method. Thus going traveling is one of the vehicles about contacting the people who don’t have chance to commute.

      • KCI등재

        조선시대 關東遊覽의 유행 배경

        이상균(Lee, Snag-Ky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에 양산되는 수많은 유람 기록들을 통해서 알 수 있다. 壬辰倭亂과 丙子胡亂이 끝난 17세기 후반에 들어서면 유람 풍조가 급격하게 성행하기 시작해 18세기 주목되는 하나의 일반적인 유행이 되어버렸다. 교통의 발달과 선대의 山水遊記를 참고하는 등 유람 정보의 섭렵이 쉬워져 유람 계층은 일반인들에게 까지 널리 확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 속에서 가장 많은 유람객이 찾던 곳이 관동, 즉 지금의 강원지역 이었다. 특히 금강산과 關東八景이 대표적 유람 명소였다. 금강산은 수려한 景勝뿐만 아니라 산속에 담겨있는 풍부한 문화유산과 歷史事蹟 으로 인해 고려시대부터 유람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금강산이 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불교적 명성으로 유명해 졌지만, 경승 자체로도 국내에서 가장 수려한 지역이었다. 금강산의 웅장하고 기이한 형상으로 인해 사람들로 하여금 보고자 하는 흥미를 유발시켰고, 유람지로는 선망의 대상이었다. 금강산 유람을 평생의 소원으로 간직한 사람들도 있었다. 사람들은 금강산을 조선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축척된 보고로 생각하고 생애에 꼭 한번 유람해야 할 곳으로 인식하였다. 유람객들은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내재해 있는 역사적 사실들을 考究하며, 경치를 즐기고 심신을 수련 하였다. 고려부터 조선 전시기에 걸쳐 禮佛과 유람을 위해 찾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국내에서 단연 으뜸가는 유람의 장소가 되었다. 한편 관동의 동해안에 자리 잡은 명승지인 관동팔경이 유람지로 각광받게 되었다. 관동팔경은 중국에서 유입된 팔경문화의 유행으로 정형화 되었다. 한국의 팔경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16~17세기 초 文人들의 인식 속에 관동팔경이 형성되고 정형화 되어 조선의 명승지로 널리 膾炙되었다. 개인 文集 등에 기록된 관동팔경을 살펴 본 결과 모두 강원도 동해안인 嶺東의 14개 장소가 나타난다. 제시하는 사람들마다 보고 인식하는 관점에 따라 팔경의 선택은 차이가 있지만 모두 영동의 경승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관동팔경의 경치를 극찬하며 가보고 싶은 유람의 명소로 꼽고 있다. 이 때문에 금강산과 관동팔경은 문인들의 문학작품 속에도 다채로이 표출되었고, 眞景時代의 화가인 謙齋 鄭敾을 필두로 당대 대표적 화가들 대부분이 유람하고 그림으로 남기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들 중 유람기와 조선후기 유행하였던 기행사경도의 주제가 주로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중심으로 한 강원지역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도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地誌의 遊覽詩 수록의 문화사적 의미

        이상균(Lee, Sang-kyun)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4 No.-

        이 글은 조선후기 地誌에 詩의 수록양이 대폭 증가하고, 대부분이 유람시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지지에 유람시가 수록되는 원인을 고찰하여 봄으로써 그 문화사적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지지를 전부 살피지는 못하였으나, 조선후기에 편찬된 『關東誌』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가 처음 수록되는 지지인 『 新增東國輿地勝覽』과 수록양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관동지』 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보다 5배 이상 많은 시가 수록되고, 이 중 유람시가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지지는 전통적으로 史書로 분류되어 왔다. ‘文史一致’의 측면에서 文士들은 文에서 제일로 여기던 시를 통해 역사를 살필 수 있다는 ‘詩史一致’ 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사서로 인식한 지지에 시를 수록하여 史實을 보충하고자 했다. 특히 현장을 직접 답사하거나 유람하고 창작한 현장감 있는 유람시를 적극 수록하였다. 또한 유람시 수록은 지역문화에 대한 자긍심의 표출이었다. 인물조를 통해 지역의 顯達한 인물들을 직접적으로 소개했지만, 지역을 詠嘆의 대상으로 삼은 유람시를 수록하여 유명한 인물들이 다녀가고 시를 통해 찬양한 지역임을 소개하고자 했다. 지지의 중요 편찬목적 중 하나는 지역의 산천과 형승, 문물을 소개하는 것이다. 시는 산수를 묘사하고, 그것이 담고 있는 의미 또한 부각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문예작품이었다. 유람시 수록을 통해 지역의 산수가 불러일으키는 감흥 등 그 특징을 다양하게 나타내고자 했다. 그리고 지지는 유람정보를 사전에 습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산천조에 기록되어 있는 산수의 형상과 수록된 유람시를 통해 누가 어느 곳을 주로 유람하고 어떤 감흥을 느끼고 갔는지를 사전에 파악하였다. 즉, 지지에 유람시를 수록하여 지역의 유람정보를 소개하였다. 이는 당시 유행했던 유람의 욕구에 부응했던 것이기도 하다. 조선후기로 갈수록 전대에 누적된 시가 많아지기는 하나 지지에 유람시가 대폭 수록되는 것은 그 이전 지지편찬 양상과는 다른 가장 큰 변화였다. 文의 제일인 시가 수록됨으로써 지지는 인문적 기술이 더욱 풍부해진 인문지리서의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유람시는 지지의 讀史적 측면을 보충하고, 지역을 다양하게 소개하고자 한 지지 편찬목적에 부합되는 문예물로 적극 활용되었다.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meaning of cultural history by studying the reason why people recorded a travel poem in a geography book as there were increasing many poems in a geography book and they were travel poems. Although this thesis cannot find all of poems, but this thesis studies comparing the example between 『Gwandongji』 and 『shinjeung-Donggug-Yeojiseungram』 . As a result, poems in the gwandongji has five times as much as them in the 『shinjeung-Donggug-Yeojiseungram』 and there were the 70% of poems in the『Gwandongji』 . A geography book has been classified as history book. As literature is history, writer had a conception that poem is history and they contained poems in the history book in order to add historical fact. Specially they actively added the travel poems when they go to the ourdoor activity. Also containing the poems was the expression in the area culture. Although they directly introduce the celebrity by using the contents of people, they also tried to introduce the area where famous people stayed by reciting a poem. One of the object of publishing is to introduce the picturesque of mountain-stream and the culture. The poem is a literary work that can bring into relief. By containing the poems, they tried to express the character that mountain-stream was made. And the geography book was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hat people can earn the knowledge of that. People used the poems in order to study the people of feeling in the area. This facts were addressed need. Change was to contain many poems in the geography book in the late Joseon when considering the before. By containing the poem that literature is the est, the geography book became the anthropogeography-book. The travel poems was actively used in order to adding the historical contents in the geography book and widely introducing the area. It met a need about of publishing the book.

      • KCI등재

        18세기 연행록(燕行錄)에 나타난 관광용어(觀光用語) - 《노가재연행일기》와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하재철 한국중문학회 2016 中國文學硏究 Vol.0 No.62

        本論文的硏究目的在於分析朝鮮18世紀代表性燕行錄金昌業的《老稼齋燕行日記》·洪大容的《湛軒燕記》及其朴趾源的《熱河日記》等作品中所使用的觀光用語進而考察當時的遊覽觀光狀態和遊者的遊覽觀光意識形態. 通過分析, 洪大容的《湛軒燕記》是以記事體的型式來記錄事件的本末, 作爲本論文的分析資料不구充分, 因此以編年體型式撰寫的《老稼齋燕行日記》與編年體、記事體混合傳記體型式撰寫的《熱河日記》爲重點進行了分析. 《老稼齋燕行日記》中使所用的觀光用語中有‘觀, 望, 見, 觀光, 看, 視, 遊覽, 遊人, 遊山’等詞彙, 其中‘觀, 望, 見’等詞彙的出現頻率較高. ‘觀’是指觀光時遊人有意識地針對人文景觀進行細微的觀察, 是按照計劃進行的傳統意義上的遊覽觀光行爲, 不僅有遊者的觀察同時也包括中國當地人對朝鮮使行團(朝鮮使行團遊覽形態與其服飾文化)的相對觀察.‘望’指遊者的遠距離眺望, 針對大規模景觀且指定方向的人文景觀進行觀察的觀光行爲.‘見’指遊者的遠距離眺望, 但却是無意識的望見(如對地形的觀察), 此類詞彙常與有關時間及方向的動詞相結合.‘觀光(觀光、觀光者、觀光胡人)’主要出現在針對文物制度(如朝鮮使行團的出行與服飾)、淸朝的國家制度(滿族男性義務騎馬)及民間市場的觀察, 但出現頻率不高. 《熱河日記》作品中的旅程與《老稼齋燕行日記》較相似, 但應該觀注的是其觀光用語的使用更加多樣具體。作品中所出現的雙音節以上的詞彙有‘觀光上國, 觀光, 遊覽, 觀玩, 遊賞’, 單音節詞彙有‘觀, 翫, 玩, 見, 行’等詞彙, 其中使用頻率較高的詞彙爲‘觀光上國, 觀光, 遊覽’, 義指傳統意義上的遊覽觀光。 ‘觀光上國’多用于朝鮮使行團遊覽中國的文物制度與景觀, ‘觀光’多用于朴趾源赴淸國所描繪的遊覽觀光傳記.‘遊覽’一詞多用于遠距離、較長期間且大規模的遺址.

      • KCI등재

        조선후기 사족(士族)의 산수유람기에 나타난 승려 동원과 불교 전승 비판

        이경순 ( Kyung Soo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사족(士族)의 산수 유람은 조선후기에 크게 유행하였다. 조선후기 사족 유람자들의 원거리 여행에서 산중 사찰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사찰은 유람자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며 유람을 지속하게 하였다. 더 나아가 사족 유람자들은 사찰에 거주하는 승려들을 산수 유람을 위한 노동력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승려들은 지로승(指路僧), 남여승(藍輿僧) 등으로 불리며, 사족들의 여행을 위해 동원된 조력자로서 기능하였다. 한편 유람은 사족층이 생활공간에서 멀어졌던 불교와 접촉할 기회가 되었다. 유람 과정에서 이들은 산이라는 공간이 불교적 지명과 전승으로 채워져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람자들은 이에 의문을 제기하고 산 공간에 대한 불가의 독점을 깨뜨리려 하였다. 그 대표적인 활동이 산의 지명 바꾸기와 불교 전승 비판이었다. 그러나 사족 유람자들이 비판을 위해 언급했던 ``황탄한`` 불교 전설들이 사족층이 남긴 수백편의 유람기록들에 의해 널리 알려지고 현재까지 전승되었다. 또한 불교측은 유람자들의 질책에도 불구하고 불교 전승 말하기를 계속하였고 때로는 유가측에 대응하여 새로운 전승을 만들기도 하였다. 조선후기 사족의 산수 유람은 산에서 이루어진 유불의 접촉을 보여주면서 산중 불교의 실태와 그 사회적 위상의 일단을 증언한다. 또한 사족의 유람 기록을 통해 유불의 교유나 침탈이라는 차원을 넘어 산이라는 공간을 놓고 벌어진 담론의 경합, 문화적 지배권의 추이를 주목할 수 있다. Sightseeing travels were boomed among Sajok(士族) in the late Chosun period. One feature of their travels was that Sajok stayed temples in the mountain as base camps of their long-distance travels. Furthermore, they mobilized monks lived in temples as their labor force of their mountain travels. Those monks were called "tour guide monks(指路僧)" and "monks for carrying palanquin(藍輿僧)". Meanwhile, Sightseeing travels of Sajok were chances to meet Buddhist culture in the mountain. During their travels they found Buddhism had colored the space of mountain. Accordingly, they questioned it and tried to break up monopolized discourse by Buddhists in the mountain. They criticized the Buddhist names of mountain peaks and Buddhist legends of historical remains in the mountain. Changing names of places in the mountain and recording criticism about Buddhist legends ensued by Sajok travelers. In response, Buddhist tried to repeat their own traditional narratives and reinvented Buddhist legends. In conclusion, Sajok`s travel documents revealed the role of temples and Buddhist monks in their travels. They testified Buddhist actual conditions and social status in the late Chosun period. Meanwhile, Sajok`s travel for the mountain became a chance to explore the cultural meaning of the space of the mountain.

      • KCI등재

        朝鮮時代 士大夫 遊覽의 慣行 硏究

        이상균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0 No.38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the travel of customary practice that Sadaebu did. They did it with having their objection and justification but there are different practices in the pleasure resort. Sadaebu received entertain from a leader in distract while they were traveling. Because most of them are officer or were officer, they can be warmly received regardless of closeness with the leader. Sadaebu not only can be provided fare(車馬費) and room, board but also even received Korean geisha. Their travel entails entertainment such as alcohol, music. The main purpose of traveling is to avoid habitual behavior so drinking alcohol and having taste of arts is necessary. They even enjoyed entertainment with a court musician and Korean geisha in the temple. Sadaebu pushed Buddhist monks to work for them. It is basic for monks to provide room and board. They played role as a guide while rifting their sedan chair, even played role as a bearer that the slave did. Country people also did fatigue duty. There is harmful effect about farming in the district because most of people work for them. For example, the people who lives in Mt. Kumgang, one of the most popular mountains in the Korea, complain their life because they are always required this duty. Interestingly, they damaged the historic site because Sadaebu visited it many times. They forced them to work in order to enjoy entertainment. Although this tendency has many problems, it had been kept until the end of Joseon Dynasty because it is general custom.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행했던 유람관행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사대부들은 각각의 목적의식과 명분을 가지고 유람을 결행했지만, 그 이면에는 유람지에서 행해졌던 여러 가지 관행이 있었다. 사대부들은 유람을 하면서 지역 守令들의 접대를 받았다. 조선시대 유람객들 대부분은 전․현직관료 출신 사대부였으므로 지방 수령들은 평소 교분과 상관없이 유람객의 지휘고하에 따라 이들을 예우하며 접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수령들은 유람객에게 車馬費와 숙식제공, 술과 기생 등의 접대뿐만 아니라 유람을 함께 수행하기도 했다. 사대부들의 유람에는 술과 음악 등 遊興이 수반되었다. 유람은 일상의 권태로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가 공존하였으므로 술을 마시며 風流를 즐기는 것은 유람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었다. 樂工과 妓生을 데려고 다니면서 산중의 사찰 등에서 질탕한 유흥을 벌이기도 했다. 사대부들은 승려들을 유람사역에 동원하였다. 승려들이 숙식을 제공하고 수발을 드는 것은 기본이었다. 유람객의 가마를 메며 길잡이 역할을 하고, 종복들이 하는 잡다한 심부름까지 해야 했다. 지역민도 유람사역의 동원 대상이었다. 유람객들의 접대로 농사의 시기를 일실 하는 등 지역민의 폐해가 심하였다. 금강산과 같이 유람객이 수시로 찾는 명승지에 사는 지역민들은 자신의 지역에 금강산이 있는 것을 한탄하기도 했다. 유람객 접대가 싫어 유람객이 자주 찾는 유적지를 훼손시키기도 했다. 사대부들은 자신들의 지위를 이용하여 승려들과 지역민에게 유람사역을 시켰던 것이다. 이 같은 유람풍조는 여러 폐단들이 상존하고 있었지만, 조선시대 유람의 일반적 관행으로 굳어져 조선 말기까지 지속되어 졌다.

      • KCI등재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이수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4

        이 논문은 새로운 가사 자료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을 발굴하여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금수강산유람기』는 1990년 8월 만재(晩齋) 주원택(朱元澤)이편찬한 것이다. 크기 가로 19㎝ × 세로 26㎝로 전체 81면에 걸쳐 총 45편의 시가 작품이 수록된 이 자료집은 다시 두 편으로 나뉘는데, 전편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 遊覽記)」는 총 34편의 시가 작품이, 후편 「가사집(歌詞集)」에는 10편의 시가 작품이수록되어 있다. 표기 방식은 한시 작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들이 한주국종체(漢主 國從體)를 사용하였다. 「금수강산유람기」에 수록된 34편의 시가 작품은 기존에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작품들로 이루어졌다. 자료집 편찬자인 만재 주원택의 작품이 31편, 안동 출신김대헌의 작품이 3편이다. 자료집 편찬 시기는 1990년 8월이지만, 개별 작품들을 검토한 결과 창작시기는 1965년~1968년경으로 추정된다. 작품의 내용은 지명을 활용하여 지역의 경관과 풍습을 노래한 <영남지방찬양시>, <호남지방찬양시>, <충청지방찬양시> 등의 지명가사, 명승지를 유람하고 쓴 <금강산풍경가>, <경주유람>, <관동일대탐승기> 등의 기행가사, 윷·화투 등 놀이를 소재로 삼은 <척사판론>, <화투가>, <담배노래> 등의 놀이·유희류 가사가 있다. 표현 방식은 이중자의(二重字義)의 중의적 표현을 활용한 언어 유희적 성격이 강하다. 후편 「가사집」에는 1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는데, 모두 새로운 작품들은 아니다. 유교적 도덕관을 담은 <각세가>, <도산가>가 있고, 가창 장르인 <강촌별곡>, <적벽가>, <충효곡> 등의 잡가·단가로 구성되어 있다. 『금수강산유람기』는 근·현대시기 새로운 가사 자료집 출현과 30여 편에 이르는 새로운 가사작품을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1960년 이후의 가사집 생성과향유 양상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자료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introduce a new modern collection of gasa, Geumsugangsan Travelogue . Geumsugangsan Travelogue was edited in August 1990 by Manjae(晩齋) Ju Won-taek(朱元澤). This book, which contains a total of 45 siga works across 81 pages(19cm × 26cm),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of Geumsugangsan Travelogue contains a total of 34 siga works, and the second part, Gasa Anthology, contains 10 siga works. In composition, most of the works except those in classical Chinese used the Chinese-dominant-Hangeul-subordinate style. The 34 siga works included in Geumsugangsan Travelogue consist of new siga works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noted in academia. There are 31 works by Manjae Ju Won-taek, the editor of the book, and 3 works by Kim Dae-heon from Andong. The collection was compiled in August 1990, but a review of the individual works suggests that they were composed around 1965–1968. The works include place-name gasa such as “Yeongnam region praise-poems,” “Honam region praise-poems,” and “Chungcheong region praise-poems,” that sing of the scenery and customs of the region using place-names; travel gasa such as “Geumgangsan Punggyeongga,” “Gyeongju Travel,” and “Gwangdon-area Tamseunggi”; and play-game gasa such as “Cheoksapanron,” “Hwatuga,” and “Tobacco Song” that take games such as yut and hwatu as the subject matter. In the way of expression, it has a strong character of play on words using ambiguous expressions of blending characters (二重字義). A total of 10 works were included in the sequel Gasa Anthology, not all of which are new. There are “Gaksega” and “Dosanga” that convey Confucian morality and Japga-danga such as “Gangchonbyeolgok,” “Jeokbyeokga,” and “Chunghyogok,” which are song genres. Geumsugangsan Travelogue is significant as a collection of about 30 new gasa works composed in the modern-contemporary period that are valuable by confirming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the Gasa Anthology after 196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