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제작교육에 있어서 연기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에 관한 연구

        류훈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2

        In the early days of film education, theater and film were not separated but bound to one depart- ment, and integrated education was provided. Then, it has undergone a major change since the mid-1990s, which is very rela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Korean films since the 1990s. As the in- dustrial possibilities of film opened and the producer system took over, the number of universities ed- ucating film across the country increased exponentially as the production system was systematized un- like before. Moreover, Chung-Ang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which previously established theater and film departments, also separated theater education and film education. Accordingly, the- ater majors and film majors were distinguished in the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and schools were established to establish independent departments such as theater/film departments or acting/film departments from the beginning. Film education was named by various names such as film major, film major, film major, film department, and film art department, and depending on the internal circum- stances of each university, plays are grouped with dance or musicals, and movies are taught with ani- mation or broadcasting. During this process, acting education is mainly dedicated to the theater de- partment for various reasons, and the film department opens and educates subjects related to production.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acting education in the theater field no longer covers all parts of camera act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rapid development of camera tech- nology and grip equipment, sound/recording technology, and revolutionary changes in CG and VFX technology. In addition,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 lack of acting education in film education in universities are also long-standing concerns of film professors. For this reason, there is also a fre- quent problem that acting skills are not achieved at all in students majoring in directing. When direct- ing a short film, it is common for the director to rely entirely on the actor's acting skills to watch as they act and shout "Okay!" if they do not miss their lines or stutter. In this situ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expect that directing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of the film department, will be prop- erly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he necessity of acting educa- tion based on the film curriculum of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suggest alternatives. 영화교육의 초창기에 연극교육과 영화교육은 분리되지 않은 채 하나의 학과에 편제되어 통합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교육 형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큰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는 90년대 이후 한국영화산업의 비약적 발전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영화의 산업적 가능성이 열림과 동시에 프로듀서 시스템이 자리를 잡아가며이전과 달리 제작시스템이 체계화되면서 교육기관의 관심이 집중되었고 이에 따라 영화를 교육하는 대학의 수는 전국적으로 매우 빠르게 늘어났다. 이 추세를 반영하듯 기존에 연극영화과를 설치하고 있던 중앙대, 동국대등에서 연극교육과 영화교육을 분리하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연극영화과 혹은 연극영화학부라는 전통적인 학부(과) 체계가 급변하면서 연극전공과 영화전공을 구별하여 각자의 교과과정을 구축하거나, 처음부터 연극과/ 영화과 혹은 연기과/영화과로 나누어 독립된 학과를 설치하는 학교들이 생겨났다. 각 대학들은 영화전공, 영화영상전공, 영화과, 영화예술학과, 영화영상학과 등의 이름으로 편제하여 영화교육을 시행하였고, 내부적 사정에 따라 연극은 무용이나 뮤지컬과 함께 무대예술교육으로 묶이고, 영화는 애니메이션이나 방송과 함께 통합하여 영상예술교육의 형태로 묶이는 등, 전통적인 이름으로 존재해온 ‘연극영화과’는 다양한 분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연기교육은 주로 연극과에서 전담하게 되고, 영화과에서는제작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여 교육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영화기술의 발전, 가령 카메라 기술과 각종 그립장비(grip equipments) 등의 비약적 변화, 음향/녹음 기술의 성장, CG와 VFX 기술의 혁명적 성장 등에 의해 더 이상 연극분야에서의 연기교육이 카메라 연기의 모든 부분을 커버하기에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뿐 아니라 각각의 고유한 매체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연기술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을 도리 또한 없다. 또한 대학에서의 영화교육에서 연기교육을 결여할 때 생기는 다양한 문제들 역시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영화 교수자들의 고민이 되었다. 영화제작교육을 진행하다 보면 연출전공 학생들에게 출연 배우들에 대한 연기세공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사실을 빈번하게 경험하게 된다. 단편영화를 연출할 때, 연출자가 오롯이 배우의 연기력에 백퍼센트 의존하여 그저 그들이 연기하는대로 지켜보고나서 대사를 틀리거나 더듬지 않으면 그냥‘오케이!’를 외쳐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영화과의 가장 중요한 교육 중 하나인 연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관련 전공을 설치한 전국 대학들의영화교육과정을 토대로, 교과목 현황과 연기교육의 반영 정도를 분석하고, 그 필요성에 대해 근거를 통해 설명한 후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 - < 서편제 >를 중심으로 -

        박기범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0 No.-

        이 논문은 〈서편제〉를 예로 삼아 소설과 영화를 통해 서사 교육을 할 때 필요한 교육 내용과 활동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위상을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서편제〉의 원작소설과 각색 영화를 이야기 측면과 담론 측면으로 나눠 비교하는 활동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현행 교과서에서 〈서편제〉를 제재로 이뤄지고 있는 학습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마지막으로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과 문학 교과서는 아직까지 영화를 본격적으로 교육해야 할 내용으로 상정하지 못한 까닭에, 학습자들이 영화를 텍스트로 삼아 영 화의 본질과 소통 원리에 대해 배우지 못하고 지금과 같이 교육의 목표와 제재가 시나리오인지 영화인지가 불분명한 상태로 어정쩡하게 영화를 다루게 되었다. 이제는 학습자들의 작품 수용의 실제 맥락을 고려해서 시나리오뿐만 아 니라 예술의 완성 형태인 영화를 문학교육의 대상 텍스트로 삼아야 한다. 또한 학습의 내용과 활동이 지나치게 ‘이야기’ 에만 편중되어 있는 현재의 실정을 반성하고, ‘담론 에 대한 학습을 확대하여 보다 폭넓고 심화된 서사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 보다 완전하고 효과적인 서사 교육을 위해서는 이 논문에서 보여준 예처럼 소설과 영화를 함께 활용하여 이야기 비교 활동과 담론 비교활동을 같이 전개하는 것이 하나의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content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narrative education through novel and film, using <Seopyunjae> as an example. Above all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education through novel and film was studied, and the activity in which the original novel and the dramatized film of <Seopyunjae> were compared in aspects of story and dtscourse was given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problems of the teaching of <Seopyunjae> in the current textbook were pointed out. Finally, some desirable ways in the education through novel and film were suggested. Because the 7th curricula and literature textbooks have not consider film as essential contents yet, a lot of learners have not been fully educated about the nature and principles of film and are having confusion whether the ultimate aim of this learning is scenario or film. Therefore the film, the complete form of art, should be the main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a scenario, considering students' way of accepting those works. Also,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contents are overemphasized only on 'story'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contents about 'discourse' should be extended so that more profound education can be practiced. To achieve more complete and effective education of narratives, it will be a good alternative to using both novel and film to manage the comparative activity of story and discourse.

      • KCI등재후보

        교육영화의 이해와 그 글쓰기의 의미

        송희복 한국교육인류학회 2004 교육인류학연구 Vol.7 No.1

        교육영화는 교육을 소재로 하거나 배경으로 삼은 영화 중에서 인간에 관한 진지한 물음을 제기하는 영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교육 영화는 인격과 인간성과 인간의 품위와 이성적인 공동선의 실현 등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교육영화의 유형과 그 성격에 관해 간단히 밝히면 다음과 같다. 교사 소재형 교육영화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를 중심 제재로 삼은 경우의 영화이며, 성장기경험형 및 캠퍼스드라마형 교육 영화는 교육의 대상인 학생이 사건 구조의 중심이 되거나 학교를 배경으로 얘깃거리를 풀어 가는 경우의 영화이며, 문제제기적 대안형 및 반사회적 일탈형 교육영화는 주체·대상 못지 않게 사회적 현실의 장(場)과 의미가 부각된 경우의 영화이다. 본고에서 구체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영화 작품 몇 편을 선정한 바, 장애 소녀를 지도하는 특수학교 교사의 이야기를 그린 「작은 신의 아이들」, 세대와 인종을 초월한 우정을 주제로 한 「파인딩 포레스터」, 한 소년의 선행이 죽음을 통해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내용의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및 그 밖의 몇 편의 한국 영화 등이 그것이다. Educational films are the movies which deal with education that is relevant to humane growth. This notion is, of course, just a provisional term. If it is necessary to add some notional expression and description, educational films are some, that suggest serious questions about human being, in movies which treat education as a material or a background. This thesis is mainly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educational films are divided into five types : teacher material type, growing period experiential type, campus dramatic type, problem-suggesting alternative type and antisocial deviant type. 1 explained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this thesis. Second, Ⅰ analyzed five movies which are regarded as model texts of education-films. The movies are 「Children Of A Lesser God」, 「Finding Forrester」, 「pay It Forward」 and two other Korean movies. Third, Ⅰ think that education-films should not be maintained for simply showing to audience, but be extended into the category of humane studies. The tru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films lies, on one hand, in seriously asking about human being relating to educational problems or in improving the conditions of humane lives in order to make people develop in right ways.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film ecriture is in creatively reproducing meanings by approaching new paradigms of pedagogy.

      • KCI등재

        영화 교육 내용 비교 연구—한국과 캐나다(온타리오 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기범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of Ontario in Canada, which has mainly dealt with the media literacy in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compared it with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in 2015, focusing on contents related to film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search method was focused on content organization and categorization system, introduction time of content, contents factor after sorting film education contents extracted from curriculum of two countries. The native language curriculum in Ontario, Canada,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verbal communication skills set up 'viewing' and 'representing' together with exis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2. "Media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and "Media Studies" in secondary school are important subjects in education. 3. Achievement standards are structured in a very specific way by level. 4. Educational goals and learning contents of “Media Literacy/Studies” are very specific and systematic. 5. The content of the film itself is enriched with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the format, customs,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on 'using' movies rather than 'about' movies. Therefore, in this article, I suggest som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film education contents of our curriculum with reference to Canadian curriculum in order to activate film education. 1. It should be composed of actual film education content to develop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bility about film. 2.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equentiality of contents of education so that contents of film education can be evenly see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3. Make sure that the various cognitive functions are linked to each other as well as the meta-cognitive activities that check and control the effects of each stage of learning. 4. We must also emphasize the activities that produce films. 5.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for film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이 글은 일찍이 자국어 교육에서 매체 문해력에 관해 주요하게 다루어 온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교육과정의 특성을 알아보고, 특히 영화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비교해 보았다. 연구 방법은 두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추출된 영화 교육 내용을 정리한 뒤에 내용 편성 및 범주 체계, 내용 도입 시기, 내용 요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1. 언어적 의사소통 기능으로 기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함께‘보기’와 ‘표현하기’를 설정하고 있다2. 초등학교에서는 ‘매체 문해력’을, 중등학교에서는 ‘매체 학습’이라는영역을 설정하여 매체에 관한 교육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3. 성취기준이 수준별로 매우 구체적으로 체계화되어 있다. 4. ‘매체 학습’ 영역의 교육목표와 학습 내용이 매우 구체적이고 체계화되어 있다. 5. 영화 자체의 형식, 관습, 기법, 특성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풍부하게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영화에 ‘관한’ 교육 내용보다는 영화를 ‘활용한’ 교육 방안 위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영화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캐나다의 교육과정을 참고로 우리 교육과정의영화 교육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1. 영화에 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키우기 위해 실제적인 영화 교육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2. 지금보다 더 이른 시기인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영화 교육 내용을 골고루 접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의 계열성을 확보해야 한다. 3. 학습의 각 단계별로 효과를 점검하고 조절하는 상위 인지 활동과 함께여러 가지 언어 사용 기능들이 서로 관련지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영화를 생산하는 활동도 강조해야 한다. 5. 영화 교육 관련 전문 연구기관을 설립해야 한다.

      • KCI등재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대학글쓰기 교육 모델 연구 - 영화평 협동글쓰기를 중심으로

        황영미,이재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Educat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into smart education environment. Nevertheless, following contents and models of education are not various enough and underutiliz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w education model for college writing education to ease the problem. Since students are more familiar with visual media, the most effective format of writing education could be film review. In this sense,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smart education model through film review writing. A film review can be written in individual, but it can create better effectiveness by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compares two different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one in off-line environment and the other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In off-line education environment, students work through crossing correction. In this case, only students in the same group can share their works while the whole class can share the works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study proposes 4 step-model for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model premised upon the condition that students see the film text before the class. The first step is checking attendance and answering to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using Clickers. For second, students solve pop-quiz which consists of subjective questions. The questions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lass. Third, the instructor leads students to brainstorm using Kakao Talk group chat. In this step, the instructor first suggests one or two topics that can help students to participate in chat. Then let students rais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s by their own. Kakao Talk group chat enables longer conversation and later helps the class share group members’ replies. In class, instructor shares answers for the questions or quiz, and Kakao Talk chat room through screen. Using this, instructor can eval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film text and class. Add on that, students can compare their answers which help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xt. Lastly, complete a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using Google Doc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film review writing on Room (2015), directed by Lenny Abrahamson, through crossing correction and the case of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on Poetry (2010), directed by Chang-dong Lee, using smart devices. Through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the latter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study has a significance in introducing new education model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case using film and smart devices. 교육환경은 스마트 환경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교육콘텐츠나 교육 모델은 다양하게 개발되지 않아 실제 활용도는 낮은 것이 문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 환경에서의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상세대인 요즘 학생들에게 글쓰기 교육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형은 영화평 쓰기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영화평쓰기를 통한 스마트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화평은 개인으로 쓸 수도 있지만, 협동학습으로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으로 하는 영화평쓰기 협동학습과 스마트환경에서로 구분하여 접근하여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오프라인의 경우 영화평을 완성하여 조별로 서로 교차첨삭을 하면서 협동학습을 하는 경우인데, 조원끼리는 공유되지만 전체 수업에서 공유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스마트환경에서는 전체 공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환경 조별 협동 영화평을 쓰기까지 총 4단계로 진행되는 모델을 제시한다. 학생들은 각자 해당 영화텍스트를 보고 수업에 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첫 단계로 수업 시 출결체크와 함께 클리커를 활용하여 객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두 번째 단계로 수업에서 교수자가 설명한 내용을 팝퀴즈를 통해 주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세번째 단계로는 카카오톡 조별 채팅방을 교수가 개설하여 영화평을 쓰기 위한 브레인스토밍을 유도한다. 이 때에 생각해 볼 문제 한 두 문제를 먼저 제시하여 채팅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학생들이 자유롭게 문제도 제시하고 답을 쓰게 한다. 카카오 톡 조별 채팅은 팝 퀴즈보다 조금 더 긴 글로 대화를 하면서 조원들의 답변을 함께 볼 수 있다. 교수자는 전자교탁 pc버전으로 객관식 및 주관식의 모든 답이나 카카오 톡 채팅방 전체를 스크린을 통해 한꺼번에 학생들과 함께 공유하며, 영화 텍스트 이해도와 수업 내용 이해도 평가가 가능하다. 학생들도 동료들의 답과 자신의 답을 비교해 보며 텍스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로는 구글문서를 활용하여 협동영화평쓰기를 조별로 1편 완성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유형으로는 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의 영화 『룸』을 보고 영화평 쓰기 수업과 동료교차 첨삭을 한 협동학습 사례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유형으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의 협동영화평 쓰기를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논문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영화를 통한 협동글쓰기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교육방식을 모색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상의 점화효과(Priming effect)를 적용한 미술교육에서의 영화 감상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전병호,박상돈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8 No.-

        The film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types: film production education and appreciation education. Especially, the film education in art education is mostly being provided in terms of the film production that provides students with film experiences. The purpose of film education is to enable students to solve problems in their lives through films and to actively adapt to changes in the world. This requires film learning to provide an extended educational experience that provides insight into life. In this respect, this paper focuses on the priming effect of video and proposes a instruction method that applies them. The priming effect of video has the educational potential to form comprehensive perceptions for today's students who are indiscriminately exposed to video. In addition, it can function as an efficient appreciation education strategy that can complete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teacher in film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is approach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students to have a comprehensive and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film beyond experiential learning about film. 교육현장에서 영화교육은 영화 제작교육과 감상교육의 두 형태로 구분된다.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은 대부분 학습자에게 영화에 대한 체험을 제공하는 영화 제작 교육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영화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들에게 영화를 통해 자신들의 삶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고 세상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영화학습을 통해 삶에 대해 통찰할 수 있는 확장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영상의 점화효과에 주목하고 이를 적용한 영화 감상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상의 점화효과는 영상에 무분별하게 노출된 오늘날의 학습자에게 포괄적 인지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는 교육적 가능성을 갖는다. 동시에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서 교수자의 교육적 의도를 포괄하는 효율적 영화 감상교육 방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학생들에게 영화에 대한 체험적 학습을 넘어 영화에 대해 심층적 이해와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유아 대상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정아림,신설아,김경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2

        우리 사회는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창의·인성 소양을 함양 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중 하나로 영화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 분야에서 영화교육을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지 고찰해보는 데 있다. 문헌탐색을 통해 초·중등 영화교육의 현황과 우리나라 유아 대상 영화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초·중등은 영화교육 교육표준이 개발되고 다양한 사례가 있었으나 유아교육 분야 의 영화교육은 이에 미치지 못 하였다. 영화를 활용하는 연구는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영화를 감상하는 정도에 그쳤고, 영화를 제작하는 연구는 단순히 동극을 촬영하는 것이었다. 이에 우리나라 유아 대상 영화교 육의 과제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통한 시나리오 작성, 영화감상과 제작을 통한 자기표현, 유아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Our society i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becoming a goal of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order to cultivate future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movie education as one of the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o examine how to conduct movi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movie educati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film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discussed future issues. There were various cases of development of National Film Education Standard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but film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not enough. Research using movies was limited to watching movies at the beginning, and research to produce movies was simply to film the theatricals. Therefore, we proposed the scenario writing through various storytelling, self expression through film appreciation and p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연극영화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유지선(You, Ji-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연극영화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극영화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극, 영화, 진로교육의 교육목표, 내용영역,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으며, Holland 검사의 진로 유형 구분을 참고하여 수업자료를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양적·질적자료를 분석하였다. 양적자료 분석을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질적자료는 학생들의 수업활동지와 수업소감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향상은 ‘태도영역’의 계획성·독립성 2가지, ‘능력영역’의 자기이해·합리적 의사결정·희망직업 지식 3가지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결과, 학생들은 진로계획에서 대학진학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독립성의 정도에 따라 진로선택 및 책임에 대한 태도가 달랐고, 등장인물 직업 분석 및 스토리 창작을 통해 진로·직업 탐색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직업태도(태도영역)’와 ‘정보탐색(능력영역)’의 2가지 하위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아 이에 대한 부분이 프로그램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연구제언으로 일반교과와 연계된 예술 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및 프로젝트 학습법 적용에 대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the job environment is constantly changing, and the talents required by society are changing accordingly. Through career education, students need to learn to be flexible to cope with unexpected events and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work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rama & film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180 students. The study used a mixed-method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re and post test scores in the five sub-domains of students career maturity. However, the two sub-domains (occupational attitudes and information seeking abilities) of career matur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Results of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focused on college admission and formed different attitudes regarding individual independence based on objective evaluation and personal subjective thinking. In addition,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drama & film-related jobs increased. Based on study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expanding and diversifying arts-related care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영화와 종교교육

        申光澈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교육에 대한 영화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의 물음은 다음과 같다. "영화는 종교교육에 유용한 매체인가?", "종교교육에 영화를 활용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종교교육에 영화를 활용함으로써 얻는 유익은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두 가지 작업을 실시하였다. 첫째, 종교계(특히 개신교계)의 미디어-영화 담론을 분석하였다. 둘째, 필자 스스로의 강의 및 연구 경험을 토대로 영화를 활용하는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종교와 영화는 이미지-창출을 통해 상상을 구현하고 현실을 재현한다는 점에서 접점을 지닌다. 이러한 점점은 '종교와 영화' 내지는 '영화와 종교교육'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영화는 또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담지하고 있다. 종교와 영화는 '소통'이라는 점에서도 접점을 지닌다. 오늘의 시대를 일컬어 '이미지의 시대' 내지는 '영상문화의 시대'라고 부른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직면하여 종교계는 전래의 종교교육에 대한 방향 전환의 압력을 받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종교교육에 있어 '구텐베르크의 언어'(문자-택스트)와 '상징적 언어'(영상-텍스트)의 합류를 지향하는 '스테레오 종교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possibility of film as a source of religious education. I ask the following: (1) Is film useful media for religious education? (2) What's the method to use film for religious education? (3) What's the profit by applying film to religious education? For these question, I tried two researches. First, I analyzed the 'discourse on media-film' of religions(especially of the protestant church). Second,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film for religious education by using my experience of lectures and researches. Religion and film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manifest imagination and revive reality through 'image-making'. This common poin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discuss about 'religion and film' or 'film and religious education'. Film also has a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religion and film encounter at this point. Our age is generally called 'times of image' or 'times of visual culture'. At this moment, religions are pressured to change direction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 These days, the necessity of 'stereo religious education' is on the increase. Stereo religious education heads for the junction of 'language of Gutenberg(literal text)' and 'symbolic language(visual text)'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 -목원대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이아람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2 대학교양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을 살펴봄 으로써 영화교육의 확산 형태 를 확인하는 데 있다 . 이를 위해 기존에 연구된 자료를 통해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역할을 확인하고 , 이들 선행연구에서는 영화적 텍스트를 특 정 주제와 관련해서 시각적 흥 미와 관심을 유동하는 기 폭 제로 사용하고 있다 . 이러한 흐름을 보았을 때 , 영화교육의 패 러 다임은 크 게 영화를 통한 교육과 영화에 대한 교육으로 구분 될 수 있다 . 이러한 구분에 따 라 , 목원대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흐름도 이 두 가지 관 점 으로 살펴 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 듯 목원대 교양교육은 영화교육의 두 층 위가 모 두 나타나는 데 유의미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 특 정 패 러다임만 제시된다 면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은 그 균 형 을 잃 게 된다 . 영화에 대한 교과목과 영화를 통한 교과목이 일정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 며 . 그 균형 성을 적 절 하게 유지하고 있다 . 교과목의 수를 넘 어서 각 강 좌 에서 제시된 접 근 방법이 영화를 통한 것인지 , 또 는 영화에 대한 것이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 문이다 . 그리고 각 교과목의 성 격 과 연결 지어 영화를 활용하는 수업에서부 터 , 영화에 대한 이해 , 1 인 미디 어를 제작하는 과정까지 매 우 다양한 영화교육의 스 펙 트 럼 을 보여주고 있다 .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강의계 획 서가 제시된다 면 해 당 강 좌 의 특징 을 이해하는 데 더 많 은 도움이 될 것 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pread of film education by examining the aspects of film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film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data previously studied. In these previous studies, cinematic texts are used as a catalyst to stimulate visual interest and interest in relation to a specific topic. In view of this trend, the paradigm of film educ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eaching through film and teaching about film.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flow of film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looked at from these two perspectives. As if reflecting this trend, it can be said that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meaningful in that both layers of film education appear. If only a specific paradigm is presented, film education loses its balance in liberal arts education. Subjects on film and subjects through film appear in a certain ratio. It maintains that balance properly. This is because, beyond the number of subjects, whether the approach presented in each course is through film or about film is clearly distinguished. In addition, it shows a very diverse spectrum of film education, from classes that use films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understanding films, and the process of one-person media production. And if the syllabus is presented in more detail, it will be mo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