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영일만 해양환경의 특징

        이문옥,김종규,김병국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3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 해양환경과 관련하여 지난 50여년간 발표된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및 과학인용지수 논문 96편을 분석하여 영일만 해양환경의 시대에 따른 변천과정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영일만은 형산강과 냉천 등 하천수 유출과 하층의 해수 유입에 의한 밀도류가 형성되거나 쓰시마난류와 동해 고유수가 유입하여 2층류가 형성되었다. 또한 이들 하천수와 해류가 만내 염분과 수온에 미치는 영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내 표층 흐름은 바람과 해류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조석잔차류는 반시계방향의 순환을 나타내었다. 만내는 포항신항의 고유주기와 유사한 항만 부진동이 존재하고, 특히 영일만 신항 건설 후 일부 구간에서는 파의 진폭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부진동 저감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일만은 포항시와 포항공단, 그리고 형산강 하천수를 통한 질산 질소의 유입 등에 의해 내만을 중심으로 수질 오염이 심화되고 있었다. 퇴적물은 대부분 사질로서 입도 조성은 해안선 부근은 조립질인 반면, 만 중앙부는 세립질이었으며, 이러한 분포는 해저지형과 반시계 방향의 해류 패턴에 의한 것으로 추론되었다. 포항 구항 주변 퇴적물은 중금속 오염이 매우 심각하였으며, 일부 미량 유기화학물질 농도는 저질 가이드라인을 초과하여 저서 생물에 잠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은 규조류가 우세하였으며, 우점종은 Thalassionema nitzschioides와 Leptocylindrus danicus이었다.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와 현존량, 해조류 종수 등은 해에 따라 다소 기복은 있었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출현한 부유성 난이나 자치어를 포함한 어류 중 우점종은 멸치와 까나리이며, 패류 중 우점종은 피조개와 아담스백합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을 비롯한 해조류, 어류 등 생물상(종수, 밀도, 어종 등)은 과거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일부 퇴적물에서 해조류나 어류 성장을 저해하는 다이옥신 유사활성과 발정성의 활성을 나타내는 유기화합물과 내분비계교란물질이 발견되었다. 이들 오염물질 농도는 주로 인간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산업단지와 만내 대도시 주변에서 높았다. 따라서 영일만 생물자원 보전을 위해서는 형산강과 냉천 등 하천수에 의한 오염부하는 물론, 산업시설과 생활하수 유래의 오염물질 유입을 적극 차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천해역으로 확장된 WAM모형에 의한 영일만 파랑모의

        천제호(Chun, Je-Ho),안경모(Ahn, Kyung-Mo),윤종태(Yoon, Jong-Ta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9 No.6

        심해역 파랑모형인 WAM에 쇄파와 삼파 상호작용을 추가하여 모형의 적용영역을 천해역으로 확장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영일만에서의 파랑변형 모의를 수행하였고, 수치모의된 파랑자료는 영일만 입구 1개소와 영일만 내부 2개소의 관측 결과와 양호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수치모의 결과를 보면, 영일만 입구에서 입사되는 파랑은 영일만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의한 에너지 감쇠와 쇄파 작용 등으로 인해 파고의 점진적 감소가 나타나고, 파향은 주로 NE 계열로 입사되어 연안 근처에서는 굴절 효과로 인해 해안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WAM(WAve Model), deep water wave model has been extended to the region of shallow water, incorporating wave breaking, and triad wave interaction. To verify the model, numerical simulation of waves in Youngil bay, Pohang is performed and the simulat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s with measured wave data sets, one station at the mouth of bay and two stations inside the bay. As waves propagate toward the shore, wave height gradually diminishes by bottom friction and wave breaking, and wave direction, initially NE changes normal to the shore due to depth refraction.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역거점항인 포항영일만항과 배후단지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곽동욱,이성우,김아롬,서영준 한국항만경제학회 2022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38 No.1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measures to vitalize the Pohang Yeongil New Port and its hinterlandin the context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To identify appropriate strategies, an SWOTanalysis combined with fuzzy-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applied for strategical priority. Among the SWOT factors, weaknesses and threats were found to be critical. At a more detailedlevel, the strategic priorities were given to insufficient infrastructure (W), neighboring ports (T), insufficientshipping network (W), low service level (W) and South-North Korea relationships (T). Given these results, several strategies to overcome core weaknesses and threats of the PohangYeongil Port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port policymakers.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의 상황에서 포항 영일만항 및 배후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절한 전략을 찾기 위해 SWOT 분석과 결합된 Fuzzy-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전략적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적용하였다. SWOT 요인 중 약점 점과 위협 요인이 포항 영일만항및 배후지역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인프라 부족(W), 인접항만(T), 해상 네트워크 부족(W), 낮은 서비스 수준(W), 남북관계(T) 순으로 전략적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포항 영일만항의 핵심 취약점과 위협을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이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항만을 계획하는 국가에게 포항 영일만항이 처한 외부환경 및 산업요인의 중요도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항만정책을 계획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급이 수요를 창출할 것이란 사고에서 벗어나서 항만이 차별화를 통해 경쟁적 우위를 가질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영일만항의 수출 적컨테이너화물 물동량 전망

        고용기,신정용,김태호 한국유통경영학회 2008 유통경영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동량 전망에 적용한 방법론이 아닌 개별 항만별 예측방법을 적용하여 포항 영일만항을 경유하는 수출 화물 물동량을 전망하였다. 물동량 전망에 있어 기존의 통계적, 계량경제학적인 분석 대신 시스템 분석을 적용하였다. 대부분의 기존연구에서 적용하였던 총량적 접근방법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개별항만의 주변상황이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단지의 현황을 토대로 물동량을 도출해내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는 포항 영일만항을 배후권역으로 하는 수출 화물의 기종점인 배후산업단지의 소요면적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하였다. 이는 수출의 대부분을 창출하는 산업단지의 소요면적을 파악하여 이에 원단위를 적용함으로써 산단별 입출되는 물량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산단별 분양률, 업종비중, 가동률, 그리고 산단별 수출비중을 적용하여 포항 영일만항의 수출 적컨테이너화물 물동량을 전망하였다. 그 전망치는 기존연구들과 비교할 때 상당히 적게 전망되고 있어 해당항만의 물동량 수요 부족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망치와 비교를 함으로써 연구방법론의 다양화와 비교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ake projection of the demand for export loaded container throughput originating at Pohang Yeongil new port in Korea over the period in question. Systematic analysis is used as a forecasting method instead of quantitative analysis. First of all, the method explores coincident indicators which may reflect the square measure of neighboring industrial complexes which originate/destinate general cargo in export traffic trends. It is noted that in terms of the export loaded container throughput, per unit production scale is intermediated transforming from square measure of production facilities to freight weight in Korea. Consequently, the future progress of the volume can be anticipated relying on the development schemes for developing square measure out of the total square of the industrial complexes. Thus, moving-into percentage of the industrial complexes, percentage of business categories, percentage of capacity and percentage of passing through via Pohang Yeongil new port are adopted and the future traffic demand is projected taking advantage of them.

      • KCI우수등재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모니터링을 위한 주파수영역 역시간 구조보정 기반 4차원 시간경과 탄성파 기술의 적용성 검토

        박세은,김대식,오주원,민동주,김병엽 한국자원공학회 2021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8 No.5

        2013년부터 포항 영일만에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 2017년 초 소규모 이산화탄소 주입에 성공하였지만, 같은 해 11월에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인해 모니터링 실증단계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주파수영역 역시간 구조보정을 기반으로 한 4차원 시간경과 탄성파 모니터링 기술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프로젝트에서 계획했던 모니터링 탐사를 가정한 수치모델링을 통해 인공합성 탐사자료를 획득하였다. 이산화탄소 주입을 총 3차로 가정한 속도 모델에서 획득한 인공합성 모니터링 탐사자료에 주파수영역 역시간 구조보정 기반의 4차원 탄성파 모니터링 기술 적용 결과, 포항 영일만 지중저장 프로젝트에서 40개의 수신기를 이용해 설계되었던 모니터링 시스템을 반영하여 주입 이산화탄소에 의한저장층에서의 진폭 변화 감지가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2 geosequestration has been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s a solutio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South Korea, the Pohang CCS demonstration project started in 2013. Although a small amount of CO2 was successfully injected in early 2017, the demonstration stage for geophysical monitoring could no longer continue because of the Pohang earthquake that occurred in November 2017.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4D seismic time-lapse monitoring technology based on frequency-domain reverse-time migration to synthetic 4D time-lapse seismic data considering monitoring acquisition, which is planned for application in the Pohang CCS demonstration project. Assuming that the velocity drops because of injected CO2 in the three monitoring stages, the amplitude variations caused by injected CO2 are detected well using the planned monitoring system in the Pohang CCS demonstration project.

      • 한국 선사문화에서 영일만 암각화의 위상

        이하우 한국암각화학회 2019 한국암각화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한국 암각화에서 영일만 암각화의 고유한 위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칠포리 암각화를 비롯한 영일만일대 암각화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유형적 용어로서 검파형암각 화라는 탁월한 조형물의 성립을 놓고 그것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시각에서 검파형암각화 의 상징성과 함께 유형적 발전상, 원형에 대한 생각을 요약하여 정리하고자 했다. 그런 점에서 칠포리암각화의 고유한 위상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유형적 파급과 관련하여, 확산 되어 가는 과정에서 검파형암각화는 어떻게 동시대인들의 삶의 과정에 기여하였는가 하는 점인데, 그것을 필자는 농경에서 물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기우의례와 관련하여 바라보고자 하였다. 물론 그 결말은 신상화이다. 결국 이상과 같은 의미에서 칠포리암각화라고 하는 지역적 문화현 상은 마침내 확대된 의미에서, 청동기시대 한반도 남부지방의 문화사적 차원에서 하나의 큰 흐 름으로 작용하였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status of the Yeongil Bay area petroglyphs in the field of Korea’s. In order to look at the meaning of the Yeongil Bay petroglyphs, including the Chilpori petroglyph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tylistic establishment of the sword motif petroglyphs (劍把形岩刻畵).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ed the symbolism of sword motif petroglyphs, the stylistic development process, and the prototype. The status of Chilpo-ri petroglyphs needs to be understood how they contributed to the lives of people of that time in the process of spreading rapidly. I would like to look at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itual for stable water supply. After all, the regional cultural phenomenon called Chilpo-ri Petroglyph in this sense should be discussed at the cultural and historical level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ronze Age.

      • KCI등재

        Sentinel-1 시계열 SAR 간섭기법을 활용한 영일만항과 주변 지역의2017 포항 지진 동시성 및 지진 후 변위 분석

        이시웅,김태욱,한향선,김진우,전영범,김종건,이승철 대한원격탐사학회 2024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40 No.1

        Ports are vital social infrastructur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both people’s lives and a country’seconomy. In South Korea, the aging of port infrastructure combined with the increased frequency of variousnatural disasters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displacement monitoring for safety management of the port. In this study, the time-series displacements of Yeongilman Port and surrounding areas in Pohang, SouthKorea, were measured by applying Permanent Scatterer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PSInSAR) to Sentinel-1 SAR images collected from the satellite’s ascending (February 2017–July 2023)and descending (February 2017–December 2021) nodes, and the displacement associated with the 2017Pohang earthquake in the port was analyzed. The southern (except the southernmost) and central partsof Yeongilman Port showed large displacements attributed to construction activities for about 10 monthsat the beginning of the observation period, and the coseismic displacement caused by the Pohangearthquake was up to 1.6 cm of the westward horizontal motion and 0.5 cm of subsidence. However, littlecoseismic displacement was observed in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port, where reclamation wascompleted last, an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oldest port. This represents that the weaker the consolidationof the reclaimed soil in the port, the more vulnerable it is to earthquakes, and that if the soil is very weaklyconsolidated due to ongoing reclamation, it would not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earthquakes. Summer subsidence and winter uplift of about 1 cm have been repeatedly observed every year in the entire area ofYeongilman Port, which is attributed to volume changes in the reclaimed soil due to temperature changes. The ground of the 1st and 2nd General Industrial Complexes adjacent to Yeongilman Port subsided duringthe observation period, and the rate of subsidence was faster in the 1st Industrial Complex. The 1stIndustrial Complex was observed to have a westward horizontal displacement of 3 mm and a subsidenceof 6 mm as the coseismic displacement of the Pohang earthquake, while the 2nd Industrial Complex wasanalyzed to have been little affected by the earthqu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ed us to identify thetime-series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of Yeongilman Port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earthquakeson the stability of a port built by coastal reclamation.

      • KCI등재

        포항·훈춘·하산 3각 협력과 환동해 물류·관광중심도시-포항

        강명수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9 외국학연구 Vol.- No.47

        Recently, there has been big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ound the northern axis of the Hwan-Dong-Hae.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of pohang will be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Pohang-Hunchun-Hass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of the Hwan-Dong-Hae. Pohang should foster Pohang-Hunchun-Hassan triangular cooperation. For Pohang's Future, the hardware(Pohang Youngilman Port, Youngilma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Youngilman large bridge) and software(Logistic touristic networks, The opening of Northern sea route) must be prepared simultaneously. Pohang Youngilman Port should develop logistic touristic networks with Hunchun and Hassan's Jaruvino Port in the Hwan-Dong-H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